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tton mushrooms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4초

Identification and genetic characterization of bacterial isolates causing brown blotch on cultivated mushrooms in Korea

  • Chan-Jung Lee;Hye-Sung Park;Seong-Yeon Jo;Gi-Hong An;Ja-Yun Kim;Kang-Hyo Lee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37-47
    • /
    • 2024
  • Fluorescent bacteria were isolated from sporocarps that browned into various mushrooms during survey at places of the production in Korea. We examined the pathogenicity, biodiversity, and genetic characteristics of the 19 strains identified as Pseudomonas tolaasii by sequence analysis of 16S rRNA and White Line Assay. The result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rpoB gene system, fatty acid profiles, specific and sensitive PCR assays, and lipopeptide detection for the identification of P. tolaasii. As a result of these various analyses, 17 strains (CHM03~CHM19) were identified as P. tolaasii. The phylogenetic analysis based on the 16S rRNA gene showed that all strains were clustered closest to P. tolaasii lineage, two strains (CHM01, CHM02) were not identified as P. tolaasii and have completely different genetic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fatty acids profile, specific and sensitive PCR, lipopetide detection, rpoB sequence and REP-PCR analysis. Pathogenicity tests showed 17 strains produce severe brown discolouration symptoms to button mushrooms and watersoaking of sporophore tissue within three days after inoculation. But two strains did not produce discolouration symptoms. Therefore, these two strains will be further investigated for correct species identification by different bi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stics.

A Comprehensive Review of Tropical Milky White Mushroom (Calocybe indica P&C)

  • Subbiah, Krishnamoorthy Akkanna;Balan, Venkatesh
    • Mycobiology
    • /
    • 제43권3호
    • /
    • pp.184-194
    • /
    • 2015
  • A compressive description of tropical milky white mushroom (Calocybe indica P&C var. APK2) is provided in this review. This mushroom variety was first identified in the eastern Indian state of West Bengal and can be cultivated on a wide variety of substrates, at a high temperature range ($30{\sim}38^{\circ}C$). However, no commercial cultivation was made until 1998. Krishnamoorthy 1997 rediscovered the fungus from Tamil Nadu, India and standardized the commercial production techniques for the first time in the world. This edible mushroom has a long shelf life (5~7 days) compared to other commercially available counterparts. A comprehensive and critical review on physiological and nutritional requirements viz., pH, temperature, carbon to nitrogen ratio, best carbon source, best nitrogen source, growth period, growth promoters for mycelia biomass production; substrate preparation; spawn inoculation; different supplementation and casing requirements to increase the yield of mushrooms has been outlined. Innovative and inexpensive methods developed to commercially cultivate milky white mushrooms on different lignocellulosic biomass is also described in this review. The composition profiles of milky white mushroom, its mineral contents and non-enzymatic antioxidants are provided in comparison with button mushroom (Agaricus bisporus) and oyster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Antioxidant assay results using methanol extract of milky white mushroom has been provided along with the information about the compounds that are responsible for flavor profile both in fresh and dry mushrooms. Milky white mushroom extracts are known to have anti-hyperglycemic effect and anti-lipid peroxidation effect. The advantage of growing at elevated temperature creates newer avenues to explore milky white mushroom cultivation economically around the world, especially, in humid tropical and sub-tropical zones. Because of its incomparable productivity and shelf life to any other cultivated mushrooms in the world, milky white mushroom c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satisfying the growing market demands for edible mushrooms in the near future.

양송이와 신령버섯 미이라병 (Mummy Disease) (Characteristics of Mummy Disease on Agaricus bisporus and A. blazei in Korea)

  • 정재은;김우재;차재순
    • 식물병연구
    • /
    • 제8권3호
    • /
    • pp.189-192
    • /
    • 2002
  • 미이라병은 우리나라의 양송이 재배농가에서 오래 전부터 발생하였으며, 최근에는 신령버섯 재배사에서 심하게 발생하였다 미이라병이 발생한 버섯재배 균상에서외국에서 보고된 전형적인 병징이 관찰되었다 즉 버섯의 갓이 한쪽으로 기울어지고, 버섯의 대의 내부가 변색과 함께 목질화되며, 대의 기부에 균사체가 과도생장하여 부풀고, 병든 버섯은 말라서 미이라가 된다 병든 버섯의 대의 내부조직을 얻어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이미 미이라병의 특징으로 보고된 바 있는 버섯균사세포내부에 많은 세균이 존재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우리나라 주요 버섯재배지역인 충남 부여의 버섯재배농장에서 2000년 동안 미이라병의 발생을 조사한 결과 양송이의 갈색종 재배에서는 약 55%, 그리고 신령버섯 재배에서는 약83%의 빈도로 이 병이 발생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결과는 미이라병이 양송이와 신령버섯 재배의 중요한 병임을 암시하고 있다.

Current prospects of mushroom production and industrial growth in India

  • Raman, Jegadeesh;Lee, Seul-Ki;Im, Ji-Hoon;Oh, Min-Ji;Oh, Youn-Lee;Jang, Kab-Yeul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39-249
    • /
    • 2018
  • The global mushroom industry has grown rapidly in recent years in terms of beneficial effects, market value, and demand. India has a wide range of agro-climatic conditions and is largely an agricultural country with a cultivated area of about 4.37 %, generating about 620 million tons of agro waste annually. Mushroom cultivation not only helps recycle agro wastes, but also fills the nutritional gap prevalent among a large population of India. Recently, government industrial policy and creative innovation has promoted research and other endeavors aiming towards the cultivation of mushrooms. Mushroom cultivation in India was initiated in Solan, in the mid-sixties. Mushroom cultivation has been successful in temperate regions of the Himalayas, the Western Ghats, and the hills of northeast India. Recently, many unemployed people have begun to adopt mushroom cultivation as a means of self-employment. It is high time that Indian mushroom cultivators and consumers became aware of the nutritional and medicinal values of cultivated and wild species of mushrooms. The total mushroom production in India between 2010 and 2017 was approximately 0.13 million tons, accounting for a 4.3% increase in the average growth rate of mushrooms per annum. In particular, the total production of white button mushrooms is the highest, with a share of about 73% of total mushroom production. In this review article, we have analyzed the current scenario of the Indian mushroom industry and its contribution to the economic growth of the country.

백색 양송이 신품종 '도담' 육성 (Breeding a new white button mushroom cultivar 'Dodam')

  • 오연이;남윤걸;장갑열;오민지;임지훈;이슬기;공원식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79-286
    • /
    • 2018
  • 양송이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재배하는 버섯으로 특용작물생산실적의 2016년 통계자료에 의하면 국내 생산량은 10,173톤, 국내 생산액은 590억원이다. 현재 10개의 품종이 개발되었지만, 농업인들은 계속적으로 품질이 우수한 버섯 신품종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우량계통을 육성하기 위해 수집된 170개의 유전자원 중에서 KMCC00754와 KMCC00775은 모균주로 선발되었다. 그리고 KMCC00754에서 120점의 단포자에서 동형핵균주로 추정되는 균주를 25점 선발하였고, KMCC00775에서는 120점의 단포자에서 6점을 AbSSR45마커를 가지고 각각 선발하였다. 이 동형핵균주로 교잡주를 육성하여 다시 SSR마커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50%의 교잡율로 150점의 교잡주에서 74점이 교잡된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 균주들을 3회 재배하고 특성을 평가하였다. 최종적으로 Abs2-2015-16을 우량계통으로 선발하여 2017년에 신품종 '도담'이 육성되었다.

고온성 백색 양송이 신품종 '하담' 육성 (Breeding a new white button mushroom cultivar 'Hadam' to produce mushrooms at high temperature)

  • 오연이;오민지;임지훈;장갑열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14-220
    • /
    • 2020
  • 기후변화에 대비하여 고온성 양송이 백색 품종을 육성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모본은 KMCC00540, KMCC00591, KMCC00643을 선발하였고, ISSR과 SSR마커로 각각 동핵균주를 선발하여 교잡하였다. 선발 교잡주를 고온 20~25℃, 습도 80% 이상에서 3반복으로 재배하여 농업적 형질과 자실체 특성의 변이가 가장 적은 것은 Abs4-2016-121 계통이었다. 이 계통은 KMCC00000와 KMCC0000를 교잡한 계통이며, 경주와 부여 농가에서 현장실증시험결과 Abs4-2016-121 계통이 자실체 경도가 높으며 고온에서 갓개열이 지연되어 고온성 품종 '하담'으로 육성하였다.

버섯의 미생물 위해성 및 저감화 처리기술 개발 현황 (Microbial Hazards and Microbe Reduction Technologies for Mushrooms)

  • 송현지;한아름;맹경호;장아라;김지연;이선영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287-296
    • /
    • 2023
  • 세계적으로 버섯에 대한 소비는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한국에서는 느타리버섯, 양송이버섯, 팽이버섯이 주로 유통되고 있다. 하지만, 버섯의 재배와 가공 과정에서 미생물 오염을 예방하기 위한 대안의 부재로 인하여 Listeria monocytogenes와 같은 병원성 미생물의 오염이 검출되고 있으며 버섯에 의한 식중독 및 리콜 사례가 다수 보고되고 있다. 버섯에서 오염된 미생물을 저감화하는 방법으로는 화학적 및 물리적 처리, 또는 이들을 결합하여 사용하는 병용처리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화학적 처리로는 염소 혼합물, 과산화아세트산, 4차 암모늄이온 화합물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오존과 전해수를 이용한 방법도 최근에 개발되었다. 물리적 처리로는 초음파, 방사선조사, 콜드 플라즈마 기술이 이용되고 있으며, 병용처리 방법으로는 자외선/염소 혼합물, 오존/유기산, 초음파/유기산 등이 연구되었다. 본 리뷰에서는 국내에서 소비되는 버섯의 종류와 그에 대한 미생물 오염도를 조사하고, 버섯에 오염된 미생물을 제어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하여 조사하여, 정리하였다.

양송이 자실체(子實體) 발생(發生)의 경시적(經時的) 변동(變動)에 관한 연구(硏究) (Changes in Sporophore Appearance of Cultivated Mushroom, Agaricus bisporus, during the Harvesting Period)

  • 박종성;신관철
    • 농업과학연구
    • /
    • 제4권1호
    • /
    • pp.43-50
    • /
    • 1977
  • 1. 본(本) 연구(硏究)는 양송이의 재배(栽培) 및 수확방법(收穫方法)이 다를 때 자실체발생(子實體發生)의 변동상(變動相)을 밝히고 수량(收量)의 조기예측방법(早期豫測方法)을 확립(確立)하고자 실시(實施)하였다. 2. 양송이 수량(收量)은 최초(最初) 30일간(日間)의 채취량(採取量)과 상관(相關)이 높고 다수확재배사(多收穫栽培舍)의 수량구성(收量構成)에 있어서는 중후기(中後期)의 채취량(採取量)과 다소(多小)가 큰 역할(役割)을 하였다. 3 채취시기(採取時期)에 따른 수량(收量)의 변화(變化)는 재배시기(栽培時期)에 따라 다르나 작업관리(作業管理)가 정상상태인 추기재배(秋期栽培) 때는 어린 버섯을 채취(採取)하므로서 초기수량(初期收量)은 감소(減少)하고 후기채취량(後期採取量)은 증가(增加)하였다. 4. Button 채취비율(採取比率) 20~45% 범위(範圍)에서 전수량(全收量)이 증가(增加)하면 Button 채취비율(採取比率)도 증가(增加)하는 경향(碩向)을 보였다. 5 양송이 재배합(栽培舍)은 자실체발생(子實體發生)의 변동(變動)을 조사(調査)하여 재배결과(栽培結果)의 조기예측(早期豫測)을 위한 회귀식(回歸式)을 산출(算出)하였다.

  • PDF

다양한 조리법에 따른 버섯류의 엽산 리텐션 (Effects of different cooking methods on folate retention in selected mushrooms)

  • 박수진;박선혜;정혜정;이준수;현태선;천지연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8호
    • /
    • pp.1103-1112
    • /
    • 2017
  • 엽산은 체내에서 아미노산과 핵산의 합성에 필수적인 성분이며, 세포 분열과 성장에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유아기, 성장기, 임신기 및 수유기에 높게 요구되는 수용성 비타민이다. 버섯류는 다양한 영양 및 생리활성 성분의 존재가 알려지면서 국내 식단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높아지고 있으나 실제로 섭취하게 되는 조리된 버섯류의 엽산 성분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4가지 표준조리법(삶기, 굽기, 볶기, 튀기기)에 따른 6종 버섯(백만송이버섯, 양송이버섯, 목이버섯, 표고버섯, 느타리버섯, 팽이버섯)의 엽산 함량 변화를 분석하고 조리 전 후의 중량 변화를 고려한 가공계수를 산출하였으며 이를 적용한 엽산 잔존율을 평가하였다. 또한, 분석 결과의 국가 영양성분 데이터베이스로의 활용을 위하여 엽산 분석에 사용된 trienzyme extraction-L casei 분석법을 검증하고 내 외부 분석품질관리를 수행하여 분석 결과의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생버섯 6종의 엽산 함량은 버섯의 종류에 따라 $6.04-64.82{\mu}g/100g$의 범위를 나타내었으며(느타리버섯 > 팽이버섯 > 표고버섯 > 양송이버섯 > 백만송이버섯 > 목이버섯) 이는 조리법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되었다. 목이, 표고, 및 느타리버섯은 네 가지 모든 조리법에서 엽산 함량이 각각 22-48, 2-31, 17-56%로 감소된 반면, 백만송이 버섯은 모든 조리법에서 17-90% 증가되었다. 한편, 양송이 버섯과 팽이버섯의 경우, 삶기에서는 생버섯에 비하여 엽산 함량이 각각 16%와 34% 감소한 반면, 튀기기에서는 각각 24%와 465%의 증가를 나타냈다. 조리 전후의 버섯의 중량 차이는 조리수를 이용한 삶기에서 가장 적었으며 고온에서 조리되는 튀기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조리법에 따른 무게 변화를 고려한 가공계수를 고려하여 엽산 잔존율을 계산한 결과, 백만송이버섯을 제외한 5종 버섯에서는 대부분의 조리법에서 100% 이하의 잔존율을 보였으며, 전체적으로 삶는 조리법에서 엽산 잔존율 감소가 크게 나타났으며 튀기는 조리법에서는 비교적 잔존율이 높게 유지되었다. Trienzyme extraction-L. casei 분석법을 검증한 결과 우수한 정확성과(회수율 100.4%) 정밀성(CV 3% 이하)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가 진행되는 전 기간 동안 품질관리시료를 분석한 결과가 QC chart 관리수준 범위($172.58-188.20{\mu}g/100g$) 이내에 들어가 모든 분석이 관리하에 진행되었음이 확인되었다. FAPAS PT 시험에서 trienzyme extraction-L. casei 분석법이 z-score=-0.5를 얻어 분석 숙련도의 우수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법 검증 및 품질관리 결과는 본 연구에서 생산된 생버섯 및 조리 버섯의 엽산 분석 데이터의 신뢰도가 우수함을 보여주는 것으로써 이는 국가식품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해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Genotyping of Agaricus bisporus Strains by PCR Fingerprints

  • Min, KyongJin;Oh, YounLee;Kang, HeeWan
    • 한국균학회소식: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균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 /
    • pp.41-41
    • /
    • 2014
  • Agaricus bisporus, commonly known as the button mushroom, is the most widely cultivated species of edible fungi. Low frequency of recombination ratio and homokaryotic or monokaryotic spore on meiotic basidia form obstacles for breeding programs. Since the first hybrid varieties for white button mushrooms were released in Europe, new varieties released afterwards were either identical of very similar to these first hybrids on morphologies. Therefore, different DNA markers have been used to define unique varieties of A. bisporus strains. Aim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genetic diversity of different A. bisporus strains in Korea. Twelve UFP (Universal fungal primer, JK BioTech. Ltd), 12 simple sequence repeat (ISSR) and 30 SSR primers were used to assess genetic diversity of monokaryotic and dikaryotic Agaricus bisporus strains including other 19 Agaricus spp. Of them, four UFP, four SSR primers, $(GA)_8T$, $(AG)_8YC$, $(GA)_8C$ and $(CTC)_6$ and seven SSR markers produced PCR polymorphic bands between the Agaricus species or within A. bisporus strains. PCR polymorphic bands were inputted for UPGMA cluster analysis. Forty five strains of A. bisporus are genetically clustered into 6 groups, showing coefficient similarity from 0.75 to 0.9 among them. In addition, genetic variations of monokaryotic and dikaryotic Agaricus bisporus strains were partially detected by PCR technologies of this study. The varieties, Saea, saedo, Saejeong and Saeyeon that have recently been developed in Korea were involved in the same group with closely genetic relationship of coefficient similarity over 0.96, whereas, other strains were genetically related to A. bisporus strains that were introduced from USA, Eroupe and Chines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