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bon dioxide gas production

검색결과 202건 처리시간 0.033초

이산화탄소 포집기술 국외 기술개발 동향 (Global Trend of CO2 Capture Technology Development)

  • 백점인
    • KEPCO Journal on Electric Power and Energy
    • /
    • 제2권2호
    • /
    • pp.143-165
    • /
    • 2016
  • COP21에서 채택된 파리협정에서 명시한 지구 대기온도 $2^{\circ}C$ 이하 상승억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현재 각 당사국이 제출한 감축 목표치로만은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향후 감축목표를 상향하기 위한 작업이 이루어질 것이다. $CO_2$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여러 수단 중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CCS: Carbon Capture and Storage)은 필수 옵션으로 현재 전세계에서 대규모 실증이 진행되고 있다. 실증 단계에 있는 1세대 기술의 경우 높은 포집비용 및 발전원가 상승으로 정책적 뒷받침 없이는 시장보급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비용을 저감하기 위한 2세대, 3세대 혁신 포집기술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2세대 기술들은 파일럿 규모로, 3세대 기술들은 벤치규모로 연구되고 있다. 본 리뷰 논문에서는 전세계 대규모 CCS 실증 사업 현황을 살펴보고, 2세대, 3세대 포집기술에 대해 연소전, 연소후, 신연소기술로 구분하고 습식 포집기술, 건식 포집기술, 분리막 기술, 산소연소기술의 세부 기술개발 내용에 대한 현재까지의 기술개발 결과를 요약정리하였다.

상품적 유통을 고려한 김치 포장의 기술혁신 현황 (Technology Innovation in Kimchi Packaging for Marketing in Food Supply Chain)

  • 이동선;권호령;안덕순;정희국;이광식;양동진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18권1_2호
    • /
    • pp.1-8
    • /
    • 2012
  • 한국고유 발효채소인 김치는 살균공정이 없이 미생물이 살아있는 상태로 유통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저장 유통 중에 젖산과 이산화탄소가 생성되어 문제를 야기한다. $CO_2$ 생산은 두 단계로 이루어지는데, 처음에 빠르고 나중에 낮으며, $CO_2$ 생산속도는 김치 종류, 염도 및 저장온도에 따라 다르다. 김치로부터 생산되는 $CO_2$ 기체는 포장 내에 축적되어 부피팽창과 압력발생을 야기한다. 염도와 저장온도에 따른 $CO_2$ 생산속도의 함수적 의존관계는 문헌에서 발표된 바가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여러 저장조건에서의 부피 및 압력의 변화를 예측하는 것이 가능하다. $CO_2$ 발생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서 기체확산 핀홀, 고 $CO_2$ 투과 필름, $CO_2$ 흡수제 등의 이용이 검토되고 연구되어 왔다. 이러한 기법을 적절히 도입하여 설계된 포장은 김치에 높은 용존 $CO_2$와 함께 높은 탄산미의 관능적 품질을 하면서도 부피팽창과 압력발생을 완화할 수 있었다. 각 방법의 장점과 함께 한계를 검토 고찰하였다.

  • PDF

2단의 슬러지-고정상 반응기에서 페놀 함유 폐수의 혐시성 처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erobic Treatment of the Phenol-bearing Wastewater with two Sludge Blanket-Packed Bed Reactors in Series)

  • 정종식;안재동;박동일;신승훈;장인용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9
    • /
    • 1995
  • This study was carried to investigate the biodegradability of phenol in the wastewater with the two sludge blanket-packed bed reactor in series. Each reactor had a dimension of 0.09 m i.d. and 1.5 m height and consisted of two regions. The lower region was a sludge blanket of 0.5 m height and the upper region was a packed-bed of 1 m height. The packed bed region was charged with ceramic raschig rings of 10 mm i.d., 15 mm o.d. and 20 mm length. The reactors were operated at 35$\circ$C and the hydraulic retention time(HRT) was maintained 24 hours. The synthetic wastewater composed of glucose and phenol as major components was fed into the reactor in a continuous mode with incereasing phenol concentration. In addition, the nutrient trace metals($Na^+, Mg^{2+}, Ca^{2+}, PO_4^{3-}, NH_4^+, Co^{2+}, Fe^{2+}$ etc.) were added for growing anaerobes. The phenol concentration of the effluent, the overall gas production, the composition of product gas, the efficiency of COD reduction and the duration of acclimation period were measured to determine the performance of the anaerobic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s the phenol concentration of the influent was increased from 600 to 2400 mg//l. Successfully stable biodegradation of phenol could be achieved with the anaerobic treatment system from 600 to 1, 800 mg/l of the influent phenol concentration. The upper level of influent phenol loading was high enough to meet most of the practical requirement. The duration of acclimation increased with the phenol loading. At steady state of the influent phenol concentration of 1800 mg/l, the treatment performance indicated the phenol reduction efficiency of 99%, the COD reduction efficiency of 99% and the gas production rate of 37 l/day. At the influent phenol concentration of 2400 mg/l, however, the operation of the treatment system was noted unstable. While the concentration of methane in biogas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influent phenol loading, the carbon dioxide was increased. However, the concentration of hydrogen was varied negligibly. The concentration of methane was high enough to be used as a fuel. As a result, it is suggested that anaerobic phenol wastewater treament was economical in the sense of energy recovery and wastewater treatment.

  • PDF

이차전지 양극활물질 제조용 소성로의 열화학적 해석 (Thermo-Chemical Analysis of a Calcination Furnace to Produce Cathode Material for the Secondary Batteries)

  • 황민영;김용균;전충환;송주헌;김용태;장윤한
    • 전기화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55-161
    • /
    • 2009
  • 리튬 2차전지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으로 사용되어 왔다. 최근 하이브리드 자동차, 전기자동차의 에너지 저장매체로써 적용으로 인해 시장 확대가 기대되고 있다. 양극 활물질은 리튬2차전지의 성능, 수명, 용량을 결정하는 물질이며, 급증하는 시장의 수요에 따라 양극 활물질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시급하다. 본 연구에서 실제 양극 활물질($LiCoO_2$) 생산라인에서 가동 중인 소성로를 3D 모델링하였고, 수치적 해석을 통해 소성로 내부의 온도와 유동의 방향, 화학적 거동을 밝혀내었다. 결과로써, 생산량 증가로 인해 소성로에서 생성되는 $CO_2$ 농도가 증가하며 정체되는 지점을 확인하였고, TGA-DSC 실험을 통해 $CO_2$가 몰분율 15%이상에선 $LiCoO_2$의 적절한 형성에 영향을 주는 현상을 확인하였다. 또한 소성로의 형상변화와 공정조건의 변화를 통해 문제되는 $CO_2$를 원활히 배출할 수 있는 해결책을 제안하였다.

A Case Study to Estimate the Greenhouse-Gas Mitigation Potential on Conventional Rice Production System

  • Ryu, Jong-Hee;Lee, Jong-Sik;Kim, Kye-Hoon;Kim, Gun-Yeob;Choi, Eun-Jung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502-509
    • /
    • 2013
  • 2011~2012년 2년간 전북 군산과 익산 지역의 관행농 벼를 재배하는 농가를 대상으로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을 위한 인벤토리 목록을 구축하였다. 2년 누적 평균 데이터를 사용하여 전과정평가를 수행하고, 탄소성적 산출 및 온실가스 배출의 주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된 온실가스 배출 주요인자들을 대상으로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여 온실가스 잠재량을 산정하고, 대상지역 농가들이 적용할 수 있는 온실가스 저감 영농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관행농 쌀 생산농가를 대상으로 전과정 목록분석을 수행한 결과 탄소성적은 쌀 1 kg 생산을 기준으로 2.21 kg $CO_2.-eq.kg^{-1}$가 발생되었다. 온실가스 중 $CO_2$ 배출량이 가장 많았으나, 지구온난화 지수를 곱하여 이산화탄소 등가 ($CO_2$-eq.)로 환산하면 벼 생산체계의 탄소성적에서 메탄발생 기여도가 가장 컸다. 전체 $CO_2$ 배출량 중 복비생산 공정에서 37%가 발생하였고, 단비생산으로 10%, 벼 재배과정 중 40%가 발생하였다. 벼 재배 중 $CO_2$ 발생원은 농기계의 화석연료 사용에 의한 불완전 연소이다. $CH_4$는 대부분 벼 재배 중에 발생되었으며, 벼논의 메탄 발생 요인은 혐기조건의 담수논이다. $N_2O$은 대부분 벼 재배과정에서 배출되었고, 벼 재배 중 $N_2O$의 발생요인은 복비, 요소 비료, 퇴비 등의 비료시용이었다. 에너지 사용량 변화에 따른 민감도 분석결과 에너지원 중 경유의 민감도가 가장 높았고, 경유사용량을 10% 줄였을 때 약 2.5%의 $CO_2$ 감축 잠재량이 산정되었다. 복비 시용량을 10% 줄였을 때 $CO_2$는 약 1%, $N_2O$는 약 1.8%의 감축잠재량이 산정되었다. 퇴비시용을 10% 줄이면 약 1.5%의 메탄발생이 감소하고, 아산화질소는 약 1% 감소효과가 나타났다. 물떼기 일수가 10일 증가하면 메탄발생량이 약 4.5% 감소되었다. 투입량의 변화에 따른 온실가스 감소 효과가 가장 큰 요인은 벼논 물떼기 일수의 증가 및 경운과 수확시 사용하는 농기계용 경유사용량 감소였다. 그에 따라 중간낙수 및 무경운 등이 탄소배출 저감 영농법으로 제시되었다.

Soil CO2 Efflux and Leaf-Litter Decomposition of Quercus variabilis and Pinus densiflora Stands in the Southern Region of Korean Peninsular

  • Kim, Sung Bin;Jung, Nam Chul;Lee, Kye-Han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8권2호
    • /
    • pp.183-188
    • /
    • 2009
  •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CO_2$) absorbed by plants and released from forest floor into atmosphere, to gain a better understanding how forests participate in the global carbon cycle. Soil $CO_2$ efflux, litter production, and decomposition were investigated in Q. variabilis and P. densiflora stands in the vicinity of Gwangju, Chonnam province. Soil $CO_2$ efflux was measured using Infrared Gas Analyzer (IRGA) at midday of the 10th day at every month over 12-month period, to quantify seasonal and annual budgets of soil $CO_2$ efflux. Soil temperature and soil moisture were measured at the same time. Seasonal soil $CO_2$ efflux in Q. variabilis and P. densiflora were the highest in summer season. In August, maximum soil $CO_2$ efflux in Q. variabilis and P. densiflora was 7.49, $4.61CO_2{\mu}mol{\cdot}m^{-2}{\cdot}s^{-1}$, respectively. Annual $CO_2$ efflux in each stand was 1.77, $1.67CO_2kg{\cdot}m^{-2}$ respectively. Soil $CO_2$ efflux increased exponentially with soil temperature and related strongly in Q. variabilis ($r^2$=0.96), and in P. densiflora ($r^2$=0.91). Litter production continued throughout the year, but showed a peak on November and December. Annual litter production in the Q. variabilis and P. densiflora stands were $613.7gdw{\cdot}m^{-2}{\cdot}yr^{-1}$ and $550.5gdw{\cdot}m^{-2}{\cdot}yr^{-1}$.$yr^{-1}$, respectively. After 1 year, % remaining mass of Q. variabilis and P. densiflora litter was 48.2, 57.1%, respectively. The soil $CO_2$ efflux rates in this study showed clear seasonal variations. In addition, the temporal variation in the $CO_2$ efflux rates was closely related to the soil temperature fluctuation rather than to variations in the soil moisture content. The range of fluctuation of soil $CO_2$ efflux and litter decomposition rate showed similar seasonal changes. The range of fluctuation of soil $CO_2$ efflux and litter decomposition rate was higher during summer and autumn than spring and winter.

담수토양에서 메탄생성반응 보효소 니켈의 킬레이팅에 의한 메탄 생산량의 효과적 저감 (Effective Suppression of Methane Production by Chelating Nickel of Methanogenesis Cofactor in Flooded Soil Conditions)

  • 김태진;황현영;홍창오;이증주;김건엽;김필주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82-289
    • /
    • 2014
  • 담수 토양인 논토양과 습지 토양에 킬레이팅 에이전트 EDTA를 처리하고 실내시험을 실시한 결과, 두 토양 모두에서 메탄 생산량이 확연히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EDTA 처리량을 증가시킴에 따라 토양수 내 니켈이 증가하였으며 메탄생성균의 활성은 저감되었다. 메탄생성균의 활성이 저감됨에 따라 메탄 생산량은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메탄생성균의 활성과 메탄생성량은 상당히 유의한 상관관계를 지니고 있었다. 이러한 메탄 저감 효과는 EDTA처리에 따라 coenzyme F430의 Ni이 EDTA와 킬레이팅 화합물을 형성함에 따라 분자크기가 증대하게 됨으로서 methyl coenzyme M reductase (MCR)에 의한 메탄을 생성하는 반응을 억제 시키는 것이 원인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담수토양에서 EDTA처리에 의해 니켈은 메탄생성균 체내로의 흡수가 억제되었고 이러한 니켈의 흡수저해는 메탄생성균의 활성을 억제시켜 토양으로부터 메탄 생산성량을 저감시킨 것으로 확인되었다.

Cupriavidus necator를 이용한 Poly(3-hydroxybutyrate) 생산에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미치는 영향 (Production of Poly(3-hydroxybutyrate) by Cupriavidus necator at Various Concentrations of Carbon Dioxide)

  • 박인선;조은혜;남경필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09-114
    • /
    • 2013
  • Polyhydroxyalkanoates (PHAs)는 다양한 미생물이 세포 내에 저장하는 에너지 저장물질로 생체적합성 플라스틱의 원료 물질이다. 본 연구에서는 Cupriavidus necator를 사용하여 독립영양배양조건으로 poly(3-hydroxybutyrate) (P(3HB))를 생산함에 있어서 $CO_2$ 농도가 미생물의 성장과 P(3HB)의 축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첫 번째 질소원을 포함한 배지에서의 6일 간의 배양 단계에서 C. necator의 균체수는 $CO_2$ 농도와 관계없이 증가했지만, 균체 내에 축적된 P(3HB)의 양은 $CO_2$ 농도가 1-20%로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두 번째 질소원이 제거된 배지에서의 4일 간의 배양 단계에서 P(3HB)의 축적량은 3% $CO_2$에서 가장 많았다. 하지만 전체 10일 간의 배양기간 동안 합성된 총 P(3HB)의 양은 1, 3, 10, 20%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O_2$를 사용하여 P(3HB)를 축적할 때 1-20% $CO_2$ 중에서 1% $CO_2$가 가장 효율적임을 확인하였다.

Effect of Lactobacillus mucosae on In vitro Rume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Dried Brewers Grain, Methane Production and Bacterial Diversity

  • Soriano, Alvin P.;Mamuad, Lovelia L.;Kim, Seon-Ho;Choi, Yeon Jae;Jeong, Chang Dae;Bae, Gui Seck;Chang, Moon Baek;Lee, Sang Su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7권11호
    • /
    • pp.1562-1570
    • /
    • 2014
  • The effects of Lactobacillus mucosae (L. mucosae), a potential direct fed microbial previously isolated from the rumen of Korean native goat, on the rumen fermentation profile of brewers grain were evaluated. Fermentation was conducted in serum bottles each containing 1% dry matter (DM) of the test substrate and either no L. mucosae (control), 1% 24 h broth culture of L. mucosae (T1), or 1% inoculation with the cell-free culture supernatant (T2). Each serum bottle was filled anaerobically with 100 mL of buffered rumen fluid and sealed prior to incubation for 0, 6, 12, 24, and 48 h from which fermentation parameters were monitored and the microbial diversity was evaluated. The results revealed that T1 had higher total gas production (65.00 mL) than the control (61.33 mL) and T2 (62.00 mL) (p<0.05) at 48 h. Consequently, T1 had significantly lower pH values (p<0.05) than the other groups at 48 h. Ammonia nitrogen ($NH_3$-N), individual and total volatile fatty acids (VFA) concentration and acetate:propionate ratio were higher in T1 and T2 than the control, but T1 and T2 were comparable for these parameters. Total methane ($CH_4$) production and carbon dioxide ($CO_2$) were highest in T1. The percent DM and organic matter digestibilities were comparable between all groups at all times of incubation. The total bacterial popul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1 (p<0.05) at 24 h, but then decreased to levels comparable to the control and T2 at 48 h. The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profile of the total bacterial 16s rRNA showed higher similarity between T1 and T2 at 24 h and between the control and T1 at 48 h. Overall, these results suggest that addition of L. mucosae and cell-free supernatant during the in vitro fermentation of dried brewers grain increases the VFA production, but has no effect on digestibility. The addition of L. mucosae can also increase the total bacterial population, but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total microbial diversity. However, inoculation of the bacterium may increase $CH_4$ and $CO_2$ in vitro.

Effects of Vibration Stress on the Quality of Packaged Apples during Simulated Transport

  • Jung, Hyun-Mo;Park, Jeong-Gil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7권1호
    • /
    • pp.44-50
    • /
    • 2012
  • Purpose: The characteristics of in-transit vibration stress and possible damage to packaged apples were examined. Methods: A simulated transportation environment with a specific power density profile was used for vibration impact experiments to determine the resulting decrease in packaged apple quality. Apples with or without vibration stress were stored at low temperature ($5{\pm}0.8^{\circ}C$, 75-85% relative humidity) for 30 day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 ${\leq}$ 0.05) were found between apples with and without vibration stress for concentration of oxygen ($O_2$; 11.2% and 14.1%, respectively; initially $29{\pm}0.4%$), carbon dioxide ($CO_2$; 26.4% and 21.8%; initially $1{\pm}0.2%$), and ethylene (79.4 ${\mu}LL^{-1}$ and 55.6 ${\mu}LL^{-1}$; initially $14.1{\pm}0.6{\mu}LL^{-1}$) in the headspace of a gas-collecting container after 30 days of storage. Result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also measured for apples with and without vibration stress with respect to soluble solid content (15.4% and 14.9%, respectively; initially $12.9{\pm}0.8%$ and $13.1{\pm}1.1%$), weight loss (10.1% and 8.2%), and firmness (139.7 kPa and 163.3 kPa; initially $213.8{\pm}6.2$ kPa and $209.1{\pm}7.9$ kPa) after 30 days of storage. Conclusions: The vibration stress clearly accelerated the degradation of apple quality during storage, resulting in increased weight loss, soluble solid content, and headspace $CO_2$ and ethylene production, and decreased firmness and headspace $O_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