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ffering effect

검색결과 184건 처리시간 0.03초

궤도보수 특수철도차량 탬퍼 모의훈련연습기의 개념설계 (A Conceptual Design on Training Simulator of the Special Railway Vehicle for Multiple Tie Tamper)

  • 안승호;강정형;김철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430-436
    • /
    • 2018
  • 궤도보수용 특수철도차량은 열차 운행동안 철도차량의 진동저감 및 승차감 향상을 위하여 다양한 궤도틀림을 조정하는 탬핑장치를 장착한다. 궤도틀림의 선형화 작업에 대한 인적 오류를 감소하기 위하여 실제 탬핑작업의 착오를 바로 확인할 수 있는 모의 훈련연습기의 개발이 중요하다. 기존 2차원 시뮬레이터의 현실성 및 훈련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가상현실 공간상에서 본 특수철도차량의 탬핑작업에 대하여 3차원 시뮬레이터 모델링을 구현하였다. 탬핑작업동안 고화질화면 작동 시 발생되는 버퍼링 문제는 고화질 다각형 모델링에서 추출한 로우 다각형의 Unwrap UVW 매핑기법을 사용하여 해결하였다. 탬핑작업의 훈련시 발생하는 인적오류는 침목과 탬핑유니트의 탬핑타인 충돌 유무를 원과 사각형 충돌원리로 감지된다. 또한 충돌과 동시에 작업운전실 의자의 진동이 발생되며, 모의연습기 화면에 침목 타격수량이 현시되므로 훈련생의 숙달정도까지 인지하도록 제작되었다. 그리고 침목위에 튀어 오른 자갈은 차량주행 안전성 심각한 영향을 미치므로 탬핑유니트에 자갈 튀는 효과를 적용하였다.

밀폐장내(密閉欌內) 실리카겔의 습도조절(濕度調節) 효과(效果) 연구(硏究) (A Study on Buffering Effect of Silicagel to Control Relative Humidity in Air-tight Case)

  • 김명남;유혜선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2권
    • /
    • pp.77-82
    • /
    • 2000
  • 본 실험은 국립박물관을 비롯한 현재 국내외 박물관 및 미술관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는 습도조절제(ART-SORB)의 효능을 측정하여 미소환경 조절시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축적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실험은 외기의 영향을 배제시키고 습도조절제만의 효과를 측정하고자 밀폐조건하에서 수행하였다. 보관장 크기를 고려한 일정량의 ART-SORB 및 카세트(cassette) 형태의 ART-SORB를 투여하여 습도조절능력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체적당 정량을 사용한 실험에선 10~17시간 후 목표습도에 도달하였고, 카세트 단위의 과량의 ART-SORB 사용시에는 5~6시간 내에 목표습도에 도달하였으며, 50~70% RH 범위내에서 습도조절이 가능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ART-SORB는 저습조건에서 습도를 상승시키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었으며, 고습조건에서는 습도조절 능력이 미약했다. 그러므로 ART-SORB는 높은 습도조건이 요구되는 유물(목기, 칠기류, 서화류 등)의 미소환경관리에 보다 효과적인 완충재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실험은 밀폐성이 우수한 보관장에서의 실험이므로 실제 진열장에 그대로 적용된다고 보기는 어렵다. 따라서 밀폐성이 보장되는 진열장이 우선 마련되어야 습도조절제의 효과가 크게 발휘될 수 있다.

흄드 실리카가 영가철에 의한 질산성질소 환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umed Silica on Nitrate Reduction by Zero-valent Iron)

  • 조동완;전병훈;김용제;송호철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599-608
    • /
    • 2010
  • 다양한 반응조에서 흄드 실리카(silica(fumed))가 질산성질소 처리를 위한 영가철 공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회분실험(batch experiment)을 수행하였다. 반응조는 질산성질소만 주입한 경우, 질산성질소와 지하수 환경에 존재하는 이온들을 주입한 경우, 실제 질산성질소로 오염된 지하수로 구성하였다. 지하수 환경을 가진 반응조에서 질산성질소 환원 속도가 빠르게 진행되었으며, 영가철/흄드 실리카 공정이 영가철 단독 공정에 비해 약 2.5 배의 반응 상수값($k_{obs}$)을 나타냈다. 전반적으로 주요 부산물인 암모늄은 영가철 단독 공정에서 약 70% 환원율로 발생하였으며, 영가철/흄드 실리카 공정의 경우에는 암모늄 발생율이 저감되었다. 수중 pH 는 영가철이 산화되면서 pH 가 상승하였으며, 지하수 환경에서는 상대적으로 낮게 유지되었다. 모든 반응조에서 영가철/흄드 실리카 공정의 pH 가 낮게 유지되었으며, 지하수 환경에서 질산성질소가 고농도로 존재할 경우에는 저농도에 비해 pH 상승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등온흡착실험을 수행한 결과, 흄드 실리카가 암모늄에 대한 흡착능을 보였다. 전반적인 결과들을 통해 흄드 실리카가 질산성질소를 처리하는 영가철 공정에 유용한 매질임을 확인하였다.

Effect of sugar content o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in vitro digestibility of whole crop wheat silage

  • Song, Tae Hwa;Oh, Young Jin;Park, Jong Ho;Kang, Chon Sik;Cheong, Young Keun;Son, Jea Han;Park, Jong Chul;Kim, Yang Kil;Kim, Kyong Ho;Kim, Bo Kyeong;Park, Tae Il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282-282
    • /
    • 2017
  • The many factors such as sugar content, moisture, type of bacteria which predominate, buffering capacity, packing and sealing are known to be associated with silage fermentation quality. Among the sugar content are particularly important, because effective silage ensiling relies on the fermentation of sugar content to lactic acid by lactic acid bacteria. Sugar content is also known to affect the protein utilization of rume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serve the effect of water soluble carbohydrates o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in vitro digestibility of whole crop wheat silage. This experiment was used standard cultivars (Cheongwoo, Hordeum balgare L) and solid breeding line of whole crop wheat. The materials harvested at the 30 after heading day and chopped for making silage, and using this silage carried out in vitro digestibility for 6, 12, 24 and 48 hours. For the feed value, crude protein, NDF, ADF contents showed slightly higher than the before ensiling and TDN contents were slightly lower compared to the before ensiling, but did not show the significantly different. For the sugar contents, fructose and glucose contents were decreased in the after ensiling compared to the before ensiling, there were more reduced at the containing high sugar content wheat. The pH value was lower at containing high sugar content wheat. lactic acid content was significantly higher at the containing high sugar content wheat. Therefore, there was profitable to the production of high quality wheat silage at the higher the sugar content. In in vitro digestibility test, containing high sugar content HW34line showed significantly higher dry matter digestibility at 6 and 12 hours of incubation and amount of NH3-N lower other line in all incubation time. Therefore, there was profitable to the production of high quality wheat silage at the higher the sugar content.

  • PDF

담수(湛水)가 탄산석회(炭酸石灰)를 시용(施用)한 토양(土壤)의 pH 변화(變化)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 of Flooding on the pH Change of Soil with Calcium Carbonate)

  • 오왕근;박영선;최영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49-154
    • /
    • 1971
  • 논 또는 밭상태하(狀態下)에서 생(生)짚을 시용(施用)했을 경우(境遇)와 그렇지 않았을 경우(境遇)에 시용(施用)한 탄산석회(炭酸石灰)와 소석화(消石火)가 토양(土壤) 및 토양용액(土壤溶液)의 pH 변화(變化)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알고저 5릿터들이 폴리에칠렌 폿트에 전토(塡土)하여 시험(試驗)한 바 얻어진 결과(結果)는 아래와 같다. 1. 탄산석회(炭酸石灰)를 시용(施用)하고 밭상태(狀態)로 방치(放置)했을 때는 소석회(消石灰)를 시용(施用)했을 때와 같이 토양(土壤)의 pH를 크게 높였으나 탄산석회(炭酸石灰)를 시용(施用)하고 담수상태(湛水狀態)로 방치(放置)했을 때는 그렇지 못하였다. 2. 생(生)짚 시용(施用)으로 인(因)한 토양환원(土壤還元)인 발달(發達)은 토양(土壤)의 pH를 상승(上昇)시키는데 큰 효과가 있었다. 토양환원(土壤還元)과 석회시용(石灰施用)으로 인(因)하여 상승(上昇)된 토양(土壤) pH는 토양용액중(土壤溶液中)에 중탄산(重炭酸) Ion 이 축적(蓄積)되고 탄산(炭酸)까스의 분압(分壓)이 높아짐으로서 점차(漸次) 감소(減少)된다. 이 사실(事實)로 미루어 중간낙수(中間落水)나 중경(中耕)과 같은 작업(作業)은 담수토양(湛水土壤)의 pH를 높이 유지(維持)하는데 유효할 것 같다. 3. 환원(還元)된 담수토양(湛水土壤)에서 생성(生成)된 탄산(炭酸)이나 중탄산염(重炭酸鹽)은 그 토양(土壤)의 완충능(緩衝能)을 증가(增加)할 것이다.

  • PDF

가정폭력 노출 경험이 남녀 대학생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 자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The Impact of Domestic-Violence Exposure Experience on Mental Health among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Resources -)

  • 박주희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0권3호
    • /
    • pp.131-149
    • /
    • 2016
  •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he experience of exposure to domestic violence(witnessed interparental conjugal violence and child abuse) on mental health among college students, and to explore whether social support acts as a moderator between domestic violence and mental health. Through this process, I intended to provide a reference base to suggest substantial interventions for family welfare by helping students to overcome negative domestic violence exposure experiences and adapt as healthy members of society. To achieve this goal, the study established a conceptual framework by considering the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with domestic-violence exposure experience as a dependent variable, domestic violence exposure experience (witnessed interparental conjugal violence and child abuse)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variables. The subjects composed 747 college students in 8 colleges in Seoul. The main summary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domestic-violence exposure experience, all the subjects of this study had substantial experience of violence at home and witnessed interparental conjugal violence. These students scored 3.83 points in social support, higher than the median of 3, implying that these students had a higher awareness of social support. Moreover, their mental health score was 3.50 points, which is higher than the median of 3, indicating a somewhat positive tendency toward mental health. Second, to explore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between child violence experience and mental health, gender, age, financial status, academic-performance, child abuse and social support were input in the first step, and then buffering effects were examined by entering an interaction term to the first step in the second step.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mental health. Therefore, social support was identified as having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violence and mental health. Third, the analysis of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between witnessed interparental conjugal violence and mental health revealed that social support had a positive influence on mental health in the first step. By contrast, the interaction term of witnessed interparental conjugal violence and social support showed no significance, indicating no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second step. To sum up, social support served as a moderator for mental health among college students with child abuse experience, but had no moderating effect on witnessed interparental conjugal violence experience.

젖소에 있어 아급성제1위과산증(SARA)의 강도가 혈장 Lipopolysaccharide (LPS)의 농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Subacute Ruminal Acidosis on Plasma Concentrations of Lipopolysaccharide in Dairy Cattle)

  • 손혜인;백성광;문주연;안의영;이현준;손용석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13-318
    • /
    • 2013
  • 본 시험은 젖소 4두에 대하여 제1위체류형 센서(Indwelling probe)를 정치시키고 이를 이용하여 아급성제1위과산증(SARA)의 강도를 조사함과 동시에 pH가 혈 중 내독소(Lipopolysaccharide; LPS)의 농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비섬유성탄수화물(Non-fiber carbohydrates, NFC)을 기준으로 적정 수준의 NFC를 포함하고 있는 정상 사료군(Normal diet, ND)과, 아급성제1위과산증(Subacute ruminal acidosis, SARA) 유발가능 사료군(Acidogenic diet, AD)의 2개 처리구에 각 2두씩 배치하여 Cross-over 설계로 사양실험을 반복 실시하였다. 제1위체류형 센서는 장시간에 걸친 제1위 내 pH의 변화를 추적하는 데 효과적이었다. 얻어진 결과에서 AD 급여는 반추위내용물의 pH를 낮추는 데 커다란 영향을 주었으며, 반추위 내 pH의 저하는 혈 중 LPS의 농도가 증가로 이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혈 중 LPS 농도는 급성 또는 만성형을 불문하고 과산증을 확인하는 지표로 사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착유우용 사료첨가물로 많이 이용되는 소디움벤토나이트(NaB)와 프로필렌글리콜(PG)의 급여는 반추위 내 pH의 저하를 완충시켜 궁극적으로 SARA의 강도를 완화시키고 혈 중 Lipopolysaccharides (LPS) 농도의 증가를 줄여 줌으로써 내독소에 의해 발생하기 쉬운 제엽염 등의 부작용을 완화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치매환자 가족부양자의 부양부담과 건강 및 삶의 질에 대한 사회지원의 중재효과 (The Moderat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Family Caregivers' Burdens and Health and Quality of Life with Demented Patients)

  • 서경현;천경임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5권3호
    • /
    • pp.339-357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사회가 고령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치매환자 가족부양자의 부양부담과 사회지원이 건강 및 삶의 질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탐색하고, 부양자의 건강 및 삶의 질에 대한 부양부담과 사회지원의 상호작용을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 경기, 충청 지역에 거주하는 치매환자 가족부양자 207명(여: 106)이었으며, 그들의 평균 연령은 51.62(SD=9.25)세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심리검사는 다차원부양자부담설문지, 전겸구의 신체증상척도, 한덕웅과 장은영의 건강지각척도, 자기진술 부정정서질문지, Cambell의 주관안녕척도, MOS의 사회지원질문지, 권중돈의 치매노인 부적응문제척도이다. 분석 결과, 치매환자 가족부양자의 부양부담은 신체증상이나 우울과는 정적으로 건강지각이나 주관안녕과는 부적으로 관계하고 있었다. 사회지원은 치매환자 부양부담이 건강지각, 우울 및 주관안녕에 미치는 영향을 중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치매환자 부양에 따른 부정적 효과에 대해 완충 작용을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부양부담이 가족부양자의 신체증상과 우울의 변량을 30~40% 가량이나 설명하고 있었기 때문에 결과를 부양자의 건강이나 삶의 질의 중재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사회지원이 부양부담 수준에 따라 다르게 작용하는 것 외에도 치매증상이 더 심각할 경우 사회지원이 적은 것 등과 관련해서도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논의하였다.

  • PDF

자연성기반 홍수완충공간 조성에 따른 홍수위 변화 분석 (Analysis of Flood Level Changes by Creating Nature-based Flood Buffering Section)

  • 류지원;지운;김상혁;장은경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3권6호
    • /
    • pp.735-747
    • /
    • 2023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극한홍수 피해가 급증하고 있어 기존의 홍수관리시설만으로는 홍수피해에 제대로 대응하기 어려운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홍수 관리의 자연성 기반 접근 방법 중 하나인 제방 후퇴 및 이설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1차원 수치모델 HEC-RAS를 사용하여 100년 빈도 홍수에 대한 홍수위 및 유속 변화 그리고 최대 홍수위 발생 시점에 대해 분석하였다. 식생 조성 등의 자연성기반 홍수완충공간의 조성 환경 특성을 고려한 조도계수의 선택은 홍수위 변화 분석 결과에 민감하기 때문에 엄격한 기준과 과학적 근거를 기반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자연기반해법의 홍수완충공간 조성에 따른 홍수위 저감 효과는 상류 구간에서 더 크게 나타났으며, 최대 30 cm의 홍수위가 저감되었다. 일부 홍수터 확장구간에서는 국부적으로 홍수위가 상승하는 현상이 나타나며, 유속 변화는 확장된 통수단면적의 비율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제방 후퇴와 홍수터 확장은 홍수 관리의 효과적인 대안으로 고려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홍수위 변화, 유속 변화 및 최고 수위 발생 시점에 대한 종합적인 설계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금속 광미 처리를 위한 포틀랜드 시멘트와 MSG(micro silica grouting) 시멘트 고형화 실증 실험 연구 (Study of Solidification by Using Portland and MSG(micro silica grouting) Cements for Metal Mine Tailing Treatment)

  • 전지혜;김인수;이민희;장윤영
    • 자원환경지질
    • /
    • 제39권6호
    • /
    • pp.699-710
    • /
    • 2006
  • 폐금속광산 주변에 산재한 광미를 고화제를 이용하여 영구 매립하는 고형화 처리 공정의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경상북도에 위치한 지시, 대량, 어전 금속 폐광산 주변 광미를 대상으로 3 종류의 시멘트 고화제를 이용하여 고화체를 양생하고, 고화체의 압축강도 및 중금속 용출을 측정하여 고화체의 고형화 효율을 규명하였다. 포틀랜드 시멘트와 MSG(micro silica grouting) 계열 시멘트를 고화제로 사용하여 광미와 1:1(w.t.) 혼합하여 양생한 고화체의 압축강도 실험 결과 양생 기간이 14일 인 모든 고화체의 일축압축강도는$1{\sim}2kgf/mm^2$를 나타내어, 현행 폐기물관리법(20 조 관련)에서 규정하고 있는 차단형 매립시설의 내부막의 압축강도 기준인 $0.21kgf/mm^2$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광미와 혼합하여 성형한 고화체와 순수한 광미를 대상으로 토양공정시험법에서 제시한 약산 추출법으로 중금속 용출을 실시하여 광미와 광미로 성형한 고화체의 중금속 용출 농도 차이를 비교하였다. 고화제와 광미를 1:1(w.t.)로 혼합하여 성형한 고화체의 경우 As와 Pb의 용출농도가 약 $3{\sim}5$배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약산 추출법에 의한 중금속용출은 고화체 성형 시 뚜렷한 감소 효과가 있었다. 다양한 pH를 갖는 수용액을 이용하여, 광미와 고화제를 혼합하여 양생한 고화체의 시간에 따른 수용액으로의 중금속 용출 농도를 측정하였다. 수용액의 pH가 1과 13인 강산/강염기 용액에서 일부 중금속의 용출 농도가 지하수 생활응수 기준치를 초과하였으나, pH가 $3{\sim}11$인 경우에는 중금속 용출이 급격히 감소하여 모두 지하수 생활용수 기준치 이하를 나타내었다. pH가 1과 13인 수용액의 경우에도 고화체와 반응하는 시간이 증가할수록 고화체의 완충(buffering) 효과에 의해 수용액의 pH가 변화하여 $9{\sim}10$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현장에서 pH가 1과 13인 수계와 광미로 형성된 고화체가 접촉한다 하여도, 고화체의 완충 효과에 의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접촉수의 pH가 변하여 고화체로부터 지속적인 다량의 중금속 용출이 제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