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ldcare center principal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7초

어린이집 원장의 리더십역량과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ship competency and job satisfaction of the childcare center principal: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 김희정;임유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1호
    • /
    • pp.202-210
    • /
    • 2021
  • 본 연구는 어린이집 원장의 리더십역랑과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가 매개효과를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G시 소재의 어린이집 원장 21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어린이집 원장의 리더십역량은 조금 높게, 직무만족도와 직무스트레스는 보통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린이집 원장의 리더십역량과 직무만족도는 정적상관관계를, 원장의 직무스트레스는 리더십역량 및 직무만족도와 부적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어린이집 원장의 리더십역량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며, 직무스트레스는 리더십역량과 직무만족도 사이에서 부분매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성공적인 어린이집 운영을 위해서는 원장의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직무만족도를 높여 긍정적인 리더십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정책적, 제도적으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보육교사의 교사권리 인식에 대한 개념도 분석 (Analysis of Concept Mapping about the Perception of Teacher's Rights by Childcare Teachers)

  • 장경화;임선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51-70
    • /
    • 2022
  • Objective: In order to promote the rights of childcare teachers, there is a need to identify problems and demands about the rights of childcare teachers. Therefore,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childcare teachers' rights in order to identify the concepts of teacher rights. Methods: This study used the concept mapping method to identify the concepts of childcare teachers' teacher rights and interpreted these concepts utilizing the multi-dimension analysis method. Results: As a result of interviews from eight childcare teachers, 37 statements were derived. The result of similarities evaluated by 28 childcare teachers showed that 37 statements about teachers' rights consisted of two dimensions and four clusters (direct-indirect and indoor-outdoor of day-care center).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suggested that direct and indirect efforts are needed to enhance the rights of childcare teachers and that change is necessary not only within daycare centers such as the principal but that change is also necessary outside daycare centers such as at government agencies in relation to daycare teachers's rights.

위탁운영 직장보육시설 시설장이 개원 및 개원초기 운영과정에서 겪는 어려움 (The principals' difficulties in opening procedure of employer-supported childcare center)

  • 차미영;손원경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7-37
    • /
    • 2010
  • 본 연구는 위탁운영 직장보육시설 시설장이 개원 및 개원초기 운영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이 무엇인지를 알아봄으로써 개원 및 개원초기 운영과정에 대한 위탁운영 직장보육시설 시설장의 요구와 이해를 기초로 보다 체계적인 직장보육시설 개원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개원한지 2년 미만인 직장보육시설의 시설장 5명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직장보육시설장들은 개원 및 개원초기 운영과정에서 사업장 담당자들의 보육시설의 특성 및 개원 절차에 대한 이해부족으로 인한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둘째, 직장보육시설장들은 개원 및 개원초기 운영과정에서 위탁체 운영방향의 실제적 적용에 따른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셋째, 직장보육시설장들은 개원 및 개원초기 운영과정에서 직원인 학부모의 집단적 요구 조절에 따른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넷째, 직장보육시설장들은 개원 및 개원초기 운영과정에서 행정기관별로 다원화되어 있는 복잡한 행정체계에 따른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다섯째, 직장보육시설장들은 개원 및 개원초기 운영과정에서 사업장의 특성에 따른 보육시설 운영에 있어서의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한국형 보육교사 직무만족척도개발을 위한 타당화 예비연구 (Preliminary Study for Validation of Development of Korean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Scale)

  • 조성연;백은주;김혜금;권연희;정지나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8권5호
    • /
    • pp.89-100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Korean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Scale"(KCTJSS) and to evaluate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KCTJSS was 72 items and 6 point Likert scale. Participants consisted of 211 childcare teachers by purposive sampling.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sulted in 40 items composed of 6 factors : The principal's childcare center operation system, working environments and welfare, social recognition, amount of work and time management, relationships with co-workers, relationships with parents. Second,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upported a 6 factor structure. Third, Criterion-related validity was confirmed by significant correlations of the present scale with Early Childhood Job Satisfaction Survey(Jorde-Bloom, 1989). Fourth, the reliability of factors using Cronbach's ${\alpha}$ appeared high, ranging from .83 to .93.

보육시설종사자의 직위와 전문성 발달수준 및 보육교사의 자격에 따른 보육시설 조력활동에 대한 평가의 차이 (The Study on the Assistance Program for Evaluative Accreditation in terms of Child Care Teacher's and Principal's Position, Certificate Level, Expertise Level)

  • 남미경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43-60
    • /
    • 2011
  • 본 연구는 보육시설 평가인증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조력활동에 대한 평가결과가 보육시설종사자의 직위와 전문성 발달수준 및 보육교사의 자격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봄으로써 보다 수요자 중심적이고 현장적합적인 조력활동을 계획, 운영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를 위해 D,G시 소재 민간(가정)보육시설에 근무하는 시설장과 보육교사 138명을 대상으로 '보육시설 평가인증 조력활동평가척도'(남미경, 2010)와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발달수준 자기평가 도구'(백은주, 조부경, 2004)를 보육교사와 시설장에 적합하도록 수정한 것을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시설 조력활동에 대한 평가점수는 보육교사가 시설장에 비해 통계적으로 높게 평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시설 조력활동에 대한 평가결과는 보육교사와 시설장의 전문성 발달수준에 따라 '조력활동내용영역'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전문성 발달수준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조력활동내용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셋째, 보육시설 조력활동에 대한 평가결과는 보육교사 2급 자격자와 보육교사 1급 자격자 간에 '조력활동내용영역'의 조력영역 부분에서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아교사의 용기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Courage of Infant & Toddler Teachers)

  • 황해익;강현미;탁정화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85-309
    • /
    • 2013
  • 본 연구는 영아교사의 용기에 대해 고찰함으로써 기존에 간과되어 왔던 교사의 용기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영아교사의 역할 수행과정에 있어 용기라는 덕목에 대한 인식을 증진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참여자는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영아교사 4인이며 2012년 6월부터 2012년 8월까지 12주 동안 3~5회에 걸쳐 연구자와 연구참여자들이 심층면담을 실시함으로써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영아교사의 용기는 신체적 손상과 죽음의 공포에도 용기 있는 행동을 하는 '몸을 불사르는 영아교사의 용기', 부모와 원장의 요구에도 불구하고 원칙을 고수하며 자기반성을 통하여 양심과 원칙을 재구성하는 '양심과 원칙에 따르는 영아교사의 용기', 영아를 기르고 돌보는 과정에서 회복탄력성을 발휘하는'기르고 돌보는 영아교사의 용기'로 범주화되었다. 이는 영아교사가 영아를 돌보는 과정에서 요구되는 용기의 특성을 규명하고 용기라는 덕목에 대한 의미부여 및 증진 방안마련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어린이집 주임교사의 갈등관리 유형과 조직효과성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of Head Teachers' Styles for Handling Conflic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Child-care Centers)

  • 임성진;조혜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185-206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주임교사가 지각한 갈등관리 유형과 조직효과성을 알아보고, 어린이집 주임교사의 갈등관리 유형과 조직효과성과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 및 경남지역에 소재한 어린이집 164곳에 근무하는 주임교사 19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주임교사들은 원장에 대해서는 배려적 유형을, 동료교사에 대해서는 통합적 유형을 가장 많이 사용했으며, 지배적 유형과 회피적 유형을 가장 적게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임교사가 지각하는 어린이집 조직효과성의 수준은 보통 이상이었으며, 주임교사의 연령, 학력, 경력, 시설유형 등 배경변인에 따라 갈등관리 유형 및 조직 효과성에 부분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어린이집의 조직효과성은 주임교사의 갈등관리 유형 중 통합형과 지배형, 타협형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회피형과는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집의 조직효과성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주임교사의 갈등관리 유형은 원장에 대해서는 회피형이었으며, 동료교사에 대해서는 통합형인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