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cum

검색결과 245건 처리시간 0.029초

EFFECT OF TIME AFTER FEEDING ON DISTRIBUTION OF DIGESTA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S OF SHEEP

  • Sekine, J.;Oura, R.;Miyazaki, H.;Okamoto, M.;Asahida, Y.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4권1호
    • /
    • pp.99-102
    • /
    • 1991
  • To determine effect of time after feeding on distribution of digesta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s of sheep given orchardgrass hay once a day, a total of fifteen ewes (mean live weight $51{\pm}12kg$) were slaughtered at 2, 8, 16 and 24 hours after feeding. Contents in the reticulo-rumen, omasum, abomasums, small intestine, cecum, and colon and rectum were totally collected and weighed. Weights of digesta in the reticulo-rumen were about 6 kg which contributed about 75% of the total in the whole tracts. Digesta on dry-matter basis totaled about 1 kg. The dry-matter concentration of digesta in the whole digestive tract was about 107 h/kg of fresh digesta. Distribution of moisture in the digestive tract changed in parallel with that of fresh digesta.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observed between time after feeding and weights of digesta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s. While, feed intak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digesta in the reticulo-rumen, cecum and whole tracts (p<0.01). Thus, time after feeding was inferred to have no influence upon the content of digesta in the digestive tract, but feed intake influenced on the content of digesta in the digestive tract at a low level of feeding.

Resource conservation using whole body autophagy: Self-digestion of shedded gut lining cells in the small intestine

  • Lee, Phil Jun;Cho, Namki;Yoo, Hee Min;Chang, Sun-Young;Ko, Hyun-Jeong;Kim, Hong Pyo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244-248
    • /
    • 2020
  • To retain valuable resources, organisms adopt several strategies including coprophagy. Cells covering the outer skin and internal digestive lumen are actively recycled to maintain their integrity. In present study, we suggested that the small intestine can consume dead cells in a manner similar to how it consumes protein from the diet. We examined the eluates from five segments of the mouse small intestine and cecum and 2 segments of the large intestine and small intestine tissue, and detected immunoreactivity with eukaryotic caveolin-1 and β-actin antibodies only in the cecum and 2 segments from the large intestine. Bacterial agitation of the mouse intestine with Shigella disrupted the architecture and absorptive function of the small intestine. Small intestine eluates were immunoreactive with murine caveolin-1 and contained heme as determined by dot blot analysis. We concluded that the body conserves resources in the small intestine by disposing of and recycling shedded cells.

Comparison of the pathogenicity among Cronobacter species in a neonatal mouse model

  • Hong, Sun-Hwa;Chung, Yung-Ho;Park, Sang-Ho;Kim, Ok-Jin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67-71
    • /
    • 2013
  • Neonatal infection caused by Cronobacter species can result in serious illnesses such as bacteremia, septicemia, meningitis, and death in at-risk infants who are orally fed contaminated reconstituted powdered infant formula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virulence among three Cronobacter species strains by using an animal model for human neonatal Cronobacter species infections. We acquired timed-pregnant ICR mice and all owed them to give birth naturally. On postnatal day 3, each pup was administered orally a total dose of $1{\times}10^7$ CFU Cronobacter species strain 3439, CDC 1123-79, and 3231. Mice were observed twice daily for morbidity and mortality. At postnatal day 10, the remaining pups were euthanized, and brain, liver, and cecum were excised and analyzed for the presence of Cronobacter species. Cronobacter species were isolated from cecum and other tissues in inoculated mice. In the tissues of Cronobacter species infected mice, meningitis and gliosis were detected in the brain. In this study, we identified the virulence among Cronobacter species strains by using a neonatal mice model which was a very effective animal model for human neonatal Cronobacter species infections.

Quantitative Analysis of Distribution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Eosinophils in Childhood Functional Abdominal Pain Disorders

  • Lee, Eun Hye;Yang, Hye Ran;Lee, Hye Seung
    •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 /
    • 제24권4호
    • /
    • pp.614-627
    • /
    • 2018
  • Background/Aims Although functional abdominal pain disorders (FAPDs) are common in children, the accurate pathogenesis of FAPDs is not known yet. Micro-inflammation, particularly tissue eosinophilia of gastrointestinal (GI) tract, has been suggested as the pathophysiology observed in several GI disorders. We aimed to evaluate eosinophilic infiltration throughout the entire GI tract in children with FAPDs, compared to those with inflammatory bowel diseases (IBD) and to normal reference values. Methods We included 56 children with FAPDs, 52 children with Crohn's disease, and 23 children with ulcerative colitis. All subjects underwent esophagogastroduodenoscopic and colonoscopic examination with biopsies. Tissue eosinophil counts were assessed in 10 regions throughout the GI tract. Results Eosinophil counts of the gastric antrum, duodenum, terminal ileum, cecum, and ascending colo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hildren with FAPDs compared to normal reference values. Eosinophil counts of the stomach and the entire colon were observed to be significantly higher in children with IBD than in those with FAPDs. Even after selecting macroscopically uninvolved GI segments on endoscopy in children with IBD, eosinophil counts of the gastric body, cecum, descending colon, sigmoid colon, and the rectum were also significantly higher in children with IBD than those with FAPDs. Conclusions Significantly high eosinophil counts of the stomach and colon were observed in the order of IBD, followed by FAPDs, and normal controls, regardless of endoscopically detected macroscopic IBD lesions in children. This suggests some contribution of GI tract eosinophils in the intrinsic pathogenesis of FAPDs in children.

가금에서 분리된 유산균의 생리적 특성 및 급여효과

  • 김상호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2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 /
    • pp.64-84
    • /
    • 2002
  • 본 연구는 가금맹장에서 유래된 유산균의 생균제적 가치를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시험 I에서는 가금 맹장 유산균의 특성을 구명하고자 산란계 및 육계 맹장 유산균을 각각 12주와 11주를 분리하여 내산성, 내담즙산성, 효소분비력, 항병원성 및 항생제 감수성을 조사하였다. 분리된 균주들은 PH 3부터 점차적으로 사멸하는 균주와 일정하게 유지되는 균주로 구분되었으며, PH 4에서 모든 유산균의 성장은 양호하였다. 본 실험에서 분리된 대부분의 유산균은 bile salt에 의해 성장이 저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몇몇 균주는 저항성이 높게 나타났다. 선발된 맹장유산균과 다른 균주와 비교하였는데, 가금 맹장유래 유산균은 다른 유산균과 Bacillus에 비하여 효소분비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효소별 분비능력에서 amylase와 lipase 활성은 강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cellulase와 protease의 활성은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항병성 조사에서 유산균 배양액은 균종에 관계없이 병원성 E. coli에 대하여 억제성이 높았으며 억제요인으로는 유기산 분비에 의한 pH 저하가 주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병원성 Salmonella에 대해서는 유산균 배양액의 억제성이 낮았다. 유산균은 페니실린 계통의 항생제에 의하여 생존율은 저하되었지만 이외의 다른 항생제는 유산균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이 없었다. 본 실험에서 선발된 유산균은 각각 target animal에 급여하여 host specific effect를 구명하기 위하여 사양실험을 실행하였다. 시험II는 유산균의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영양소 이용성, 장내미생물, 계사내 환경, 혈청 콜레스테롤, 응모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 및 육계에 대한 유산균의 적정 급여수준을 구명하고자 시행하였다. 육계 초생추에 육계ㆍ산란계의 맹장에서 유래한 Lactobacillus crispatus avibrol(LCB), L. reuteri avibro2(LRB) L. crispatus avihen1(LCH), L. vaginalis avihen2(LVH) 각각을 사료 g당 $10^4$/cfu 및 $10^{7}$ cfu의 수준으로 급여하였다. 유산균의 급여에 의한 육계의 체중은 대조구에 비하여 증체량은 50~100g이 높았다. 사료섭취량 및 사료요구율은 대조구와 모든 유산균 급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영양소 이용율에서 건물소화율은 유산균 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단백질, Ca 이용율도 유산균 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전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유산균 급여구에서 조지방, 조회분 소화율은 대조구에 비하여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지만 인의 이용율은 처리구간에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유산균 종류별 영양소 이용율은 LCH 급여구가 모든 일반성분 및 Ca, p의 이용율이 가장 높았다(P〈0.05). 회장내 유산균 수는 시험 전기간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며 (P〈0.05), 맹장에서는 5주령에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Yeast는 회장에서 1주령까지는 장내에 완전히 정착하지 못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맹장 및 3주령 이후의 회장에서는 대부분의 유산균 급여구에서 Yeast의 수가 증가하였다(P〈0.05).

  • PDF

유산균의 급여가 육계의 성장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pplemental Lactobacillus on Broiler Performance)

  • 박수영;김상호;유동조;이상진;류경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7-40
    • /
    • 200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eeding various Lactobacillus on performance, nutrients digestibility, intestinal microflora, and fecal noxious gas of broiler chicks. One thousand eighty one dat old male broiler chicks were fed into Lactobacillus crispatus avibrd 1(LCB), Lactobacillus reuteri avibro 2(LRB), Lactobacillus crispatus avihen 1(LCH), and Lactobacillus vaginalis avehen 2(LVH) at the level of $10^{4}$ and 10(sup)7cfu/g diet. There were four replicates with thirty chicks per pen. Diets contained ME 3,100, 3,100kcal/kg, and CP 22.0, 20.0% for starting and finishing period, respectively. Weight gain of checks fed Lactobacillus spp. tended to increase from the first week and was higher from 50 to 100g in Lactobacillus treatments than control. Feed intake and feed conversion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of all treatments. Dry Matter(DM) digestibility of Lactobacillus treatments was tended to improve compared to that of control, bu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rotein and Ca digestibility were also tended to improve in Lactobacillus treatments relative that of control. Lactobacillus treatments showed improved tendency in crude ash and fat compared to those of control, whereas phosphorus digestibility was not consistency. Nutrients digestibilities of bird fed LCH were superior to those of other treatments. It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n Ca and P digestibility than control(P〈0.05). Total Lactobacillus spp. of birds fed various lactobacillu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ileum for five weeks(P〈0.05), but was not different at cecum. Yeast was thought to be not completely attached to intestinal lumen for one week. However, total number of yeas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cecum and ileum from three weeks old chicks(P〈0.05). The number of anaerobes exhibited to tendency the increase in Lantobacillus treatments from one week old of age at both ileum and cecum. Moisture contents of birds fed Lactobacillus spp. was shown from 27 to 30% at five weeks old, whereas it was 38.2% in control. It decreased approximately 25% in Lactobacillus treatments relative to that of control and showed significance between them(P〈0.05). Fecal $NH_{3}$ gas emiss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Lactobacillus treatments and maintained $\frac{1}{3}$to $\frac{1}{2}$ of control(P〈0.05). LCH and LVH treatments were most effective to decrease fecal $NH_{3}$ gas and especiallt impreved ti significantly at the level of the level of 10(sup)7cfu/g diets covpared to that of $10^{4}$ cfu/g diets and control(P〈0.05). In conclusion, feeding Lactobacillus spp. increase performance and nutrients digestibilities of broiler chicks and improve environments of house. Proper supplemental level of Lactobacillus spp. is considered more than $10^{4}$ cfu/g diet.

  • PDF

사료내 벤조산 첨가가 이유돼지의 장내 미생물 균총 및 면역체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Benzoic Acid on Beneficial Microflora and Immune Response in the Intestine of Weaning Pigs)

  • 오희경;최영환;김영해;김유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10호
    • /
    • pp.1307-1315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이유자돈 사료에 벤조산 첨가가 위장 내 소화물과 방광 내 뇨의 pH, 장내 유익 미생물 균총수 및 장 조직 내 염증성 싸이토카인 유전자 발현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자돈기 5주 동안 이유자돈 사료 내 벤조산 0.3%과 0.5% 첨가는 자돈 위 내 pH는 감소시키지는 않았으나, 방광 내 뇨의 pH 수치는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Lactobacillus casei 수는 맹장부위에서 벤조산 0.5% 첨가구와 대조구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Lactobacillus plantarum 수는 맹장부위에서 벤조산 0.5% 첨가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직장부위에서 L.plantarum 수는 대조구를 제외하고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Bacillus subtillis 수는 맹장부위에서 벤조산0.5% 첨가구와 대조구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직장부위에서는 벤조산0.3%와 0.5% 첨가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IL-$1{\beta}$ mRNA 유전자 발현 수준은 소장 상단에서는 벤조산 0.5%와 항생제 처리구에서, 소장중부에서는 벤조산 0.3%와 0.5% 처리구에서, 말단부위에서는 벤조산 0.3% 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IL-6 mRNA 유전자 발현 수준은 소장중부에서는 벤조산 0.5% 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TNF-${\alpha}$ mRNA 유전자 발현 수준은 소장 중단에서 벤조산 0.5%와 항생제 처리구에서 대조구 보다 낮게 나타났다. 본 실험을 통하여, 자돈 사료 내 benzoic acid 0.5% 첨가는 뇨의 pH 감소와 장내 유익 미생물 균총 수 조절 및 소장 내 면역체계 반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자돈 건강을 향상 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국산 적송수피 추출물의 브로일러에 대한 항생제 대체효과 (Effect of Dietary Antibiotic Replacement with Korean Red Pine Bark Extracts in Broiler Diets)

  • 박병성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7호
    • /
    • pp.1047-1053
    • /
    • 2010
  • 본 연구는 브로일러의 성장능력, 도체특성, 혈액지질, 면역능력 및 맹장미생물 변화에 관한 국산 적송수피추출물의 항생제 대체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실험처리구는 대조구, 항생제 첨가구, 적송수피추출물 65ppm 및 80 ppm 첨가구 등 4개로 구분하여 완전임의배치였다. 브로일러의 성장능력, 도체특성, 도체중, 도체율, 가슴살과 다리살 무게는 적송수피추출물 80 ppm의 첨가구가 대조구, 항생제 첨가구와 비교할 때 유의하게 높았다. 복강지방은 브로일러 사료 내 2개의 서로 다른 수준의 적송수피추출물 첨가구가 대조구 및 항생제 첨가구에 비해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흉선, 비장 및 F낭 등 면역기관 무게는 적송수피추출물 80 ppm 첨가구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브로일러의 혈액 중성지방과 총콜레스테롤은 브로일러 사료 내 2개의 서로 다른 수준의 적송수피추출물 첨가구가 대조구 및 항생제 첨가구와 비교할 때 유의하게 낮았다. 혈액 IgG는 브로일러 사료 내 적송수피추출물 80 ppm 첨가구가 대조구 및 항생제 첨가구에 비해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브로일러 맹장 내 Bifidobacterium, Lactobacillus 균수는 적송수피추출물 80 ppm 첨가구가 대조구 및 항생제 첨가구에 비해서 높았으나 Escherichia coli, Salmonella 균수는 감소하였으며 처리구 간 통계적인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브로일러 사료 내 항생제 대체제로서 국산 적송수피추출물 80 ppm을 첨가, 급여해주면 브로일러의 성장능력, 도체특성, 면역능력 향상 및 유익한 맹장미생물의 활성을 높여줄 수 있음을 시사해준다.

쥐 맹장/복벽 찰과상 모델에서 Sodium Hyaluronate/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멤브레인의 수술 후 유착방지에 대한 유효성 평가 (Evaluation on Effectiveness for Preventing Post Surgical Adhesion of Sodium Hyaluronate/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HA/CMC) Membrane in Rat Cecum/Peritonium Model)

  • 이영무;이영우
    • 멤브레인
    • /
    • 제15권3호
    • /
    • pp.213-223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히알루론산나트륨/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HA/CMC)으로 구성된 유착방지 막을 제조하였고, 쥐에서 유착방지용에 대한 효과를 평가하였다. 유착방지 막은 HA/CMC 용액을 동결건조한 후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보디이미드 (EDAC)로 가교하여 제조하였다. Sprague-Dawley쥐의 맹장/복벽 찰과상 모델에서 복부 중앙선 절개 후 장막과 복벽을 bone burr로 $1\times2\;(cm^2)$ 크기로 찰과상을 만들고, 상처 면 주위의 3곳을 봉합사로 고정시켰다. 상처난 장을 실험군의 경우 HA/CMC 막으로 덮어주었으며, 대조군은 아무처치도 하지 않은 상태로 복벽을 마주보게 하였다. 대조군의 대부분은 수술 후 7, 14, 21, 28일에 유착정도 3 이상을 나타내었고, 반면 실험군의 $60\~70\%$는 수술 후 14, 21, 28일에 유착정도 2 이하를 나타내었다. 이는 유착세기에서도 유사하였다. 일반적으로 유착정도와 유착세기는 수술 후 14일까지 점차 증가하였고, 수술 후 21일에는 거의 동일하거나 약간 증가하였으며, 28일째에는 감소하였다. 대조군은 유착정도와 유착세기, 유착면적에서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이 유착방지막은 수술 후 유착방지에서 좋은 임상결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