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diac valve

검색결과 575건 처리시간 0.023초

성인 활로씨 4징증 수술치험 101예 보고 (Surgical Correction of Tetralogy of Fallot in Adults - 101 Cases Report -)

  • 조범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1권4호
    • /
    • pp.649-655
    • /
    • 1988
  • One hundred and one patients with tetralogy of Fallot who were older than 16 years of age underwent a total correction of the anomaly between May, 1964 and July, 1987. This group comprised 14.9% of the 679 consecutive patients who had repair of the tetralogy at our institution during the same period. Of the 101 patients, 8 had a previous shunt procedure for palliation. The preoperative mean hemoglobin value was 16.9*1.0% and the mean systemic oxygen saturation, 84.4*0.9%. In 76 patients[75.2%], a type II ventricular septal defect was seen whereas in 14 patients[13.9%], the defect was type I. In 72 patients[71.3%], other cardiac anomalies were present which included patent foramen ovale in 37.6%, atrial septal defect in 8.99b, vegetations in 6.9%, right sided aortic arch in 5.9% and coronary artery anomaly in 5.0%. The right ventricular outflow obstruction was caused most commonly by combination of infundibular and valvular stenosis[74.3%], followed by isolated infundibular stenosis[19.8%] and valvular stenosis [5.9%] alone in order. The preoperative mean diameter of the pulmonary valve ring size was 10.2*0.5 mm in diameter. A transannular patch enlargement of the right ventricular outflow tract was performed in 28 patients and, in 12 a pericardial monocusp was utilized. Major anomalous aorto-pulmonary vessels were encountered in 5 patients which were detected before or during the operation. In 3 patients, they were ligated beforehand to control the flooding of the operative field. Postoperatively, the mean systolic pressure gradient between the right ventricle and the main pulmonary artery was 16.2*2.3 mmHg and the mean systolic pressure- ratio between the right and the left ventricle was 45.3*2.0%. Perioperative complications including bleeding in 8.9%, pleural effusion in 7.9%, dysrrhythmia in 4.9%, and residual VSD in 4.0%. Operative mortality was 8.9%. There has been no operative death in the recent 65 cases since 1981. There were 2 late deaths, 68 and 113 months after surgery. There were 2 late detachment of the VSD patch during the follow-up period. Of the 6 patients with patch detachment found during the postoperative period, 3 had subacute bacterial endocarditis before or after the operation indicating The serious nature of this complication. Two of these patients subsequently underwent a successful reoperation.

  • PDF

Surgical Outcomes of Cox-maze IV Procedure Using Bipolar Irrigated Radiofrequency Ablation and Cryothermy in Valvular Heart Disease

  • Kim, Jun-Sung;Lee, Jae-Hang;Chang, Hyoung-Woo;Kim, Kyung-Hwa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4권1호
    • /
    • pp.18-24
    • /
    • 2011
  • Background: We evaluated the efficacy of Cox-maze IV procedure using bipolar irrigated radiofrequency ablation and cryothermy in chronic atrial fibrillation associated with valvular heart disease. Material and Methods: From November 2005 to June 2009, ninety four patients have undergone valvular heart surgery with Cox-maze IV procedure. Preoperative duration of atrial fibrillation was $7.6{\pm}6.5$ years and follow-up duration was $22.7{\pm}12.3$ months. Results: There were two (2.1%) postoperative deaths not related to maze procedure. Two cerebrovascular accidents, five low cardiac output syndromes and two permanent pacemaker implantations have occurred after surgery. Preoperative ejection fraction on echocardiography was $55.3{\pm}8.1%$ and ejection fraction of postoperative six month was $54.7{\pm}6.5%$. Left atrial size of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were $61.5{\pm}11.6\;mm$ and $53.1{\pm}8.4\;mm$ at each. Freedom from atrial fibrillation rate at postoperative six-month was 80.7% and the cases of recurrence of atrial fibrillation after six months were three (3.3%). Risk factors for failure or recurrence of maze procedure were old age (p=.010) and preoperative moderate or severe tricuspid regurgitation (p=.033). Conclusion: The Cox-maze IV procedure using RFBP2 and cryothermy is quite safe and freedom from atrial fibrillation at postoperative 6 month was 82.5%. Risk factors for failure or recurrence of atrial fibrillation after Cox-maze IV were old age and preoperative over moderate tricuspid regurgitation.

개에서 발생한 우-좌 단락 심실 중격 결손 증례 (Right-to-left Shunting Ventricular Septal Defect in a Dog)

  • 윤수경;김보은;윤화영;최민철;윤정희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43-346
    • /
    • 2015
  • 4년령의 중성화된 수컷 Dachshund가 만성적인 호흡곤란 및 청색증을 주증으로 내원하였다. 혈액검사에서 헤마토크리트 79.7%의 심각한 적혈구증가증이 확인되었다. 흉부 방사선 영상에서는 경도의 우심 종대가 관찰되었다. 심초음파 검사에서 좌심실유출로 대동맥판막 근위부에서 큰 심실 중격 결손이 확인되었으며, 도플러 검사에서 이 결손을 통한 우-좌 션트가 확인되었으며 조영 심초음파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확진되었다. 이러한 진단적 결과 및 환자의 임상증상을 바탕으로 환자는 우-좌 단락 심실 중격 결손증으로 진단되었다. 사혈 및 산소 공급을 실시하였으나 환자는 내원 다음날 집에서 사망하였다. 본 증례보고에서는 심초음파를 통한 우-좌 단락 심실 중격 결손증의 진단을 서술하였다.

2인구조자 심폐소생술 시 환기방법에 따른 가슴압박 중단시간의 비교: 일개 대학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Comparison of compression pause time between different rescue ventilation maneuvers in two-rescue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 현광록;문준동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7-17
    • /
    • 2015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effects of rescue ventilation maneuvers on the quality of two-rescue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Methods: We implemented mouth to mouth (MMV), mouth to pocket mask (MPV) and bag-valve mask ventilation (BMV) maneuvers. Each team of two-nurses was randomized to perform three consecutive sessions of two-rescuer CPR by using three artificial ventilation maneuvers. Results: The subjects were 26 teams of nurses (female: 96.2%, male: 3.8%, age: 26.6 years). Failed ventilation was more frequent in BMV ($2.23{\pm}2.21$, p <.001) than MMV ($0.31{\pm}0.74$) and MPV ($0.38{\pm}0.64$). BMV had more compressions per minute ($93.7{\pm}5.7$) than MMV ($87.0{\pm}7.2$, p = .001) and shorter total compression pause time ($46.1{\pm}5.8sec$) and compression pause fraction ($23.3{\pm}2.2%$) than MMV ($54.8{\pm}10.3sec$, p = .001, $25.5{\pm}3.5%$, p = .001, respectively) and MPV ($53.1{\pm}7.1sec$, p =. 006 and $25.8{\pm}2.6%$, p = .006, respectively). Conclusion: In our simulation study, BMV reduced the compression pause time and increased the number of compressions per minute, thus indicating CPR provided to patients was effective. However, considering the high rate of ventilation failure, we recommend periodic training.

Acute Pulmonary Thromboembolism: 14 Years of Surgical Experience

  • Park, Jiye;Lim, Sang-Hyun;Hong, You Sun;Park, Soojin;Lee, Cheol Joo;Lee, Seung Ook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2권2호
    • /
    • pp.78-84
    • /
    • 2019
  • Background: Pulmonary thromboembolism (PTE) is a life-threatening disease with high mortality.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outcomes of surgical embolectomy and to clarify the sustained long-term effects of surgery by comparing preoperative, postoperative, and long-term follow-up echocardiography outcomes. Of 22 survivors, 21 were followed up for a mean (median) period of $6.8{\pm}5.4years$ (4.2 years).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27 surgical embolectomy cases for massive or submassive acute PTE from 2003 to 2016. Immediate and long-term follow-up outcomes of surgical embolectomy were assessed on the basis of 30-day mortality, long-term mortality, postoperative complications, right ventricular systolic pressure, and tricuspid regurgitation grade. Results: The 30-day and long-term mortality rates were 14.8% (4 of 27) and 4.3% (1 of 23), respectively. Three patients had major postoperative complications, including hypoxic brain damage, acute kidney injury, and endobronchial b leeding, respectively (3.7% each). Right ventricular systolic pressure (median [range], mm Hg) decreased from 62.0 (45.5-78.5) to 31.0 (25.7-37.0, p<0.001). The tricuspid valve regurgitation grade (median [range]) decreased from 1.5 (0.63-2.00) to 0.50 (0.50-1.00, p<0.05). The improvement lasted until the last echocardiographic follow-up. Conclusion: Surgical embolectomy revealed favorable mortality and morbidity rates in patients with acute massive or submassive PTE, with sustained long-term improvements in cardiac function.

좌심방 부속기 동맥류: 증례 보고 (Left Atrial Appendage Aneurysm: A Case Report)

  • 최영재;김정숙;차윤기;한강민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3권6호
    • /
    • pp.1400-1405
    • /
    • 2022
  • 좌심방 부속기 동맥류는 심장 빗살근의 선천성 이형성이나 승모판 또는 심근의 후천적 병변에 의해 생길 수 있는 매우 드문 심장 질환이다. 주로 흉부 CT나 심초음파에서 좌심방이 비정상적 팽창되어 우연히 발견되며, 환자의 대부분은 무증상이지만 생명을 위협하는 합병증과 관련이 있어 외과적 치료를 필요로 한다. 그러므로 정확한 진단과 함께 이에 동반된 합병증을 찾아내는 것은 중요하다. 본 증례 보고에서는 수술적 치료로 확진 된 53세 여성의 좌심방 부속기 동맥류를 소개하고 병태생리학을 바탕으로 진단과 함께 놓치지 말아야 할 합병증에 대한 CT 및 MRI 검사의 소견을 소개하고자 한다.

Closure of patent ductus arteriosus with a vascular plug in a German Shepherd dog

  • Han-Joon Lee;Taehyung Kwon;Gyeonggook Park;Dong-Kwan Lee;Joong-Hyun Song;Kun-Ho Song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55-59
    • /
    • 2024
  • A 4-year-old, spayed female German Shepherd dog (GSD) weighing 22.4 kg was referred to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Veterinary Medicine Teaching Hospital with the chief complaint of a cardiac murmur. A continuous murmur was detected at the left basilar region upon auscultation. In the thoracic radiographs, slight bulging of the aorta, the main pulmonary artery, and the left atrium were observed. Echocardiography revealed continuous turbulent flow directed from the main pulmonary artery towards the pulmonary valve and consistently within the main pulmonary artery. Based on all the results, a diagnosis of type II A patent ductus arteriosus (PDA) was made, and plans were established to treat it with transcatheter occlusion. Transcatheter occlusion was performed using a vascular plug and successfully deployed at the PDA. The patient did not exhibit any complications. GSDs are relatively less common compared to small-breed dogs in South Korea. Considering that GSDs are predisposed to PDA, it is crucial to periodically assess the presence of PDA through auscultation and echocardiography, even in the absence of clinical signs. Transcatheter occlusion using a vascular plug can be an option for treatment and can yield favorable outcomes.

심장세동의 수술요법 (The Surgical Treatment of Atrial Fibrillation in Patients Undergoing Simultaneous Open Heart Surgery)

  • 김기봉;이창하;손대원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3호
    • /
    • pp.287-292
    • /
    • 1997
  • 심방세동은 가장 흔한 부정맥 질환으로서,특히 승모판막 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60%에 이르는높은 빈도의 유병율을 보이는데,심방세동 환자의 약 113에서 혈전 색전증을 일으키고,혈전 색전증이 생긴 환자의 약 60%에서는 사망에 이르거나 심각한 합병증이 초래되므로 심장질환에 대한 수술시,동반 심 방세동에 대한 적극적 인 치료가 고려되어야 한다. 서울대학교병원 흉부외과학교실에서는 1994년 4월부터 1995년 6월까지 심방세동을 동반한 심장질환 을 가진 20명의 환자에서 Maze 술식을 포함한 개심술을 시행하였다 대상환자들의 남녀 성비는 남 '녀 : 6 : 14 이 었으며, 평균연령은 48$\pm$11세 (31 ~66세) 였다. 1년이상 지 속된 만성 심방세동이 14례(70%)였고, 1년미만인 경우가 6례(30%)였으며,심방세동의 과거력은 평균 36$\pm$42개월(1~132개월)이었다. 수술전 혈전전색증의 과거력이 있었던 경우가 7례(35%), 좌심방내에 혈전이 있었던 경우가 9례(45%)였다. 동반 심장질환으로는 판막질환이 19례,심실중격결손증이 1례였 으며, Maze술식과 더불어 승모판막 및 대동맥판막 치환술이 5례, 승모판막 치환술을 시행한 경우가 4 fl, 승모판막 치환술 및 삼첨판\ulcorner 성형술 4례, 승모판막 성형술 3례, 승모판막 성형술 및 삼첨판막 성형 술이 1례, 승모판막 치환술 및 관상동맥 우회술이 1례, 대동맥판막 치환술 1례, 심실중격결손봉합술이 1례 였다. 대동맥차단시간은 평균 175 :41분(116~270분)이었다. 수술과 관련된 사망은 없었으며, 수술 후 심방세동의 재발이 16명(80%)에서 있었으나, 수술후 평균 41일째 규칙적인 심박동 소견을 보였다. 수술후 합병증으로서는 저심박출증을 보였던 경우가 3례 (15%), 술전 존재하였던 반신불수의 악화가 1 례, 그리고 급성 신부전이 1례씩 관찰되었다. 20명의 외래추적 관찰기간은 평균 16.5개월(10.5~24개월) 이었는데, 외래 추적기간 중 모든 환자에서 규칙적인 심박동의 소견을 보였으며, 정상 동방결절리듬을 보인 경우 17례 (85%)중에서 항부정맥제의 투여가 필요 없는 경우가 13례 (76%)이고 나머지 4례에서는 항부정맥제를 투여중이며, 접합부 율동을 보이는 3례 (15%) 중 2례에서는 항부정맥제를 투.i중이고, 1 례는 접합부 서맥으로 인공심박동기 (DDD-R type : AAI mode)의 삽입이 필요했다. 추적기간 중에 심에 코검사는 19명에서 시행하였는데, 우심방 수축력이 보이는 경우가 1 례 (95%) 이었고, 좌심방 수축력은 12례 (63%)에서 명백히 관찰되 었다. 심장질환에 대한 개심술시 Maze술식을 동반시행할 경우심장허혈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으나, 최근의 발달된 심근보호법의 적용으로 수술에 따른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심방세동의 적극적 인 치료를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미온혈 심정지액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Experiences of Continuous Tepid Blood Cardioplegia; Valvular Heart Surgery)

  • 이종국;박승일;조재민;원준호;박묘식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2호
    • /
    • pp.130-137
    • /
    • 1999
  • 배경: 심장 수술시 저온 요법은 심근 보호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요소로 인식되었고 널리 사용되어 왔으나 여러 가지 장점에도 불구하고 효소기능, 세포막 안정성, 조직의 산소이용, ATP 생성과 이용, 심근세포 보존에 해를 끼치는 등 단점이 있다. 1989년 이러한 단점을 없앤 심장의 전기 기계적 정지, 연속적인 온혈 심정지액의 관류에 의한 정온 호기 상태의 심정지에 기초를 둔 새로운 심근 보호법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연속 온혈 심정지액의 사용에 있어서 적절한 관상정맥동의 주입속도, 압력, 연속 심정지액의 사용시 중단 가능한 시간, 심정지액의 온도 등에 대한 논쟁이 계속되어 왔으며 심정지액의 온도를 37$^{\circ}C$, 34$^{\circ}C$, 33$^{\circ}C$ 및 29$^{\circ}C$ 등의 변화를 주어 각각에 대한 연구 보고가 있어 왔다. 대상 및 방법: 저자들은 1994년 10월부터 1995년 2월까지 연속 온혈 심정지액을 사용하여 판막수술을 받은 18명의 환자와 1996년 5월부터 1997년 7월까지 연속 미온혈 심정지액을 사용하여 판막수술을 받은 17명의 환자를 임상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저자들의 결과는 심폐기 가동시간, 대동맥 차단시간, 대동맥 차단 해제부터 심폐기 이탈시간, 체외순환중 혈중 최고치 칼륨 농도, 술후 인공호흡기 이탈시간, 술후 1시간 및 12시간 심근 효소 검사, 술후 심근 수축제 및 혈관 확장제의 사용 등에서 양군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술중 소변 배출량 및 술후 12시간 동안의 소변량은 연속 온혈 심정지액을 사용한 군에서 많이 배출되었고, 대동맥 차단 해제후 자연 심박 재개율은 연속 온혈 심정지액군에서 높았다. 결론: 이상과 같은 결과들을 통해서 본 교실에서는 성인 심장 판막수술시 연속 미온혈 심정지액을 이용한 방법은 적어도 연속 온혈 심정지액의 심근보호 효과만큼은 얻을 수 있었다.

  • PDF

흉골 봉합 방법이 흉골 열개 및 감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ternal Closure Method on Sternal Dehiscence With or Without Infection)

  • 이삼윤;박권재;고광표;최종범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6호
    • /
    • pp.485-489
    • /
    • 2001
  • 배경: 수술 후 흉골 합병증을 유발하는 원인 인자들 중 흉골 봉합선의 견고성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크다. 본 저자들은 흉골 봉합 방법에 따른 흉골 열개 및 감염의 발생빈도를 조사하여 합병증이 적은 가장 효과적인 흉골 봉합 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1월부터 1999년 7월까지 개심술을 받았던 환자들중 45세 이상의 환자 489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봉합 철사 6개로 단순 봉합을 한 159예, 흉골병에 2개의 단순 봉합 후 3개의 8자형 봉합을 한 119예, 각 늑간에 2개씩 10개의 단순 봉합한 150예, 단순 봉합과 8자형 봉합을 혼합하여 사용한 61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234예에서 판막수술을, 213예에서 관상동맥 우회술을 시행하였으며, 42예에서 그 외의 수술을 하였다. 결과: 총 12예(2.5%)에서 흉골 열개 및 감염의 합병증이 발생하였다. 수술 후 흉골 절개부의 합병증은 철사 6개를 이용한 단순 봉합 환자군의 3.1%(5/159)에서, 8자형 봉합 환자군의 3.4%(4/119)에서, 철사 10개를 이용한 겹치기 단순 봉합 환자군의 2.0%(3/150)에서 발생하였으며, 단순 봉합과 8자형 봉합을 혼합하여 사용한 환자 군에서는 합병증이 없었다(교차비에서 유의성은 없으나 다른 세 봉합방법에 대한 상대위험도에서는 유의성을 보임). 판막수술을 받은 환자군의 7예(3.0%), 관상동맥 우회술을 받은 환자군의 5예(2.3%)에서 흉골 합병증이 발생하여 수술 종류에 따른 흉골 감염의 차이는 없었으며, 당뇨병은 흉골 합병증의 독립적인 위험인자가 될 수 있었다(교차비 및 다량분석에서 p = 0.00). 결론: 흉골 봉합 때 단순 봉합과 8자 봉합의 혼합방법을 사용함으로써 흉골봉합이 용이하고 수술 후 흉골의 열개나 감염의 합병증을 줄일 수 있다고 생각된다. 비해 64.5 $\pm$ 4.6%, 63.8 : 4.4%로 유의하게 개선된 소견을 보였으나(P<0.05), ll, III군에서 reserpine 및 prazosin으로 전처치 조건을 차단한 V, Vl군은 동일한 재관류 시간이 경과한 후 developed pressure는 52.2 $\pm$ 5.2%, 49.8 $\pm$ 5.7%로 단위시간당 수축기 좌심실압의 회복율은 54.8 $\pm$ 5.1%, 53.3 $\pm$ 3.6%로 II, III군에 비해 유의한 회복율의 감소를 보였고 이러한 회복율은 I군에 비해 유의한 차가 없었다. 결론: 교감신경 $\alpha$-수용체 작용약물에 의한 약물학적 전처치는 재관류 후 심근기능 회복에 유익한 효과를 나타냈으며, 이러한 전처치 효과는 교감신경계 신경전달물질의 고갈이나 $\alpha$1-수용체 차단제에 의해 소멸되는 것으로 보아 전처치에 의한 심근보호효과는 교감신경계 전달물질 및 $\alpha$1-수용체를 통해 유도됨을 알 수 있다.380$\pm$71 mL, p=0.05).방 및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물질을 개발할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을 공급한 대조구에 비해 높았다. 어미의 성 성숙 및 산란은 두 번의 실험에서 대조구보다 저염분구에서 원만히 이루어졌다. 암컷 성숙 개체의 경우 1차 실험은 대조구 6마리, 저염분구 12마리였으며, 2차 실험은 대조구 5마리, 저염분구 12마리였으며, 2차 실험은 대조구 5마리, 저염분구 14마리로서 성숙유도에 있어 염분의 조절에 의한 성숙이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산란 시기는 1차 실험에서 대조구나 저염분구의 산란 개시 시점이 거의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