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lorella extract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3초

비만치료식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2. 조류와 생약성분의 비만억제작용 비교 (Basic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Diet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II. Comparison of the Inhibitory Effect of Algae and Crude Drug Components on Obesity)

  • 최진호;최재수;변대석;양달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485-492
    • /
    • 1986
  • 비만치료식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의 일환으로 전보에서 식물섬유중에서 가장 효과적으로 비만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진 알긴산과 담수녹조인 chlorella, 그리고 중요 생약인 인삼과 마늘의 유효약리성분인 saponin과 alliin, scordinin의 첨가에 의한 비만억제작용을 비교${\cdot}$검토한 결과를 보고한다. 이들 성분들의 첨가에 의한 비만억제효과를 체중증가량으로 비교하여 보면 Na-alginate($71\%$)가 가장 효과적이었고(P<0.01), 그 다음이 scordinin($76\%$), chlorella($76\%$), alliin($86\%$)의 순이었으며 (P<0.001), 사료효율로서 비교하여 보면 체중증가량과 마찬가지로 Na-alginate($68\%$)가 가장 효과적이었고(P<0.001), alliin($79\%$)도 그 효과가 인정되었다(P<0.05). 간장의 지방축적억제효과는 Na-alginate($84\%$)가 가장 효과적이었으며(P<0.001), 부역환 및 난소 주위의 지방조직에 있어서 지방축적억제효과는 Na-alginate($54\%$)가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P<0.001), 그 다음이 alliin($64\%$), saponin($66\%$)의 순으로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P<0.001). 또 Lee index에 의한 비만억제효과를 비교하여 보면 Na-alginate($91\%$)에서만 그 효과가 인정되었다(P<0.001). 간장중의 지방함량에 의한 지방축적억제효과를 비교하여 보면 alliin($40\%$)>saponin($58\%$)>Na-alginate($62\%$)>chlorella($64\%$)>scordinin($74\%$)의 순으로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P<0.001). 또 이들 성분들의 첨가에 의한 혈청 glucose 감소효과는 Na-alginate($67\%$)가 가장 효과적이었으며(P<0.001), 그 다음이 saponin($73\%$), scordinin($74\%$), alliin($83\%$)의 순으로 효과적이었다(P<0.001), 혈청cholesterol 저하작용을 비교하여 보면 Na-alginate($82\%$)가 가장 효과적이었으며(P<0.001), 그 다음이 alliin($84\%$), chlorella($86\%$), saponin($87\%$)의 순으로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P<0.001). 또한 혈청 lipase 활성의 증가에 의한 비만억제작용을 비교하여 보면, Na-alginate($109\%$)와 saponin($104\%$)의 첨가가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미역, 다시마, 톳 등 갈조류성분인 알긴산이 담수녹조인 chlorella, 중요 생약인 인삼과 마늘의 유효약리성분인 saponin과 alliin 및 scordinin 보다 비만의 예방과 치료에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Dunaliella tertiolecta의 포도당산화와 산화효소계 (II) Cell-free Extracts를 사용한 Glycolytic 및 Pentose Phosphate Pathway의 존재확인 (Glucose Oxidation and It's Oxidative Enzyme Systems in Dunaliella tertiolecta. (II) Evidence for Glycolytic and Pentose Phosphate Pathways in Cell-free Extracts)

  • 권영명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12권2호
    • /
    • pp.15-22
    • /
    • 1969
  • By spectrophotometric assay method, the following enzymes could be detected in Dunaliella tertiolecta and Chlorella pyrenoidosa cell-free extracts: Hexokinase; Glucose-6-phosphate, 6-Phosphogluconate and Triosephosphate dehydrogenase; Transketolase; Phosphogluco and Ribosephosphate isomerase; Phosphoglucomutase; Phosphofructokinase; Fructosediphosphate aldorase and Ribulosephosphate 3-epimerase. Such enzymes are in accordance with the proposed pathway of glucose catabolism by D. tertiolecta as well as C. pyrenoidosa. Also, it could be estimated, under the presence of NADP, that pentose phosphate pathway were more active than glycolytic pathway in D. tertiolecta cell-free systems.

  • PDF

저주파 초음파를 이용한 미세조류 파쇄 (Cell Disruption of Microalgae by Low-Frequency Non-Focused Ultrasound)

  • 배명권;최준혁;박종락;정상화
    • 한국기계가공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11-118
    • /
    • 2020
  • Recently, bioenergy research using microalgae, one of the most promising biofuel sources, has attracted much attention. Cell disruption, which can be classified as physical or chemical, is essential to extract functional ingredients from microalga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ell disruption efficiency of Chlorella sp. using low-frequency non-focused ultrasound (LFNFU). This is a continuously physical method that is superior to chemical methods with respect to environmental friendliness and low processing cost. A flat panel photobioreactor was employed to cultivate Chlorella sp. and its growth curve was fitted both with Logistic and Gompertz models. The temporal change in cell reduction by cell disruption using LFNFU was fitted with a Logistic model. The experimental conditions that were investigated were the initial concentration of microalgal cells, relative amplitude of output ultrasound waves, processing volume of microalgal cells, and initial pH value. The optimal conditions for the most efficient cell disruption were determined through the various tests.

해양미세조류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활성에 관한 연구 (Antibacterial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from marine micro-algae)

  • 김윤정;하상철;김대욱;신일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90-395
    • /
    • 2017
  • Mixed A, Chlorella vulgaris, Nannochloropsis oculata, Chaetoceros calcitrans 등 4종류의 미세조류로부터 99.9% 에탄올로 추출한 성분의 항균활성을 검증하기 위해 그람음성세균 2종(E. coli, S. Typhimurium)과 그람양성세균 2종(S. aureus, B. cereus)에 대하여 paper disk diffusion assay, MIC, MBC를 측정하였다. 4종류의 미세조류 추출물은 공시균주에 대하여 0.62-1.66 mg/mL의 MIC를 나타내었으며, C. vulgaris 추출물이 4종의 공시균주에 대한 MIC가 0.62 mg/mL로 가장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MBC 또한 C. vulgaris 에탄올 추출물이 E. coli에 대해 2.50 mg/mL, S. aureus, B. cereus와 S. Typhimurium에 대해서는 4.16-5.00 mg/mL로 가장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항균활성이 가장 강한 C. vulgaris 에탄올 추출물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 함량이 가장 많은 성분은 9,12-octadecadienoic acid (linoelaidic acid, peak 5, 7)로 38.8%이었으며, 그 다음이 2-Hexadecen-1-o1, 3,7,11,15-tetramethyl (phytol, peak 2,6)로 30.0%이었다. Octadecadienoic acid는 일명 linoelaidic acid로 탄소수 18개의 고도불포화지방산이며, 두 번째로 함량이 많은 Phytol은 클로로필을 구성하는 불포화 제1급 알코올의 일종으로서(엽록소의 구성 성분) 병원성 대장균 및 황색포도상구균에 항균활성을 나타낸다는 보고로 볼 때, 이 2가지 성분이 항균활성의 주성분인 것으로 사료된다.

Synergistic Effects of KH-red Ginseng/chlorella on the Endurance Capacity and Immune Enhancing in Forced Swimming Tested Mice

  • Choi, In-Young;Lee, Ji-Hyun;Kang, Tae-Hee;An, Hyo-Jin;Kim, Su-Jin;Moon, Phil-Dong;Kim, Na-Hyung;Myung, Noh-Yil;Yang, Deok-Chun;Kang, In-Cheol;Choi, Young-Jin;Kim, Min-Ho;Um, Jae-Young;Hong, Seung-Heon;Kim, Hyung-Min;Jeong, Hyun-Ja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6호
    • /
    • pp.1351-1357
    • /
    • 2009
  • KH-red ginseng/chlorella (KH-RG/C) is the mixed material of the Korean red ginseng powder (Panax ginseng, 75%) and extract of Chlorella vulgaris (25%). To evaluate the effects of KH-RG/C on endurance capacity and immune regulation, the forced swimming test (FST) was conducted. The immobility time in the FS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KH-RG/C treated group compared with the DW-treated group at the 3 and 10 days, respectively. In the analysis of the blood biochemical parameters, KH-RG/C treatment significantly increased the glucose level. However, the lactic dehydrogenase level decreased. Although KH-RG/C increased aspartate aminotransferase, it was not different significantly. And KH-RG/C had no affects in the alanine aminotransferase, and blood urea nitrogen levels. In splenocytes and macrophages, KH-RG/C also did not affect the interleukin (IL)-2, IL-4, and IL-12 produ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KH-RG/C may influence to immune regulation through increasing the physical endurance capacity without effect in activation of immune cells.

해양 미세조류 Amphidinium carterae 추출물의 기능성 평가 (Functional evaluation of marine micro-algae Amphidinium carterae extract)

  • 김해미;오현화;정종훈;이상천;문혜정;정용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673-679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해양미세조류 A. carterae의 기능성 평가를 위해 에탄올 추출을 하였고, 기존의 건강기능성식품인 클로렐라를 에탄올 추출하여 기능성을 비교하였다. 클로렐라 에탄올 추출물(CE)과 A. carterae 에탄올 추출물(AE)의 총페놀성 화합물은 각각 47.39 mg/g과 8.88 mg/g 으로 CE가 5.33배 높았으나, DPPH 라디컬소거능은 22.42%와 20.16%로 비슷한 수준이었다. 반면에 CE와 AE의 ABTS 라디컬 소거능은 각각 28.58%와 17.69%로 CE가 높아 CE의 항산화능은 페놀성 화합물의 효과로 판단된다. AE(10 mg/mL)의 항균활성은 그람음성균 6종과 그람양성균 10종에서 확인하였다. 그리고 CE(10 mg/mL)의 항균활성은 그람음성균 3종과 그람양성균 3종에서 확인되었다. ${\alpha}$-glucosidase의 억제활성은 AE($500{\mu}g/mL$)에서 82.07%이었고, CE는 효소활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암세포 생장억제활성은 $125{\mu}g/mL$ 농도의 AE를 첨가했을 때, HepG2와 HT-29의 생존율이 각각 38%와 11.27%이었다. $31.25-125{\mu}g/mL$의 농도범위에서 CE 첨가가 HepG2와 HT-29의 생장을 촉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면, A. carterae 에탄올 추출물은 페놀성 화합물 이외의 항산화 물질을 보유하고, 항균활성, 항당뇨효과와 암세포 억제활성이 우수한 기능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기능성 소재로써의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식품에 이용되는 미세조류와 이를 이용한 식품 연구개발 동향 및 전망 (Trends and Prospects of Microalgae used for Food)

  • 곽호석;김지수;이자현;성동은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66-75
    • /
    • 2021
  • Microalgae are unicellular microorganisms inhabiting various ecosystems of the world, including marine and freshwater systems and extreme environments. Only a few species have been actively used as food. Microalgae are attracting attention as a means of biological CO2 reduction because they play an important role in absorbing atmospheric CO2 through their rapid growth by photosynthesis in water. Besides, microalgae are considered to be an eco-friendly energy source because they can rapidly produce biomass containing a large quantum of lipids that can be converted into biodiesel. Several microalgae, such as Chlorella spp., Spirulina spp. and Haematococcus spp. have already been commercialized as functional health supplements because they contain diverse nutrients including proteins, vitamins, minerals, and functional substances such as docosahexaenoic acid (DHA), β-glucan, phycocyanin, astaxanthin, etc. Moreover, they have the potential to be used as food materials that can address the protein-energy malnutrition (PEM) which may occur in the future due to population growth. They can be added to various foods in the form of powder or liquid extract for enhancing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foods. In this review, we analyzed several microalgae which can be used as food additives and summarized their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that suggest the possibility of a role for microalgae as future food.

Advances in microalgal biomass/bioenergy production with agricultural by-products: Analysis with various growth rate models

  • Choi, Hee-Jeong;Lee, Seo-Yun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24권2호
    • /
    • pp.271-278
    • /
    • 2019
  • Mass cultivation of microalgae is necessary to achieve economically feasible production of microalgal biodiesel. However, the high cost of nutrients is a major limitation. In this study, corncob extract (CCE) was used as an inorganic and organic nutrient source for the mass cultivation of Chlorella vulgaris (C. vulgaris). Chemical composition analysis of CCE revealed that it contained sufficient nutrients for mixotrophic cultivation of C. vulgaris. The highest specific grow rate of C. vulgaris was obtained at pH of 7-8, temperature of $25-30^{\circ}C$, and CCE amount of 5 g/L. In the analysis using various growth models, Luong model was found to be the most suitable empirical formula for mass cultivation of C. vulgaris using CCE. Analysis of biomass and production of triacyglycerol showed that microalgae grown in CCE medium produced more than 17.23% and 3% more unsaturated fatty acids than cells cultured in Jaworski's Medium. These results suggest that growing microalgae in CCE-supplemented medium can increase lipid production. Therefore, CCE, agricultural byproduct, has potential use for mass cultivation of microalgae.

클로렐라 추출물을 첨가한 물김치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l-kimchi added with chlorella water extract)

  • 김동청;인만진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1권2호
    • /
    • pp.125-130
    • /
    • 2018
  • 클로렐라 추출물을 식품재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클로렐라 추출물을 0-0.1% 첨가한 물김치를 제조하여 10에서 7일간 발효시키면서 pH, 적정산도, 젖산균수 및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pH는 발효 3일 이후 감소하기 시작하여 발효 5일 후 클로렐라 추출물을 첨가한 조건에서 pH 5.14-5.28에서 4.52-4.59로, 대조구는 pH 5.24에서 4.76으로 하락하였다. 적정산도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여 발효 6일째 대조구는 0.14%, 클로렐라 추출물 첨가구는 0.16-0.19%로 클로렐라 추출물의 첨가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환원당 함량은 발효 4일에 최대값을 보였으며 클로렐라 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환원당의 함량은 낮았다. 클로렐라 추출물에 의하여 젖산균의 생육이 촉진되어 발효 4일까지 클로렐라 추출물 물김치에서 젖산균 수가 빠르게 증가하였다. 관능평가에서 클로렐라 추출물의 첨가는 물김치의 색과 향에 대한 기호도를 낮추지 않았으며 맛과 종합적인 기호도를 다소 증진시키는 효과를 보였다. 클로렐라 추출물 물김치를 4에서 15일간 저장하는 동안 pH의 변화는 미미하였고 적정산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젖산균 약간 감소하였으나 전체적으로 $10^7CFU/g$ 이상으로 유지되었다.

국내산 광물 및 식물의 단순 추출물을 이용한 조류 성장 억제능 평가 (Algal Growth Inhibition Activity of Domestic Plants and Minerals Using Simple Extraction Method)

  • 김백호;이주환;김건희;유영훈;황순진
    • 생태와환경
    • /
    • 제43권2호
    • /
    • pp.221-231
    • /
    • 2010
  • 국내에서 널리 분포하여 쉽게 구할 수 있는 천연재료인 상수리나무, 밤나무, 녹차, 황토, 맥반석, 제올라이트와 혼합물 등 7가지 물질의 남조와 녹조류 성장 억제능을 파악하기 위하여, 단순 추출법을 이용하여 얻은 각 물질을 농도별(1, 5, 10 mg $L^{-1}$)로 배양조류에 처리하고 각 조류의 성장 특성을 조사하였다. 분리형 남조 Microcystis aeruginosa, 군체형 M. aeruginosa 등은 저농도의 상수리나무, 밤나무, 제오라이트에 의해서 60% 이상의 높은 조류억제능을 보였으며, 녹조 Scenedesmus quadricauda는 녹차, 상수리나무에서 50% 이하의 억제능을 보였으며, 제오라이트에서는 65% 이상 성장이 억제되었다. 녹차를 포함한 대부분의 물질에서 낮은 농도인 1 mg $L^{-1}$에서 녹조 Chlorella vulgaris의 성장을 촉진하였으며, 황토는 S. quadricauda 성장을 촉진하였다. 따라서 부영양호수에서 흔히 발생되는 남조발생 억제에는 상수리나무, 밤나무, 제올라이트가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녹차, 황토나 맥반석 등은 녹조류 대량배양이나 배지로서 이용 가능성이 높다고 사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