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eer self-efficacy

검색결과 390건 처리시간 0.024초

융복합 시대 대학생의 사적/공적 자의식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학업효능감의 매개효과검증 (The Influence of Private and Public Self-Consciousness of College Students on Vocational Identity in Convergence era: Testing the Mediating Effects of Academic Self-Efficacy)

  • 윤준현;손영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7호
    • /
    • pp.339-346
    • /
    • 2020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사적 자의식과 공적 자의식에 따른 학업효능감 및 진로정체감과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4년제 대학 263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22.0과 AMOS 22.0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적 자의식과 공적 자의식은 모두 진로정체감과 학업효능감에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사적 자의식과 공적 자의식이 학업효능감을 거쳐 진로정체감(진로탐색, 진로몰입, 진로재고)로 이어지는 경로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사적 자의식은 진로정체감 하위요인 중 진로재고 요인에 대해 직접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공적 자의식은 학업효능감을 부분 매개하여 진로탐색에, 학업효능감을 완전 매개하여 진로몰입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융·복합시대의 진로 교육 및 상담에 대하여 논하였으며, 향후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골프전공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 간의 관계 대한 융합적 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 level in golf majors)

  • 이경민;범철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265-273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골프전공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 간의 관계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런 목적을 위해 편의표집방법을 이용하여 서울과 수도권에 소재한 215명의 골프전공 대학생을 표본으로 추출하였고 기술통계, 상관관계 분석,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골프전공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골프전공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는 진로결정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골프전공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진로결정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골프전공 학생들의 진로결정에 필요한 사회적 지지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역할에 대한 실증적 자료를 제공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대학생활에서의 진로동기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플로리시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 of Flouris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Motivation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in College Life)

  • 이정아;김미진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931-938
    • /
    • 2017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결정효능감이 이들의 진로결정 및 진로과업 수행에 미치는 영향력을 인식하고,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진로동기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함과 동시에 진로동기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플로리시의 조절효과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학생 355명을 연구대상으로 진로동기, 진로결정자기효능감, 플로리시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동기, 진로결정자기효능감, 플로리시는 보통보다 다소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진로동기, 진로결정자기효능감, 플로리시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진로동기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플로리시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진로동기와 플로리시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며,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향상시켜 이들이 진로결정 과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진로동기와 플로리시를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 받을 수 있었다.

A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m, Dance Commitment,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Dance Achievement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Majoring in Dance

  • Min, Yun-Mi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0권3호
    • /
    • pp.172-180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erfectionism and dance achievement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majoring in dance. Specifically,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erfectionism on dance achievement through the medium of dance commitment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For this purpose, a structural equation model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was constructed with perfectionism as an exogenous variable and dance commitmen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dance achievement as endogenous variables. The final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79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majoring in dance. The data were processed by frequency analysis to find out personal characteristics using SPSS 23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conducted on the research tools. In addition, AMOS 21 was used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s a result of data processing on the research model. First, the sub-dimensions of perfectionism tendency 'worry about mistakes', 'personal standard', and 'doubt about behavior'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dance commitment. Second, the sub-dimensions of perfectionism 'worry about mistakes', 'personal standard', and 'doubt about behavior'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ird, dance commitment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dance achievement, bu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dance achievement. These results provide implications.

The Effect of Motivation in Obtaining a Certificate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With a Focus on Landscape Technicians-

  • Iee Chen Oh;Yong Jo Jung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2권8호
    • /
    • pp.585-593
    • /
    • 2023
  • This study promotes the understanding of landscape technicians by, assessing the professional qualification system that aligns with the needs of the 21st-century environment, distinct from the industrialization era, It, provides basic theoretical insights into the multi-dimensional connections between the motivation for a certificate and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individuals with a demand for the certificate in the structural aspect. The collected data underwent a comprehensive analysis involving frequency assessment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tests, and correlation analyses. The study found differences according to particpants' divers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cluding gender, place of residence, educational background, and occupation. The motivation for obtaining a certificate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ir career-decision-making self-efficacy, within the context of structural relations. The study findings on the relations between motivation for obtaining a certificate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demonstrate that the direction and intensity of efforts to obtain a certificate can increase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people hoping to become landscape technicians.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ling Program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of Female Colleges)

  • 허정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227-236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여대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하위 영역 가운데 목표선택, 직업정보, 미래계획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으나, 문제해결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성숙도 영역가운데 결정성, 독립성, 관여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나, 타협성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도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증명한 것이다. 따라서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대학 1학년때 부터 실시함으로, 학생들이 자신의 적성과 소질에 맞는 진로를 스스로 선택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더 나아가 대학에서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과 같은 교과목을 개설하여 대학생들의 진로문제에 많은 도움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경력단절 여성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경력계획의 관계에서 결과기대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Outcome Expect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the Career Planning of Career Interrupted Women)

  • 이수분;이정희
    • 직업교육연구
    • /
    • 제36권2호
    • /
    • pp.51-67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경력단절 여성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경력계획의 관계에서 결과기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부산 경남지역에 소재한 여성인력개발센터에서 직업교육과 상담에 참여하고 있고, 취업의사가 있는 경력단절 여성 270명을 대상으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결과기대, 경력계획 척도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수집된 자료는 회귀분석방법으로 매개효과를 분석하였으며, 이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력단절 여성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결과기대, 경력계획은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경력단절 여성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경력계획의 관계에서 결과기대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연구의 의의와 경력단절 여성의 경력개발을 위한 교육적 제언을 하였다. 본 연구는 이후 경력단절 여성의 경력개발을 위한 교육 및 상담에 의미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진로정체감,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Satisfaction, Career Identity, Academic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Nursing Students)

  • 구윤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1호
    • /
    • pp.485-492
    • /
    • 2023
  • 본 연구는 G시에 소재하는 4년제 간호대학생 210명을 대상으로 전공만족도, 진로정체감,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진로준비행동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19년 10월 15일부터 18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자료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변수의 평균과 표준편차, 실수와 백분율로 분석하였고, 변수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전공만족도는 3.78점, 진로정체감은 2.67점,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3.11점, 진로준비행동은 2.46점이었으며, 진로준비행동은 전공만족도와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에 간호대학생의 바람직한 진로준비행동을 유도하기 위하여 전공만족도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 체계적 교육시스템이 필요하며, 그 효과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또한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해볼 필요가 있다.

보건행정 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가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Impact of Major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Public Health Administration on the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e Behaviors :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s Mediating Factors)

  • 이현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7호
    • /
    • pp.359-368
    • /
    • 2019
  • 본 연구는 보건행정 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전공만족도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전공만족도와 진로결정수준, 전공만족도와 진로준비행동 간에 각각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AMOS를 이용한 경로 분석결과 전공만족도는 진로결정수준에 대해서는 직접효과 및 간접효과, 진로준비행동에 대해서는 간접효과가 있었고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에 대해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공만족도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보건행정 전공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 수준을 높이기 위하여 전공만족도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수준 향상을 위한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프로그램과 효과적인 방안의 마련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비판적사고 성향, 셀프리더십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Ego-Resilienc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elf Leadership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Nursing Students)

  • 김건희;황은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436-445
    • /
    • 2016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비판적사고 성향, 셀프리더십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인과관계 연구이다. 대상자는 2개 지역 2개 간호학과 재학생 314명이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5년 5월 11일부터 6월 5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간호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간호학과 지원동기, 학과만족도, 개인 성격, 대인관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또한 간호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셀프리더십, 비판적사고 성향, 학과만족도, 개인 성격이었으며, 셀프 리더십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비판적사고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이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