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검색결과 110건 처리시간 0.026초

조리과학 고등학생들의 푸드 스타일리스트 직업 정보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wareness of Foodstylist Job Information for Culinary Arts Science High Schoolers)

  • 김기영;이진하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91-107
    • /
    • 2006
  • This thesis aims to consider theories of job information on foodstylist, conduct a survey among culinary arts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who are in the most critical period of decision-making for the future career, and analyse the survey results on foodstylist by using SPSS10.0. The analysis shows that culinary high school students mainly get their job information on foodstylist through mass media. Thus, it can be deduced that use of mass media and the Internet can be the most effective to promote the awareness level of foodstylist. Culinary high schoolers' parents were positive about female students' being foodstylists, and those going to college showed more interest than job seekers about being foodstylists. In addition, the result of Bonferroni post-hoc test according to parents' monthly income showed that those with higher monthly income were positive about their children's being foodstylists. However, given that culinary high schoolers' overall satisfaction is low, provision of the information through a variety of information channels is necessary. It is expected that promotion of the information provision will serve a turning point in awareness.

  • PDF

유아의 채소섭취행동 강화를 위한 채소노출 및 채소놀이 영양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Eating Behavior of Preschool Children Using a Direct Visual Stimulating Program on Vegetables and Nutrition Education with Vegetable Playing)

  • 박모라;김영진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24권4호
    • /
    • pp.298-311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1)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egetable eating behavior of care givers and that of children, 2) the effectiveness of nutrition education with vegetable playing using direct visual stimulating programs on vegetable eating behavior of preschool children, and 3) the times and period of nutrition education with vegetable playing for significant changes on vegetable eating behavior. A total number of 56 individuals, aged 42 to 66 months old,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 which three kinds of vegetables (30 g)/meal were served per individual, and vegetable eating behavior was measured by the residue on the dish during 5 weeks (25 days). To the simple visual stimulating group, vegetable dish was served without education, and other groups included education 1 group (nutrition education 1 time/week), education 2 group (nutrition education 2 times/week), and education 3 group (nutrition education 3 times/week) with simple visual stimulation by the vegetable dish. The results showed 1) the significant relationship (P<0.001) between the vegetable eating behavior of the care giver and that of children by analysis of the questionnaire, 2) the effectiveness of nutrition education using vegetable playing on vegetable eating behavior of preschool children (P<0.05), and 3) the significant changes in vegetable eating behavior by the 3rd week in the education 3 group. This study shows that food neophobia caused behavior problems in children regarding vegetable eating and repeated exposure was able to reduce food neophobia.

초등학교급식 운영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의 만족도 조사연구 (The Survey of Children's and Their Parent's Satisfaction for School Lunch Program in Elementary)

  • 김은미;정미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809-814
    • /
    • 2006
  • 현행 초등학교급식의 운영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방안도출을 위한 기초자료로 학교급식을 받고 있는 초등학생과 그 학부모들의 급식에 대한 만족도, 식단에 대한 기호도, 급식운영에 대한 인지도 등의 현황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부모와 학생들의 학교급식 만족도를 5점 척도로 평가한 결과, 평균 3.6점 이상으로 학교급식에 대해 비교적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학부모와 학생간의학교급식 만족도에 대한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학생들의 학년별 학교급식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학년이 높아질수록 저학년 때보다 학교급식에 대한 만족도는 유의적으로(p<0.001) 낮아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학교급식을 만족하는 이유는 학생, 학부모 모두 다양한 식단구성(66.9%,64.8%)이 가장 높았으며, 학생의 경우 음식 맛 좋음이 27.6%로 나타났고 학교급식의 만족도를 높이게 하는 주요요인이 음식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아동들이 좋아하는 음식, 학부모들이 생각하는 아동들이 좋아하는 음식은 모두 육류(22.2%, 27.9%), 간식(15.5%, 7.1%), 밥류(14.4%, 18.5%), 튀김류(15.1%, 13.6%)등이었으며, 학생들이 싫어하는 음식은 나물류(19.5%, 22.2%), 김치류(19.0%, 17.2%), 국류(14.8%, 16.3%), 생선류(19.1%,15.1%) 등으로 나타났다. 아동들이 식사를 남기는 이유를조사한 결과 배식량이 많아서(38.7%)가 가장 많았으며 음식 맛이 없어서(35.2%), 편식습관 때문에(19.2%)로 나타났다. 학부모가 생각하는 학교급식에서 개선해야 할 점은 위생관리 철저(22.5%), 질 좋은 식재료의 사용(11.5%),적정량 배식(8.6%), 조리법의 개선(8.6%), 식재료 크기조절(7.4%) 등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성남지역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초등학생과 그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므로 전체 초등학생 및 학부모의 의견이라고 하기에는 제한점이 있으나 학교급식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방안 마련의 참고자료로 활용되었으면 한다.

전북지역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에서 제공하는 어린이집 간식메뉴의 유형, 식품 다양성 및 학부모 만족도 연구 (Study on the snack menu pattern, food diversity and satisfaction of parent provided by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in Jeonbuk area)

  • 심은별;노정옥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2권5호
    • /
    • pp.501-513
    • /
    • 2019
  • 본 연구는 전북지역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에서 어린이집에 제공하는 2,432개의 간식메뉴의 유형과 학부모대상으로 간식의 품질특성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를 파악하고, 품질특성 간의 영향력을 조사하였다. 오전간식 메뉴의 79.1%는 1 품목, 오후간식의 59.1%는 2 품목, 메뉴의 스낵 음료 조합패턴은 오전간식은 F 66.1%, F+B 18.7%, 오후간식은 F+B 60%, F 40.1%이었다. 식품군별 제공비율 분석결과, 곡류는 오후간식의 87.2%, 채소류와 과일류의 오전간식 비율은 각각 21.7%, 42.4%, 고기 생선 달걀 콩류의 오전과 오후간식 비율은 15.9%, 15.7%, 우유 및 유제품류의 오전과 오후간식 비율은 34.1%, 36.6%이었다. 오전간식의 72.6%는 비조리, 오후간식은 85.6%가 조리메뉴이었다. 식품군패턴 분석결과, 오전간식은 F (31.6%), D(12.0%), F+D (10.1%), G (7.9%)의 순이며, 오후간식은 G(34.4%), G + D (27.4%), G + V (8.2%), G + M (6.3%)의 순이었다. 식품군 점수 (DDS)는 오전 1.46점, 오후 1.67점이었다. 식품군별 다빈도 메뉴품목 분석결과, 곡류는 오전 간식으로 죽류 51.8%, 오후간식은 밀가루 식품류 (34.5%), 빵류 (25.9%)이며, 고기 생선 달걀 콩류는 오전에 육류(28.7%), 콩류 (24.5%), 견과류 (23.6%)이며, 오후는 가공육류 (30.2%), 어패류 (24.3%)이었다. 채소류 중 숙채소는 오전 67.8%, 오후 86.0%이며, 과일류는 오전에 과일류(99.3%), 오후에는 주스류 (67.9%), 우유 및 유제품류는 주로 우유 (오전 71.6%; 오후 82.5%)이었다. 학부모들의 간식메뉴에 사전 인지수준은 5점 기준 4.09점, 자녀가 영아, 국 공립어린이집일 때 사전 인지수준이 높았다. 어린이집 간식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5점 기준 4.06점, 직업이 있는 경우, 영아 및 국 공립어린이집일 때 만족도가 높았다. 간식의 19개 품질특성의 전체 중요도 4.42점, 전체 수행도 4.25점 이었다. 중요도가 가장 높은 특성은 '식재료의 위생' (4.79)이며, '제공 시간' (4.04)이 가장 중요도가 낮았다. 수행도는 '식재료의 위생' (4.38)이 가장 높으며, '제공 양' (4.13)이 가장 낮았다. 간식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에 미치는 관련변수들의 상대적 영향력 분석결과, 1단계에서 설명해주는 변인은 '주 메뉴와의 균형' (${\beta}=0.219$, p < 0.05), 설명력은 33.1% (F = 11.662, p < 0.001)이었다. 2단계에서 위생특성 투입에 따른 총 설명력은 35.9%(F = 3.372, p < 0.05)이었다. '종사자의 위생'의 영향력이 가장 크며 (${\beta}=0.245$ p < 0.05), 그 다음은 '주 메뉴와의 균형' (${\beta}=0.208$, p < 0.05), '제공 양' (${\beta}=0.176$, p < 0.05)의 순이었다. 이상의 결과, 전북지역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는 아동의 등원시간 및 활동정도를 고려하여 오전과 오후의 간식메뉴를 구성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학부모들의 만족도는 높았으나 메뉴구성 가이드라인과 비교할 때 메뉴의 다양성에서 개선이 필요하겠다. 따라서 향후 지역의 거점센터를 중심으로 간식메뉴 구성을 위한 기준마련이 필요하겠다.

어머니 취업여부에 따른 자녀의 영양소 섭취 수준과 비만 유병률 비교 -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2013-2015년) 활용 - (Children's Food Intake and Nutrition Levels, and Obesity by Maternal Employment: Based o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3-2015)

  • 강근영;이윤나;엄미향;계승희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31-342
    • /
    • 2019
  •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s the intake of food and nutrients of children according to the employment and working hours of their mothers. Methods: The married women in the source data from the 6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were classified into full-time working mothers, part-time working mothers and housewives according to the working type and the data on their children from 3 to 18 years old were analyzed using SAS 9.4. Results: The group from 3 to 5 years old was the smallest group with 682 children (20.2%), followed by the group from 6 to 11 years with 1,345 children (39.8%) and the group from 12 to 18 years old with 1,355 children (40.1%). The lowest rates for having no breakfast and dinner were observed in the group with housewives (p<0.05). The calcium and phosphorous intakes were the highest in the group with housewives at 61.9% and 126.8%, respectively, and the lowest in the group with full-time working mothers at 54.7% and 115.3%, respectively (p<0.05). The group with full-time working mothers had the highest rate in the calcium and iron intake less than the dietary reference intake at 74.9% and 30.0%, respectively. It indicated that the group with full-time working mothers did not have sufficient nutrients as compared to the other two groups. Moreover, the group with the part-time working mothers showed the high vitamin A intake ratio of 41.4% (p<0.05). Conclusions: This study found evidence of a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mother's employment status and children's diet quality. The employment and economic activity of married women will continuously increase in the future. Therefore, a national nutrition policy is required to provide quality nutrition care for children in the households.

천연 염지제를 첨가한 오리훈제의 항산화 활성과 영양적 특성 (Antioxidant activities and nutritional characteristics of smoked duck marinated in natural curing agent)

  • 박연옥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7권6호
    • /
    • pp.484-488
    • /
    • 2014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estion of whether the addition of natural ingredients (pear fermented solution, celery powder, vitamin C) in curing agents may influence antioxidant activities and nutritional characteristics of smoked duck. Methods: Smoked duck samples with general or natural curing agent containing three additive ingredients were examined to determine total polyphenol contents, antioxidant activities, pH, TBARS, and food additives residue (nitrite ion, antioxidant, sodium glutamate). Results: Smoked duck with natural curing agent showed a higher level of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ies than smoked duck using general curing agent (p < 0.05). The pH and TBARS of smoked duck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y the addition of natural curing ingredients compared to those of smoked duck using general curing agent (p < 0.05). The residues of food additives were not detected in smoked duck using natural curing agent. Conclusion: Findings suggest that the addition of pear fermented solution, celery powder, and vitamin C in natural duck curing agent may improve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nutritional characteristics of smoked duck and provides health benefits.

서울시 영유아 공공급식 식품영양관리 기준의 적용 가능성 평가 (Evaluation of Applicability of Food and Nutrition Standards for Child Care Sett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 전혜민;김기랑;이해연;황지윤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8호
    • /
    • pp.997-1011
    • /
    • 2017
  • 본 연구는 양적 질적 조사를 통해 기존 개발된 '서울시 영유아 공공급식 식품영양관리기준-어린이집'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여 향후 확대 적용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실시하였다. 기 개발된 서울시 공공급식 식품영양관리기준의 문항별 이해도, 적용도, 어린이집 건강급식 실천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평가 문항으로서의 적합도를 평가하기 위해 2015년 11월 서울시를 통해 서울시에 소재하는 어린이집, 유치원, 지역아동센터 총 82개소에 이메일로 설문 조사하였다. 또한, 서울시 관내 공공급식을 하는 어린이집, 유치원 원장 및 육아지원센터 영양사와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각 기준의 적절성을 최종 검토하여 본 기준을 확대 적용하기 위한 수정안을 도출하였다. 기 개발된 서울시 공공급식 식품영양관리기준의 설문조사 결과(n=82), 조사 항목에 대한 이해도 86.9%, 적용도 80.7%, 어린이집 건강급식 실천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평가 문항으로서의 적합도가 82.6%로 도출되었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기준의 적용 가능성을 질적 평가한 결과, 확대 적용을 위해서 식자재 공급업체용 가이드라인의 필요성, 항목의 근거와 목적의 합치성, 맥락적 상황고려 및 서울시 차원의 기반 구축의 필요성 등 수정을 위한 4가지 요인이 도출되었다. 따라서 기준의 확대 적용을 위해 공공급식 식품영양관리기준안의 가이드라인을 영유아 공공급식 제공 기관용으로 제시하되 일부 가이드라인은 식자재 공급업체가 필수나 권고로 제공해야 할 사항으로 구분하여 별도의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였다. '서울시 공공급식 식품영양관리기준'의 적용 가능성 평가를 통해 기준이 확대적용 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 수정 및 보완을 통해 공공급식을 이용하는 영유아의 건강 증진 및 지속할 수 있는 환경 유지에 기여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또한, 서울시의 지속적인 검토로 급식관리자 전용 식품영양성분 관리 및 발주 통합 프로그램 도입 등을 위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Entr{\acute{e}}e$ ] Popularity Affects Nutrient Intake among School-Aged Children Eating School Breakfasts

  • An Min-Y.;Shanklin Carol W.;Wie Seung-Hee
    •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 /
    • 제8권2호
    • /
    • pp.102-106
    • /
    • 2006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popularity of menu items in nutrient consumption of school-aged children participating in a School Breakfast Program. The weighed plate waste method was used to determine the nutrient intake of students. The nutrient intake was evaluated based on the popularity of the menu item, gender, and grades. The average intakes of all nutrients except energy, fiber, and sodium were well within the goals. Actual nutrient intake varied based upon the popularity of $entr{\acute{e}}es$ and the popularity of menu items was a main effect in nutrient content of meals. When the most popular $entr{\acute{e}}es$ were served, school-aged children's energy intake and School Breakfast Program participation rate increased. Saturated fat and sodium intakes also were higher than the goal when the most popular $entr{\acute{e}}es$ were served. The significant main effect was grades for total fat (p < 0.05) and calcium (p < 0.05), which was qualified by the two-way interaction between gender and grades for saturated fat (p < 0.05), protein (p<0.1), iron (p<0.01), vitamin C (p<0.01) and carbohydrates (p<0.001). Gender itself was not a significant main effect. Based on the findings, the suggestions for educating school-aged children on more healthful breakfast food choices and reformulating recipes for the popular $entr{\acute{e}}es$ are made. (J Community Nutrition 8(2): 102-106, 2006)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위생점검표에 의한 육아지원기관 급식소 평가 및 개선대책 (Assessment and Corrective Measures of Child-care Foodservices by Sanitary Inspection Checklist Suggested by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 안수정;문혜경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21권3호
    • /
    • pp.227-240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hygiene status of 145 child-care foodservices, which were newly registered in the Center for the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CCFSM) in Changwon, Gyeongnam. Sanitary inspection checklist (40 food safety items) of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FDA) was used by the CCFSM in Changwon, Gyeongnam. Average score from the total safety items in 145 child-care foodservices was 21.41 points out of 40 points. Score gaps between the lower group (71 foodservices, 13.92 points) and higher group (74 foodservices, 28.61 poin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0.001). The top five priorities of sanitary measures needing corrective actions for child-care foodservices were as follows: 'provide hand washing and sanitizing tools, and supply manuals on how to wash hands properly', 'supply record form for access/inspection', 'conduct education for cooks on standards in the selection of sanitizer for raw vegetables and proper methods to wash and sanitize raw vegetables', 'provide a refrigerator and a freezer with installed thermometers and temperature record monitoring logs', 'encourage separation of contamination operating zone and clean zone or conduct training for cooks on ways to prevent cross-contamination by performing work separately by the hour'. For the higher group, most were national/public facilities (83.3%), whereas in the lower group, private facilities (62.1%) were more common than national/public ones (37.9%). Therefore, a significant difference (P<0.001) was detected in the two groups. These private facilities should be supported.

대전에 거주하는 미취학 아동의 식생활 평가 : 미취학 아동 대상 영양지수 (Nutrition Quotient for Preschoolers, NQ-P)를 이용하여 (Assessment of dietary behaviors among preschoolers in Daejeon: using Nutrition Quotient for Preschoolers (NQ-P))

  • 이혜진;김진희;송수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2권2호
    • /
    • pp.194-205
    • /
    • 2019
  • 본 연구는 취학전아동 대상 영양지수 (Nutrition Quotient for Preschoolers, NQ-P)를 이용하여 대전 지역에 거주하는 411명의 취학 전 아동을 대상으로 식행동을 평가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평균 NQ-P 점수는 $58.5{\pm}9.2$점으로, 전국 단위 조사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중하' 등급에 해당한다. NQ-P 세 영역의 점수는 균형 영역은 $60.5{\pm}12.6$점, 절제 영역은 $50.2{\pm}15.7$점, 환경 영역은 $65.0{\pm}17.3$점으로, 각각 '중하', '중상', '중하' 등급에 해당한다. 성별에 따라 식행동을 평가하였을 때, 평균 NQ-P 점수는 남아는 $58.5{\pm}9.4$점, 여아는 $58.6{\pm}9.0$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성별에 따른 세 영역의 점수도 모두 차이가 없었다. 연령 그룹에 따라 식행동을 비교한 결과, 평균 NQ-P 점수는 만 3~4세 아동에서 $57.8{\pm}9.4$점, 만 5~6세 아동에서 $59.2{\pm}9.0$점으로 차이가 없었다. 균형과 절제 영역은 연령그룹에 따라 점수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환경 영역은 만 5~6세 아동이 만 3~4세 아동보다 높은 점수를 얻었다 (67.9 vs. 61.7점). 비만도에 따라 NQ-P 점수와 균형, 환경 영역의 점수는 차이가 없었으나, 절제 영역의 점수는 과체중/비만인 아동에서 낮게 나타났다 (46.6 vs. 51.0점). 만 3~4세 아동과 비교했을 때, 만 5~6세 아동이 채소 반찬, 가공 육류의 섭취가 많은 편이었고, 식사 중 돌아다니지 않고 식탁 (밥상)에 앉아서 먹는 경향이 높았다. 과체중/비만인 아동은 가공 음료의 섭취 빈도가 높은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대전에 거주하는 미취학 어린이의 식행동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위해 효과적인 영양 교육이나 상담 등이 제공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