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emical components of plant and soil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26초

밭토양 콩재배에서 제강슬래그의 토양개량제로서의 시용 효과 (Evaluation of Basic Oxygen Furnace Slag as Soil Conditioner in the Soybean Upland Field)

  • 임준택;김희권;박인진;이충일;현규환;권병선;김학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493-497
    • /
    • 2000
  • 제강슬래그의 밭작물 재배시 산성토양 개량제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밝히기 위해 1997년에 공시품종을 은하콩으로 하여 나주시 남평의 전라남도 진흥원 실험답에 무처리, 제강슬래그 4, 8, $12Mg\;ha^{-1}$ 그리고 석회 $2Mg\;ha^{-1}$를 처리하여 콩을 재배하였다. 파종 15일 후부터 5회에 걸쳐 초장과 지상부 건물중 그리고 지상부 식물체의 무기화학성분 함량을 조사하였으며 매 조사시기 마다 토양 표본을 채취하여 토양의 주요 무기화학성분함량을 조사하였다. 수량 및 수량 구성요소를 조사하였고 또한 토양표본을 채취하여 무기화학성분을 측정하였다. 밭토양의 토양 pH, CEC, Ca, 그리고 Fe함량은 제강슬래그 시용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제강슬래그 8과 $12Mg\;ha^{-1}$ 처리는 무처리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pH를 보였는데 이는 제강슬래그 처리에 따른 토양 Ca함량의 증가에서 기인한 것으로 생각되며, Fe 함량도 제강슬래그 처리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석회 $2Mg\;ha^{-1}$ 처리구의 pH는 제강슬래그 4나 $8Mg\;ha^{-1}$의 그것과 비슷하여 이들 수준의 제강슬래그 처리에 의한 산성토양 개량효과는 석회 $2Mg\;ha^{-1}$ 처리와 비슷한 것으로 생각된다. 제강슬래그 시용에 따른 콩의 생육은 생육초기부터 무처리보다 양호하였고 생육후기에는 석회시용보다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콩의 수량은 제강슬래그 $8Mg\;ha^{-1}$ 처리에서 $1,232kg\;ha^{-1}$로 가장 높았으며 이는 수량이 가장 낮은 무처리구의 $902kg\;ha^{-1}$에 비하여 $330kg\;ha^{-1}$ 높은 수준으로 37% 수량증가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적정시용 수준은 $8Mg\;ha^{-1}$ 정도인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논토양 벼재배에서 제강슬래그의 토양개량제로서의 시용 효과 (Evaluation of Basic Oxygen Furnace Slag as Soil Conditioner in the Rice Paddy Field)

  • 임준택;이인;박인진;이충일;현규환;권병선;김학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95-303
    • /
    • 1999
  • 제강슬래그의 작물재배시 산성토양개량제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밝히기 위해 1997년에 공시품종을 동진벼로 하여 순천시 인안동의 간척논, 보성군 유정기 깨시무늬병 대량 발생논 그리고 나주시 남평의 실험논에 무처리, 제강슬래그 4, 8, $12Mg\;ha^{-1}$ 그리고 석회 $2Mg\;ha^{-1}$를 처리하여 벼를 재배하였다. 토양 pH, Ca, Mg, Fe 그리고 규산함량은 제강슬래그 시용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토양 pH의 증가는 주로 Ca함량의 증가에서 기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Fe함량은 처리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다가 점차 안정된 값을 보였다. 토양 규산함량도 제강슬래그 시용량이 증가할수록 점차로 높아지는 경향이었고 무처리구나 석회 $2Mg\;ha^{-1}$ 처리구에 비해 유의하게 높아 제강슬래그가 산성토양 개량제, Fe 또는 Si의 공급원으로 이용가능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석회 $2Mg\;ha^{-1}$수준의 토양 Ca함량은 제강슬래그 4 또는 $8Mg\;ha^{-1}$ 처리의 그것과 비슷하여 석회 시용에 의한 토양개량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석회 시용량의 2~4 배의 제강슬래그를 시용해야 함을 알 수 있었나. 식물체내 무기화학성분 중 식물체내 무기화학성분 중 식물체내 Ca, $SiO_2$ 그리고 Fe함량은 제강슬래그 시용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제강슬래그 시용구에서는 생육후기로 갈수록 제강슬래그 4와 $8Mg\;ha^{-1}$ 처리구에서 생육이 양호하였으며 생육후기까지 지속적인 생장이 이루어져 생육후기에는 석회 처리구나 무처리구의 생육량을 능가하였다. 정조수량 및 수량관련 형질은 제강슬래그 4나 $8Mg\;ha^{-1}$ 처리에서 가장 높아 최고 수량을 얻기 위한 제강슬래그 처리수준은 $4{\sim}8Mg\;ha^{-1}$정도로 판단된다.

  • PDF

간척지의 염분농도 차이가 토양의 화학적 조성과 벼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alinity Content on Soil Chemical Composition and Productivity of Rice in Reclaimed Saline Paddy Field)

  • 권병선;백선영;신정식;임준택;신동영;김학진;현규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81-186
    • /
    • 2003
  • 간척지 논에서 쌀 생산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2000년 전남 광양만 간척지에서 토양염분농도별 수량과 토양의 이화학적 조성간의 관계를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출수기는 0.1%의 염분농도 토양은 8월 15일, 0.4%의 염분농도 토양은 8월 20일, 0.8%의 염분농도 토양은 8월 25일로서 0.1%의 염분농도 토양이 가장 빨랐다. 2. 쌀수량은 토양의 염분농도가 0.1%로 낮은 토양이 599kg/10a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0.4%의 염분농도 토양이 568kg/10a이었고 0.8%의 염분농도 토양은 446kg/10a로 가장 낮았으며 쌀수량 구성 요소 역시 같은 경향으로 0.1%의 염분농도 토양에서 가장 우수하였고 다음으로는 0.4%, 0.8%순으로 나타났었다. 3. 쌀수량과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간의 상관에서는 pH와는 부의상관, 유기물, 인산, 질소, 가리, 칼슘, 마그네슘의 함량간에는 정의 상관이었다. 4. 전남광양만 간척지에서 쌀수량과 수량구성 요소면에서 볼 때에 적합한 토양의 염분농도는 0.1%이라고 사료된다.

Microbe-Based Plant Defense with a Novel Conprimycin Producing Streptomyces Species

  • Kwak, Youn-Sig
    • 한국균학회소식: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균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대회 및 임시총회
    • /
    • pp.54-54
    • /
    • 2015
  • Crops lack genetic resistance to most necrotrophic soil-borne pathogens and parasitic nematodes that are ubiquitous in agroecosystems worldwide. To overcome this disadvantage, plants recruit and nurture specific group of antagonistic microorganisms from the soil microbiome to defend their roots against pathogens and other pests. The best example of this microbe-based defense of roots is observed in disease-suppressive soils in which the suppressiveness is induced by continuously growing crops that are susceptible to a pathogen. Suppressive soils occur globally yet the microbial basis of most is still poorly described. Fusarium wilt, caused by Fusarium oxysporum f. sp. fragariae is a major disease of strawberry and is naturally suppressed in Korean fields that have undergone continuous strawberry monoculture. Here we show that members of the genus Streptomyces are the specific bacterial components of the microbiome responsible for the suppressiveness that controls Fusarium wilt of strawberry. Furthermore, genome sequencing revealed that Streptomyces griseus, which produces a novel thiopetide antibiotic, is the principal species involved in the suppressiveness. Finally, chemical-genetic studies demonstrated that S. griseus antagonizes F. oxysporum by interfering with fungal cell wall synthesis. An attack by F. oxysporum initiates a defensive "cry for help" by strawberry root and the mustering of microbial defenses led by Streptomyces. These results provide a model for future studies to elucidate the basis of microbially-based defense systems and soil suppressiveness from the field to the molecular level.

  • PDF

식물체에 미치는 연, 아연 ( Pb, Zn ) 의 영향 (Ecological Effects of Zinc and Lead on Plants)

  • Park, Bong-Kyu;Kim, Ok-Kyung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6권2호
    • /
    • pp.98-105
    • /
    • 198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Zn and Pb concentration on seed germination and plant growth in water and soil culture, and the frequency of chlorosis inveget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lants and soil in the Sambo mine. The inhibition of germination were observed in 1000ppm of Zn, 10ppm of Pb and 5000ppm of Zn + Pb, but germination was more stimulated in 10ppm of Zn than control. The symptoms of chlorosis and abnormality were occurred in plant leaves grown to the soils treated with more than 1000ppm of Pb. Reasons of chlorosis were considered as an antagonistic effect of other metals towards uptake of iron by the plant in Zn treatment. The contents of Zn and Pb in fruits were lower than those of leaves, and that was remarked in case of Pb. With increasing rate of Zn and Pb treatment, chemical components of soils in pot culture were accompanied by slight decrease in pH, total nitorgen and exchangeable K. Chlorotic individuals of 10 species were shown in the areas of the Sambo mine. Chlorotic symptoms were especially extensive and severe in Sophora angustifolia, Populus alba, Spiraea prunifolia, Amorpha fruticota, Lespedeza bicolor and Salix dependens. Plants in the investigated areas grew in soils containing Zn of 311ppm and Pb of 151ppm on an average, and accumulated Zn of 2084ppm and Pb of 49ppm.

  • PDF

미세입자(PM2.5)의 배출원 구성물질 성분비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ource Profiles for Fine Particles (PM2.5))

  • 이학성;강충민;강병욱;이상권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17-330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P $M_{2.5}$ source Profiles, which are mass abundances (fraction of total mass) of a chemical species in P $M_{2.5}$ source emissions. The source categories studied were soil, road dust, gasoline and diesel vehicles, industrial source, municipal incinerator, coal-fired power plant, biomass burning, and marine. The chemicals analyzed were ions. elements. and carbons. From this study, soil source had the crustal components such as Si, hi, and Fe. In the case of road dust. Si, OC, Ca, Fe had large abundances. The abundant species were S $O_4$$^{2-}$, C $l^{[-10]}$ , N $H_4$$^{+}$, and EC in the gasoline vehicle and EC, OC, C $l^{[-10]}$ , and S $O_4$$^{2-}$ in the diesel vehicle. The main components were S $O_4$$^{2-}$, S N $H_4$$^{+}$, and EC in the industrial source using bunker C oil as fuel, C $l^{[-10]}$ , N $H_4$$^{+}$, Fe, and OC in the municipal incinerator source, and Si, Al, S $O_4$$^{2-}$, and OC in the coal -fired power plant source. In the case of biomass burning, OC, EC, and C $l^{[-10]}$ were mainly emitted. The main components in marine were C $l^{[-10]}$ , N $a^{+}$, and S $O_4$$^{2-}$.EX> 2-/.

인삼포지(人蔘圃地)의 토양화학성(土壌化学性)이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Influence of Soil Chemical Properties in Ginseng Field on the Growth and the Yield of Ginseng)

  • 이대호;육창수;한강완;남기열;배효원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99-105
    • /
    • 1981
  • 인삼(人蔘)의 생육(生育)에 적합(適合)한 토양화학성분별 함량(含量)과 이들과 인삼(人蔘)의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과의 관계를 구명(究明)코저 인삼주산지(人蔘主産地) 강화외(江華外) 4개군(個郡)의 농가포장(農家圃場)(홍삼포(紅蔘圃)) 49개소(個所)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인삼(人蔘)의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과 상관관계가 있는 화학성분별 함량(含量)은 우량포지(優良圃地)에서 CEC가 8.9~14.5me/100g, 유기물(有機物) 1.5~3.5% 유효인산 45~257ppm, 가리(加里) 0.34~0.55me/100g이었고, K/P비(比)는 0.002~0.012이었다. 2. 이들중 CEC, 유기물(有機物), 치환성가리(置換性加里) 및 K/P비(比)는 수량(收量)과 정상관을 CEC는 생육상황과 유의성(有意性)있는 상관을 나타냈으며, 유효인산은 수량(收量)과 부(負)의 상관을 보여주었다. 3. 임삼포지(人蔘圃地)의 K/P비(比)와 수량(收量)과는 고도(高度)의 정상관을 보여주어 인삼엽중(人蔘葉中)의 K/P비(比)와 수량(收量)과의 밀접(密接)한 관계가 있음을 보여 주었다.

  • PDF

농작물(農作物)에 대(對)한 납(pb)의 흡수(吸收) 및 피해경감(被害輕減)에 관(關)한 연구(硏究) -I. 사경용액중(砂耕溶液中) 납(pb)농도(濃度)가 수도체흡수(水稻體吸收)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Studies on Uptake by Crops of Lead and Reduction of It's Damage -I. Effects of the Lead Uptake and Yield of the Rice Plant Related to Concentration of Lead in Sandy Liquid Culture)

  • 김복영;김규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47-151
    • /
    • 1986
  • 환경오염물질(環境汚染物質)의 하나인 납(pb)을 배양액중(培養液中)에 농도(濃度)를 달리하고 수도(水稻)에 대(對)한 pot사경시험(砂耕試驗)을 실시(實施)하여 수량(收量), 생육상황(生育狀況) 및 식물체내(植物體內) 납 축적정도(蓄積程度)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사경액중(砂耕液中) 납 농도(濃度)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감수(減收)되였다. 2. 유의성(有意性)있는 감수최저농도(減收最低濃度)는 13.6ppm이었다. 3. 납 농도증가(濃度增加)에 따라서 수도체중(水稻體中) 납 함량(含量)은 엽신(葉身) 현미(玄米)에서 유의성(有意性)있는 증가(增加)를 보였고 엽초에선 유의성(有意性)이 없었다. 4. 식물체(植物體) 부위별(部位別) 납 함량(含量)과 감수율(減收率)과의 관계(關係)는 엽신(葉身)에서는 유의성(有意性)있는 증가(增加)를 보였으나 엽초에서는 유의성(有意性)이 없었다.

  • PDF

도시발생 폐기물을 저공해 열처리 생산한 환경친화형 인공배지의 작물재배이용기법 개발 (Development of Crop Cultivation Technique Using Environment-friendly Artificial Media Using Urban Waste)

  • 김선주;양용석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1998년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490-499
    • /
    • 1998
  • This study was initiated to investigate the applicability of sludge from water or waste water treatment on the crop cultivation. Sludge i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water and wastewater treatment process in large quantity. The sludge can cause many environmental problems. we have a many available treatment methods of sludge However, these methods still shortcomings and are not. The composition of typical municipal sludge contains organics and inorganics. The organics components are normally burnt in high temperature and mainly inorganics components are left after thermal treatment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rtificial media, chabazite was used as additive, and the mixed material was thermally treated in the firing kiln at 800~1,10$0^{\circ}C$ for about 10 minutes. The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artificial media were analyzed and it showed that the artificial media could be used as a media for plants and soil conditioner for farmland. The concentrations of the toxic heavy metals in the media were lower then those in the soil quality standard for farmland. This study illustrated that the artificial media production process, and introduced how to produce it's possible application as a media for Plant growth.

  • PDF

논토양 벼 재배에서 제강슬래그의 토양개량제로서의 시용효과 (Residual Effects of Basic Oxygen Furnace Slag as Soil Conditioner in the Rice Paddy Field)

  • 임준택;김영신;박인진;이충일;현규환;권병선;김학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05-211
    • /
    • 2000
  • 제강슬래그 시용 1년 후 논토양의 토양화학성분 함량, 벼의 생육, 그리고 수량에 대한 제강슬래그의 잔류효과를 밝히려 1997년에 Lim등 (2000)이 설치한 포장 중유정리와 남평의 포장을 그대로 보존하였다가 1998년에 동일품종과 동일재배 방법을 이용하여 벼를 재배하였다. 이앙 후 2주 간격으로 4~6회에 걸쳐 초장과 주당분얼수를 조사하였으며 생육중기와 수확기에 토양 표본을 채취하여 토양의 주요 무기화학성분함량을 조사하였고 수확시 수량 및 수량 구성요소를 조사하였다. 유정리논이나 남평논 모두 비슷한 토양화학성분 함량에서의 변이를 보였다. 제강슬래그 처리구의 토양 pH와 Ca 함량은 7월까지 무처리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보인 후 점차 감소하였으며 제강슬래그 시용 수준이 높을수록 그 지속 기간이 길어지는 경향이어서 토양 Ca의 공급원이나 산성토양개량제로서 제강슬래그의 효과는 2년정도 지속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제강슬래그 $4Mg\;ha^{-1}$ 시용수준의 pH 상승효과는 석회 $2Mg\;ha^{-1}$ 처리보다 다소 높거나 비슷한 경향이었다. $SiO_2$ 함량은 슬래그 시용구에서 무처리구보다 유의하지는 않지만 높은 경향을 보였다. Fe나 Mg 함량은 제강슬래그 시용 1년차에는 무처리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2년차에는 점차 무처리구와 비슷한 수준으로 안정되었다. 유정리논 벼의 정조수량은 슬래그 시용수준이 높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석회 $2Mg\;ha^{-1}$ 처리구의 정조수량은 제강슬래그 $4Mg\;ha^{-1}$ 시용수준과 비슷하였다. 최대치를 보인 제강슬래그 $12Mg\;ha^{-1}$ 처리구의 정조수량은 $5,400kg\;ha^{-1}$로 무처리구의 $4,720kg\;ha^{-1}$에 비하여 14%의 증수효과가 있었다. 제강슬래그 $12Mg\;ha^{-1}$ 처리구는 생육초기의 초장생장이 빠르고 생육중기 이후 적정수의 주당 분얼수가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되며 수화기의 주당수수는 적은 반면 천립중이 높은 경향이었다. 남평논 벼의 정조수량은 석회 $2Mg\;ha^{-1}$, 제강슬래그 12, 8, $4Mg\;ha^{-1}$, 무처리구의 순으로 많았다. 제강슬래그 처리중 정조수량이 가장 많은 제강슬래그 $12Mg\;ha^{-1}$ 처리의 정조수량은 $7,170kg\;ha^{-1}$로 무처리구의 $6,670kg\;ha^{-1}$에 비하여 8%의 유의적인 증수효과가 있었다. 제강슬래그 $12Mg\;ha^{-1}$ 처리구는 무처리구에 비하여 생육초기의 초장생장은 느린 반면 생육중기 이후의 초장생장이 양호한 생장특성을 보였고 수당립수와 천립중이 유의적으로 많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