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egiver burden

검색결과 194건 처리시간 0.021초

암환자 가족을 대상으로 한 '외상 후 성장 척도(K-PTGI)'의 타당도 검증 (Reliability and Validatity of a Korean version of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Among Cancer Caregivers)

  • 이영선
    • 사회복지연구
    • /
    • 제40권2호
    • /
    • pp.123-143
    • /
    • 2009
  • 암 환자를 돌보는 가족은 큰 생활의 변화와 부담을 겪으며, 그 안에서 긍정적 경험과 성장을 보고하기도 한다. 본 연구는 암 환자 가족을 대상으로 한국어판 외상 후 성장(K-PTGI) 척도를 사용하기 위하여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 α를 구하였으며, 수렴판별, 기준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긍정적 적응, 일상생활 방해, 돌봄부담감, 경제적 부담, 사회적지지, 종교여부와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K-PTGI는 암 환자 가족의 외상 후 성장을 평가하는 타당한 도구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결과는 암 환자를 돌보는 가족을 이해하기 위한 임상적 연구의 기초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암환자 가족간호자의 가족기능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Family Functioning in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with Cancer)

  • 김현숙;유수정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01-311
    • /
    • 200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related to the functioning of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with cancer. Method: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s from 124 patient-family caregiver dyads at a hospital in Seoul. Data collection was done between August, 2004 and January, 2005.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mean score for family functioning was 68.73. Family functioning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burden of family caregiver and performance status of patients with cancer, an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revious relationship between the patient with cancer and caregiver. The most powerful predictor of family functioning w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tient and caregi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tient with cancer and caregiver, and performance status of the patient accounted for 25.4% of the variance of family functioning.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patients with cancer and caregivers and performance status of patients with cancer wer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family functioning in family caregiver of patients with cancer.

  • PDF

Factors Affecting the Care Burden of Nurses Caring Elderly Patients with Dementia

  • Kim, Doo Ree;Han, Eun-Kyoung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68-376
    • /
    • 2019
  • Purpose: In Korea, the prevalence of dementia patients has increased, which makes the care burden of nurses importa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care burden of nurses caring elderly patients with dementia. Methods: A cross-sectional design was conducted using a convenience sample of 127 nurses from two hospitals and a nursing home in Korea. Participants completed questionnaires on knowledge of and attitudes toward dementia, social support, self-esteem, dementia problematic behavior (DPB), and professional caregiver burden index.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the SPSS/windows version 21.0 program. Results: The influencing factors for nurse burden include day shift, DPB, self-esteem, social support, which explain 28.0% of care burden of nurses. Conclusion: To reduce the burden of the nurses, there needs to be an administrative system that focuses on enhancing their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Active institutional support may be necessary for the nurses taking care of elderly patients with dementia.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s Enhancing Quality of Life and Reducing Depression and Burden for Caregivers of Elderly with Dementia

  • Kim, Yong Hyun;Park, Chul Soo;Bae, Hwa-Ok;Lim, Eun Ji;Kang, Kyung Heui;Lee, Euy Sun;Jo, Su Hyeon;Huh, Moo Ryong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05-320
    • /
    • 2020
  • Background and objective: The problem that follows the increase of dementia patients is the burden of caregivers caring for dementia pati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s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and reducing the depression and burden of caregivers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Methods: In this study, 19 caregivers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were selected, an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by dividing the control group (n=9) and the experimental group (n=10) by random distribution. The experimental group was given eight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s twice a week for a total of 4 weeks. Subjects were assessed using the depression(CES-D), quality of Life (WHOQOL-BREF), and care burden scales. The evaluation results were verified at a 95% significance level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he Mann-Whitney U test, and Wilcoxon signed-rank test. Results: In the case of depression, the control group's score tended to increase, and the experimental group's score appeared to decrease, but it wa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In the quality of life, the control group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scores decreased overall. On the other hand,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general quality of life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11.60 to 14.20 points (p = .02), and the total quality of life increased to a marginally significant level from 61.59 points to 68.85 points (p = .059). In the post-test of the total care burden score, a margin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control group (94.44 points) and the experimental group (82.50 points; p = .079).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e applicability to reduce the burden of caregiving and improve the deterioration of quality of life of the caregivers. In particular, the results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confirm accessibility in a new way to support the caregiver of dementia patients by demonstrating the applicability of horticultural therapy at a time when problems such as the burden of supporting the caregiver are emerging as social problems.

화상환자 가족의 부담감에 대한 융합적 연구 (Convergence Study on Burden in Families Caregivers of Patients with Burn)

  • 정계현;나현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275-285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화상환자 가족의 부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이다. 연구 대상자는 D시, S시, B시, P시에 소재한 4개 화상전문병원에 입원한 $2^{\circ}$ 이상의 화상환자를 돌보는 가족들 120명을 편의 표집하였고, 자료분석을 위해 t-test, ANOVA, Scheffe' test, Multiple linear regrassion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는 화상환자를 돌보는 가족의 부담감 중 돌봄의 의미와 평가, 환자의 미래에 대한 부담감이 가장 높았다. 화상환자를 돌보는 가족의 부담감 영향요인으로는 결혼상태, 간병시간, 피부이식수술, 체표면적(%)이었고, 설명력은 25.9%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장시간 화상환자를 돌보는 가족들의 신체적, 정서적 부담감을 감소시키기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과 간병 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간병서비스가 필요하다.

치매 환자의 초조행동 관련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A Meta-Analysis of the Variables related to Agitation in Patients with Dementia)

  • 박희옥;강민숙;박은실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13-225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about agitation in patients with dementia by surveying the literature. Method: Key words used for search through hand-search and electronic database (CINHAL, Pubmed, Google scholar, Riss, Kiss, DBpia) included 'dementia', 'Alzheimer disease', 'agitation', 'aggression or aggressive behavior', 'problem or disruptive behavior', and 'abnormal behavior.' Seventeen studies met the inclusion criteria for the Meta-analysis and 'R' version 3.2.2 was used to analyze the correlated effect size. Results: Study results showed that variables related to agitation were identified as the demographic (age, gender), dementia-related (cognition, medication uses), physical (Activity of Daily Living [ADL], pain), psychological (depression, psychotic symptom, caregiver burden) and environmental (psychosocial environment) factors. The effect size between the correlated variables and agitation were low to moderate (caregiver burden .36; ADL -.24; psychotic symptom and depression .21; pain .19; cognition -.15; medication uses .12; and psychosocial environment -.12). Conclus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trategies to improve patients' depressive and psychotic symptoms and ADL and to reduce caregivers' burden are needed for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agitation in patients with dementia.

치매노인 주 부양자에게 적용한 가족탄력성 강화프로그램의 효과 (Effect of the Family Resilience Reinforcement Program for Family Caregivers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 방미란;김옥수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71-82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amily Resilience Reinforcement Program (FRRP) for family caregivers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on the family resilience, caregiver burden, family adaptation, perceived health status and depression. Methods: FRRP was implemented for 60 minutes each time, once a week, for 8 weeks. According to 3 factors of Walsh's Family resilience theory, FRRP was organized and specified as redefining 'belief system' in 1 to 2 sessions, figuring out one's own 'organizational pattern' in 3 to 5 sessions, enhancing 'communication process' in 6 to 8 sessions. A total of 46 family caregivers were assigned into either the experimental group with FRRP or the control group. Data were collected from February 18 to April 12, 2013 at the dementia support centers, and the data of 36 participants were finally analyzed.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repor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family resilience (p=.002), caregiver burden (p=.012), family adaptation (p<.001), and perceived health status (p=.002) compared to those in the control group.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in depression. Conclusion: In the light of these results, FRRP is considered to decrease caregiver burden and to influence family resilience, family adaptation and perceived health status positively. The developed FRRP is considered to be an efficient nursing intervention for strengthening family resilience of the given population. It warrants future research expanding the range of target population to those caregivers of the patients with other chronic conditions.

문화적 가치가 수발부담 및 사회적 지지를 통해 남가주 한인 가족수발자의 신체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 사회문화적 스트레스 대처모델을 적용하여 (The Effects of cultural values on the physical health of Korean American caregivers through caregiver burden and social support, applying to the socio-cultural stress and coping model)

  • 김정현
    • 한국노년학
    • /
    • 제29권2호
    • /
    • pp.377-394
    • /
    • 2009
  • 일반적으로 노인수발경험은 가족수발자의 신체적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어 왔으나, 민족 집단 간 연구결과가 일치하지 않았으며, 한국인 가족수발자의 신체적 건강에 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하였다. 본 연구는 한인 가족수발자의 노인수발 경험이 신체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사회문화적 스트레스 대처모델을 적용하여 경로모델을 제시하면서 문화적 가치의 영향을 고려하였다. 경로모델에서 문화적 가치는 수발부담과 스트레스 대처행동(사회적 지지)을 통해 수발자의 신체적 건강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가정되었다. 자료 수집을 위해 미국 남가주(Southern California)에 거주하는 87명의 한인 가족수발자를 구조화된 설문지로 면접조사하였다. 신체적 건강 변수로서 주관적 건강, 혈압, 콜티졸을 고려하였으며, 사회적 지지는 가족, 친척, 이웃 등으로부터의 비공식적 사회적 지지와 공식적 계약에 의해 주어지는 사회적 지지(노인복지서비스 이용)의 영향을 고려하였다. 경로분석 결과, 문화적 가치가 한인 가족수발자의 신체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확인되었는데, 문화적 가치에 대한 믿음이 강할수록 공식적 사회적 지지 이용 빈도가 높았으며, 이용 빈도가 높을수록 수발자의 수축기 혈압이 낮았다. 그러나 문화적 가치가 수발부담을 통해 신체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확인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한인 수발자의 신체적 건강에 관한 연구의 시발점으로서 정책적, 학문적 함의를 제시한다.

치매노인보호자의 부양부담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합연구 : 가족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 Convergence study on the effect of Caregiving Burden on Interpersonal problem of Dementia Caregivers :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Family Support)

  • 서정열;최장원;박규암;장대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379-392
    • /
    • 2018
  • 본 연구는 치매노인보호자의 부양부담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가족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적 함의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수도권 7곳, 지방 11곳에 위치한 주간보호센터 및 치매지원센터를 이용하는 치매노인의 보호자 중 자녀 및 며느리 341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본 연구에서는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326명을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치매노인보호자의 50.9%가 높은 부양부담을 경험하고 있으며, 43.6%가 고위험의 대인관계문제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부양부담은 대인관계문제에 정적인 영향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또한, 가족지지는 부양부담과 대인관계문제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들 바탕으로 하여 부양부담으로 인해 대인관계문제를 겪고 있는 치매노인보호자들을 위한 가족 및 대인관계 개선 프로그램 도입 등의 실천적, 정책적 개입 방안을 제언하였다.

활동보조서비스가 가족부양부담에 미치는 영향 -가족탄력성 조절효과- (An Effect of Personal Assistance Services for the Disabled Persons upon the Burdens of Raising a Family - Focusing on Family Resilience Control Effect -)

  • 신준옥
    • 재활복지
    • /
    • 제18권4호
    • /
    • pp.95-117
    • /
    • 2014
  • 본 연구는 활동보조서비스(신체활동지원, 가사활동지원, 사회활동지원) 이용이 가족부양부담에 영향을 미치는지와 활동보조서비스와 가족 부양부담감 간에 가족탄력성(가족신념체계, 가족응집력, 상호작용)이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를 파악하여 장애인복지의 실천적 개입 방안을 모색하는 근거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목적을 위하여 경기도를 동부, 서부, 남부, 북부 지역으로 나누어서 2013년 4월 1일~5월 15일까지 활동보조서비스를 이용하는 1급, 2급 장애인가족 부양자 20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9.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그리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기초로 한 조절적 다중회귀분석(Modera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활동보조서비스 중 신체활동지원을 이용하는 경우 장애인가족의 부양부담 감소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활동보조서비스가 가족부양부담과의 관계에서 가족탄력성 중 가족신념체계와 가족응집력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