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ldcare support center

검색결과 88건 처리시간 0.022초

한국의 보육지원체계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Support System in Korea)

  • 서소정;오선진;하지영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211-23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저출산 문제,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등으로 급변하고 있는 보육을 둘러싼 제반환경에서 질높은 보육을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국내외 보육지원체계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국내에서는 어린이집 지원에 초점을 둔 보육정보센터와 부모를 위한 양육지원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서울시의 영유아플라자(육아지원센터), 보육지원체계의 지역사회 연계 및 기타 지원체계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또한 스웨덴의 개방형 유아학교, 핀란드의 양육지원체계, 영국의 Sure Start 프로그램을 통한 보육지원체계를 중심으로 국외 동향을 살펴보고 관련 프로그램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보육의 발전을 위해서는 지역사회를 거점으로 하여 보육지원체계의 기능을 강화하고, 각 유관 기관들 간의 연계를 마련하며, 관련 정책과 제도를 재정비함으로써 총체적이고 통합된 보육지원체계를 구축하여야 할 것이다.

BMC를 활용한 공유경제 기반의 스마트워크센터 모델 연구 (A Study on the Smart Work Center Model Based on the Sharing Economy Using the BMC(Business Model Canvas))

  • 이유미;임명환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0권4호
    • /
    • pp.165-189
    • /
    • 2013
  • The advance of the smart working environment came the expectation that it would innovate and revolutionize the way people work, particularly in a society where smart work is readily available for creating a collaborative and 'connected' business. One of the core infrastructure elements for making smart work a viable option is the smart work center, the promotion of which requires a new form of 'smart work center business model' that can satisfy the purposes of both public services and private businesses. This calls for collaboration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Recently a number of businesses have been making significant headway in the creation of a new environment for business support and collaboration by adopting a sharing economy business model in their offices. The so-called 'Coworking Space' is an advanced form of business environment in the emerging 'smart work' era, and comes with the benefits of reduced costs as a result of sharing office space and knowledge sharing through the use of human networks. This paper describes the framework of a 'smart work center business model based on the sharing economy' using a BMC (Business Model Canvas), with an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inherent to the smart work center and the sharing economy. It was on the basis of this framework that a smart work center model for business incubation and startup, a private smart work center model for childcare services, and a community marketplace model with a global network were developed.

감정노동 보육교직원의 심리적 소진과 자기 돌봄의 관한 사례연구 -노래심리치료- (A Case Study on Psychological Burnout and Self-care of Childcare Teachers for Emotional Labor -Song psychotherapy-)

  • 이지훈;신수원
    • 산업진흥연구
    • /
    • 제6권3호
    • /
    • pp.9-17
    • /
    • 2021
  • 보육교직원은 보육현장에서 요구되는 긍정적인 이미지를 연출하기 위해 자신의 감정을 억압, 과장, 통제, 조절, 규제하는 감정노동을 경험한다. 영유아 대상의 근무환경은 그 특성상 감정노동 보육교직원의 심리적 소진 원인이 되며, 나아가서 삶의 질을 저하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노래는 인간의 삶의 질을 향상하는 데 도움을 주므로 감정노동 보육교직원에게 노래심리치료가 심리적 소진의 회복과 자기 돌봄 과정에서 긍정적인 삶을 계획할 수 있도록 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첫째, 노래심리치료를 통한 감정노동 보육교직원의 심리적 소진은 어떠한가? 둘째, 노래심리치료를 통한 감정노동 보육교직원의 자기 돌봄 과정은 어떠한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연구 시기는 2017년 3월부터 2020년 5월까지였으며, 질적사례연구로 프로그램 진행과 심층인터뷰, 직접관찰, 참여관찰 등의 자료 수집을 통해 ○○○ 어린이집에서 2019년 6월부터 10월까지 구조화된 회기별로 12회기에 걸쳐 매 회기 50분간 진행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노래심리치료를 통한 감정노동 보육교직원은 자신 삶의 의지와 심리적으로 소진된 자신을 발견하고 이해, 인식하며 내면의 문제들을 직면하고, 소통하며 통찰할 수 있었다. 타인에게서 받은 정서적 지원은 정서적 고갈의 경험을 줄일 수 있으며 업무에서의 좌절로 인한 경험의 회복과 성취감 향상을 증명하였다. 둘째, 노래심리치료를 통한 감정노동 보육교직원의 자기 돌봄은 시간적, 공간적, 관계적, 정서적 돌봄 과정을 증명하였고, 다른 사람을 돌보는 일과 자신을 돌보는 일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신체와 마음, 영성이 유기적으로 통합되며 변화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심리적 소진과 자기 돌봄 과정은 삶의 본질적인 의미를 발견하고 자신의 내면을 탐색 및 표현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고, 타인과 자신의 돌봄이 균형적으로 이루어지고 전인적인 건강한 자아를 위한 통찰, 성장을 통해 삶의 질이 향상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데 의의를 둔다.

부적절한 양육행동에 대한 위험 요인과 완충 요인 -한국과 일본의 유아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The Study of the Risk and Buffering Factors Related to Maltreatment -Focusing on Parenting Mothers in Korea and Japan-)

  • 박천만;오카다 세츠코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15-130
    • /
    • 2015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review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daily hassles (PDHs), parenting burden and maltreatment as perceived by Korean and Japanese mothers raising children. In addition, the influence of parenting support, efficiency and satisfaction on child maltreatment were also reviewed. Methods: Data were gathered through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given to the mothers using the childcare center in both countries. As for the final procedure, 820 Korea and 700 Japan mothers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and data were analyed through factor analysis and path analysis. Result: The results showed that in both countries, parenting burden caused by PDHs significantly affected physical and mental maltreatment. parenting efficiency and satisfaction as a buffering factor could inhibit mental maltreatment. However, among buffering factors, Korean parenting mothers chose parenting efficiency and Japanese parenting mothers did parenting satisfaction. Conclusions: Based on the findings, it is needed parenting mothers are offered on opportunity to take health education programs and to understand their child's behaviors and learn parent's roles of parenting. In addition, local community support is desired.

식수인원에 따른 보육시설 급식소 위생관리 수준 평가 (Assessment of Food Service Management at Childcare Faciliti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People Eating Meals)

  • 김동수;권혁성;김평원;이자영;김상구;이상윤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26-34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보육시설 내 식수인원 및 조리 종사자 근무현황에 따른 급식소 위생 관리수준을 평가하였다. 2021년부터 2022년까지 풀무원푸드머스를 통해 식자재를 공급받는 전국 199개 보육시설을 대상으로 61개 점검문항 중 평가결과에서 유의미한 일부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작성하였다. 분석결과 식수인원이 적고, 조리 종사자가 적을수록 검수기록이 미 실시(P<0.05)되는 평가되었으며, 식수인원이 적을수록 조리 종사자의 건강상태 확인이 미흡하고, 조리 종사자가 적을수록 복장착용(P<0.05)이 미흡하였다. 또한, 식수인원이 적은 보육시설일수록 소비기한 경과 식재료 보관이 확인(P<0.05)되는 빈도 수가 높아 관리가 요구되었으며, 가열조리 시 심부온도 측정기록은 미 실시(P<0.05)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식수인원이 적은 보육시설일수록 조리시설의 유지관리가 미흡(P<0.05)하였다. ATP 측정결과에서는 식수인원이 적은 조리시설 종사자의 손과 도마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ATP 수치가 검출(P<0.05)되었으며, 조리종사자가 적을수록 근무 급식소의 도마에서 높은 ATP 수치(P<0.05)가 측정되었다. 분석결과를 종합해 볼 때 식수인원이 적은 보육시설일수록 조리운영을 위한 시설기반 관리가 부족하고, 위생관리가 미흡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통해 식수인원 및 조리 종사자 수에 따른 보육시설 급식소의 위생 관리수준을 판단하였으며, 향후 보육시설에 대한 국가 지원사업 선정 시 해당 연구결과가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영유아 보육시설의 급식 운영 실태 조사 - 충남 아산 지역 중심으로 - (A Survey on the Foodservice Management System of the Child Care Centers in Chungnam Asan Area)

  • 송은승;김은경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846-860
    • /
    • 2009
  • We investigated the foodservice management practices in various operation types of childcare centers in Asan, Chungnam Province, with the intention of improving the quality of foodservice and providing the basic information for establishing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foodservice model system. Self-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the directors of 174 child care centers.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completed using SPSS Ver. 12.0 program. The followings are about the results of this study. Approximately 94.8% of the directors were women with the average age of 40.3. All of the investigated facilities executed foodservice; the facilities of 96.2% had been self-operated, 1.9% was contract-managed and the remaining 1.9% served delivered meal from outside. Only 20.0% of the investigated centers employed a dietitian. In most of the centers, meals were prepared in a conventional manner and approximately 85.3% of the centers are serving only snacks twice a day as a supplementary due to financial difficulties. Menu planner of the facilities, which have no dietitian was the director (35.8%) or the cook (25.7%). In most centers, the directors purchased the food materials (67.5%). Material inspection was done by the director (54.9%) or the cook (40.5%). However, home care centers did not inspect the food materia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food service management guidelines need to be established by the facility type with the government control and financial support. Especially, dietitian employment and the efficient foodservice model system establishment are questions that confront us.

보육시설 영유아의 건강관리를 위한 특수보육 요구조사 I - 부모의 요구를 중심으로 - (Parent's Needs for Center-based Child Care Health Program)

  • 한경자;김지수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3권1호
    • /
    • pp.43-50
    • /
    • 2007
  • Purpose: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of health care management in child day care centers and parents needs for a Center-based Child Care Health Program. Methods: Study design was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937 parents from 33 day care centers in Seoul completed a structured questionnaire. Results: 73.0% of the parents experienced sick events with their child at least once or more every 1-3months. These events resulted in 35.2% of the parents having to leave work early or to be absent from their jobs. 30.4% were asked to drive a sick child from the child day care centers to their home. Most parents (76.7%) agreed on the need for a Center-based Child Care Health Program (CCCHP), and expected general health & illness management, and growth & development evaluation from the CCCHP.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 that there is a great demand for Center-based Child Care Health Program. They suggest that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CCCHPs to promote children's health and to support parents. Also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a basis for the establishment of a childcare policy in Korea.

  • PDF

전라북도 지역아동센터 현황과 발전방안 (The Actual Condition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A Community Child Center)

  • 이영환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67-100
    • /
    • 2011
  • 본 연구는 전라북도 지역아동센터 현황과 실태 및 서비스 수준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라북도 지역아동센터는 2004년 이전 37개소 16.1%였으나 해마다 20~40개소씩 증가하여 왔다. 현재 지역아동센터는 신고제이기 때문에 정부지원이 시작된 이래 개소수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지역아동센터의 난립을 억제하고, 신설되는 지역아동센터의 경우는 일정수준 이상의 환경을 구비하도록 하기 위하여 신고제에서 허가제로의 전환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 둘째, 전라북도 지역아동센터 225개소의 이용아동 총 수 6, 144명 중 일반아동이 1,711명 27.8%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가지표에서도 이용 아동 및 출석 영역의 점수가 낮게 나타났다. 일반아동과 취약계층 아동의 통합적 보호라는 점에서 바람직할 수 있으나, 지역아동센터의 정체성을 확보하고 사업목적에 맞는 운영을 할 수 있도록 세부 규정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세째, 지역사회 유관기관 및 인적자원 활용 영역의 점수가 다른 지표 항목에 비교해서 낮은 점수를 보였다. 이는 전라북도 지역아동센터의 대부분이 자원봉사자는 활용하고 있지만 지역사회 연계사업이 활발하게 진행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시 군 구가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지역아동센터의 기능과 역할을 홍보하고 지역의 전문 인력과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어린이집 유형에 따른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Teacher by Child Care Center's Types)

  • 윤경미;전병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호
    • /
    • pp.25-35
    • /
    • 2015
  • 본 연구는 대전, 세종, 충 남북 지역의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보육교사 375명을 조사대상자로 하여 그들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어린이집은 가정, 민간, 공공형, 법인 등의 4개 유형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이직의도 수준은 4개의 모든 집단에서 보통수준보다 높았으며, 집단별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각 집단별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과 민간어린이집 보육교사는 직무스트레스의 영유아관리, 조직건강의 원장 리더십 영역으로 나타났다. 공공형 어린이집 보육교사는 직무스트레스의 행정업무, 조직건강의 원장 리더십 영역으로 나타났으며, 법인형태 어린이집 보육교사는 직무스트레스의 동료 및 학부모와의 관계, 조직건강의 교사능력 영역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어린이집 유형에 따른 보육교사의 이직의도를 감소할 수 있는 집단별 맞춤형 방안을 처음으로 제시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어린이집 운영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스트레스 및 소진과의 상관성 연구 -이직의도를 매개효과로 한-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Stress and Burnout Affecting Child Care Center Director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turnover Intention-)

  • 정민기;정온유
    • 산업진흥연구
    • /
    • 제8권1호
    • /
    • pp.95-102
    • /
    • 2023
  • 본 연구는 보육 및 운영과정에서 어린이집 운영자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스트레스와 소진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어린이집 운영자의 스트레스와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소진의 역할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운영자가 받는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소진이 높아졌다. 특히 스트레스 중에서도 운영자는 교직원 관리와 행정 및 재정관리에 대한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소진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어린이집 운영자의 소진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높아졌다. 셋째, 어린이집 운영자의 스트레스가 높아진다고 해서 바로 이직의도가 높아지는 것은 아님을 확인하였다. 넷째, 본 연구에서 제시한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스트레스와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소진은 매개효과를 가진다고 할 수 있으며, 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직접효과가 유의하지 않으므로 이 매개효과는 완전매개라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어린이집 운영자의 이직의도 가장 중요시 되는 스트레스 관리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직무에 대한 소진이 일어나지 않게 하는 것이 중요한 사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어린이집 운영자의 이직의도에 있어서 스트레스와 소진은 유의미한 상관성을 가진다고 활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