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st

검색결과 3,565건 처리시간 0.033초

전단 철근 보강된 프리스트레스 PC와 CIP 합성보의 전단강도 (Shear Strength of Prestressed PC-CIP Composite Beams with Vertical Shear Reinforcement)

  • 서정일;박홍근;홍건호;강수민;김철구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7권4호
    • /
    • pp.399-409
    • /
    • 2015
  • 최근 들어, 모듈화된 건축물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와 현장콘크리트를 합성한 복합화 공법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는 공장에서 선제작된 PC부재에 휨 전단 성능 향상을 위한 프리텐션 도입이 가능하다. 현행구조 기준에서는 긴장력이 가해진 단일 단면의 전단강도식은 제시하지만,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와 현장 콘크리트 합성 단면의 수직 전단 강도식은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이전 연구에서는 수직전단 보강이 없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와 현장타설 콘크리트 합성보의 전단 강도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직 전단 보강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와 현장타설 콘크리트 합성보의 전단 강도 실험을 통하여 합성보 설계시 고려해야할 사항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변수로는 콘크리트의 면적비, 긴장재의 긴장력, 전단경간비, 그리고 전단철근비를 고려하였다. 실험 결과, 전단 강도는 긴장력이 가해진 단면적의 면적비, 긴장재의 긴장응력에 비례하여 증가하였고 전단 경간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또한 압축대 콘크리트 강도에 따른 전단철근의 기여도 차이를 보였다.

단면 상세가 변화된 LB-DECK의 균열하중에 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Cracking Loads of LB-DECKs with Varied Cross-Section Details)

  • 윤석구;조규대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3권5호
    • /
    • pp.657-665
    • /
    • 2011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페널의 일종인 LB-DECK은 콘크리트 교량 바닥판의 시공시 LB-DECK 위에 현장타설되는 콘크리트와 합성 거동하는 영구 콘크리트 거푸집이다. 현행 LB-DECK은 두께가 60 mm인 콘크리트 슬래브와 슬래브 내부에 높이 125 mm인 lattice-girder들의 일부가 매립되어 있는 구조이다. 이러한 LB-DECK은 시공하중에 의해 종방향 균열이 발생하지 않도록 거더 간격이 충분히 작은 교량 바닥판 시공시 주로 적용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최근 강박스 교량과 같이 교량 바닥판의 지간장이 긴 교량에 LB-DECK를 적용할 경우 콘크리트 하부에 발생될 수 있는 종방향 균열을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LB-DECK의 균열강도를 평가하기 위한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LB-DECK 콘크리트 슬래브의 두께, lattice-girder의 높이, 그리고 top-bar의 지름을 변수로 하는 8종류 24개의 비합성 보부재와 4가지 종류의 합성 보부재 4개를 제작한 후 정적하중 재하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체에 대한 정적하중 재하 실험을 통해 각 실험체의 균열하중과 극한하중을 평가하였으며, 또한 최종 파괴시까지 중앙부 처짐, top-bar의 변형률, 콘크리트 슬래브의 균열 진전 양상 그리고 최종 파괴 형태를 살펴보았다. 각 실험체로부터 얻은 균열하중의 크기는 탄성해석을 통해 얻은 해석치와 비교하였다. 또한 콘크리트 건조수축이 균열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AEMM 방법을 이용한 장기 거동 해석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를 토대로, 지간장이 긴 교량 바닥판에 LB-DECK 적용시, 균열 발생을 예방할 수 있도록 LB-DECK 콘크리트 슬래브의 균열강도와 설계상세를 검토하였다.

현장타설 숏크리트의 역학적 성능 평가 및 복합열화시험을 통한 장기내구성 평가 (Evaluation of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Field-Cast Shotcrete and Long-Term Durability by Combined Deterioration Test)

  • 마상준;장필성;김동민;최재석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47-56
    • /
    • 2007
  • 최근들어 고속도로, 고속철도, 지하철등의 건설이 증가하면서 터널의 건설도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터널 공사에서 필수적으로 따르는 것이 숏크리트 공정이며 이러한 숏크리트의 시공은 앞으로도 더욱 증가할 추세에 있다. 그러나 숏크리트의 광범위한 시공에도 불구하고 여러 가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현행 숏크리트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고품질의 숏크리트 시공을 위하여 실리카퓸 숏크리트의 성능 및 적용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숏크리트의 장기적인 안정성 확보를 위해서는 복합적인 환경조건을 고려한 열화 특성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건습 반복, 동결융해 및 탄산화 등의 열화 인자를 복합적으로 적용한 열화 시험을 수행하였다. 특히, 우수한 강도 증진 효과로 국외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리카퓸을 적용하여 혼화재 치환에 따른 숏크리트의 장기 내구 특성을 평가하였다. 복합 열화 시험 결과 실리카퓸을 혼입한 숏크리트는 다른 배합에 비해 가장 양호한 결과를 나타냈고, 실리카퓸은 강도 증진 효과와 함께 강섬유 혼입에 의한 열화 현상을 최소한으로 감소시켜 숏크리트의 장기 내구성을 확보하는데 효과가 있었다.

종골 골절 일차 치료 후 발생한 합병증에 대한 분석 (Analysis of Complications after Treatment of Calcaneal Fracture)

  • 서동현;박용욱;김도영;이상수;윤태경;박현철;강승완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46-51
    • /
    • 2004
  • Purpose: Problematic late sequelae are common following a calcaneal fracture regardless of the initial treatment. We retrospectively evaluated the painful conditions and reviewed the results of the operative treatment in patients with previously treated calcaneal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October 1996 and September 2001, forty-three patients who underwent subsequent surgical treatment for late sequelae of calcaneal fracture were reviewed. The initial treatment consisted of only immobilization in a cast in 7 patients, closed reduction with pin fixation (Essex-Lopresti technique) in 22 and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in 14. Painful conditions in the hind foot included subtalar arthritis in 31 patients, calcaneofibular impingement in 13, peroneal tendinitis in 6, displaced posterior bony fragment in 3, sural neuritis in 2, subtalar and midtarsal arthritis in 1 and displaced plantar bony fragment in 1. The surgical procedures for the late complications were performed at a mean of 19 months (range, 6 to 35 months) after the injury and consisted of lateral wall ostectomy and in situ subtalar fusion in 28 patients, only lateral wall ostectomy in 5 patients, lateral wall ostectomy and subtalar distraction arthrodesis in 3, removal of displaced posterior bony fragment in 3, sural nerve transposition in the peroneus brevis in 2, triple arthrodesis in 1 and removal of displaced plantar bony fragment in 1. Mean postoperative follow up period was 57 months (range, 33 to 82 months). The results of treatment were evaluated on the basis of pain, improvement in the ability to perform activities of daily living, to return to work or to a pre-injury level of activity. Results: Pain was partially relieved in 38 patients (88%), but not relieved in 5. Function improved in 34 patients (79%), and 32 (74%) returned to work or to a pre-injury level of activity. There was a trend that the longer the interval between the injury and the operation, the longer the subsequent interval until the patient returned to full activities or work. Conclusion: Meticulous physical examination and intensive prompt treatment for remaining pain after initial treatment of calcaneal fractures are recommended for patient's satisfaction and returning to work.

  • PDF

심미 포스트가 전치에 미치는 응력과 변위에 관한 삼차원 유한요소법적 분석 (FINITE ELEMENT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ESTHETIC POSTS ON INCISORS)

  • 권태훈;황정원;김성훈;신상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582-595
    • /
    • 2003
  • Statement of problem : Most posts are metallic, but in response to the need for a post that possesses optical properties compatible with an all-ceramic crown. an esthetic post has been developed. Although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about the esthetic post materials, 3-dimensional finite element studies about the stress distribution of them are in rare.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omparatively the distribution of stresses of the restored, endodontically treated maxillary incisors with the esthetic post materials and the displacement on the cement layer on simulated occlusal loading by using a 3-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model. Material and method : Four 3-dimensional finite element models were constructed in a view of a maxillary central incisor, a post, a core, and the supporting tissues to investigate the stresses in various esthetic posts and cores and the displacement on the cement layer (Model 1 ; Cast gold post and core, Model 2 ; Glass fiber post with composite core, Model 3 ; Zirconia post with composite core. Model 4 ; Zirconia post with ceramic core). Force of 300N was applied to the incisal edge and the cingulum (centric stop point) with the angle of 135-degree to the long axis of the tooth. Results : 1. The stresses and displacement on the incisal edge were higher than on the cingulum 2. The stresses in dentin were the highest in Model 2 (Glass fiber post with composite core), and the second was Model 3, the third Model 1, and the lowest Model 4. 3. The stresses in post and core were the highest in Model 4 (Zirconia post with ceramic core), and the second was Model 1, the third Model 3, and the lowest Model 2. 4. The displacement on the cement layer was the highest in Model 2 (Glass fiber post with composite core), and the second was Model 3, the third Model 1, and the lowest Model 4. Conclusion : When a functional maximum bite force was applied, the distribution of stresses or the esthetic post and core materials and the displacement on the cement layer were a little different. It seems that restoring extensively damaged incisors with esthetic post and core materials would be decided according to the remaining tooth structure.

구개확장장치와 facemask를 이용한 교정치료 환자의 구개주름 평가 (Evaluation of Palatal Rugae Following Orthopedic Treatment Using Rapid Maxillary Expander and Facemask)

  • 박세희;최남기;김선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67-175
    • /
    • 2020
  • 이 연구는 혼합치열기 3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RME와 facemask치료 전후에 구개 및 구개주름의 횡적 및 전후방적 변화를 평가하고, 구개주름이 교정 전후의 모델 중첩을 위한 적절한 기준 영역으로 사용될 수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RME와 facemask를 이용한 교정치료를 받은 52명의 혼합치열기 3급 부정교합 환자의 교정치료 전, 후 상악 진단모형을 이용하여 치료 전(T1), 후(T2)의 구개 및 구개주름을 계측하였다. RME와 facemask 치료로 인해 상악골과 구개에 나타나는 골성 변화에도 불구하고 구개와 구개주름의 전후방적 변화는 유의하지 않았다. 구개와 구개주름의 형태학적 변화는 주로 횡적 변화로 나타났다. 구개주름은 하방의 경조직의 해부학적 변화에 적응하여 늘어나는 것으로 보인다. 계측된 구개주름의 영역 중 3번째 구개주름의 내측점이 가장 적은 변화를 나타내었다. 이 연구에서 관찰된 구개주름의 변화는 3번째 구개주름의 내측점이 RME와 facemask 치료를 받은 환자의 치아 이동을 연구하기 위한 목적으로 교정 전후 모델을 중첩할 때 안정적인 기준 영역으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치과용 스캐너 평가를 위한 국제표준모델의 재료 및 표면 상태에 따른 스캔 영상 결과물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n quality of scanned images from varying materials and surface conditions of standardized model for dental scanner evaluation)

  • 박주희;설정환;이준재;이승표;임영준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4권2호
    • /
    • pp.104-115
    • /
    • 2018
  • 목적: 본 연구는 현재 시판되고 있는 구강스캐너를 사용하여 구강스캐너 정확도 평가를 위해 국제표준이 제안하고 있는 모형의 스캔이미지 획득이 가능한 지 분석하고, 이를 통해 표준모델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파악하는 데 있다. 연구 재료 및 방법: ISO12836과 ANSI/ADA no.132에서 규정하는 국제표준을 참고하여 3D 프린터기를 이용하여 모델을 제작하였으며, 모델스캐너와 두 가지 구강스캐너를 이용하여 스캔을 하였다. 스캔이미지 획득 정도를 3등급으로 분류하여 스캐너의 성능을 비교하였으며, 모델 표면의 상태에 따른 이미지 획득 능력도 비교하였다. 결과: 모델 스캐너가 모든 모델에서 가장 우수한 이미지를 얻을 수 있었으며 TRIOS3는 둥근 형태의 구조물, CS3500은 각진 형태의 구조물에 대한 이미지 재현이 좋은 결과를 보였다. 표준 모델의 표면상태에 따른 스캔이미지 재현에서는 초경석고 모델이 스캐너 종류와 관계없이 가장 우수하였다. 3D 프린팅 모델의 경우, 표면에 파우더 처리를 한 모델에서 가장 우수한 스캔이미지를 얻을 수 있었다. 결론: ISO12836과 ANSI/ADA 132의 표준모델의 경우, 구강스캐너의 field of view (FOV)를 벗어나는 구조물을 스캔할 때 서로 다른 면인 것을 구분하는 기준점이 존재하지 않게 되면 연속적인 스캔 및 정합과정에서 정확한 이미지를 나타내지 못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단순한 패턴의 반복과 대칭구조를 가지지 않는 새로운 표준모델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치과용 주조 합금의 방전가공에 따른 표면 성분 변화 (Elemental alteration of the surface of dental casting alloys induced by electro discharge machining)

  • 장용철;이명곤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55-61
    • /
    • 2009
  • Passive fitting of meso-structure and super-structures is a predominant requirement for the longevity and clinical success of osseointegrated dental implants. However, precision and passive fitting has been unpredictable with conventional methods of casting as well as for corrective techniques. Alternative to conventional techniques, electro discharge machining(EDM) is an advanced method introduced to dental technology to improve the passive fitting of implant prosthesis. In this technique material is removed by melting and vaporization in electric sparks. Regarding the efficacy of EDM, the application of this technique induces severe surface morphological and elemental alterations due to the high temperatures developed during machining, which vary between $10,000{\sim}20,000^{\circ}C$.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rphological and elemental alterations induced by EDM process of casting dental gold alloy and non-precious alloy used for the production of implant-supported prosthesis. A conventional clinical dental casting alloys were used for experimental specimens patterns, which were divided in three groups, high fineness gold alloy(Au 75%, HG group), low fineness gold alloy(Au 55%, LG group) and nonprecious metal alloy(Ni-Cr, NP group). The UCLA type plastic abutment patterns were invested with conventional investment material and were cast in a centrifugal casting machine. Castings were sandblasted with $50{\mu}m\;Al_2O_3$. One casting specimen of each group was polished by conventional finishing(HGCON, LGCON, NPCON) and one specimen of each group was subjected to EDM in a system using Cu electrodes, kerosene as dielectric fluid in 10 min for gold alloy and 20 min for Ni-Cr alloy(HGEDM. LGEDM, NOEDM). The surface morphology of all specimens was studied under an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meter (EDS). The quantitative results from EDS analysis are presented on the HGEDM and LGEDM specimens a significant increase in C and Cu concentrations was found after EDM finishing. The different result was documented for C on the NPEDM with a significant uptake of O after EDM finishing, whereas Al, Si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ir concentrations. EDS analysis showed a serious uptake of C and Cu after the EDM procedure in the alloys studied. The C uptake after the EDM process is a common finding and it is attributed to the decomposition of the dielectric fluid in the plasma column, probably due to the development of extremely high temperatures. The Cu uptake is readily explained from the decomposition of Cu electrodes, something which is also a common finding after the EDM procedure. However, all the aforementioned mechanisms require further research. The clinical implication of these findings is related with the biological and corrosion resistance of surfaces prepared by the EDM process.

  • PDF

티타늄 나프테네이트를 이용한 나노결정질 $TiO_2$ 광촉매 박막의 제조 (Preparation of nanocrystalline $TiO_2$ photocatalyst films by using a titanium naphthenate)

  • 이선옥;김상복;윤연흠;강보안;황규석;오정선;양순호;김병훈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240-246
    • /
    • 2002
  • 티타늄 나프테네이트를 출발 원료로 사용하고 스핀코팅-열분해법을 이용하여 소다-라임-실리카 슬라이드 유리기판 위에 $TiO_2$ 박막을 제조하였다. 도포된 박막은 $500^{\circ}C$로 10분간 공기분위기에서 전열처리를 행하였고, 최종 열처리는 500, 550과 $600^{\circ}C$로 30분간 공기분위기에서 각각 행하였다. X-선 회절분석법을 이용하여 박막의 결정화도를 조사하였고, 전계 방출 주사형 전자 현미경과 원자간력 현미경을 이용하여 $TiO_2$ 박막의 표면미세구조와 표면 거칠기를 조사하였다. 550 과 $600^{\circ}C$로 최종 열처리한 박막의 X-선 회절분석 결과, 아나타제 상만이 존재하였다. 500과 $550^{\circ}C$로 열처리한 박막의 표면은 균질하였으나, 열처리온도가 $600^{\circ}C$로 증가함에 따라서, 박막의 표면에는 바늘모양의 상이 3차원적으로 성장하였다. 모든 박막에 있어서 가시영역에서의 투과율은 500nm에서 90% 이상의 높은 값을 나타냈다. 박막의 광촉매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stearic acid가 코팅된 박막에 365nm 파장의 UV를 2.4mW/$\textrm{cm}^2$의 강도로 조사하여 C-H모드에 대한 IR 흡수단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경화촉진제를 사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단열온도특성 및 FEM해석에 의한 균열성능 평가에 관한 연구 (Effect of Hardening Accelerators on the Adiabatic Temperature property Properties of Precast Concrete and FEM analysis for Evaluating the Crack Performance)

  • 민태범;조인성;문영범;이한승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5-33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레벨에서의 프리케스트 콘크리트 개발을 목적으로 하며 수화열에 의한 균열발생을 확인하기 위해 FEM해석을 실시하여 초기균열 지수를 평가하였다. 평가결과 경화촉진제 사용량이 증가할수록 조기 압축강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응결 시간 또한 단축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경화촉진제에 의하여 시멘트 화합물중 $C_3A$의 반응에 의해서 응결시간이 단축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단열온도 상승 시험 결과 경화촉진제의 사용량이 증가 할수록 콘크리트 중심부 온도 $80^{\circ}C$이상의 온도를 나타냈으며 경화촉진제에 의해서 최고 온도 발열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화촉진제가 시멘트 수화반응을 촉진시켜 수화열을 짧은 시간에 높게 나타나는 현상으로 판단된다. 또한 높은 수화열은 균열을 발생시킬 수 있음으로 FEM 해석을 통하여 균열지수 평가를 실시하였다. FEM 해석 결과 조기에 높은 수화열이 증가하여도 균열에는 영향이 없는 예측된다. 이는 초기강도가 높기 때문에 허용응력이 증가로 인하여 인장강도가 증가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