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eer awareness

검색결과 249건 처리시간 0.026초

일부지역 치위생과 학생의 진로관련 태도 및 취업의식 연구 (A Study on Career-Related Attitude and Awareness of Employment in Dental Hygiene Students from Some Regions)

  • 정미경;이지영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91-101
    • /
    • 2017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areer-related awareness of dental hygiene students and their awareness of employment in an effort to shed light on the consciousness of dental hygiene students on career and employment. Methods : A survey was conducted on 340 selected dental hygiene students in several colleges of health located in an urban community, South Gyeongsang Province, from June 8 and 16, 2016. The collected data from 335 respondents were analyzed by SPSS 21.0 for Windows. Result : Where they hoped to find a job was analyzed, and they hoped to be hired in an large city due to the possibility of development and expectations for high pay, and the students who wanted to be employed in a small or mid-sized urban community cited personal connections as the reason(p<.001). As for conditions for getting a good job, the largest number of the students placed importance on skills, and the students who were in the higher academic years attached more importance to skills and money(p<.01). As for preferred workplace, dental hospital was the biggest group's favorite workplace, and the students who were in the higher academic years preferred to work in dental clinic or dental hospital(p<.05). Concerning the length of dental hygienist career, the greatest group thought it would be between 11 and 15 years(p<.05). Conclusion : The findings of the study might not be generalizable because students from a few colleges only were investigated, but the findings are expected to help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dental hygiene students on career and how to prepare for the job market and to provide college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with information on career and ways of offering vocational guidance.

초등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진로인식, 과학 선호도 및 과학자의 정형화된 이미지 비교 (Comparison of Career Awareness, the Preference for Science and Stereotypic Image of the Scientist Between the Gifted Students and Non-gifted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 안미정;유미현
    • 영재교육연구
    • /
    • 제22권3호
    • /
    • pp.527-550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영재학급 학생과 일반학급 학생들의 진로인식과 과학 선호도 및 과학자의 정형화된 이미지를 비교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초등학교 6학년 영재학생 52명, 일반학생 80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진로인식을 비교한 결과, 영재학생들의 진로인식이 더 높게 나왔으며, 두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를 통해 전반적으로 일반학생에 비해서 영재학생의 진로인식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영재학생과 일반학급 학생의 과학 선호도는 영재학생이 유의미하게 높은 결과가 나왔다. 하위영역별로 자세히 보면 6개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영재학생이 일반학생보다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성별에 따른 비교에서도 영재학생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집단과 성별의 차이 간 상호작용 효과는 일반학생에 비하여 영재학생이 과학 학습의 흥미와 학습 지속 실행의지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정형화된 과학자의 이미지 검사를 실시한 결과, 영재학생에 비해 일반학생이 느끼는 과학자의 이미지에서 더 많은 정형화된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넷째, 영재학생의 진로인식과 과학 선호도, 진로인식과 과학자의 정형화된 이미지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각각의 변인들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진로인식이 과학 선호도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준다는 결과를 얻었다.

수학에 대한 태도 및 진로인식 함양을 위한 프로젝트기반 수학수업 설계 및 적용 (Design and application of project based mathematics learning on students' attitude toward mathematics and career awareness)

  • 이수현;김민경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9권4호
    • /
    • pp.329-356
    • /
    • 2016
  • 본 연구는 프로젝트기반 수업을 설계 및 적용함으로써 학생들의 진로인식과 수학에 대한 태도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프로젝트기반 수업을 수학과의 특성에 적합하도록 기본개념 학습 단계를 추가하여 구체적인 수업의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수학과 교수 학습 방법의 다양화에 기여하고 학생들의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서울지역 초등학교 6학년 1개 학급 28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7주 동안 19차시에 걸쳐 미래사회 역량과 관련된 유망직업 소재를 포함하여 설계한 프로젝트기반 수학수업을 실시하였다. 대상 학생의 수가 충분치 못하여 정량적 분석을 보완하기 위하여 학습자들의 서술과 수행 결과물을 통해 정성적인 분석을 함께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이 수학에 대한 태도와 진로인식에 있어 긍정적인 변화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주얼 씽킹과 SNS를 활용한 진로교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areer Education through Visual Thinking and Social Network Service)

  • 송기정;마대성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275-284
    • /
    • 2018
  • 본 연구는 비주얼 씽킹과 SNS를 활용한 진로교육을 실시하여 학생들의 진로 인식을 제고하고자 하였다. 또한 학부모들의 자녀의 진로에 대한 관심을 증대시키며, 초등학교 진로교육의 목표인 학생의 발달 단계에 맞는 진로교육을 통해 자신의 적성과 능력에 알맞은 진로를 탐색하도록 하였다. 비교 연구 결과 실험반이 '진로에 대한 의견 및 태도', '정보탐색 및 합리적인 의사결정', '직업에 대한 지식' 전 영역에서 비교반에 비해 유의미한 결과를 가져왔다. 연구 결과 비주얼 씽킹과 SNS를 활용한 진로교육이 학생들의 진로 인식을 고취하고 진로 탐색에 적극적인 태도를 가져오는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용교육과정 인식과 진로교육 만족도, 진로결정 효능감 관계 연구 (Study of Relation Between Beauty Curriculum Awareness, Career Education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Efficacy)

  • 조명애;리순화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210-222
    • /
    • 2021
  • 본 연구는 미용 고등학교 학생 289명을 대상으로 미용교육과정 인식과 진로교육 만족도, 진로결정 효능감의 관계를 설문 및 분석하였다. 미용교육과정이 헤어 전공, 자격증 취득 기능교육으로 편중되어 있었고 진로계획은 취업과 대학진학이 높았으며 미용교육과정 인식과 미용교육과정 만족도에서 네일과 개인창업은 낮게 인식하였고(p<0.05, p<0.001) 진로결정 효능감에서 네일은 낮게, 진로교육 만족도에서 메이크업은 낮게, 개인창업은 낮게 인식하였다(p<0.01, p<0.05). 미용교육과정 인식이 높아질수록 진로교육 만족도가 높았고 교사는 진로교육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운영 및 시설영역은 직업정보에, 교과과정 영역은 미래계획과 문제해결에, 교사영역은 자기평가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p<0.05, p<0.001, p<0.001). 따라서 메이크업, 피부, 네일 전공의 교육과정의 개선이 필요하고 효과적인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치기공과 재학생의 진로계획에 관한 실태 조사 - D대학 학생을 중심으로 - (The research on the Career Plan of the Dental Technology Students (Revolve Around D College Students))

  • 배봉진;이화식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479-493
    • /
    • 2011
  • Purpose: The career education of the college student needs a new awareness. This research provides fundamental data from analyzing necessities of student's career education according to plans of a career education. Methods: Make use of SAS 8.0 of windows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on investigate Dental Technology 570 students in Daegu. And also it analyzes difference of ispectable t-test and ANOVA. Results: According to a gender, a job experience, where they are come from, there is a meaningful difference of an information and an entrance motive for choosing a major (<.05). The time of choosing the major are different meaningfully (<.001). An awareness about the method of a career achievement is a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05). As getting old, the method of a career achievement is higher and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according to a grade, job experience and a entrance screening(<.01). In accordance with a gender, a grade, entrance screening,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of a degree for obtaining the career information activities(<.01). In accordance with an age, when they choose a major, there is a difference(<.001). In accordance with a gender and a age,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of a career plan(<.001). The age difference is slight. In accordance with a gender and a age,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how to effort for the career(<.001), and also according to an entrance screening, an entrance motive(<.05). These mean that the first priority for choosing the career and going into the world is a school record.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of people that the student choose for consulting the career(<.01). According to the job experience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001). Conclusion: By investigating and analysing the student's career plan, we need to seek how students choose their career reasonably and desirably. And also we need to teach a career education systematically.

"영화공작소" 과학·예술 융합형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초등학생의 과학 진로지향도, 진로인식 및 창의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 (Development of "Movie Production Project" Science-Arts Convergence STEAM Program and its Effect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reer Orientation of Science, Career Awareness and Creative Personality)

  • 유미현;박기수;장우진;석혜정;김성환;박문숙;이진아;이종섭;진숙희;유화수;정현지;최정진;강윤희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0권1호
    • /
    • pp.31-51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영화공작소" 과학-예술 융합형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초등학교에 적용하여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경기도 소재 초등학생 82명이 참여하였다. 43명은 실험집단으로, 39명은 비교집단으로 배치하였으며 프로그램 적용 전후에 과학 진로지향도, 진로인식, 창의적 성향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화공작소"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 학생의 과학 진로지향도 전체 점수와 하위영역 중 과학 학습 선호도, 과학 진로 선호도와 과학 진로에 대한 가치 인식에서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05). 둘째, "영화공작소"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 학생의 진로인식 전체 점수와 4개 하위영역 점수가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05). 셋째, "영화공작소"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 학생의 창의적 성향 전체 점수와 독립심, 개방성의 2개 하위영역 점수가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05). 넷째, "영화공작소"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실험집단 학생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프로그램이 흥미로웠고, 수준은 약간 쉬웠으며 또 다시 공부하고 싶다고 응답하였다.

  • PDF

대기업 첨단기술 연구소의 핵심인재 이직인식에 관한 실증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Turnover Awareness of Key Member In Research Institute of High Technology Company)

  • 이재하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1-6
    • /
    • 2005
  •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mpirically the turnover awareness of key member working in Research & Development Division in high technology electronic R&D institute. Through the analysis of 106 questionnaires and individual depth interview with key member who is evaluated as core researcher and developer in their working project or has good results in the last 2-3 years, this study obtains the practical informations on the understandings of their professional consciousness and extend of turnover awareness etc. The findings are as follows. Two-thirds of the researcher has the mind of turnover to improve job stability and develop their career. They have an self-awareness that they are key member as a core competent person in working project and their organization, but are dissatisfied with the underestimation of their performances that are not recognized by the organization as they expected level. And the result indicates that many of them haven't find their visions in their organization.

일부 초등학교 교사의 구강건강 및 구강보건교육 인식에 대한 조사 (A study on awareness of oral health and oral health education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 최미혜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457-464
    • /
    • 2013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warenes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oral health and oral health education by position and teacher carrer in an effort to provide information on oral health awareness and oral health education. Methods : This survey was conducted on 320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Jeollabuk-do from July 2 to 19, 2012. 296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collected date was analyzed using the statistical package SPSS WIN 13.0. Results : As for self-rated oral health status and concern for oral health by teacher career, the teachers who had a less than six years of career considered themselves to be unhealthier and were more concerned about oral health. Regarding oral health knowledge by position and career, those who were homeroom teachers and who had a less than five years of career had a better knowledge on oral health. Concerning concern for oral health education and the necessity of oral health education, the homeroom teachers were more concerned about oral health education and were better cognizant of the necessity of that education. In relation to teaching ability for oral health, the homeroom teachers found themselves to be more capable of providing oral health education than the non-homeroom teachers. Conclusions : The improve concern and recognition of oral health for the members,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needs to develop oral health education and policy.

간호대학생의 감염관리 인지도,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비판적 사고성향이 감염관리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The Influencing Factor of Awareness of Infection Control, Career Decision Making Self Efficacy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n the Performance of Infection Control in Nursing Students)

  • 도은수;김순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240-249
    • /
    • 2019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감염관리 인지도,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비판적 사고성향이 감염관리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 대상자는 D시와 K시에 소재한 4개 대학 간호학과 3, 4학년 404명이었다. 자료는 2018년 11월 5일부터 12월 21일까지 자가보고식 설문조사로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독립집단 t-test, one-way ANOVA, 사후분석은 Duncan'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감염관리 인지도는 평균 4.75점,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평균 3.02점, 비판적 사고성향은 평균 4.73점, 감염관리 수행도는 평균 4.46점이었다. 간호대학생의 감염관리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령, 감염관리 인지도 및 진로결정자기효능감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38.6%였다. 따라서 간호 대학생의 감염관리 수행도를 강화하기 위하여 감염관리 인지도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향상하기 위한 교육프로그램개발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