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tylparaben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19초

Simultaneous HPLC determination of multiple compounds in a cosmetic lotion

  • Baeksun Ahn;Jung, Chul-Hee;Lim, Ho-Soon;Lee, Hoosub;Lee, Sang-Hoon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23-134
    • /
    • 2003
  •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 방법을 사용하여 동시에 arbutin, 메탄올에 녹인 methyl, ethyl, prpyl, butyl parben과 glablidien(유용성감초추출물)을 파장 254와 276 nm에서 Gradient methanol로 octdecyl culumn을 사용하여측정하였다. arbutin와 glablidien 농도 0.5-1.0 ug/ml 파라벤류는 0.1-2.0 ug/ml에서 검량선이 직선으로 작성되었다. 검량이 직선으로 나타나 정량분석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샘플 전처리가 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하기에 좋은 방법이란 것을 판정하기 위하여 일반로션을 사용하여 판정하였다. 이 방법의 정확도는 모든 측정물질(arbutin, methylparaben, ethylparaben, propylparaben, butylparaben, glablidine)의 회수율 상대표준편차(RSD)가 (0.28-2.55%) 나타나 신뢰성 있는 결과를 보였다.A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method for the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arbutine, a mixture of methyl, ethyl, propyl, butyl parabens dissolved in methoanol and Glrablidine(Oil Soluble Licorice), was studied by using a ODS C18 column and a methanol gradient at 254 and 276 nm. Calibration curves were found to be linear in the 0.5-1.0 ug/ml range(compounds arbutine, glrablidin) and 0.1-20 ug/ml (compounds methylpaaben, ethylparaben, propylparaben, butylparaben). Linear regression analysis of the data demonstrates the efficacy of the method in terms of precision and accuracy. An extraction method is developed and validated in order to apply this chromatographic method to a cosmetic lotion. The presision of this method, calculated as the relativ standard deviation(RSD) of the recoveries(0.28-2.55%) was excellent for all compounds.

합성 항균제를 대체하기 위한 천연물질의 항균 효과 (The Antimicrobial Effects of Natural Aromas for Substitution of Parabens)

  • 조춘구;김봉남;홍세흠;한창규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66-185
    • /
    • 2002
  • 화장품 항균제로 사용되는 합성물질인 paraben과 천연물질인 aroma oil의 항균력을 비교하였다. Aroma oil은 pine, rosemary, lemon, eucalyptus와 paraben은 methylparaben, butylparaben을 사용하였으며 각 농도는 0.0, 0.1, 0.2, 0.4, 0.8, 1.0wt%으로 하였다. 대상 균주는 그람양성균인 Staphylococcus aureus (ATCC No. 6538), Bacillus subtilis(ATCC No. 6633)와 그람음성균인 Escherichia coli (ATCC No. 8739), Pseudomonas aeruginosa(ATCC No. 9027)을 사용하였으며, 항균력은 disk paper method와 broth dilution method로 측정하였다. Aroma oil과 praben의 항균력은 그람음성균보다 그람양성균에 대하여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aroma oil이 paraben보다 높은 항균효과를 보였다. Aroma oil은 eucalyptus, lemon, pine, rosemary 순으로 항균력이 높게 나타났으며, butylparaben이 methylparaben보다 우수하게 나타났다. Rosemary와 pine을 각각 단독으로 사용했을때 보다 3/1의 비율로 혼합하였을 때 항균력이 더욱 우수하게 증가하는 상승효과를 나타내었다.

화장품 중 살균방부제 함량 연구 (The Determination of Preservative Dosages in Cosmetics)

  • 박준조;윤덕희;김범호;백정혜;조규홍;김세진
    • 환경위생공학
    • /
    • 제13권1호
    • /
    • pp.104-111
    • /
    • 1998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ontents of preservatives in cosmetic lotions and creams. The 55 kinds of creams and the 45 kinds of lotions were tested, and the 6 kinds of preservatives such as sorbic acid (SA), benzoic acid (BA), methlparaben(MP), ethylparaben(EP), propylparaben(PP) and butylparaben(BP) were determined for domestic and foreign cosmetics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HPLC). The recovery rates of methanol extraction and distillation method were respectively the range of 84.82 - 99.62% and 17.47 - 79.91% for the spiking concentration of 1.2% in the cosmetic lotions. Excellent isolation was showed at the wavelength of 230nm for 6 kinds of preservatives. Preservatives were detected for all tested samples and their concentration were not exceeded in cosmetic combination limits. Paraoxybenzoate esters(MP, EP, PP, BP) were used in the 98.0% of samples and not less than 2 kinds of preservatives were used in samples.

  • PDF

화장품중 살균ㆍ보존제의 동시분리 및 정량 (Simultaneous HPLC Determination of Preservatives in Cosmetics)

  • 양성준;김영옥;손경훈;이정표;정래석;양원준;백옥진;이현경;최상숙
    • 약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231-236
    • /
    • 2002
  • A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method for the simultaneous quantitative analysis of methylparaben (MP), ethylparaben (EP), propylparaben (PP), butylparaben (BP) and imidazolidinyl urea(IU) or diazolidinyl urea(DU) in cosmetics was studied by using a cyano-propyl column and 0.05M hexanesulfonic acid at 228 nm. Calibration curves were found to be linear in the 60-1000 $\mu\textrm{g}$/mL range (parabens), 100-1,250 $\mu\textrm{g}$/mL range (IU) and the 120-2000 $\mu\textrm{g}$/mL range (DU). Linear regression analysis of the data demonstrates the efficacy of the method in terms of precision and accuracy. An extraction method is developed and validated in order to apply this chromatographic method to a commercial cosmetic cream. The precision of this method, calculated as the relative standard deviation (RSD) of the recoveries (0.46-2.71%) was excellent for all compounds.

Studies on Corneal Penetration of P-Hydroxybenzoic Acid Esters

  • Lee, Chi-Ho;Lee, Kyoung-Jin;Yun, Il;Shin, Young-Hee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14권4호
    • /
    • pp.311-318
    • /
    • 1991
  • Corneal permeability of various n-alkyl p-hydroxybenzoates (parabens) was studied in vitro using excised rabbit corneas, and the effect of lipophilicity of parabens on the corneal permeability was also investigated. Permeability coefficients were obtained from the least-square linear regression after the steady state had been reached. Lipophilicity of parabens was calculated by distribution coefficients determined in octanol-S | $12{\phi}{\parallel}$) rensen's buffer solution (pH 5.0). The relationship between lipophilicity and corneal permeability of parabens was not linear, but the optimum lipophilicity for the maximum permeation was found. The influence of tween 80 on corneal permeability of methyl and butylparaben was not significant.

  • PDF

Phenoxyethanol을 이용한 저자극 방부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The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Low Irritable Preservative System with Phenoxyethanol in Cosmetics)

  • 안기웅;이춘몽;김형배;정지헌;조병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43-49
    • /
    • 2005
  • 최근, 민감성 피부가 증가함에 따라 화장품의 안전성이 매우 중요시되고 있으며, 특히 방부제는 화장품 사용에 따른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는 주요 자극원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방부제의 세포 독성 피부 투과, 유/수 분배, 항균력 비교 및 이를 통한 피부 자극과의 상관성 분석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상기의 여러 factor를 고려하여 화장품에서 빈번히 사용되고 있는 방부제의 하나인 phenoxyethanol을 이용한 저자극 방부시스템 개발에 관한 것이다. MTT assay를 통하여 human norm기 fibroblast cell에 대한 독성을 평가해 본 결과, 세포 독성은 propylparaben>butylparaben>ethylparaben>methylparaben>triciosan>phenoxyethanol 순으로 확인되어 phenoxyethanol이 다른 방부제에 비해 낮은 세포 독성을 나타낸 반면, 피부 일차자극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한 인체 첩포시험에서는 triclosan, methylparaben에 비해 높은 피부 자극을 나타내었다. 5 ${\~}$ 8 주령의 웅성 무모생쥐의 피부를 적출하여 in vitro Franz diffusion cell system을 이용한 방부제의 피부 투과도를 측정하여 본 결과, 피부 투과도는 phenoxyethanol > methylparaben > ethylparaben > propylparaben > butylparaben > triclosan 순으로 확인되어 세포 독성이 낮은 phenoxyethanol의 높은 피부 자극이 높은 피부 투과도와 연관성이 큰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교적 독성이 낮은 phenoxyethanol의 피부 투과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하였으며, 연구 결과, 제형내 polarity가 낮은 oil을 사용할 경우 phenoxyethanol의 피부 투과가 현격히 감소하며, 피부 자극도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Oil polarity에 따른 Phenoxyethanol의 유/수 분배 측정 결과, Polarity가 낮은 oil에서는 $70\%$ 이상의 Phenoxyethanol이 수상에 존재한 반면, polarity가 높은 oil에서는 약 $70 {\~} 90\%$의 phenoxyethanol이 유상에 존재하였다. 또한, 미생물에 대한 항균력도 phenoxyethanol이 수상에 많이 존재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제형 내 oil tomposition을 변화시킴으로써 phenoxyethanol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 투과를 감소시켜 보다 피부 자극이 적은 저자극 방부시스템 개발이 가능하리라 보여 진다.

제품(製品)간장에서 분리(分離)한 산막효모(産膜酵母)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Film forming Yeasts Isolated from Commercial Soy Sauce)

  • 주영하;유태종;유주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61-68
    • /
    • 1975
  • 산막효모(産膜酵母)가 형성(形成)된 제품(製品)간장에서 산막생성(産膜生成)과 발효력(醱酵力)이 강(强)한 효모(酵母)를 분리(分離)하고 Lodder 들의 효모분류법(酵母分類法)에 따라 Saccharomyces rouxii (film forming yeast)로 동정(同定)하였으며 이효모(酵母)들의 발효현상(發酵現象) 및 생리적(生理的) 특성(特性)은 다음과 같았다. 1. 간장발효실험(發酵實驗)에서 간장중(中)에 함유(含有)된 당분(糖分)을 모두 발효(醱酵)시켜 고형분(固形分)은 감소(減少)되고 총질소(總窒素), 색도(色度)를 감소(減少)시켰다. 2. 방부력실험(防腐力實驗)에서 butylparaben 은 60 ppm, sodium benzoate 800 ppm, sodium propionate 2,400 ppm, menadione 165 ppm, potassium sorbate 500 ppm, sorbic acid 300 ppm 이상(以上)의 농도(濃度)에서 이들균(菌)의 생육(生育)이 억제(抑制)되었고 에칠알콜 첨가구(添加區)에서는 3%에서도 방부력(防腐力)이 없었다. 3. 2%(w/v) glucose yeast extract peptone 배지(培地)에서 이들균(菌)의 최적식고농도(最適食?濃度)는 5%, 최적배양온도(最適培養溫度)는 $30^{\circ}C$, 사멸온도(死滅溫度)는 NO-1, 3균(菌)이 $62^{\circ}C$ (10분간(分間) 살균처리(殺菌處理)), NO-2, 4균(菌)이 $65^{\circ}C$ 이었으며 최적(最適) pH 는 5. 0이었다. 4. Gas chromatography 에 의(依)한 피막(皮膜)간장의 향기성분(香氣成分)은 표준(標準)간장에 비(比)해 저비점(低沸點)의 물질(物質)이 많으며 이 성분(成分)들이 간장의 풍미열화(風味劣化)에 기여(寄與)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Oestrogenic Activity of Parabens in Endocrine System

  • Lee, Seong-Hun;Kim, Sun-Jung;Park, Jung-Ran;Jo, Eun-Hye;Park, Joon-Suk;Hwang, Jae-Woong;Bo, Sun;Lee, Soo-Jin;Lee, Yong-Geon;Chung, Yun-Hyeok;Lee, Yong-Soon;Kang, Kyung-Sun
    • 한국독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독성학회 2005년도 춘계 국제심포지엄 및 학술대회
    • /
    • pp.184-184
    • /
    • 2005
  • PDF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파라벤의 In Vitro 검색시험 연구에서의 내분비독성 (Oestrogenic Activity of Parabens In Vitro Estrogen Assays)

  • 이성훈;김선중;박정란;조은혜;안남식;박준석;황재웅;정지윤;이영순;강경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00-106
    • /
    • 2006
  • ER와 리포터 유전자인 $\beta$-galactosidase가 도입된 효모재조합검색시험법을 이용하여 파라벤류의 내분비계 장애작용을 검색하였다. 양성대조 시험물질로 앞의 시험법들과 동일하게 E2와 BPA를 설정하여 파라벤류의 에스트로젠성을 비교분석 하였다. E2의 경우 $10^{-9}M$에서 가장 활성이 높게 관찰되었고, BPA의 경우 $10^{-7}M$에서 에스트로젠성이 가장 높았다. 파라벤의 경우 이소프로필파라벤이 $10^{-9}M$에서 $10^{-3}M$까지 시험하였을 때, 농도 의존적으로 에스트로젠성이 증가하였으며, $10^{-9}M$의 경우 가장 강력한 에스트로젠성을 보였다. 또한 양성대조군인 E2와 비교하였을 때, $10^{-7}M$에서 $10^{-3}M$까지의 이소프로필파라벤은 오히려 E2보다 높은 내분비계 장애작용이 검색되었다. 이소프로필파라벤을 제외한 나머지 파라벤류의 경우 $10^{-4}M$$10^{-5}M$의 프로필파라벤과 $10^{-3}M$$10^{-4}M$의 에틸파라벤에서 에스트로젠성이 관찰되었다. 또한 MCF-7세포주는 사람의 유방암 세포이면서 $ER{\alpha}$가 존재하여 에스트로젠 또는 에스트로젠 유사물질이 ER와 반응하여 세포의 성장을 유도하게 된다. 이번 연구에서 파라벤의 시험 이전에 이미 내분비계 장애물질로 널리 알려진 BPA와 체내에 존재하는 강력한 에스트로젠이면서 BPA보다 활성이 1000배정도 높다고 알려진 E2를 양성대조군으로 설정하여 MCF-7세포의 성장을 관찰하였다. 72시간동안 BPA와 E2를 다양한 농도로 MCF-7세포에 노출한 후 DNA 양을 측정하였더니, E2의 경우 $10^{-9}M$에서 대조군보다 약 2.5배의 세포성장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BPA의 경우 $10^{-8}M$에서 대조군 보다 약 2.2배의 세포성장을 관찰할 수 있었다. 에틸파라벤의 경우 $10^{-7}M$에서 $10^{-4}M$까지 농도 의존적으로 MCF-7세포의 성장을 증가시켰고, $10^{-4}M$이 대조군에 비해 세포성장이 약 2.2배에 달하여 양성대조군과 비슷하면서 높은 에스트로젠 유사반응을 보였다. 프로필파라벤, 부틸파라벤, 이소부틸파라벤과 이소프로필파라벤의 경우 $10^{-5}M$의 농도에서 2배 이상의 세포성장이 유도되었고, 이소프로필파라벤의 경우 RPE값이 약 104%에 이르는 등, 내분비계 장애작용이 검색되었다. 한편, 본 연구팀은 ER에 대한 파라벤의 시험관 내 상경적 결합력을 측정하기 위해 $ER{\alpha}$$ER{\beta}$ competition binding assay kit를 사용하여 시험하였다. 이 시험법은 E2와 비교하여 파라벤류의 $ER{\alpha}$$ER{\beta}$에 반응하는 시험물질의 RBA(relative binding affinities) 값을 측정하였다. 파라벤의 $ER{\alpha}$ 상경적 결합시험의 경우. E2의 $IC_{50}$의 값이 $4.29{\times}10^{-9}$이었고, 이소부틸파라벤의 경우 $4.5{\times}10^{-7}$에 달하여 RBA값이 0.952가 계산되었다. 이전 연구에 의해 밝혀진 BPA의 경우 RBA값이 0.333인데 반하여, 이소부틸파라벤은 약 3배가 높은 내분비계 장애작용이 검색되었다. 파라벤의 $ER{\beta}$ 상경적 결합시험의 경우. $ER{\alpha}$와 마찬가지로 이소부틸파라벤이 $1.94{\times}10^{-7}M$$IC_{50}$값을 가지면서 RBA값이 0.471이 계산되었다. 이것은 파라벤이 $ER{\alpha}$$\beta$모두와 결합을 할 수 있고 E2와 경쟁적으로 결합을 할 수 있으며 이는 내분비계를 방해할 수 있다는 것을 다시 한번 뒷받침 해주고 있다. 덧붙여 본 연구팀의 결과는 이소부틸파라벤의 경우 경쟁적으로 결합하는 능력 또한 내분비계교란물질로 잘 알려진 BPA만큼의 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in vitro적 방법으로 파라벤류들의 에스트로젠성을 측정한 결과 이미 보고된 연구와 비슷하게 화학 구조적으로 더 길거나 분지된 알킬기를 가지는 파라벤일수록 에스트로젠성이 더 강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식품이나 화장품 등의 보존제로 사용되는 이 화학물질의 과다한 노출은 정상적인 내분비계에 큰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Hormonal Effects of Several Chemicals in Recombinant Yeast, MCF-7 Cells and Uterotrophic Assays in Mice

  • Park, Jin-Sung;Lee, Beom-Jun;Kang, Kyung-Sun;Tai, Joo-Ho;Cho, Jae-Jin;Cho, Myung-Haing;Inoue, Tohru;Lee, Yong-So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0권3호
    • /
    • pp.293-299
    • /
    • 2000
  • Many methods have been developed for screening chemicals with hormonal activity. Using recombinant yeasts expressing either human estrogen receptor [Saccharomyces cerevisiae ER + LYS 8127 (YER)] or androgen receptor [S. cerevisiae AR + 8320 (YAR)], we evaluated the hormonal activities of several chemicals by induction of ${\beta}-galactosidase$ activity. The chemicals were $17{\beta}-estradiol$ (E2), testosterone (T), ${\rho}-nonylphenol$ (NP), bisphenol A (BPA), genistein (GEN), 2-bromopropane (2-BP), dibutyl phthalate (DBP), di-(2-ethylhexyl) phthalate (DEHP),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 (TCDD), and butylparaben (BP). To assess the estrogenicity of NP, the result of the in vitro recombinant yeast assay was compared with an E-screen assay using MCF-7 human breast cancer cells and an uterotrophid assay using ovariectomized mice. In the YER yeast cells, E2, NP, BPA, GEN, and BP exhibited estrogenicity in a doseresponse manner, while TCDD did not. All the chemicals tested, except T, did not show androgenicity in the YAR yeast cell. The sensitivity of the yeast (YER) assay system to the estrogenic effect of NP was similar to that of the E-screen assay. NP was also estrogenic in the uterotrophic assay. However, in terms of convenience and costs, the yeast assay was superior to the E-screen assay or uterotrophic assa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recombinant yeast assay can be used as a rapid tool for detecting chemicals with hormonal activiti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