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hilling period

검색결과 90건 처리시간 0.027초

Optimal Timing and Duration of Cold Application for Breaking Diapause in Queens of the Bumblebee Bombus ignitus

  • Yoon, Hyung Joo;Lee, Kyeong Y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28권2호
    • /
    • pp.51-57
    • /
    • 2014
  • Bumblebees are important pollinators of crops and wildflowers. The Korean native bumblebee, Bombus ignitus, undergoes one generation per year, and induction of artificial hibernation is essential for year-round rearing of the bumblebee. Keeping queens under cold treatment conditions for several mo is an effective method for terminating their diapause and promoting colony development.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how the timing and duration of chilling affect the artificial hibernation of B. ignitus queens. In the timing assessment, cold treatment was instituted at 12 d, 40 d, or 100 d after eclosion under a constant temperature of $5^{\circ}C$ and 80% humidity. The queens that entered cold treatment at 12 d after emergence evidenced the highest survival rates: 86.7% at two mo, 73.3% at three mo, and 46.4% at 4 mo. Survival rates were reduced under storage conditions at 12 d, 40 d, and 100 d after emergence. When queens were subjected to chilling at 8 d, 12 d, or 16 d after eclosion with constant 80% humidity, the queens stored at 12 d after eclosion exhibited the highest survival rates, which were 84.6 at one mo, 25.0% at two mo, and 7.9% at three mo. In regards to the duration of the cold period, the queens that hibernated for at least two mo evidenced optimal colony development rates. The rates of oviposition, colony foundation, and progeny-queen production of queens hibernated for two mo were 60.0%, 30.0%, and 13.3%, respectively. These values were 6.0 to 13.3 times higher than those in the queens that hibernated for 15 d. Therefore, a cold period of at least 2 mo applied 12 d after emergence were found to be the most favorable conditions for diapause break in B. ignitus queens.

몇 가지 처리가 파프리카 과실의 저온장해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veral Treatments on Chilling Injury of Paprika Fruits during Low Temperature Storage)

  • 최인이;이용범;김일섭;백준필;강호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27-431
    • /
    • 2013
  • 본 연구는 UVc 처리, 열수처리와 고 $CO_2$ 처리가 저온저장으로 인해 발생하는 저온장해 현상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고, 소량으로 다른 작물과 혼합 선적할 때 유지되는 $5^{\circ}C$ 이하의 저장 유통에 적용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각각의 처리 후 20일간 저온저장 후 상온에 5일간 저장하였다. 생체중은 MAP 조건이었던 고 $CO_2$ 처리구를 제외한 나머지 처리구에서 상온 저장후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에틸렌은 주기적으로 3% 내외의 수치를 보였다. 고 $CO_2$ 처리구는 저장 종료일인 25일에는 약 33%의 고 $CO_2$ 농도를 나타냈다. 저장 최종일에 측정한 경도는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나, 저온장해 현상이 완화되었던 열수처리에서 높았다. 저온장해 정도의 지표가 되는 전해질 용출량은 저온장해 발생온도인 $4^{\circ}C$에서는 고 $CO_2$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열수처리와 UVc처리구에서 가장 낮았는데, 비저온장해 대조구($7^{\circ}C$)와 유사한 수준이었다. 또한 저장최종일에 측정한 호흡률에서는 열수처리가 가장 낮아 저온장해가 완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저온장해 완화 효과를 보인 열수처리와 UVc 처리는 소량으로 다른 작물과 혼합 선적할 때 유지되는 $5^{\circ}C$ 이하의 저장유통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동결 기간 및 해동 후 냉장이 제주 흑돼지고기의 물리화학적, 기호적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reezing Period and Chilling Process after Thawing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Palatability of Loin from Jeju Island Reared Crossbred Black Pigs)

  • 문윤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60-566
    • /
    • 2010
  • 개량흑돼지(105~110 kg)를 도축한 후 약 18시간 냉장하고 등심육을 분할하여 진공 포장하고 $-20^{\circ}C$에서 1개월 및12개월 동결한 후 각각 $4^{\circ}C$에서 20시간 해동하였다. 해동 직후의 것(0-TP)과 해동 후 $2^{\circ}C$에서 2일간 냉장한 것(2-TP)의 물리화학적 및 기호적 특성을 비교하여 해동 후 냉장이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개량흑돼지 등심육을 1개월간 동결하여 해동한 경우, 해동 직후의 0-TP보다 해동 후 냉장한 2-TP가 보수력 및 근원섬유 소편화 정도가 높아지고, 경도 및 씹힘성이 낮아졌으며, 가열육의 다즙성 및 종합적 기호도가 향상되었으나(p<0.05) 12개월 동결한 등심육은 해동 후 냉장에 의한 효과가 유의적으로 크지 않았다.

The Chilling Trade Effects of Provisional Anti-dumping Duties: The Case of Korea

  • Sun, Joo Yeon
    • Journal of Korea Trade
    • /
    • 제24권3호
    • /
    • pp.1-19
    • /
    • 2020
  • Purpose -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effects of provisional anti-dumping duties levied on imports by Korea following anti-dumping investigations. An anti-dumping duty is a legal tool that countries use to impose duties on imports to offset injurious dumping. This study verifies how effective the imposition of a provisional anti-dumping duty is and whether such duties have trade chilling effects on aggregate imports.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s import trade diversion from named to unnamed countries caused by the imposition of provisional anti-dumping duties. Design/methodology - This empirical analysis employs an econometric model of provisional anti-dumping measures for cases in which Korea imposed final affirmative anti-dumping measures. We construct a monthly panel dataset for each stage of anti-dumping investigation undertaken by Korea for all manufacturing industries during 1995-2013. We illustrate a stage-by-stage analysis of anti-dumping investigations from initiation, preliminary decision, imposition of provisional duty, final affirmative decision, and imposition of final affirmative duty on a monthly basis at the six-digit harmonized system code-level. Findings - For cases in which provisional duties are imposed, the reduction in imports from named countries outweighs the increase in imports from unnamed countries. The substantial reduction in imports from named countries is large enough to offset the import diversion to unnamed countries, suggesting that import diversion in investigations is limited during the investigation period. Therefore, the use of provisional anti-dumping duties in Korea is effective, providing evidence of a chilling effect on aggregate imports. Originality/value - Few studies examine the size of the effects on import trade diversion of the imposition of provisional anti-dumping duties. We contribute to the literature by disentangling separate trade effects for each phase of the anti-dumping investigation process and imposition of provisional duty.

가시오갈피 개갑종자의 저온처리에 의한 발아 묘목의 생육특성 (Dehisced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Affected by Chilling Period in Eleutherococcus senticosus Maxim.)

  • 이성호;임정대;김명조;허권;유창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347-351
    • /
    • 2003
  • 가시오갈피종자의 적정파종기를 구명하기 위하여 개갑종자의 저온처리기간에 따른 발아율을 조사하고 파종시기에 따른 묘목의 생존율과 생육정황을 조사하였다. 1. 채종하여 $15^{\circ}C$에서 140여일 간 모래로 층적저장한 종자는 냉장온도 $(5^{\circ}C)$에서 10일부터 발아하기 시작하여 85일까지 개갑종자는 93.7%, 비개갑종자는 26.1%가 발아하였다. 개갑종자와 비개갑종자 모두에서 85일 이후에 는 발아율의 증가가 둔화되었다 2. 유묘출현율, 생존율, 묘소질을 비교한 결과 5월 11일 이전에 저온에서 발아한 종자를 포트에 가식하는 것이 적정하였다. 3. 저온처리중 발아종자 길이 에 따른 생존율을 조사한 결과는 하배축이 $0.5{\sim}2$ cm 신장하였을 때 파종한 처리구의 생존율이 가장 높았다. 4. 발아종자의 생존율은 50%차광처리에서 30% 차광보다 10배 높게 나타났다. 5. 4월 10일과 5월 11일 사이에 파종하는 것이 묘의 생육에 가장 좋으며 적정 파종시기를 지나치더라도 적절한 관리대책만 따라가면 4월부터 8월까지 거의 모든 생육기간중에 발아종자 파종이 가능하였다.

수확 후 고온처리가 참외의 저온장해 완화와 저장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ostharvest Heat Treatment on Alleviation Chilling Injury and Improvement Storability of Oriental Melon)

  • 강호민;박권우;김일섭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37-143
    • /
    • 2005
  • 저장전 고온처리($38^{\circ}$, 48시간)는 참외의 당도, 산도, 비타민 C의 함량과 ${\alpha}$-tocopherol 활성을 높였으며, $3^{\circ}C$의 MA저장중 생체중 감소 이산화탄소, 에틸렌그리고 아세트알데히드 발생량을 낮게 유지시켰다. 또한 저장후 외관상 품질, 경도, 당도, 산도, 비타민 C, ${\alpha}$-tocopherol 활성 등 내적품질이 고온처리한 참외에서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는데 특히 저온장해정도를 알 수 있는 이온용 출량이 고온처리구에서 낮아 수확후 고온처리로 저온장해가 완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고온처리를 하지 않은 대조구는 저장 25일부터 Alternaria rot이 발견되었으나 고온처리구는 저장 종료일인 39일까지 부패가 발견되지 않았으며 외관상 품질에 대한 저장일수로 세운 회귀식에 의하면 저장수명이 고온처리구에서 8일 이상 연장되었다. 참외의 경우 저장전 $38^{\circ}C$의 낮은 고온에서 장시간 열처리를 함으로써 살균효과 저온장해 완화효과와 더불어 수명연장까지 얻을 수 있었다.

냉장 중 돼지고기의 품질 변화에 미치는 감귤 부산물의 급여 효과 (Effects of Feeding Citrus Byproducts on Pork Quality during Cold Storage)

  • 문윤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633-640
    • /
    • 2008
  • 감귤 부산물 급여가 냉장 중 돼지고기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실험에 이용한 돼지고기(195일령, $115{\pm}3Kg$, 여자)는 감귤부산물을 급여하지 않은 T0구, 육성기($73{\sim}153일령$)와 비육기($154{\sim}195일령$)에 각각 3%및 5%급여한 T1구, 그리고 각각 6%와 10% 급여한 T2구로 나누었다. 각각 5 마리의 등심부위를 진공포장하고(Cryovac, $60{\mu}m$, BB4L, Japan) $3^{\circ}C$에서 4주일간 냉장하면서 표면 색도, 저장성, 지방 산패도 및 항산화력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등심육의 pH, 보수력 및 드립 감량은 냉장기간에 관계없이 감귤 부산물 급여에 의해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등심육의 휘발성 염기 질소, 일반 세균수 및 TBA 값은 냉장기간에 관계없이 감귤 부산물 급여에 의하여 억제되고 전자공여능 값이 높게 나타났다(p<0.05). 이러한 결과로 감귤 부산물을 급여한 돼지고기는 냉장 중 저장성이 우수하고 지방산패도와 항산화력에 좋은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기후변화에 따른 벚꽃 개화일의 시공간 변이 (Climate Change Impact on the Flowering Season of Japanese Cherry (Prunus serrulata var. spontanea) in Korea during 1941-2100)

  • 윤진일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68-76
    • /
    • 2006
  • A thermal time-based two-step phenological model was used to project flowering dates of Japanese cherry in South Korea from 1941 to 2100. The model consists of two sequential periods: the rest period described by chilling requirement and the forcing period described by heating requirement. Daily maximum and minimum temperature are used to calculate daily chill units until a pre-determined chilling requirement for rest release is met. After the projected rest release date, daily heat units (growing degree days) are accumulated until a pre-determined heating requirement for flowering is achieved. Model calculations using daily temperature data at 18 synoptic stations during 1955-2004 were compared with the observed blooming dates and resulted in 3.9 days mean absolute error, 5.1 days root mean squared error, and a correlation coefficient of 0.86. Considering that the phonology observation has never been fully standardized in Korea, this result seems reasonable. Gridded data sets of daily maximum and minimum temperature with a 270 m grid spacing were prepared for the climatological years 1941-1970 and 1971-2000 from observations at 56 synoptic stations by using a spatial interpolation scheme for correcting urban heat island effect as well as elevation effect. A 25km-resolution temperature data set covering the Korean Peninsula, prepared by the Meteorological Research Institute of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under the condition of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Special Report on Emission Scenarios A2, was converted to 270 m gridded data for the climatological years 2011-2040, 2041-2070 and 2071-2100. The model was run by the gridded daily maximum and minimum temperature data sets, each representing a climatological normal year for 1941-1970, 1971-2000, 2011-2040, 2041-2070, and 2071-2100. According to the model calculation, the spatially averaged flowering date for the 1971-2000 normal is shorter than that for 1941-1970 by 5.2 days. Compared with the current normal (1971-2000), flowering of Japanese cherry is expected to be earlier by 9, 21, and 29 days in the future normal years 2011-2040, 2041-2070, and 2071-2100, respectively. Southern coastal areas might experience springs with incomplete or even no Japanese cherry flowering caused by insufficient chilling for breaking bud dormancy.

냉장중 사슴육 증탕액의 이화학적 특성의 변화 (Changes of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Venison Extracts during Chilling Storage)

  • 박창일;김영직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98-304
    • /
    • 2000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pH, proximate composition, pH, VBN, TBA, minerals, and fatty acid of venison extracts, from three slaughtered deers with 180~210 kg live weight (♀, Elk deer, 28~30 months of age) at 4$^{\circ}C$. Proximate composition was not affected by storage periods. The pH, VBN, and TBA ranged from 4.60~4.62, 13.52~15.75 mg%, and 0.20~0/81mg/kg. respectively. The pH, VBN, and TBA gradually increased during storage period (p<0.050. Among minerals, K, P, Na, Mg, and Ca were major mineral contents and the Ca, mg, Na contents significantly decreased (p<0.05) according to the storage period. The major fatty acid found in venison extracts were oleic acid, palmitic acid, stearic acid, linoleic acid. Oleic acid, linolenic acid, and arachidonic acid decreased during storage, but palmitic acid, heptadeanonic acid, and stearic acid increased during the storage. U/S (unsalturated fatty acid/saturated fatty acid) ratio tended to decrease during the storage.

  • PDF

특급도계장의 위생실태에 관한 연구 I. 작업부분별 세균오염도 측정 (Studies on Sanitary Conditions in a Special Grade Chicken Processing Plant in Korea I. Storage Period of Packed Chicken Meat in relation to the Bacterial Contamination of Each Processing Part)

  • 오경록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41-48
    • /
    • 1986
  • 경기도 동두천시소재 C 특급도계장의 위생상태를 세균학적으로 조사하였으며 작업과정중에 사용되는 물의 세균오염도와 포장된 도계품의 보관기간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1. 생체취급실과 가까운 작업실일수록 공기중에 세균수가 많았고 사람의 출입이 잦은 제품출하실과 가까운 포장실의 세균오염도가 높았다. 2. 작업개시이전의 장비와 기구에서도 많은 세균이 검출되었으며 양호한 시설일지라도 계속적인 위생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장비와 기구를 통한 오염가능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3. 탕적수의 세균수는 작업 1시간후 부터는 $m\ell$당 표준평판배양 일반세균수가 2$\times$$10^{7}$ , 대장균군최확수 4$\times$$10^{5}$ 정도로 증가되어 작업완료시까지 지속되었다. 4. 도체냉각이 끝나는 부분에서의 냉각수의 $m\ell$당 표준평판배양 일반세균수는 수당 냉각수 용량이 2$\ell$인 경우에는 3.3$\times$$10^4$이며 5$\ell$인 경우에는 3$\times$$10^3$이었다. 또한 냉각수의 유효염소농도가 50ppm일때는 $m\ell$당 표준평판배양 일반세균수가 1/1,000-1/10,000 정도로 감소하였다. 5. 냉각된 도계품의 복강내에 고인 물의 $m\ell$당 표준평판배양 일반세균수는 평균 3.9$\times$$10^4$이었고 포장후 4$^{\circ}C$에서 10일간 저장후 포장용기에 고인물의 $m\ell$당 표준평판배양 일반세균수는 평균 4.7$\times$$10^{7}$ 이었다. 변패취는 $m\ell$당 일반세균수가 $10^{6}$이상일 때부터 나기 시작하였고, 냉각후 도체 복강내 고인 물의 일반세균수가 $m\ell$$10^4$이상 검출되는 도계품은 4$^{\circ}C$에서 5일이상 저장할 수 없었다.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