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limia nervosa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초

섭식장애 환자에서 전도 이상 및 관련 요인 (Conduction Abnormalities and Associated Factors in Korean Patients with Eating Disorders)

  • 배상빈;도준형;김율리
    • 생물정신의학
    • /
    • 제19권1호
    • /
    • pp.38-44
    • /
    • 2012
  • Objectives : QT interval prolongation and dispersion known as indicators of an increased risk for ventricular arrhythmias and sudden death have been reported to be prolonged in patients with anorexia nervosa.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conduction abnormalities in Korean patients with anorexia nervosa and bulimia nervosa, and to examine its relation with clinical and laboratory factors. Methods : We retrospectively examined 45 women with anorexia nervosa and 75 women with bulimia nervosa who were assessed by 12-lead electrocardiogram at baseline. QT interval and corrected QT interval, QT dispersion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longest and shortest QT intervals, and abnormal U wave were measured for conduction abnormalities. Results : QT interval was significantly longer in patients with anorexia nervosa compared with those with bulimia nervosa.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QTc (Corrected QT), QTd (QT dispersion) and abnormal U wave between patients with anorexia nervosa and those with bulimia nervosa. QTd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lowest ever lifetime body mass index ($kg/m^2$) as well as the serum amylase level in patients with anorexia nervosa.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some conduction abnormalities reported in patients with anorexia nervosa are also found in patients with bulimia nervosa. It appears that severity of weight loss and purging behavior could affect the cardiac arrhythmia in patients with eating disorders. Appropriat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cardiac involvement in patients with eating disorders.

섭식장애의 치료에 대한 임상연구 동향 -중의학 논문을 중심으로- (A Review Study on the Treatment of Eating Disorder i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 조상호;안영준;이승환;임정화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1-21
    • /
    • 2016
  •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review the research trends in the treatment of eating disorder i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TCM). Methods: The CNKI database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was searched under the key words ‘Eating Disorder’, ‘Anorexia Nervosa’, and ‘Bulimia Nervosa’. Results: Thirteen articles were selected. These included 2 studies on bulimia nervosa, and 11 studies on anorexia nervosa. According to study design, studies were classified into 1 randomized controlled trial, 2 single group before-and-after studies, and 8 case reports. According to therapy method, they included 11 herbal medicine studies, and 2 complex treatment studies. The most common pattern identification was ‘liver qi depression’ (肝氣鬱結), and the most used herb was ‘Root of Bupleurum falcatum’ (柴胡). Most of the studies showed effective results. Conclusions: The results of our study indicated that TCM clinical studies on eating disorder were being conducted more actively than in Korean medicine. Korean medical treatment might be effective to relieve eating disorder symptoms. In the future, more scientifically designed clinical studies should be performed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reatment on eating disorder.

섭식장애의 생물학적 및 정서적 병인기전에 대한 새로운 지견 (New Insights on the Biological and Emotional Pathogenesis of Eating Disorders)

  • 김율리
    • 생물정신의학
    • /
    • 제20권3호
    • /
    • pp.74-79
    • /
    • 2013
  • Objectives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the emotional-biological pathogenesis of eating disorders, and translate the understanding into new brain directed treatments. Methods The first part of the review sets the eating behavior into the context of what is now understood about the central control of appetite and molecular biology. The second part of the review sees how emotion relates to the brain circuit involving eating disorders. Results In general, patients with anorexia nervosa restricting type were less sensitive to reward, whereas patients with bulimia nervosa and anorexia nervosa binge purging type were more sensitive to it. The emotional life of people with eating disorders centers on food, weight, and shape. The abnormalities in social and emotional functioning both precede and persist outside of eating disorders. Conclusions Research into understanding the biological framework of the brain in eating disorders suggests that abnormalities may exist in emotional and information processing. This aspect can be translated into novel brain-directed treatments, particularly in anorexia nervosa.

Repeated gastric dilatations leading to fatal abdominal compartment syndrome in a patient with bulimia nervosa

  • ;;;;김지혜
    • 대한응급의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551-556
    • /
    • 2018
  • Cases of repeated acute gastric dilatations after binge eating in one patient are rarely reported. We report here a case of repeated acute gastric dilatations in a 22-year-old woman with bulimia nervosa. Her repeated acute gastric dilatations seem to have been related to superior mesenteric artery syndrome. On her last visit due to acute gastric dilatation, she underwent emergency gastric decompression surgery because of abdominal compartment syndrome; however, she eventually died because of ischemia reperfusion injury. Emergency physicians should be aware of the need to manage acute gastric dilatation in patients with eating disorder and should pay attention to the signs and distinctive clinical features of abdominal compartment syndrome.

간비불화(肝脾不和)와 식적(食積)으로 변증된 신경성 폭식증 치험 1례 (A Case Report of Binge Eating due to Disharmony of the Liver & Spleen(肝脾不和) and Retention of Undigested Food(食積))

  • 김효주;곡경내;이지원;차혜진;서영민;박세진;정아롱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55-264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n a patient with bulimia nervosa-purging type and depression according to the oriental medical treatment and cognitive-behavioral therapy. In this case, a 28 year-old female patient had a binge eating and reward behaviors for 2 years. This patient was treated with acupunture therapy, Soyo-san for 5 months after cognitive-behavioral therapy for 12 sessions(2 times a week). The result of this research showed that bulimia nervosa with depression was improved by our treatment.

  • PDF

일개대학 여자신입생의 우울, 섭식장애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Depression and Eating Disorder on College Adjustment in Female Freshmen)

  • 왕희정;정선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683-692
    • /
    • 2016
  • 본 연구는 일개대학 여자신입생을 대상으로 우울, 섭식장애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2016년 3월부터 4월까지 일개 대학교 여자신입생 221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한 후 IBM SPSS 21.0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여자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은 106.14점으로 보통수준이었고, 우울은 평균 10.22점, 신경성 폭식증은 61.84점, 신경성 식욕부진증은 10.46점으로 나타났다. 여자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은 우울(r=-0.409, p<.001), 신경성 폭식증(r=-0.133, p<.048)과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고 우울은 신경성폭식증(r=0.391, p<.001), 신경성 식욕부진증(r=0.302, p<.001)과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우울과 섭식장애 정도가 클수록 대학생활적응이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입학초기에 우울과 섭식장애에 대한 선별검사를 통해 학교부적응 대상자를 예측하고, 이들의 대학생활적응을 도와주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식이장애 (Eating Disorder)

  • 이재성
    • 한방비만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12
    • /
    • 2002
  • 식이장애란 체형과 체중에 대해 과도한 집착과 왜곡된 인지를 가지면서 비정상적인 식사행동을 반복하고 그에 따른 신체적, 심리적 부작용을 나타내는 장애를 말하며, 대표적으로 신경성 식욕부진증 및 신경성 폭식증이 있으며, 그 외 폭식장애를 비롯한 달리 분류되지 않은 식이장애가 있다. 서구문화의 급속한 유입으로 인하여 1990년대 이후 우리나라에서도 식이장애의 발병율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특히 청소년과 조기성년기 여성에게서 문제가 되고 있다. 비만 클리닉에 체중감량을 원해 내원하는 환자들은 식이장애에 대한 고위험군일 가능성이 있으며, 체중감량을 위한 과도한 식사제한은 자칫 식이장애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비만클리닉 임상의들이 식이장애에 대한 이해를 갖고 적절한 식이요법을 지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PDF

외인성 및 내인성 요인에 의한 치아부식에 대한 치료 증례 (Treatment of dental erosion caused by intrinsic and extrinsic etiology: a case report)

  • 이경제;진수윤;김희중;민정범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3권1호
    • /
    • pp.42-46
    • /
    • 2017
  • 부식이란 산성의 화학적 물질에 의한 치아 경조직의 손상으로 정의된다. 이에 대한 원인인 산성 음식, 약물, 작업환경 등의 외부적 원인과 위장관 장애에 의한 위산의 역류나 거식증에 의한 의도적 구토의 내부적 원인에 의해 발생된다. 이는 임상적 증상의 심각도에 따라 레진 충전, 라미네이트 수복 또는 전장관 수복으로 치료한다. 본 증례는 잦은 산성 과일의 섭취로 인한 전치부 순측 부식 및 거식증으로 인한 의도적 구토로 전치부 구개측 부식이 일어난 드문 상황에 대한 치료이다.

신경성(神經性) 거식증(拒食症)을 가진 여대생(女大生)에서의 공존(共存) 성격장애(性格障碍) 빈도(頻度) (Prevalence of DSM-III-R Axis II Personality Disorders in College Women with Bulimia Nervosa)

  • 류인균;이주남;조맹제;조두영;이부영
    • 수면정신생리
    • /
    • 제6권1호
    • /
    • pp.32-37
    • /
    • 1999
  • 목 적 : 본(本) 연구(硏究)는 신경성(神經性) 거식증(拒食症)을 가지고 있는 여대생(女大生)의 DSM-III-R상(上)에 근거한 인격장애(人格障碍)의 빈도(頻度)를 정상대조군(正常對照群)과 비교(比較) 조사하는 것을 목적(目的)으로 한다. 방 법 : Structured Clinical Interview for DSM-III-R을 사용(使用)하여 신경성 거식증을 가지며, 동시에 다른 I 축(軸) 정신장애(精神障碍)를 가지고 있지 않은 62명의 식이장애(食餌障碍) 연구대상군을 모집(募集)하였으며, 같은 도구(道具)를 사용하여 어떠한 I 축(軸) 정신장애(精神障碍)를 가지고 있지 않은, 동수(同數)의 연령(年齡), 성별(性別) 대조군을 모집(募集)하였다. 인격장애(人格障碍)의 빈도(頻度)의 조사를 위해서는, 면접도구(面接道具)인 '인격장애(人格障碍) 진단면접검사(診斷面接檢査)'(Revised Diagnostic Interview for Personality Disorders)와 설문검사(設問檢査)인 '인격장애(人格障碍) 설문검사(設問檢査)'(Personality Disorder Questionnaire-Revised)를 동시에 사용하여 진단적(診斷的) 신뢰도(信賴度)를 높였으며, 특히 경계선(境界線) 인격장애(人格障碍)의 진단(診斷)을 위해서는 '경계선(境界線) 인격(人格) 진단면접검사(診斷面接檢査)'(Diagnostic Interview for Borderlines)를 추가(追加)로 사용하였다. 또한 일반적인 인구역학적 변수(變數)의 조사와 함께 신경성 거식증환자에서 흔히 관찰되는 우울증상(憂鬱症狀)의 평가를 위하여 Beck 우울평가도구(憂鬱評價道具)(Beck Depression Inventory)를 사용하여 우울증(憂鬱症)의 정도를 평가하였다. 결 과 : 신경성 거식증군은 정상대조군과 적 : 본(本) 연구(硏究)는 신경성(神經性) 비교(比較)하여 유의(有意)하게 높은 경계선(境界線) 인격장애(人格障碍), Cluster B 인격장애(人格障碍) 및 전체 인격장애(人格障碍)의 빈도(頻度)를 보였다(Fisher's exact test, p=0.044, p=0.020, p=0.024, respectively, by the Revised Diagnostic Interview for Personality Disorders;p=0.034, p=0.015, p=0.007, respectively, by the Personality Disorder Questionnaire-Revised). 결 론 : 본(本) 연구(硏究)는 한국인(韓國人) 여대생(女大生)집단에서의 신경성(神經性) 거식증군(拒食症群)은 정상대조군(正常對照群)과 비교(比較)하여 통계적(統計的)으로 유의하게 높은 인격장애(人格障碍)를, 특히 경계선(境界線) 인격장애(人格障碍)를 가지고 있음을 보고(報告)하고, 이 결과(結果)의 이론적(理論的), 임상적(臨床的) 의의(意義)에 관하여 논의(論議)한다.

  • PDF

Topiramate의 신경성 폭식증 치료효과: 국내외 보고된 임상연구결과 및 치험사례 중심으로 (Topiramate for the Treatment of Binge Eating Disorder or Bulimia Nervosa : A Systemic Review of Human Clinical Studies and Case Reports)

  • 이유정;방준석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6-12
    • /
    • 2007
  • 지난 20 여 년 간 서구 선진사회에서는 식사장애(Eating disorder) 중에서 신경성 폭식증(Bulimia nervosa)의 발병률이 급격히 상승하였고, 우리나라는 특히 젊은 여성층에서 발병률이 빠르게 상승하고 있다. 치료약물로는 주로 항우울제가 선택되지만, 치료효과가 미흡한 바, 항경련제인 topiramate가 효과가 있다는 보고들이 있어 이를 신경성 폭식증치료에 적극 사용할 수 있는가에 관심이 고조되었다. 본 연구는 topiramate가 지닌 신경성 폭식증 치료효과에 대한 최신 지견을 얻고자, 1990년부터 2006년 사이 MEDLINE과, 한국의학논문데이터베이스에 등재된 국내외 자료를 binge eating disorder, bulimia nervosa, topiramate라는 3개의 주요어휘로 검색하여 추출한 자료중에서, 대조군이 사용된 무작위 배정, 이중맹검 임상연구 및 치험사례 만을 선별하여 임상적유용성을 평가하였다. 국외 임상연구 및 치험사례에 따르면, topiramate가 신경성 폭식증에 수반되는 유해한 증상의 발생빈도를 경감시키는데 유효함을 나타내었다. 국내에는 아직 topiramate의 신경성 폭식증 치료효과를 검증한 체계화된 임상연구나 치험사례가 보고된 바 없었다. 피험자의 규모가 작다는 한계에도 불구하고, 일일 투여량 25 mg로 시작하여 점차 증량후 최대 600 mg까지 투여한 국외의 연구결과는, topiramate가 신경성 폭식증 치료에 유효한 결과를 보인다고 사료되므로, 국내 신경성 폭식증 임상치료와 연구에 반영되기를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