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lbils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8초

Effect of Proton Beam Radiation on Bulbil Yield and Gibberellins of Chinese Yam (Dioscorea opposita Thunb.)

  • Kim, Sang-Kuk;Choi, Hong-Jib;Kim, Kye-Ryung;Lee, In-Jung;Kim, Hak-Yoo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6권3호
    • /
    • pp.250-254
    • /
    • 2011
  •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affect of proton beam radiation on production of bulbil and tuber including change of endogenous gibberellins, of Dioscorea opposita Thunb. The yield of bulbils and tubers from non- and irradiated D. opposita Thunb at doses of 5, 10, 15 and 20 Gy were determined. Endogenous gibberellins were also quantified by GC/MS analysis. D. opposita tubers irradiated at 15 Gy produced higher bulbil production than non-irradiated plants. Enlarged bulbil (above size diameter 4 mm)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t 15 Gy. Bioactive endogenous $GA_4$ was dominant in bulbils and tubers irradiated with proton beam rather than $GA_1$. Major gibberellins biosynthetic pathways in bulbils and tubers of D. opposita plants were non C-13 hydroxylation route.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15 Gy proton beam radiation was suggested as an optimal dose that can produce high amounts of bulbil for mass production of D. opposita plant.

재배마 (Dioscorea batatas Decne)의 주아로부터 분리된 phenanthrene 유도체의 항진균 활성 (Antifungal Activity of Phenanthrene Derivatives from Aerial Bulbils of Dioscorea batatas Decne)

  • 금은주;박상조;이봉호;김종식;손건호;손호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647-652
    • /
    • 2006
  • 마속 식물들은 오래 전부터 다양한 민간처방에 사용되어 왔으며, 재배마의 근경은 다양한 생리활성물질들이 보고되어, 건강식품으로 인식되고 있다. 재배마의 주아는 매년 2,000톤 이상 생산되고 있으나, 다음해의 종자로 일부 이용될 뿐 거의 폐기되고 있으며, 생리활성에 대한 보고도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마의 주아로부터 3종의 phenanthrene 및 2종의 phenanthraquinone를 분리하였으며, 이들의 구조를 규명하였다. 이들 중 6-hydroxy-2,7-dimethoxy-1,4-phenanthraquinone은 처음으로 분리 되었다. 분리된 5종을 대상으로 항균활성을 평가한 결과, 6,7-dihydroxy-2,4-dimethoxyphenanthrene은 Candida albicans에 대해 $25\;{\mu}g/ml$의 MIC와 MFC를 나타내어, 강력한 항균활성으로 실제적 사용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는 phenanthrene 링 구조의 -OH 및 $-OCH_3$ 수식이 항균활성 및 항균 스펙트럼 결정의 중요한 인자임을 제시하였다.

한국산 미기록 식물: 주걱비름 (돌나물과) (An unrecorded species in Korean flora: Sedum tosaense Makino (Crassulaceae))

  • 송관필;송국만;현화자;김찬수;김문홍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59-364
    • /
    • 2004
  • 제주도 산굼부리 분화구내에 생육하는 돌나물과(Crassulaceae)에 속하는 주걱비름(Sedum tosaense)을 채집하여 국내 미기록 종으로 보고한다. 본 종은 말똥비름(S. bulbiferum)과 땅채송화(S. orizifolium)와 유사하지만 말똥비름은 포복경을 내지 않는 1년생 또는 2년생 초본이고, 잎은 거치가 없으나 엽신 윗부분이 다소 불규칙하며, 원두 또는 둔두이고, 엽액에 주아를 만드는데 비해서 본 종은 포복경을 갖는 다년생 초본이며, 잎은 거치가 없고 요두이며, 엽액에서 주아를 만들지 않는 점에서 다르다. 또한 땅채송화는 모든 잎은 원주상 또는 다소 편평한 선형에서 좁은 장타원형인데 비해서 이 종은 잎이 뚜렷하게 편평하고, 꽃이 피지 않는 줄기의 잎은 주걱형이라는 점에서 다르다.

남도마늘 대주아 재배시 지온, 파종시기 및 시비량이 이차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il Temperature, Seedtime, and Fertilization Rate on the Secondary Growth in the Cultivation of the Big Bulbils of Namdo Garlic (Allium sativum L.))

  • 최학순;양은영;채원병;곽용범;김홍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54-459
    • /
    • 2009
  • 마늘에 있어서 이차생장은 구의 품위를 떨어뜨리며 심할 경우에는 작은 인편이 많이 착생하는 등 종구로 사용하기에도 어렵게 된다. 따라서 남도마늘 대주아 재배시 지온, 파종시기 및 시비량이 이차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시비수준별 남도마늘 대주아 재배시 생장특성을 살펴보면 초장, 엽수, 엽초경, 엽장, 엽폭은 검정시비구의 50% 증비를 하였을 경우가 가장 좋았다. 이차생장 발생율은 검정시비구의 50% 감비시 34.2%, 검정시비구에서는 44.3%, 검정시비구의 50% 증비하였을 경우는 54.1%로 시비량이 증가할수록 이차생장 발생률도 증가하였다. 수확한 구의 평균무게는 검정시비구의 50% 감비시 34.1g, 검정시비구에서는 35.1g 이었으며 검정시비구의 50% 증비시에는 33.9g로 시비량에 따른 수량변화는 없었다. 지중온도와 이차생장 발생과의 상관도를 보면 0.982~0.997로 매우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남도마늘 대주아재배시 이차생장 발생은 지중온도와 상당히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파종시기가 빠를수록 초장, 엽수, 엽초경 등 지상부 생육이 좋았으며 평균구중도 9월 중순파종구가 36g, 9월 하순 파종구가 29.6g, 10월 상순처리구가 27.9g으로 파종이 빠를수록 구가 컸다. 반면 파종시기와 이차생장발생 간에는 별영향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우리나라 자생 참나리에서 선발된 자가결실성 2배체 품종의 특성(特性) (Characteristics of Self-compatible Variety from Native Lilium tigrinum Thunberg)

  • 하유미;김동엽;한인송
    • 화훼연구
    • /
    • 제18권4호
    • /
    • pp.284-290
    • /
    • 2010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통 참나리중 본 연구에서는 경남 진주시에서 선발한 참나리 변이체의 생장과 형태적 특성, 그리고 배수체 검사와 virus 검정 등을 실시하여, 기존 참나리 품종과는 다른 자가결실성 2배체 품종으로 선발하여 조경지피용 소재 및 나리속 식물의 육종시 유전자원으로 이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선발된 자가결실 참나리 2배체 품종의 생육형은 고성형으로 자생 3배체 품종과 동일하였고 주아도 공히 형성하였다. 꽃의 형태적 특성 및 잎의 형태적 특성등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주아의 크기 및 구근의 크기에서는 큰 차이를 보여 품종간 차이를 나타내었다. 자가결실율에서는 자가결실성 2배체 품종의 경우 착과율이 72.6%로 높은 결실율을 보인 반면 자생 3배체 품종은 0%로 자가 불화합성을 보였다. 또한 염색체 조사결과 자가결실 품종의 경우 염색체수가 26개로서 x = 13의 2배체 품종으로 확인되었으며 자생 참나리의 경우 염색체 수가 39개로서 3배체 품종임이 증명되었다. 선발된 자가 결실성 품종의 경우 후대검정을 실시한 결과 생육 특성 및 형태적 특성, 그리고 결실 습성까지 모본과 동일하여 모본의 특성이 후대에도 유전되는 것을 증명할 수 있었고 염색체 조사결과 2n = 26으로 2배체임이 증명되었다. 자가 결실성 참나리 2배체 품종의 화분발아력을 조사한 결과 모본의 화분발아력이 58%로 양호하였으며 종자 및 주아로 번식된 3년생 식물체와 2년생 식물체 공히 화분발아력이 50% 이상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자생 참나리의 화분발아력은 0%로 전혀 발아가 되지 않았다.

마늘의 Farnesyl Diphosphate Synthase 유전자 클로닝 및 분자생물학적 특성규명 (Molecular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cDNA Encoding Farnesyl Diphosphate Synthase in Garlic (Allium sativum))

  • ;박남일;김행훈;박상언
    • 농업과학연구
    • /
    • 제37권3호
    • /
    • pp.367-371
    • /
    • 2010
  • Farnesyl diphosphate synthase (FPS) catalyzes the biosynthesis of farnesyl diphosphate, a precursor for many important terpenoid products. A cDNA encoding FPS was first isolated from Allium sativum (AsFPS) using rapid amplification of cDNA ends (RACE) PCR. The sequence of AsFPS contains an open reading frame encoding a protein of 341 amino acids with a predicted molecular mass of 39.61 kDa. Alignment of AsFPS deduced amino acid revealed high identities with other plants ranging from 79% to 85% and showed 2-high conserved aspartate-rich motifs known to be important for FPS activity. Furthermore, AsFPS expression was stronger in the green organs such as bulbils, scapes, leaves, stems, but weaker in bulbs and roots than on-green organs of A. sativum.

한국 산달래의 자생 특성 (Natural Habitats' Characteristics of Allium grayi in Korea)

  • 김경민;김창길;오중열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19-224
    • /
    • 2010
  • 산달래 자생특성을 전국에 걸쳐 조사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생태 및 형태적인 주요형질을 검토하여 우량종의 선발과 아울러 육종과 재배에 필요한 자료를 얻고자 연구를 하였다. 자생지의 광환경은 303개의 자생지 중에서 양지는 194개인 64.0%로 가장 많았고, 반음지는 96개인 31.7%로 다음이었으며, 음지는 13개인 4.3%로 가장 적었다. 자생장소는 밭 주변 51.2%, 사찰 주변은 18.8%, 산 11.6%, 도로변 7.9%, 하천변 5.9%, 논 주변이나 해안 2.3%의 순이었다. 자생지는 $33^{\circ}N{\sim}38^{\circ}N$, $126^{\circ}E{\sim}130^{\circ}E$ 범위의 모든 지역에 널리 분포하였다. 자생양상은 개체 간에 1~10 m의 간격으로 군생하였으며 모구 주위에 3~5개의 자구가 있었다. 생육은 자생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나 대체로 맹아기는 9월에 시작되어 익년의 3월까지이었다. 추대기는 5월이었고, 그 양상은 주아만 착생하는 것이 59.2%, 꽃과 주아가 혼생하는 것이 24.7%, 그리고 꽃만 착생하는 것이 16.1%로 3유형이 있었다.

원지와 영여자로부터 분리한 8종 화합물의 항균효과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ight Compounds Purified from the Roots of Polygala tenuifolia Willdenow and the Aerial Bulbils of Dioscorea batatas Decene)

  • 진휘승;손락호;이용화;함아름;마응천;김원기;남궁우
    • 약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106-111
    • /
    • 2010
  • The chemical structures of eight compounds purified from two plants (Polygala tenuifolia Willdenow and Dioscorea batatas Decene) were determined and their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three microbial strains (Staphylococcus aureus, Pseudomonas aeruginosa, and Candida albicans) was tested. The three micro organisms were cultured in 96-well plates or Petri dishes without (control) or with the eight compounds added at concentrations of 100 to 0.01 ${\mu}M$ (wt/vol). The growth of the microorganisms in the medium was examined after a 24-h incubation. The inhibitory effect of each compound on the growth of the microorganisms was calculated from the optical density measured at 595 nm, turbidity, and size of the inhibition zone around the treated paper disc. The minimum inhiitory concentration (MIC) of compounds 4 to 7 against S. aureus was 0.08, 0.05, 1.3 and 0.02 ${\mu}M$, respectively, and 0.09, 0.1, 0.2 and 100 ${\mu}M$ against C. albicans. The $IC_{50}$ (50% inhibition) values of compounds 5 and 6 were 3.1 and 6.4 ${\mu}M$ against S. aureus, respectively, and 10 and 2.4 ${\mu}M$ against C. albicans. Therefore, compounds 4 to 6 were the most potent anti-microbial agents among the eight compounds tested.

중앙아시아에서 수집한 꽃피는 마늘의 형태 및 농업적 특성 (Morphological and Agronomic Traits of Allium longicuspis Regel Collected in Central Asia)

  • 이기안;고호철;조규택;이정로;성정숙;이정윤;이영이;허온숙;박홍재;압두말릭루스타모프;마흐푸라트아마노바;곽재균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608-615
    • /
    • 2015
  • 마늘은 완전 불임으로서 영양번식 작물이므로 진정종자가 맺히는 다양한 유전자원의 확보만이 유전적 다양성을 확대할 수 있는 방법이다. 중앙아시아에서 수집한 꽃 피는 마늘 K229583 등 12자원에 대하여 국내에서 유전적 변이작성과 재배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2013년 10월 19일에 노지에 파종하고 재배하여 몇 가지 형태적 농업적 형질에 대하여 특성조사를 수행하였다. 꽃 피는 마늘은 한지형 재래종 마늘에 비하여 월동율과 추대율이 높았으며, 화경장이 길고 주아 수가 많았다. 구 크기는 대부분이 재래종에 비하여 작았지만 K229596 자원은 구중이 35 g으로서 단양마늘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구당 쪽수는 재래종에 비하여 대부분이 많았지만 K229596 등 4자원은 적었다. 모든 꽃 피는 마늘 자원이 대부분 정상적으로 추대되었고 화기에 꽃과 주아가 동시에 존재하였으며 주아를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종자가 맺히지 않았다. 도입한 꽃 피는 마늘은 월동율이 높고 일부 자원에서 구 특성이 양호하고 완전추대가 됨에 따라 우리나라에서의 재배 가능성이 확인 되었으며 금후 진정종자 확보를 위한 주아제거와 자식 또는 교잡을 통하여 변이 작성의 가능성 입증이 필요하다.

영양체 유전자원의 작은방울-유리화법에 의한 초저온동결보존 실용화기술개발 (Development of Cryopreservation Protocols through Droplet-vitrification and its Application to Vegetatively Propagated Crop Germplasm)

  • 김행훈;이정윤;노나영;조규택;윤문섭;백형진;김정곤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0년도 정기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12-12
    • /
    • 2010
  • We developed droplet-vitrification protocol, a combination of droplet-freezing and solution-based vitrification, and applied to germplasm collections of garlic, potato, lily as well as cell lines, including hairy roots, somatic embryos. To establish a garlic cryobank, four Korean garlic field collections at Danyang, Suwon, Mokpo and Namhae were cryopreserved last five years. The protocol applied consisted of preculture for 3-4 days at $10^{\circ}C$ on solid MS medium with 0.3M sucrose, loading for 40 min in liquid medium with 35% PVS3, dehydration with PVS3 for 150 min, cooling in $5{\mu}l$ droplets of PVS3 placed on aluminum foil strips by dipping these strips in liquid nitrogen, warming them by plunging the foil strips into pre-heated($40^{\circ}C$) 0.8M sucrose solution for 30s. A total of over 900 accessions of garlic were stored in liquid nitrogen for long-term conservation using unripe inflorescences, cloves or bulbils. Twelve alternative plant vitrification solutions were designed by modifying cryoprotectant concentrations from the original PVS2 and PVS3. The results suggest that PVS2-based vitrification solutions with increased glycerol and sucrose and/or decreased DMSO and EG concentrations can be applied for medium size explants which are tolerant to chemical toxicity and moderately sensitive to osmotic stress. PVS3 and variants can be used widely when samples are heterogeneous, of large size and/or very sensitive to chemical toxicity and tolerant to osmotic stres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