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ffering effect of resilience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8초

한부모가족의 적응 - 가족탄력성의 완충효과 (Adjustment of Single Parent Family - The Buffering Effect of Family Resilience)

  • 현은민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5권5호
    • /
    • pp.107-126
    • /
    • 2007
  • This study explored the buffering effect of family resilience between family stress and adjustment of single parent family based on family resilience approach.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ed: First, single parents who had a lower level of family stress and a higher lever of family resilience reported a higher level of family adjustment. Second, family stress especially economic stress and relational stress influenced negatively on adjustment of single parent family. Family belief system, organizational pattern and communication processes of the three sub-factors of family resilience influenced positively on family adjustment. However the sub-factors of family resilience had more powerful effects than family stress. Third, family belief system, organizational pattern and communication processes of the three sub-factors of family resilience had a moderating effect between family adjustment and psychological stress and between family adjustment and relational stress. Especially the three sub-factors of family resilience had a buffering effect between family adjustment and relational str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had important implication for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The study showed that adjustment of single parent family could be significantly explained by family resilience rather than family stress. Accordingly strength perspective-based intervention focused on family resilience would be more effective than deficit perspective-based intervention based on family stress.

장애아동가족의 스트레스가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 가족탄력성 조절효과 중심으로 - (The Influence of Stress in Famil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upon Problem-solving Ability - Centering on the Buffering Effect of Family Resilience -)

  • 강효경;유장순
    • 초등상담연구
    • /
    • 제11권3호
    • /
    • pp.427-446
    • /
    • 2012
  • 본 연구는 장애아동가족의 스트레스가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가족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총 546명으로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유치원, 초 중 고등학교의 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조사대상자의 스트레스, 문제해결능력, 가족탄력성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적 분석과 상관관계, 그리고 조절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아동가족의 스트레스, 문제해결능력, 가족탄력성 간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아동가족의 스트레스와 문제해결능력의 관계에서 가족탄력성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즉, 가족탄력성의 신념체계와 의사소통과정은 스트레스와 문제해결능력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가족탄력성이 높을수록 스트레스는 낮아지고 문제해결능력은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장애아동가족이 스트레스를 낮추고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학교현장 및 지역사회에서는 장애아동가족의 가족탄력성을 높일 수 있는 가족상담 및 부모상담, 가족탄력성 프로그램의 개발 및 지원이 필요하다고 본다.

  • PDF

청소년의 가정폭력 노출이 사회적 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환경적 보호요인의 역할 (The Impact of Environmental Protective Factors on Social Resilience of Adolescents Exposed to Family Violence)

  • 이상준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8권2호
    • /
    • pp.331-353
    • /
    • 2006
  • 본 연구는 가정폭력의 위험에 노출된 청소년들 중 사회적 탄력성을 나타내는 청소년들은 어느 정도인가를 확인하고, 사회적 탄력성에 미치는 환경적 보호요인들의 영향력을 살펴보며, 가정폭력의 노출위험과 사회적 탄력성과의 관계에서 완화효과를 나타내는 환경적 보호요인은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가정폭력에 노출된 고위험집단 795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간의 폭력을 목격한 집단과 부모로부터의 폭력을 경험한 집단에서 사회적 탄력성을 나타내는 청소년들은 각각 약 43%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지지와 또래집단의 친사회적 특성, 다른 성인의 지지는 사회적 탄력성을 향상시키는 보호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가족지지와 또래집단의 친사회적 특성, 다른 성인의 지지는 가정폭력의 위험이 사회적 탄력성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력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콜센터 상담원의 감정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회복 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The Effect of Call Center Consultant 's Emotional Labor on Burnout: The Moderating Effect of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 박하영;김정규
    • 스트레스연구
    • /
    • 제26권4호
    • /
    • pp.340-349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콜센터 상담원의 감정노동과 소진의 관계에서 회복 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콜센터 상담원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총 444명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감정노동이 소진을 예측하는지 확인하였고, 회복 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감정노동의 하위요인 중 내면 행위는 소진을 감소시켰고, 반대로 표면행위, 감정표현의 빈도, 다양성, 주의 정도는 소진을 증가시켰다. 조절변인인 회복 탄력성과 상사의 사회적 지지는 부분적으로 감정노동과 소진의 관계에서 완충효과가 나타났으나, 동료의 지지는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감정노동으로 야기되는 소진에 대한 예방 및 치료를 위해 본 연구에서 확인된 조절변인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경제적 위기 상황에서 결혼 만족도에 대한 가족 외부 지원과 경제적 압박의 상호작용 효과 (Interaction of External Family Support and Economic Pressure on Marital Satisfaction Under the Economic Crisis)

  • 권희경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7권5호
    • /
    • pp.59-68
    • /
    • 2009
  • External social support for family can be an important resource for families to overcome economic pressure, and can be a way to understand the concept and process of family resilience in the context of Korean economic crisis. To explore the role of external social support that alleviates the negative effects of economic pressure on marital satisfaction, the buffering effects were tested in two ways. First,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external social support and economic pressure on marital satisfaction was tested using hierarchical linear regression model. Second, the scores of marital satisfaction were plotted by the median scores of economic pressure and external social support. Results from the analyses of 191 couples (382 husbands and wives) indicated that external social support help families by buffering the negative effects of economic pressure on marital satisfaction by interacting with economic pressure.

청소년 가출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탐색 (Exploration on Risk and Protective Factors of Adolescent Runaway)

  • 한상철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4권1호_spc
    • /
    • pp.273-298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가출의 특징을 살펴보고, 이들의 문제행동 개입 과정과 양상을 분석함과 동시에 가출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관련 문헌을 통해 가출의 의미와 원인, 최근 조사결과에 근거한 실태와 특징 등을 분석하고, 청소년 시기에 가출을 야기하는 위험요인(risk factors)이 무엇이며, 그리고 이들 위험요인에도 불구하고 가출로 인한 문제행동을 완충 또는 중재하는 보호요인(protective factors)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를 탐색해 보고자 한다. 그 결과 먼저, 청소년 가출에 대해 이를 더 이상 청소년 개인의 문제로만 인식하지 않고 사회적인 문제로 인식해야 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부적절한 가정환경과 부모의 강압적인 양육행동, 부정적인 또래압력과 입시 스트레스 등이 가출의 주요 위험요인이라면 이들의 부정적인 영향을 감소 또는 중재할 수 있는 보호요인으로 사회적 지지, 적극적 대처전략, 부모의 감시 및 통제, 자기 존중감 등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 가출의 예방은 물론이고 가출 청소년들의 적응유연성(resilience)을 향상시킴으로써 비행 및 재 가출을 차단할 수 있는 처치 가능성을 높여 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