• 제목/요약/키워드: chloride ion concentration

검색결과 300건 처리시간 0.028초

살조세균 KY1의 분리와 특성조사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lgicidal Bacteria KY1)

  • 박근영;김미령;김성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52-457
    • /
    • 1999
  • 적조 현상이 나타난 남해안 연안의 뻘로부터 Cochlodinium polykrikoides에 대한 살조능을 가지는 살조 세균 KY1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살조 세균 KY1이 살조능을 나타내는 최적 조건은 $30^{\circ}C$, 염농도 $3\%$, pH 5 이상의 중성으로 확인되었으며, 약 8 시간의 배양에서 대수 증식의 최대 성장률을 보였으며, 이후 사멸기 까지 배양 시간 24 시간 경과 후부터 높은 살조능을 나타내었다. 살조능은 대수증식기에서 정지기로 넘어갈 때,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그리고, 사멸기에서는 최대 $100\%$에 달하는 살조능을 나타내었다. 이는 살조 세균이 분해되면서 균체내에 존재하는 살조물질을 분비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또한 배양 상등액의 양을 증가시켰을 때, 1 시간 이내에 $40{\mu}{\ell}$/ml의 농도에서 $100\%$의 살조능을 볼 수 있었다. $Zn^{2+}$의 첨가로 살조능의 현저한 증가를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이로부터 살조물질은 C. polykrikoides의 세포벽 성분인 mannan을 분해하는 $\alpha$-mannosidase일 가능성을 보였다.

  • PDF

An Improved, Reliable and Practical Kinetic Assay for the Detection of Prekallikrein Activator in Blood Products

  • Shin, In-Soo;Shim, Yun-Bo;Hong, Choong-Man;Koh, Hyun-Chul;Lee, Seok-Ho;Hong, Seung-Hwa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5권4호
    • /
    • pp.505-510
    • /
    • 2002
  • An improved kinetic assay for prekallikrein activator (PKA), a potential vasodilator, has been developed to be used as an indicator for quality control during production of human albumin preparations. It consists of two reaction stages. In the first stage, PKA and prekallikrein are incubated at $37^{\circ}C$ for 45 min to allow the transformation into kallikrein. Kallikrein, a serine protease, catalyzes the splitting of p-nitroaniline (pNA) from its substrate H-D-Pro-Phe-Arg-pNA(S-2302). The rate at which pNA is released was measured spectrophotometrically at 405 nm. Prekallikrein, a substrate of PKA was purified by DEAE ion-exchange chromatography and the major potential variations in the assay were optimized; pH 8.0 and 150 mM sodium chloride were chosen to give a proper ionic strength. Reaction times in the range of 10 to 360 min provided linear dose-response curves. The concentration of prekallikrein was adjusted to fall between 1:1 and 1:3 dilutions to generate a linear standard calibration curve. Under the optimized conditions, reproducibility was checked. In a precision test,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CV) stayed within ${\pm}4%$ and the dose-response curve showed a good correlation (${r^2}=0.999$). An accuracy test with an international standard of PKA afforded a mean recovery of 97.5%.

수경재배 시 염소흡착을 위한 활성탄 처리가 실내식물인 개운죽(Dracaena braunii)의 생육 및 생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ctivated Carbon on Growth and Physical Responses of Indoor Plant Dracaena braunii to Alleviate Salt-induced Stress in Water Culture)

  • 주진희;손혜미;김원태;윤용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21-328
    • /
    • 2019
  •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growth and physical responsees of Dracaena braunii in response salt accumulation in ornamental water culture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activated carbon on this growth response.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a plant growth chamber and the indoor environmental conditions of the chamber were set at $23{\pm}1^{\circ}C$ temperature, $70{\pm}3%$ humidity, and 1,000 lux brightness. The observation of the growth response of plants in the presence of activated carbon showed that the pH with activated carbon maintained sub-acidic to neutral (6.27~7.32) conditions and showed decreased electric conductivity in the media. As the treatment with added activated carbon showed good growth and physical responses, this indicated that absorption effect of activated carb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growth of plants. However, as the absorption effect of activated carbon may decrease over time and the use of high concentrations of activated carbon might cause nutrition shortage, various concentration of activated carbon and their absorption effects need to be investigated in the future.

Lithium 이온의 배설에 미치는 Corticosteroid의 영향 (Effect of Corticosteroids on Renal Excretion of Lithium)

  • 오신열;하정희;이광윤;김원준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권1호
    • /
    • pp.229-235
    • /
    • 1986
  • rat에 주사된 lithium 이온의 배설에 미치는 수종의 corticosteroid의 영향을 검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fludrocortisone을 10mg/kg 투여하여 혈청내 lithium 농도를 줄일 수 있었고, lithium의 뇨중 배설량도 증가시켰다. 2. dexamethasone을 0.1mg/kg 투여하여 혈청내 lithium 농도를 줄일 수 있었고, 1mg/kg을 투여하여 lithium의 뇨중 배설량도 증가시켰다. 3. dexamethasone에 의하여서는 혈중 $Na^+$$K^+$에 대한 농도비가 감소하였고, 반대로 뇨중 $Na^+$$K^+$에 대한 농도비가 감소하였다. 이상의 실험 결과를 미루어 corticosteroid는 lithium의 뇨중 배설량을 증가시키고 그 혈중 농도를 감소시킬 수 있으나, 이러한 작용은 신장을 통한 $Na^+$ 이나 $K^+$의 이동과는 전혀 상관이 없다고 생각된다.

  • PDF

이온 몰 전도도가 나노여과막에 의한 폐수 중의 중금속 분리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onic Molar Conductivity on Separation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s by Nanofiltration Membranes in Waste Water)

  • 오정익
    • 토지주택연구
    • /
    • 제4권1호
    • /
    • pp.119-124
    • /
    • 2013
  • 나노여과막은 일반적으로 하전막이며, 용질의 하전성, 막과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특징 있는 분리특성을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나노여과막에 의한 폐수 중의 중금속류의 제거에 미치는 하전특성을 조사했다. 크롬(Cr), 철(Fe), 구리(Cu), 아연(Zn), 비소(As), 주석(Sn), 납(Pb)을 각각 0.1mg/L 첨가한 모의폐수를 제조하여 나노여과막(a)와 나노여과막(b)를 이용하여 운전압력 0.24MPa, 온도 $25^{\circ}C$에서 여과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나노여과막(a)와 나노여과막(b)에 의한 염소 이온의 제거율은 12.8%, 3.5%였고, 황산이온의 제거율은 78%, 9.3%였고 TOC의 제거율은 70.4%, 26.2%이었다. 한편, 중금속의 제거율은 나노여과막(a)의 경우 크롬(Cr) 92.5%, 철(Fe) 90.9%, 구리(Cu) 93.1%, 아연(Zn) 92.6%, 비소(As) 74.6%, 주석(Sn) 97.3%, 납(Pb) 93.4%이었고, 나노여과막(b)의 경우는 크롬(Cr) 69.9%, 철(Fe) 84.6%, 구리(Cu) 87.0%, 아연(Zn) 73.3%, 비소(As) 15.2%, 주석(Sn) 80.1%, 납(Pb) 87.7%이었다. 여기서, 나노여과(a), 나노여과(b)의 경우 공통적으로 크롬, 철, 동, 아연, 주석, 납에 비하여 비소의 제거율은 상대적 낮았다. 상기 실험결과에서 폐수 중에 다량 함유되는 염소이온 및 황산이온에 대한 중금속류의 분리계수와 이온성분의 수중에서의 활동정도를 나타내는 인자인 이온 몰 전도도로 해석할 수 있었다. 그 결과, 몰 전도도 비가 큰 중금속 이온일수록, 나노여과막에 의한 중금속 이온의 제거율이 높아지는 경향을 알 수 있었다.

니켈티타늄 파일의 부식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환경 조건 비교 (Comparative analysis of various corrosive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NiTi rotary files)

  • 염지완;박정길;허복;김현철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3권4호
    • /
    • pp.377-388
    • /
    • 2008
  • 이 연구에서는 다양한 부식 환경하에서 니켈티타늄 파일에 대한 부식 경향을 전기화학적 검사와 시각적 검사를 이용해 비교 평가하였다. 각 45개의 21 mm ProTaper Universal 52와 21 mm #25/0.06의 Hero642 file을 기계적 하중 여부, 저장 용액(증류수 및 차아염소산나트륨), 저장 온도(22$^{\circ}C$ 및 55$^{\circ}C$), 파일 종류에 따라 18개의 그룹(n = 5)으로 나누었다. 40개의 발거 치아 근관을 성형한 후 18시간 동안 저장 용액에 조건에 따라 보관하였다. 부식 산물의 생성 여부나 변색 등을 관찰하고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해 각 시편을 다양한 배율에서 관찰하였으며 에너지 분산형 X선 분광기로 성분 분석을 하였다 전기화학적분극시험을 통하여 새 파일과 근관 성형에 사용한 파일의 부식저항성을 검사하였다. 본 실험 조건하에서는 저장 용액의 종류와 보관 온도가 니켈 티타늄 파일의 부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종 금속이 존재하는 경우 갈바닉 부식의 영향으로 인해니켈 티타늄 파일의 부식 경향이 증가할 수도 있음을 보였다.

이차전지 폐액으로부터 D2EHPA + TBP solvent를 활용한 탄산리튬 제조기술 (High-purity Lithium Carbonate Manufacturing Technology from the Secondary Battery Recycling Waste using D2EHPA + TBP Solvent)

  • 센디팍;양희열;홍세철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32권1호
    • /
    • pp.21-32
    • /
    • 2023
  • 리튬이온 배터리(LIB) 제조를 위한 리튬의 사용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 그에 따라 발생되는 리튬이온배터리 폐기가 증가될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따라 폐배터리를 재활용을 하기위한 용매 추출을 통한 재활용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니켈, 코발트 및 망간과 같은 유가금속을 제거한 후 얻은 폐 용액에서 리튬의 회수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폐이차전지 재활용공정 후 발생되는 폐액에서 리튬을 회수하기위해 추출제 Di-(2-ethylhexyl) hosphoricacid(D2EHPA)와 등유의 개질제 Tri-n-butyphosphate(TBP)를 선택적으로 혼합하여 추출조건을 최적화하였다. 폐액에는 리튬과 고농도의 나트륨(Li+ = 0.5% ~ 1%, Na+ = 3 ~ 6.5%)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리튬의 추출은 유기용매의 다른 구성에서 최종적으로 20% D2EHPA + 20% TBP + 60% 등유로 구성된 유기용매에서 효과적인 추출을 조건을 확립하였다. NaOH의 비누화를 이용한 SX 시스템에서는 평형 pH 4~4.5에서 유기 대 수성(O/A)이 5일 때 약 95% 이상의 리튬이 선택적으로 추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적은 양의 나트륨으로 염화리튬에서 탄산리튬 분말을 얻기 위해 고순도 중탄산암모늄을 처리하였다. 최종적으로 처리된 탄산리튬에 여러번 세수를 통하여 미량의 나트륨을 제거하고 고순도 탄산리튬 분말(순도 99.2%)을 제조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폐이차전지 재활용공정에서 발생되는 폐액을 활용하여 탄산리튬의 효율적인 제조방법을 확인하였다.

시멘트 풀의 직접수성탄산화에서 Chloride 첨가제와 pH의 영향 (The Effect of Chloride Additives and pH on Direct Aqueous Carbonation of Cement Paste)

  • 이진현;황진연;이효민;손병서;오지호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39-49
    • /
    • 2015
  • 최근 세계적으로 탄소포집 및 저장(CCS, carbon capture and storage)기술에 대한 연구가 많이 수행되고 있다. 이번 연구는 폐시멘트 미분을 이산화탄소를 포집하는 광물탄산화(mineral carbonation)의 효율적인 재료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수행하였다. 0.15 mm 미만으로 체가름된 시멘트 풀(W:C = 6:4)과 $200m{\ell}$ 용액을 포함하는 반응용기에 순도 99%의 $CO_2$ 가스를 주입하는 직접수성탄산화 실험을 수행하고, 두 종류 첨가제(NaCl, $MgCl_2$)의 탄산화에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특히, 첨가제의 종류와 pH변화에 따른 탄산화 과정, 생성되는 탄산염광물의 종류와 특성에 대하여 자세히 연구하였다. 직접수성탄산화 실험 결과 pH는 $CO_2$의 주입으로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Ca^{2+}$ 이온 농도는 $MgCl_2$가 첨가제로 활용한 경우에는 지속적으로 감소하였지만 $MgCl_2$를 첨가하지 않은 경우에는 감소하다가 pH가 낮아짐에 따라 생성된 탄산염광물의 용해로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생성물질에 대한 X-선 회절분석 결과, $MgCl_2$를 첨가하지 않은 경우에는 방해석이 우세하게 나타났고, $MgCl_2$를 첨가제로 활용한 경우에는 $Mg^{2+}$ 이온의 영향으로 아라고나이트가 우세하게 나타났다. 또한 pH 단계별 직접수성탄산화 실험결과, $MgCl_2$를 첨가하지 않은 경우에는 pH가 높은 실험 초기에 나타난 바테라이트는 pH가 낮아질수록 결정도가 좋은 방해석으로 전환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MgCl_2$를 첨가제로 활용한 경우에는 pH가 낮아질수록 방해석의 함량은 감소하고 아라고나이트의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동전기-펜턴 공정에서 전해질의 전극반응이 처리효율에 미치는 영향 (Role of Electrode Reaction of Electrolyte in Electrokinetic-Fenton Process for Phenanthrene Removal)

  • 박지연;김상준;이유진;양지원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1권1호
    • /
    • pp.7-13
    • /
    • 2006
  • Phenanthrene 오염토양 정화를 위한 동전기-펜턴 공정에서, 전해질의 종류와 전극반응에 따른 전기삼투유량의 변화와 오염물의 분해율을 관찰하였다. 전압경사는 초기에 감소하였다가 다시 증가하였는데, 이는 전류가 공급됨에 따라 이 온이 토양 내로 유입되어 전도도가 증가하였다가, 전기삼투 및 전기이동 현상에 의해 이온이 유출수를 통하여 빠져 나가 토양 내의 이온 농도가 다시 감소하여 전도도가 감소하였기 때문이다 총 전기삼투유량은 $NaCl>KH_2PO_4>MgSO_4$의 순서로 나타났는데, 이는 같은 몰농도(M)에서 $MgSO_4$의 이온세기가 다른 전해질보다 높았기 때문이다. 과산화수소를 첨가했을 경우는, 첨가하지 않은 경우보다 펜턴 반응에 의한 산화분해로 제거율이 향상되었다. NaCl의 경우, 양극 전극조에서 전극 반응에 의해 생성된 염소 가스($Cl_2$)가 산성조건에서 용해되어 형성된 하이포아염소산 (HClO)이 오염물의 산화분해를 증가시켜 다른 전해질보다 높은 제거율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동전기-펜턴 공정에서 제거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전해질이 토양 내에서 동전기적 이동 메커니즘에 미치는 영향과 더불어 양극 전극조에서의 전극 반응에 의한 생성물의 특성 또한 고려되어야 한다.

KCl Mediates $K^+$ Channel-Activated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Signaling in Wound Healing

  • Shim, Jung Hee;Lim, Jong Woo;Kim, Byeong Kyu;Park, Soo Jin;Kim, Suk Wha;Choi, Tae Hyun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2권1호
    • /
    • pp.11-19
    • /
    • 2015
  • Background Wound healing is an interaction of a complex signaling cascade of cellular events, including inflammation, proliferation, and maturation. $K^+$ channels modulate the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signaling pathway. Here, we investigated whether $K^+$ channel-activated MAPK signaling directs collagen synthesis and angiogenesis in wound healing. Methods The human skin fibroblast HS27 cell line was used to examine cell viability and collagen synthesis after potassium chloride (KCl) treatment by Cell Counting Kit-8 (CCK-8) and western blotting. To investigate whether $K^+$ ion channels function upstream of MAPK signaling, thus affecting collagen synthesis and angiogenesis, we examined alteration of MAPK expression after treatment with KCl (channel inhibitor), NS1619 (channel activator), or kinase inhibitors. To research the effect of KCl on angiogenesis, angiogenesis-related proteins such as thrombospondin 1 (TSP1), anti-angiogenic factor,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bFGF) an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pro-angiogenic factor were assayed by western blot. Results The viability of HS27 cells was not affected by 25 mM KCl. Collagen synthesis increased dependent on time and concentration of KCl exposure. The phosphorylations of MAPK proteins such as extracellular-signal-regulated kinase (ERK) and p38 increased about 2.5-3 fold in the KCl treatment cells and were inhibited by treatment of NS1619. TSP1 expression increased by 100%, bFGF expression decreased by 40%, and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VEGF level by KCl treatment, TSP1 was inhibited by NS1619 or kinase inhibitors. Conclusions Our results suggest that KCl may function as a therapeutic agent for wound healing in the skin through MAPK signaling mediated by the $K^+$ ion chann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