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building remains

검색결과 194건 처리시간 0.026초

경복궁 서측 지역의 도시조직 변화와 사회적 의미 고찰 - 근대기 이후 누하동, 필운동의 주요 사례 필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nges of urban organization and social meaning in the western Area of Gyeongbokgung Palace - Focused on Nuha-dong and Pilun-dong after the modern era -)

  • 배창현
    • 건축역사연구
    • /
    • 제31권3호
    • /
    • pp.31-40
    • /
    • 2022
  • In the historical city center where overall development has not been made, it is not difficult to observe the asp ect of the urban change process over time accumulated. Seochon(西村), which collectively refers to 13 legal dong s in the west of Gyeongbokgung Palace, is also considered a representative historical village with high value as a historical and cultural cityscape because of historical context remains throughout the lot. Therefore, research ex amining the process of changing parcels in this area is useful for a more three-dimension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ce of several layers of time. In this study, relationship between the opening time of each road, the river co ver process, and the current building establishment process is examined using maps after the pre-modern period and modern era. In addition, to examine the specific change process of individual lots using the old land register, building management ledger and cadastral map.

조선 후기 초량객사(草梁客舍) 일곽의 유지와 관리 (A Study on the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Choryanggaeksa in the Late Joseon Dynasty)

  • 송혜영
    • 건축역사연구
    • /
    • 제32권2호
    • /
    • pp.49-62
    • /
    • 2023
  • This study was prepared for the purpose of restorative consideration such as the construction background, scale, and location of buildings by comparing the historical materials of two countries, Korea and Japan, focusing on Choryanggaeksa. Choryanggaeksa was a building with a special purpose installed in Dongnaebu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was also a space exclusively for Japanese envoys. When Choryangwaegwan, the only place of diplomacy and trade with Japan in the late Joseon Dynasty, moved in 1678, Choryanggaeksa was also built and continued until its function ceased due to the modern opening of the port. As diplomacy and trade with Japan take place in the category of Choryangwaegwan, the existence of an interpreter takes an important place. Therefore, Seongsindang, a space for interpreters, was built near Choryanggaeksa. When the modern port opened in 1876, Choryanggaeksa and Seongsindang lost their original function, but the building remained. However, after the 1890s, a Superintendent office was built on the site of Choryanggaeksa, and a school was established on the site of Seongsindang. It was destroyed when the site of Choryanggaeksa and Seongsindang was converted during the opening of the port, and its remains cannot be found today due to urbanization.

경복궁 건물 유형에 따른 적심 연구 (The Study on Foundation Remains(Jeoksim) According to Types of Buildings of Gyeongbok Palace)

  • 최인화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2권3호
    • /
    • pp.154-175
    • /
    • 2009
  • 현재 경복궁에 대한 연구는 건축사 문헌사 미술사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와 같은 연구는 현전(現傳)하는 건물과 기록에만 의존할 수밖에 없음으로 궁궐 전체를 연구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도 양호한 상태로 잔존해 있는 경복궁 건물지 유구, 특히'적심(積心)'은 이러한 연구의 공백을 채워줄 수 있는 중요한 고고(考古)학 자료라 할 수 있겠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경복궁의 '적심'에 대하여 분석하여, 형태 규모 재료 축조방식에 따라 그 형식을 분류하고, 이것이 건물 기초로써 상부 건물과 어떤 관계를 가지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궁궐 건물 유형별 사용된 적심을 검토하고, 시기별 변천양상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경복궁 건물지 적심은 총 21가지 형식으로 구분되는데, 각 건물 유형에 따라 건물의 기초 즉 적심도 달리 축조되며, 시기별로도 적심의 축조방식 및 재료 등이 변화하여, 특정 시기에 유행하는 적심의 형식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경복궁 적심은 평면 형태에 따라 원형(I), 말각방형(II), 세장방형(III), 방형(IV), 통적심(V)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다시 축조방식과 사용된 재료에 따라 21가지 형식으로 세분된다. 특히 조선전기 14~16세기에는 원형 잡석 적심(I-1), 말각방형 장대석(II-1), 말각방형 잡석+와전(II-2a) 세 가지 형식의 적심만 축조되다가, 조선후기 19세기에 들어 21가지 분류한 모든 적심이 다양하게 축조된다. 19세기 고종연간 내에서도 연대별로 각기 다른 형식의 적심을 사용하고 있는데, 특히 재료에서 두드러진 차이점이 확인된다. 경복궁을 재건한 고종 2년(1865)~고종 5년(1868)에 축조된 적심 10가지 형식 중 무려 7가지가 와전편을 섞어 넣은 형식인 반면, 고종 10년(1873)과 고종 13년(1876) 혹은 고종 25년(1888)에는 축조된 5가지 형식 중 3가지가 강회를 섞어 넣은 사질토를 사용한 형식으로 대조를 이룬다. 궁궐 건물은 '주인의 신분과 용도'에 따라 건물의 서열이 정해지고, 건물의 이름 뒤에 가장 중요하고 격이 높은 순서대로 전(殿), 당(堂), 합(閤), 각(閣), 재(齋), 헌(軒), 누(樓), 정(亭) 등의 명칭이 붙어 그 유형이 구분되며, 그 격에 맞추어 건축물이 축조된다. 이 건물 유형별 사용된 적심을 검토한 결과, 건물의 유형(전(殿), 당(堂), 합(閤), 각(閣), 재(齋), 헌(軒), 누(樓), 정(亭))에 따라 그 기초, 즉 적심도 달리 축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 자료의 한계 상'전', '당', '각', '방'등 일부 건물 유형만 확인되었는데, '전'과 '각'의 경우 장대석으로 축조한 방형 적심(IV)이, '당'과 '방'의 경우 기와와 잡석을 사용하여 축조한 말각방형 적심(II)이 많이 사용되었으며, 기타 건물명을 알 수 없는 경우는 대부분 조선전기 선대(先代) 건물지의 적심임으로, 조선전기에 원형 잡석 적심(I-1)이 많이 축조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주인의 신분이 높고 격이 높은 건물일수록 건축물도 격이 높듯이, 그 기초부, 즉 적심 또한 가장 견고하고 좋은 재료를 사용하여 축조한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또한 '당'과 '방'은 같은 말각방형 적심이 사용되었지만, '당'은 잡석과 와전편을 주재료로 사용한 II-2a(잡석+와전편 말각방형 적심)형식이, '방'은 II-2a형식의 상면에 15~20cm 가량 와전편을 깐 II-2b(와전편+(잡석+와전편 말각방형적심)) 형식이 많아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건물 유형별 적심은 시기별로 축조되는 형식에 변화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전'과 '각'의 경우 모두 14~15세기 조선전기에는 I-1형식(원형 잡석)의 적심을 축조하다가, 19세기 조선후기에는 다양한 형식의 적심이 축조되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방형 적심(IV)이 많이 축조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당'의 경우 조선후기의 변천양상만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고종 4년(1867) 축조된 적심은 잡석과 와전편을 섞어 넣은 형식의 적심이 많이 축조되고, 이후 고종 13년(1876) 혹은 고종 25년(1888)에는 다른 건물 유형에서 확인되지 않는 강회사질토 및 탄축 적심이라는 독자적인 형식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조선전기에 비해 후기에 적심의 다양한 축조방식과 재료가 개발되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당시 궁궐건물 기초 축조 기술 수준의 변화가 있었음을 대변해 준다. 또한 건물 유형별로 사용되는 적심의 형식이 다른 것이 확인되어, 건물의 기초를 축조할 때 미리 계산된 건축 공법을 적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재난지역의 붕괴지형 3차원 형상 모델링을 위한 스테레오 비전 카메라 기반 드론 개발 (Developing Stereo-vision based Drone for 3D Model Reconstruction of Collapsed Structures in Disaster Sites)

  • 김창윤;이우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33-38
    • /
    • 2016
  • 재난 현장의 붕괴된 건물 아래의 매몰자를 탐지하기 위해서는 구조 업무를 수행하는 인력이나 관리자가 현장의 실제 붕괴 정도 및 현재 상태를 신속하게 파악하여야 구조 업무가 순조롭게 진행될 수 있다. 하지만 붕괴 현장의 경우 사람의 접근 시 추가 붕괴의 위험 등으로 사건이 발생한 부분에 접근이 어려워 현장의 정보를 쉽게 파악하기 어렵다. 또한 제한된 인원으로 인하여 붕괴 현장에 매몰된 사람들의 위치를 파악하는 일 역시 힘든 일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하여 스테레오 비전 카메라를 장착한 무인비행장치 혹은 드론을 활용하여 붕괴지형의 정보를 파악하고자 한다. 스테레오 비전 카메라를 장착한 무인비행장치 제작을 위한 필요 기술 도출 및 제작 방법론 설명을 통해 붕괴지형 정보 획득을 위한 하드웨어 관련 기술을 제시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무인비행장치를 활용하여 획득한 자료를 바탕으로 붕괴지형을 3차원으로 모델링하는 과정을 통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한 기기의 활용 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신라시대 교량 월정교에 사용된 석재 유구의 지질공학적 특성에 근거한 산지 추정 연구 (A Study on Provenance of the Stone Relics of WoljungGyo Bridge built in Silla Kingdom based on Geological Properties)

  • 이광우;조삼덕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79-88
    • /
    • 2016
  • 경주시에서는 신라시대에 건설된 교량 월정교에 대한 복원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월정교는 760년에 건설되어 고려시대인 1280년에 중수한 기록이 남아있다. 따라서 월정교는 적어도 520년 이상 교량으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복원사업이 시작되기 전에 월정교는 양측 교대의 일부와 4개의 교각기초 그리고 한 단 내지 두 단의 교각석이 남아있었다. 월정교 복원공사에 앞서, 복원에 사용할 석재의 종류를 결정하기 위하여, 월정교에 사용된 석재유구의 산지를 추정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월정교석재 유구에 대한 암석학적 조사와 경주시 일원 지질에 대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월정교 건설 당시 사용된 석재로는 경주일원의 대표적인 화강암인 남산화강암이 주로 사용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경주 남산의 동측사면 하부에 위치한 통일전과 탑곡 일원에 넓게 분포하고 있는 토르나 핵석이 월정교 축조에 주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친환경 인증 사업타당성 영향요인 분석;업무용건축물의 에너지 평가부문을 중심으로 (Analysis of Influencing Item of Green Building Certification;Focused on Energy Part of Commercial Buildings)

  • 국동훈;김아영;한갑규;김선국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7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431-435
    • /
    • 2007
  • 국내의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는 환경적 측면뿐만 아니라 대상 프로젝트에 대한 인센티브 및 분양촉진 등 유무형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최근 공동주택을 중심으로 활발히 계획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프로젝트 초기단계에 수행되는 사업타당성 분석지표는 친환경 인증에 관련된 영향요인이 고려되지 않아 객관적인 평가가 이루어지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업타당성 분석지표에 있어서 고려되어야 하는 친환경 영향요인을 경제적 측면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에너지부문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그 구체적인 항목의 도출을 목표로 한다.

  • PDF

미개발 근린공원의 개발 우선순위 결정 -대구광역시를 대상으로- (A Study on Development Priority of Undeveloped Urban Neighborhood Park in Case of Daegu Metropolitan City)

  • 이기철;김경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80-91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a basic knowledge to open up for undeveloped park in process of the park policy establishment by setting up the priority of park development and valuation factor, valuation index as well as building a basic material to undeveloped neighborhood park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irteen urban neighborhood parks(1,841,663$m^2$) in the Daegu Metropolitan City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Analyzing and reviewing the previous research and literature review were conducted, and the evaluation index and analysis criteria were constructed to decide the development priority of park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1) Following to the result of the expert questionnaire test in order to estimate weight of valuation factors. It had a high score in available population, and estimated amount of the gross compensation, unpurchased land rate. On the other hand park rate of autonomous district, altitude, rate of population increase in autonomous district and a low score. 2) Generally, most f the plain type parks had a high score in the Sea level, land using pattern, an estimated amount of the gross compensation, but hill type parks had a high score the rate of green covered, park area for one person of administration building. 3) Daebong, Soosung, Dosan, 2.28 youth, Kyungnam parks were selected high priority. Soochang, Donsibong, Janggi, Dongin parks were selected middle priority. Bokhyun, Galsan, Manchon, Gusoosan parks, which were selected low priority. This research for undeveloped park is a basic research step to open up. Three many difficult things in shortage of the basic material for building valuation factor and measuring of the method measurement. The application of weight which make a decision importance among the valuation factor should have ore reasonable study and more scientific research from now because there still remains a lot of shortage of positive materials in there.

  • PDF

달 얼음-월면토 결합 형태에 따른 얼음 추출로 발생하는 침하량 평가 (Experimental Evaluation of Ice-regolith Mixture Settlement Caused by Lunar Ice Extraction)

  • 이장근;공정;진현우;유병현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9권6호
    • /
    • pp.13-19
    • /
    • 2023
  • 달 얼음은 향후 인류의 심우주 탐사와 장기 체류를 위한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다. 달 얼음에 대한 기원 및 존재 유형은 여전히 가설로 남아 있다. 최근 세계 우주국에서는 달 얼음에 대한 원격탐사에서 지상탐사를 통해 정량적 매장량과 존재 유형을 밝히고자 경쟁적으로 미션을 계획하여 추진 중에 있다. 달 얼음의 매장량이 충분하다면 향후 얼음을 자원으로 활용하는 현지자원활용 개념이 각광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현재까지 얼음 추출에 따른 지반 공학적 관점에서 유의해야 하는 침하에 대한 검토는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공월면토-얼음 존재 유형별로 얼음 추출로 인해 발생 가능한 침하량에 대한 실험적 연구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그 결과 초기 함수비 약 10%의 인공월면토-얼음 혼합토에서 상당한 침하가 발생하였다.

황룡사 중건가람배치 연구 (A Study on the Layout of the 2nd construction in Hwangnyongsa Buddhist Temple Site)

  • 김숙경
    • 건축역사연구
    • /
    • 제23권4호
    • /
    • pp.81-90
    • /
    • 2014
  • This paper aimed to identify the variation of layout in Hwangnyoungsa buddhist temple site based on studying published the excavation research paper and texts related to layout. According to earlier studies, in 1st construction period(553~569) of Hwangnyoungsa, there were trisection spaces with one main hall and two corridors in inner part and then in 2nd period(584~645), unified one. But actually trisection spaces had been maintained until the middle part of 8th century. And in each space there was the main hall with large yard. That is the 2nd period layout of Hwangnyoungsa. For the attainment this result, each building remains are judged under duplicated situation which one was the previous and next by consideration of the construction condition and special features of foundation. Although the meaning of trisection system of Hwangnyoungsa is similar with the layout of ancient palace, it could be said to derive from accumulation excavation research in Silla's archeological site and such studies.

9세기(世紀) 목조건축(木造建築)의 기법(技法) 연구(硏究) - 석조유구(石造遺構)의 건축요소(建築要素)를 중심(中心)으로 - (A Study on Wooden Architectural Techniques in 9 Century - Mainly about the Analysis of Historical Materials of Architecture -)

  • 윤희상
    • 건축역사연구
    • /
    • 제7권1호
    • /
    • pp.49-66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nect the technics and form from ancient to Korea Dynast But in these period there is no buildings remains but paintings, fine arts, and stupas. In the historical materials there are many architectural form and signature revealings, so as a result these analysis, 1)The building showed in paintings of Silla, and Korea Dynasty reflect the architectural style their own Dynasty. 2)In detail, the architecture of Silla and Korea Dynasy was connected with Chinese architectur Liao, Song. But from the 8Century Koreans were succeeded the one of Silla Dynasty and had originility in architectural style. 3)The architectursl style in Silla and Korea Dynasty were very various and very rich content. And we must more serious study of historical materials so that we improve the ancient a middle age of architcture in Kore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