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real lipid composition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8초

저장중 율무가루 지방질의 지방산 조성의 변화 (Changes of Fatty Acid Composition of Lipid in Raw and Processed Adlay Powder during Storage)

  • 한지숙;이숙희;최홍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697-705
    • /
    • 1989
  • 생 율무가루와 가공(침지, 증자, 건조)된 율무가루를 $5^{\circ}C$$35^{\circ}C$에서 6개월 동안 저장하면서 지방질에 있는 지방산 조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각 획분별 지방질의 주요지방산은 oleic, linoleic, palmitic acid였으며, stearic 및 linolenic acid도 소량으로 함유되어 있었다. $35^{\circ}C$에서 저장하는 동안에 linoleic acid의 조성비는 감소하였으며 상대적으로 oleic 및 palmitic acid의 조성비는 증가하였으나, $5^{\circ}C$에서는 거의 변화가 없었으며, 생 율무가루가 가공된 율무가루보다도 더욱 현저하게 변화하였다. TG에 함유된 지방산 조성의 변화는 중성지방질과 거의 유사하였으며, 유리지방산은 $35^{\circ}C$에서 저장한 것이 $5^{\circ}C$에서 저장한 것보다 oleic acid를 많이 함유한 반면, linoleic acid를 적게 함유하였으며 이러한 현장은 생 시료에서 더 현저하였다.

  • PDF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 Compounds in Grain Extracts of Wheat, Barley, and Oat

  • Seo, Yong-Weon;Bu, So-Young;Jeon, Woong-Bae;Kim, Dong-Sub;Heo, Hwa-Young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02-107
    • /
    • 2002
  • Cereal grains are rich in phenolic compounds that give beneficial effect in human health. Although several research works have been reported on the effects of phytochemicals of plant origin, such as fruits, vegetables, few studies have examined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whole cereal grain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otal antioxidant capacity of 80% ethanolic extracts of cereal grains by testing the ability of the extracts to inhibit UV -induced lipid peroxidation in vitro using linoleic acid in comparison to well-known antioxidant such as ascorbic acid and tannic acid. The total phenolic content of the cereal grain (80% ethanolic extracts) investigated in this study varied from 2.1 mg/g (wheat cv. Olgeurumil) to 10.4 mg/g (barely cv. Seodunchalbori). Highly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otal phenol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y was found. When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all investigated extracts were measured with application of same quantity of phenol compounds, oat grain extracts showed similar antioxidant activity of barely cultivars. However, barely extract appeared as the most potent antioxidant activity of inhibition of UV -induced lipid peroxidation. This indicated that factors such as phenolic compound composition and their individual antioxidant activity could playa crucial role in the total antioxidant activity of cereal grains.

율무가루 저장중 지방질 조성의 변화 (Changes of Lipids in Raw and Processed Adlay Powder during Storage)

  • 한지숙;이숙희;최홍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691-698
    • /
    • 1988
  • 생 율무가루와 가공된 율무가루를 $5^{\circ}C$$35^{\circ}C$에서 6개월 동안 저장하면서 지방질 조성의 변화와 산화 양상을 조사하였다. 저장중 총 지방질의 산값, 과산화물값, carbonyl 값은 증가하였으나 요오드 값은 감소하였고, 이러한 변화는 $35^{\circ}C$로 저장했을 때 현저하였으며 생 율무가루에서 더 큰 변화를 나타내었다. 중성, 당 및 인지방질의 함량은 $5^{\circ}C$ 보다 $35^{\circ}C$에서 저장하였을 때 더 큰 변화를 보였으며, 특히 생 시료의 변화가 더욱 현저하였다. 중성 지방질에서의 triglyceride 및 인지방지에 있는 phosphatidyl choline의 함량은 저장동안 다른 지방질 성분보다 더욱 현저히 감소되었으며, 상대적으로 free fatty acid 및 lysophosphatidyl choline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 PDF

미강(米糠)과 야채첨가식이(野菜添加食餌)가 흰쥐의 체내대사(體內代謝)에 미치는 영향(影響) (III) -지방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The Metabolic Effects of Rice Bran and Vegetable Collulose Supplemented Diets on Albino Rats( III ) -Especially on Lipid Metabolism-)

  • 유춘희;김숙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0권3호
    • /
    • pp.25-32
    • /
    • 1977
  • The effects of dietary cellulose on the lipid metabolism in albino rats were observed, especially the effects of dietary cellulose from three different sources; cereal, vegetable and pure-cellulose.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Dietary cellulose from rice bran and vegetable resulted in lowering of reserved lipid in the body and the effect of rice bran was remarkable as compare to that of vegetable. 2. But the fatty acids composition in serum, liver, gastrocnemius, small intestine and epididymal fat pad was unchanged by dietary cellulose. This means the effect of dietary cellulose was only to change the body fat in quantify and not in quality. 3. Cellulose from rice bran increased serum cholesterol content and maintained medium level of serum total lipid. Cellulose from vegetable decreased serum total lipid and cholesterol content. Pure-cellulose decreased also serum total lipid and cholesterol content but the effect was not as low as vegetable cellulose. 4. It need to be further investigated on the different effects of cellulose from three sources on serum cholesterol content, particularly the increasing effects of rice bran.

  • PDF

탄산가스 배출과 국내 작물 생산성의 중요성 (Importance of National Crop Productivity in View of CO2 Balance)

  • 신진철;김준환;손지영;양운호;이충근;양원하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65-68
    • /
    • 2008
  • 우리나라에서 수입되는 곡물은 주로 밀, 옥수수, 콩 및 쌀이며 이들 곡물은 탄수화물, 단백질, 지질이 약 90%를 구성하고 있다.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질은 각각 45, 53, 77%가 탄소로 이루어져 있고 이들 곡물은 완전히 소화 이용되면 탄소부분은 전부 탄산가스로 산화 되어 대기 중에 방출된다. 따라서 쌀 1톤을 소비하면 탄산가스 1.51톤, 밀은 1톤을 소비하면 1.63톤, 옥수수와 콩은 1톤을 소비하면 1.56톤의 탄산가스를 방출하게 된다. 우리나라는 곡물 자급도가 26%밖에 되지 않아 지난 4년간 연평균 약 2,170만톤 이상의 탄산가스를 외국으로부터 수입하는 것과 같으며 이를 비용으로 계산하면 48억USD에 달한다.

발아에 따른 몇 가지 맥류의 화학성분 변화 (Chemical Components Changes of Winter Cereal Crops with Germination)

  • 김현영;황인국;우관식;김경호;김기종;이춘기;이준수;정헌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1호
    • /
    • pp.1700-1704
    • /
    • 2010
  • 맥류(귀리, 보리, 호밀 및 밀)의 발아 시 변화되는 일반성분, phytic acid, 유리당, 무기성분 및 지방산을 분석하였다. 조회분은 발아 후 약간의 감소를 보였으며, 조단백질은 귀리에서 발아 후 약간 증가하였다. 항암작용 및 항산화 작용을 한다고 알려진 phytic acid는 귀리가 발아 전 1.09 mg/g에서 발아 후 1.56 mg/g으로 다른 품종에 비하여 많은 증가를 보였다. Glucose 함량은 호밀과 밀에서 발아 후에 각각 6 및 3.5배 증가하였으며, maltose는 귀리와 밀에서 발아 후에 각각 7.4 및 5.5배 증가하였다. 주요 불포화지방산은 palmitic acid, oleic acid 및 linoleic acid이었으며, 발아 시 palmitic acid와 linoleic acid는 귀리와 보리에서는 많은 감소를 보였으나, oleic acid는 귀리와 보리에서 발아 후에 각각 38.80 및 39.76%로 증가하였다. 추후 화학적인 성분 변화뿐만 아니라 발아 전후에 변화하는 생리활성 및 다양한 효소저해 활성 등의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곡류 코지를 이용하여 제조한 당화쌀죽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ccharified Rice Gruel Prepared with Different Cereal Koji)

  • 황인국;양지원;김자영;유선미;김기창;김진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1호
    • /
    • pp.1617-1622
    • /
    • 2011
  • 본 연구는 쌀, 메밀, 수수, 율무 및 조 등의 곡류 코지를 이용하여 제조한 당화쌀죽의 이화학적 특성 및 관능 특성을 검토하였다. 원료로 사용한 쌀, 메밀, 수수, 율무, 조의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및 조회분 함량은 각각 11.12~12.85, 5.81~16.24, 0.56~4.36 및 0.28~1.93% 범위였다. 일반 쌀죽의 조단백질, 조지방 및 조회분 함량 1.33, 0.02 및 0.05%였고, 곡류 코지를 이용하여 제조한 당화쌀죽의 경우 1.33~2.27%, 0.02~0.25% 및 0.05~0.15% 범위로 일반 쌀죽보다 유의적으로(p<0.05) 높은 함량을 보였다. 원료 및 당화쌀죽의 pH는 각각 6.15~6.97 및 6.09~6.39 범위로 당화쌀죽 제조 후 pH는 감소하였다. 원료의 L, a 및 b값은 각각 74.88~87.94, 0.04~6.54 및 8.96~11.39 범위였고, 일반쌀죽은 78.39, -2.06 및 2.69였으며, 당화쌀죽의 경우 각각 60.38~78.25, -0.87~5.70 및 7.74~13.37 범위로 원료의 고유 색소성분에 의해 죽의 색도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곡류 코지를 이용하여 제조한 당화쌀죽의 점도는 15,600~19,600 cP로 일반 쌀죽의 27,266 cP에 비해 유의적으로(p<0.05) 감소하였다.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일반 쌀죽의 경우 8.55$^{\circ}Brix$였고, 곡류 코지를 이용하여 제조할 경우 11.47~13.03$^{\circ}Brix$로 약 1.3~1.5배 높게 나타났다. 일반쌀죽의 유리당으로는 glucose(0.06%)만 검출되었고, 곡류 코지를 이용하여 제조한 당화쌀죽에서는 glucose와 maltose가 각각 0.60~1.44 및 0.47~0.88% 범위로 일반쌀죽에 비해 유의적으로(p<0.05) 높게 나타났다. 죽의 관능평가 결과 일반쌀죽에 비해 곡류 코지를 이용하여 제조한 당화쌀죽이 향, 맛, 조직감, 점도 및 전반적 기호도 등의 평가항목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우수한 관능특성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엿기름을 이용한 전통식 혜얌죽의 소화하기 편하고 적절한 단맛을 죽을 제공한 바와같이 본 연구에서도 이를 응용한 죽 제조 시 전분분해력을 갖는 곡류 코지를 이용한 당화방법의 적용은 무가당 죽의 제조가 가능하며, 또한 죽의 관능특성 및 영양학적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품종 및 도정도별 보릿가루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arley Powder Produced from Different Cultivars and with Different Degrees of Milling)

  • 김은희;이윤정;이상훈;장귀영;김민영;윤나라;이미자;이준수;정헌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639-644
    • /
    • 2015
  • 본 연구는 보릿가루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5가지 품종의 보리(다한, 흰찰쌀, 흑광, 흑누리 및 보석찰)에 대한 도정도(27, 23, 19 및 15%)별 이화학 특성을 살펴보았다. 조단백질의 함량은 도정도가 감소함에 따라 각각 7.38-10.09, 8.01-10.58, 9.47-11.62 및 9.03-12.08%(원맥 9.83-12.92%) 범위에서 증가하였다. 조지방과 조회분 함량 또한 도정도가 감소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도정후의 조지방 함량은 다한이 높았고 조회분은 흰찰쌀이 높았다. 지방산은 도정도가 감소함에 따라 팔미트산 및 스테아르산의 함량은 감소하였지만, 올레산 및 리놀레산은 증가하였다. 무기성분은 칼륨 함량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마그네슘, 칼슘, 소듐, 아연, 철 및 망가니즈 순이었다. 도정도가 감소함에 따라 칼륨 및 마그네슘 함량은 증가하였다. 도정도를 달리하였을 때 각 품종별로 강층, 호분층 및 배의 제거정도는 차이가 나타나게 되며 이는 영양학적이나 관능적인 보리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보리를 이용한 가공제품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가공에 적합한 품종을 선정하고 도정도를 결정하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Hog millet (Panicum miliaceum L.)-supplemented diet ameliorates hyperlipidemia and hepatic lipid accumulation in C57BL/6J-ob/ob mice

  • Park, Mi-Young;Jang, Hwan-Hee;Kim, Jung-Bong;Yoon, Hyun-Nye;Lee, Jin-Young;Lee, Young-Min;Kim, Jae-Hyun;Park, Dong-Sik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5권6호
    • /
    • pp.511-519
    • /
    • 2011
  • Dietary intake of whole grains reduces the incidence of chronic diseases such as obesity, diabetes, cardiovascular disease, and cancer. In an earlier study, we showed that Panicum miliaceum L. extract (PME) exhibited the highest anti-lipogenic activity in 3T3-L1 cells among extracts of nine different cereal grains tested. In this study, we hypothesized that PME in the diet would lead to weight loss and augmentation of hyperlipidemia by regulating fatty acid metabolism. PME was fed to ob/ob mice at 0%, 0.5%, or 1% (w/w) for 4 weeks. After the experimental period, body weight changes, blood serum and lipid profiles, hepatic fatty acid metabolism-related gene expression, and white adipose tissue (WAT) fatty acid composition were determined. We found that the 1% PME diet, but not the 0.5%, effectively decreased body weight, liver weight, and blood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levels (P < 0.05) compared to obese ob/ob mice on a normal diet. Hepatic lipogenic-related gene ($PPAR{\alpha}$, L-FABP, FAS, and SCD1) expression decreased, whereas lipolysis-related gene (CPT1) expression increased in animals fed the 1% PME diet (P < 0.05). Long chain fatty acid content and the ratio of C18:1/C18:0 fatty acids decreased significantly in adipose tissue of animals fed the 1% PME diet (P < 0.05). Serum inflammatory mediators also decreased significantly in animals fed the 1% PME diet compared to those of the ob/ob control group (P < 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PME is useful in the chemoprevention or treatment of obesity and obesity-related disord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