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lcium acetate

검색결과 174건 처리시간 0.02초

칼슘락테이트 및 아세테이트가 김치의 숙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lcium Lactate and Acetate on the Fermentation of Kimchi)

  • 김순동;김일두;박인경;김미향;윤광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333-338
    • /
    • 1999
  • 김치의 보존성과 품질향상에 미치는 calcium lactate와 calcium acetate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calcium lactate와 calcium acetate를 0.5:0-0:0.5의 비율로 혼합하여 김치에 0.5%로 첨가, 1$0^{\circ}C$에서 숙성시키는 동안 pH, 산도, 칼슘함량, 조직의 광학현미경 관찰 및 관능검사를 행하였다. 그 결과 calcium lactate : calcium acetate가 0.4 : 0.1, 0.3 : 0.2, 0.2 : 0.1 비율로 첨가한 김치는 대조구 김치보다 가식한계일이 약 5일정도 연장되었다. 또 김치조직내의 칼슘함량은 46-66%가 증가되었으며 유세포조직의 손상도가 적었으며, 아삭아삭한 조직감과 종합적인 맛이 향상되었다.

  • PDF

진주담치 껍질을 이용한 아세트산 칼슘의 제조와 영양학적 가치 (Nutritional value of calcium acetate obtained from sea-mussel shell)

  • 류병호;이성호;하미숙;신동분;이상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42-47
    • /
    • 1987
  • The present studies were undertaken to prepare calcium acetate from sea-mussel shell and then, to investigate the calcium absorption ratio for calcium acetate by using young albino rate male. Purities such as chloride, nitrate, nitrate, sulfate, phosphate and heavy metal passed to test as reagent grade and calcium acetate assay was 99.0%.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body weight gain between calcium acetate group, calcium gluconate group and calcium carbonate group were not recognized. Diet consumptions of calcium acetate group was almost similar with calcium gluconate group and calcium carbonate group. It was found that absorption rate of calcium acetate was $57.68{\pm}0.83%,\;58.08{\pm}0.94%$ and was $2.0{\sim}3.0%$ high than calcium gluconate and calcium carbonate group.

  • PDF

Sodium Acetate와 Calcium Chloride를 첨가한 깍두기의 특성 (Effect of Sodium Acetate and Calcium Chloride on Characteristics of Kakdugj)

  • 엄진영;김광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40-144
    • /
    • 1990
  • 저장기간을 달리 ($20^{\circ}C$-단기간, $4^{\circ}C$-장기간)하여 Na-acetate와 Ca-chloride를 단독 혹은 혼합하여 첨가한 깍두기의 저장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pH, 산도 및 관능적 특성을 평가하였고 Instron을 이용하여 경도를 측정하였다. $20^{\circ}C$ 또는 $4^{\circ}C$에서 저장하는 동안 Na-acetate 첨가 및 그 첨가수준이 증가될수록 pH 감소는 억제된 반면 적정산도가 높게 나타나는 완충효과를 관찰하였다. Ca-chloride 첨가시 경도와 짠맛이 증가되었고 특히 이 두 가지 첨가제를 동시에 사용한 NaA Ca군에서 경도향상 효과기 상승되었으며, 0.3% Na-acetate 첨가로는 신맛이 감소되지 않았으나 0.6%로 첨가량을 증가시킨 경우에 신맛 감소효과가 현저하게 나타났다. Instron 측정결과 첨가제의 종류에 따라 시료의 변형을 위해 요구되는 힘의 크기가 달랐으며, $4^{\circ}C$$20^{\circ}C$저장시료 모두 Puncture test 보다 Compression test에 의해 시료들간의 경도차이가 확실하게 관찰되었고 관능검사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다.

  • PDF

Calcium Acetate 및 Potassium Sorbate를 첨가한 깍두기의 품질 특성 (Effect of Calcium Acetate and Potassium Sorbate on Characteristics of Kakdugi)

  • 김소연;엄진영;김광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5
    • /
    • 1991
  • 상온($20^{\circ}C$)에서 깍두기의 저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Ca-acetate, K-sorbate를 단독 혹은 혼용하여 그 효과를 관찰하였다. $20^{\circ}C$에서 4일동안 저장한 시료의 관능적 특성, Instron을 이용한 경도측정 및 비휘발성 유기산을 측정하였고, 10일동안 저장하면서 pH와 산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0.3%의 Ca-acetate가 첨가된 Ca-acetate군과 Ca-acetate/K-sorbate군에서 깍두기의 단단한 정도, 아삭아삭한 정도, 질긴 정도가 큰 것으로 평가되었고 신맛이 증가하였으며 바람직한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총 비휘발성 유기산이 대조군에 비해 많이 생성된 것으로 관찰되었다. 저장 8일까지 이 시료들의 산도가 높은 반면 pH의 변화는 적은 것으로 나타나 Ca-acetate가 완충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0.1%의 K-sorbate가 첨가된 시료는 대조군에 비해 단단한 정도와 질긴 정도가 조금 증가하였으며 신맛이 감소되었으나 바람직한 정도가 다른 시료들에 비해 낮게 평가되었다. 저장기간 동안 K-sorbate에 의한 산생성 억제효과가 현저하여 총산 생성량이 가장 적었고 4일 저장시료의 총 비휘발성 유기산 생성량은 대조군과 유사하였다. Instron으로 측정한 깍두기의 경도는 압착실험이 관능검사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압착실험 결과, Ca-acetate 첨가시료가 단단하였으며 특히, K-sorbate와 혼합하여 첨가한 시료에서 경도증진 효과가 상승하였다.

  • PDF

수종(數種)의 약제(藥劑)가 배나무의 낙과(落果) 및 에틸렌 발생(發生)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Some Chemials on Ethylene Evolution and Abscission of Fruits and Leaves in Oriental Pera)

  • 박미옥;이재창;구자형
    • 농업과학연구
    • /
    • 제10권1호
    • /
    • pp.74-83
    • /
    • 1983
  • 낙과(落果)를 유기할 수 있는 약제(藥劑)인 NAA, MEP제(劑), carbaryl 및 ethephon을 배 장십랑(長十郞)과 금촌추(今村秋)에 처리(處理)하여 낙과(落果)와 ethylene과의 관련성을 조사(調査)하는 한편 낙과량(落果量)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으로 calcium acetate를 가용(加用)한 ethephon과 carbaryl를 처리(處理)하였을 때의 낙과(落果)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기 위(爲)하여 본(本) 실험(實驗)을 실시(實施)하였다. 1. 장십랑(長十郞)의 경우는 MEP제(劑), NAA, carbaryl, ethephon 모두 적과효과(摘果效果)가 있었으나 금촌추(今村秋)의 경우는 MEP와 carbaryl만 적과효과(摘果效果)가 인정(認定)되었다. 2. ethylene 발생량(發生量)은 ethephon 처리구(處理區)만이 촉진(促進)되었고 MEP제(劑), NAA, carbaryl는 영향(影響)을 미치지 않았다. 3. 과실내(果實內)의 당함량(糖含量)에는 MEP제(劑), NAA, carbaryl, ethephon 모두 영향(影響)을 미치지 않았다. 4. calcium acetate를 가용(加用)하므로서 ethephon이나 carbaryl에 의(依)한 적과효과(摘果效果)가 소실(消失)되었다. 5. ethephon에 가용(加用)한 calcium acetate의 농도(濃度)에 따라 낙엽율(落葉率)을 조절(調節)할 수 있었다. 이상(以上)의 결과(結果)로 보아 공시(供試)한 약제(藥劑)들이 낙과(落果)를 일으키는 것은 ethephon을 제외하고는 ethylene이 직접적(直接的)인 낙과원인(落果原因)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었고, 한편 calcium acetate를 적량가용(適量加用)하므로서 적과정도(摘果程度)의 조절(調節)이 가능(可能)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 PDF

Ethychlozate와 Ca제제 혼용살포가 하우스밀감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oliar Application of Ethychlozate Mixed with Calcium Formulae on a Fruit Quality of Satsuma Mandarin ('Miyagawa Wase') in Plastic Film House Cultivation)

  • 김용호;문덕영;김한용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8권5호
    • /
    • pp.605-611
    • /
    • 2000
  • 과실비대 성숙기가 여름철 고온환경에 처해지는 후기작형(12월 하순 이후 가온) 하우스 밀감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부피경감을 위하여 ethychlozate와의 혼용에 적합한 칼슘제제를 선발하고자 ethychlozate에 clef-non, suical, cell-bine, clacium acetate monohydrate를 혼용하여 살포하고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Ethychlozate에 clef-non 또는 suical 칼슘제제를 혼용하여 살포하여 주는 것이 하우스밀감의 착색을 촉진시키고 또한 착색도 a값이 높아지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부피과가 발생되지 않아서 상품성을 높일 수 있었다. 환원당은 무처리, ethychozate 단용구, ethychlozate+clef- non, ethychlozate+suical, ethychlozate+cell-bine, ethychlozate+calcium acetate monohydrate에서 각각 4.98, 5.30, 5.59, 5.00, 5.20, 4.72%로 ethychlozate에 clef-non을 혼용하여 주는 것이 무처리에 비해 0.61% 높았으며 자당과 총당도 이와 유사한 경향이었다. Brix 당도는 ethychozate 단용구, ethychlozate+clef-non, ethychlozat+suical, ethychlozate+cell-bine, ethychlozate+calcium acetate monohydrate에서 각각 11.33, 12.20, 12.70, 12.00, 11.93, $11.40^{\circ}Brix$로 ethychlozate 단용구와 calcium acetate monohydrate를 제외한 칼슘제제 혼용구에서 $12^{\circ}Brix$ 이상으로 높은 편이었는데, 특히 clef-non 혼용구가 $12.70^{\circ}Brix$로 가장 높았으며 당산비도 이와 유사한 경향이었고, 산도는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

  • PDF

식초와 다슬기회분을 이용하여 제조한 초산칼슘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Calcium Acetate Prepared with Vinegars and Ash of Black Snail)

  • 이명예;이예경;김순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593-597
    • /
    • 2004
  • 천연의 수용성 칼슘자원을 얻기 위하여 현미식초(Br),감식초(Pe) 및 사과식초(Ap)와 다슬기 회분으로 제조한 액상 및 고상의 초산칼슘(LCA및 SCA) 즉, 액상으로 Br-LCA, Pe-LCA, Ap-LCA와 고상으로 Br-SCA, Pe-SCA, Ap-SCA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초산칼슘 제조용 식초의 pH는 2.34∼3.06 범위였으며, 식초 100 mL과 반응하는 다슬기 회분의 양은 20.43∼23.50g, 고상 초산칼슘의 수율은 11.02∼13.01%(w/v)이었다. Ap-LCA 및 Ap-SCA의 색상은 연한 황색을 띠었으나 Br-LCA 및 Br-SCA는 갈색, Ap-LCA 및 Ap-SCA는 진한 갈색을 띠었다. Br-LCA, Pe-LCA 및 Ap-LCA의 칼슘함량은 각각 3.02, 2.06 및 2.30%(w/v)이었으며, Br-SCA, Pe-SCA 및 Ap-SCA의 칼슘함량은 각각 27.15, 16.31 및 19.48%(w/w)이었다. 고상초산칼슘의 용해도는 증류수에서 36.82∼39.92%(w/v), 소주에서 32.05∼39.04%(w/v), 진간장에서 13.12∼18.65%(w/v), 이온음료에서 38.35∼38.90%(w/v), 요구르트에서 33.47∼35.58%(w/v)이었으며 두유와 우유에서는 curd를 생성하였다. 신맛과 쓴맛은 표준품에 비하여 낮았으나 떫은 맛, 비린 맛 및 맛난 맛은 높았다.

세균(細菌) amylase 의 내열성(耐熱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第) 1 보(報)) -Calcium 및 Sodium 염(鹽)의 영향 (影響)에 대(對하)여- (Studies on the Heat Resistance of Bacterial Amylase (part 1) -Effect of Calcium and Sodium Salts-)

  • 박윤중;이한창;이석건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9권
    • /
    • pp.105-109
    • /
    • 1968
  • 1. Bacillus subtilis var. M-181이 생산(生産)한 amylase에 내열제(耐熱劑)를 첨가(添加)하지 않았을 때의 작용(作俑) 최적온도(最適溫度)는 $50^{\circ}C$였으며 $75^{\circ}C$로 10분(分)간 가열(加熱) 했을 때는 완전(完全)히 실활(失活)되었다. 2. 내열제(耐熱劑)로서 sodium 염(鹽)은 그 종류(種類)에 따라 영향(影響)이 각각(各各) 다르며 유기염(有機鹽)으로서 monosodium glutamate, sodium acetate, sodium propionate 등(等)의 효과가 현저(顯著)하였다. 3. Sodium sulfate 는 효소액(酵素液) 1 ml$(D_{30'}^{40^{\circ}}\;1250/ml)$에 10mg 첨가(添加)했을 때를 정점(頂點)으로 하여 약간(若干)의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그 이상(以上)의 농도(濃度)에서는 점차(漸次) 내열효과가 저하(低下) 되었으나 400mg 이상(以上)의 농도(濃度)에서는 다시 내열성(耐熱性)이 증대(增大)되었다. 4. Sodium acetate와 calcium acetate가 공존(共存)할때는 상승적(相乘的) 효과가 인정(認定)되었으나 음(陰) ion으로서 $Cl^{-}$의 공존효과는 인정(認定)하기 어려웠다.

  • PDF

다양한 양극산화막 처리방법이 임프란트 골유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VARIOUS INODIZING CHARACTERISTICS ON BONE INTEGRATION OF TITANIUM IMPLANT SURFACE DESIGN)

  • 차수련;이준;민승기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0권5호
    • /
    • pp.417-427
    • /
    • 2008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nodizing surface to osseointegration of implant by using of resonance frequency analysis (RF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sessment of an anodically modified implant type with regard to osseous healing qualities. A total of 96 screw-shaped implants were prepared for this study. 72 implants were prepared by electrochemical oxidation with different ways. 24 (group 1 SP) were prepared at galvanostatic mode in 0.25M sulfuric acid and phosphoric acid. 24 (group 2GC) were prepared at galvanostatic mode in calcium glycerophosphate and calcium acetate and 24 (group 3 CMP (Calcium Metaphosphate) Coating were prepared at galvanostatic mode in 0.25M sulfuric acid and phosphoric acid followed by CMP coating. Rest of 24 (control group were as a control group of RBM surface. Bone tissue responses were evaluated by resonance frequency analysis (RFA) that were undertaken at 2, 4 and 6 weeks after implant placement in the mandible of mini-pig. Group 1 SP (anodized with sulfuric acid and phosphoric acid implants) demonstrated slightly stronger bone responses than control Group RBM. Group 2 GC (anodized surface with calcium glycerophosphate and calcium acetate implants) demonstrated no difference which were compared with control group. Group 3 GMP (anodized and CMP coated implants) demonstrated slightly stronger and faster bone responses than any other implants. But, all observation result of RF A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xperimental groups with various surface type. Histomorphometric evaluation demonstrated significantly higher bone-to-implant contact for group 2 GC. Significantly more bone formation was found inside threaded area for group 2 GC. It was concluded that group 2 GC (anodized surface with calcium glycerophosphate and calcium acetate implants) showed more effects on the bone tissue responses than RBM surface in initial period of implantation. In addition, CMP showed a tendency to promote bone tissue responses.

응고제가 우유 첨가 두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agulants on the Quality of Soybean Curd Added With Cow's Milk)

  • 김태영;김중만;조남준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7권5호
    • /
    • pp.370-378
    • /
    • 1994
  • 두유에 우유를 40% 첨가시킨 두부 제조를 위하여 각 응고제별 및 첨가농도별로 두부를 제조하여 gel형성, 순물(whey)의 탁도, 단백질함량, 두부 생산량, 무기질함량, 조직특성과 색도를 비교 조사하였다. Calcium염 응고제는 0.3%(v/v), magnesium chloride는 0.4%, 유기산 응고제는 0.2% 첨가수준에서 대두와 우유 단백질의 공침전이 일어났으며 각 응고제 첨가비율에 비례하여 whey 탁도와 단백질의 유출량이 낮아졌다. 각 응고제 첨가 적정수준은 calcium acetate, calcium sulfate, calcium lactate 가 각각 1.2%(v/v), calcium chloride, gluconodelta-lactone이 각각 1.0%(v/v), magnesium chloride, lactic acid 0.8%(v/v), acetic acid는 0.6%(v/v)였으며 두부 생산량은 calcium chloride를 응고제로 사용했을 때 가장 높았다. 무기질의 함량은 calcium염 응고제가 유기산 응고제보다 Ca은 약 3.3배 많았고 K, Mg, Na, Fe도 약간 높았다. Texturemeter에 의한 우유 첨가 두부의 조직특성 조사결과 가장 단단한 두부는 acetic acid 두부이었고 calcium염 중에서는 calcium sulfate가 단단하였다. 응고제별 두부의 색도 비교에서 명도는 유기산 두부가 약간 높았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calcium염 두부가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