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dding

검색결과 248건 처리시간 0.022초

Expression pattern of floral scent genes in different flowering stages of Chrysanthemum cultivars

  • Mekapogu, Maniulatha;Ahn, Myung Suk;Yoo, Jong Hee;Jeong, Jae Ah;Park, Jong Taek;Kwon, Oh Keun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14-114
    • /
    • 2018
  • Among the various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emitted by the plant, floral scent plays a key role in attracting pollinators for reproduction and mediates ecological interactions. Floral scent is an important trait and industry drives the competition for flowers with novel scents. Chrysanthemum is one of the well-known ornamental plants and is a popular cut flower across the world. Floral scent and the genes responsible for the floral scent emission are poorly studied in chrysanthemum. In the present study, floral scent and the expression pattern of floral scent genes were analyzed in two chrysanthemum cultivars 'Golden Egg' and 'Gaya Glory'. Initially, intensity of the floral scent in five developing stages of flower including 'budding (B), bud developing (BD), initial blooming (IB), almost open (AO) and open flower (OF)' was analyzed using electronic nose (E-nose) with six metal oxide sensors. Based on the distance analysis, different stages of flower showed different relative intensity of scent according to the sensory evaluation. Although the scent pattern differed by stage, scent intensity was strongest in the OF stage in the completely opened flower in both the cultivars. Further, expression pattern of six genes in the floral scent pathway including FDS, IDI, ISPH, TPS2, TPS5 and TPS6 was observed in all the five stages of the flower in both the cultivars. The expression pattern of all the six genes differed by stage and the terpene synthase genes TPS2, TPS5 and TPS6 showed good expression levels in the $5^{th}$ flower stage compared to other stages. This study provides a preliminary data for understanding the regulation of floral scent in chrysanthemum.

  • PDF

Saccharomyces cerevisiae의 CDC3 유전자와 유사한 Schizosaccharomyces pombe 유전자의 클로닝 (Molecular Cloning of the Gene in Schizosaccharomyces pombe Related to the CDC3 Gene in Saccharomyces cerevisiae)

  • 김형배
    • 미생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97-202
    • /
    • 1993
  • 출아법으로 분열하는 S. cerevisiae 는 mother cell 과 bud cell 과의 연결부위근처의 원형질막 내부에 10-nm filament ring 이 존재한다. CDC3, CDC10, CDC11, CDC12 유전자가 이 filament 를 암호화할 가능성이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근래에 CDC3 와 CDC12 유전자의 생성물들이 filament ring 에 존재한다는 것이 형광현미경을 이용하여 밝혀졌으나 그 기능은 밝혀지지 않았다. 이에 본인은 10-nm filament ring 의 지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ring을 이루고 있는 S. cerevisiae 의 CDC3유전자와 유사한 S. pombe 유전자의 clone 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하여 .lambda. gt11 expression vector 에 S. pombe genomic library 를 만들고 CDC3 항채를 이용하여 screen 하였다. Screen 된 유전자를 sequencing 하여 본 결과, 2개 이상의 intron 이 존재하는 것이 밝혀졌으나, 일부 부위의 아미노산 서열과 CDC3 아미노산 서열을 비교하여 본 결과, 약 62%의 유사성이 존재하였다.

  • PDF

율무 재배의 기계화 일관 작업체계가 시간 및 경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erchanized and Intergrated Working System of Job's Tears Cultivation on the Time and Expenditure)

  • 강치훈;김기중;유창재;김두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71-76
    • /
    • 2001
  • 본 실험은 율무 재배시 파종에서 수확까지의 기계화 일관 작업 체계가 시간 및 경비의 절감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출현율은 관행구 62%에 비해 기계화구에서 50%로 낮았다. 작업체계별 10a 당 총 작업시간은 관행구 2,273 분에 비해 기계화구가 90%절감된 230분 이었다. 작업체계별 10a 당 총 경비는 관행구 189,781원에 비해 기계화구가 42% 절감된 111,061원이었다. 작업체계별 출현기, 출수기 및 개화기는 각각 5월 16일, 7월 25일 및 8월 9일로 동일하였다. 작업체계별 생육특성은 비슷하였으나 조명나방 이병주율이 기계화구 3.0%에 비해 관행구에서 13.3%로 높았다. 수량구성 요소는 관행구에 비해 기계화구가 높아서 기계화 구의 조곡 수량은 351kg/10a으로 관행구 309kg에 비해 14% 높았다.

  • PDF

凍害常習地 적응 뽕품종 “龍川뽕”의 재배학적 특성 및 凍害 發生頻度에 따른 蠶作狀況의 몇가지 考察 (The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the Yongcheonppong (Morus spp.) Appropriate for the Cold Region where the Freezing Injury Occured and Consideration on the Result of the Silkworm Rearing Affected by the Occured Frequency of the Freezing Injury)

  • 박광준;조장호;남학우;성규병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22-27
    • /
    • 2002
  • 용천뽕을 수원지방에서 비닐피복 밀식재배법으로 관리한 경우의 재배학적 특성은 다음과 같으며 동해발생시의 육잠 성과의 몇가지 예를 고찰하였다. 1. 춘기 탈포기는 개량뽕보다 3일 빠르나 5개엽기는 동일한 중생뽕이고 춘잠기 수확 당시 신소장은 길다. 2. 용천뽕의 수량은 개량뽕보다 춘잠기에 많고 추잠기에는 적은 춘형이다. 3. 용천뽕은 개량뽕보다 가지수가 약간 많고 지조장도 길어서 가지뽕치기에 적합하다. 4. 용천뽕은 뽕나무 눈마름병과 줄기마름병에 약간 강하고 오갈병에 다소 약하다. 5. 용천뽕은 내동성이 극히 강하여 동해상습지에 적합하며, 연도간의 육잠규모를 안정적으로 유지할수 있는 경영상의 이점이 있다. 춘천지방에서의 육잠성과에 있어서 동해의 빈도가 2년 1회의 경우에는 용천뽕이 개량뽕보다 11%증수 효과가 있었으며, 3년 1회 빈도의 경우는 두 품종이 비슷하였다.

뽕나무 화아의 기내배양에 있어서 생장조절물질이 기관분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lant Growth substances on Organ Regeneration from in virto cultured Flower Buds of Mulberry(Morus alba L., Morus bombycis Koidz.))

  • 남혁우;문재유;김호락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7
    • /
    • 1988
  • 뽕나무의 화아의 기내배양을 실시할 경우 배지종류 및 생장조절물질의 농도가 각 기관의 생장 및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Murashige and Skoog 배지는 Greshoff and Doy 및 Wolter and Skoog 배지에 비하여 자웅화아의 생장에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자화의 성장은 2.0ppm BAP 농도에서 양호하였다. 2. 자화 및 웅화의 화아를 가지고 있는 삽수를 7일간 삽목하여 발아시킨 후 배양한 구가 삽목을 하지 않고 직접 치상한 구보다 화아의 발육이 양호하였다. 3. 고농도 Kinetin과 저농도 IAA를 혼용 첨가한 M.S. 배지에서 생장이 양호하여 발화되었고 건전한 주두 및 약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빠르게 진행하는 종격동의 기관지기원 물혹 (Mediastinal Bronchogenic Cyst, which was Grown Rapidly)

  • 김철;김양기;이영목;김기업;김현조;황정화;김동원;어수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6권2호
    • /
    • pp.136-140
    • /
    • 2009
  • 기관지기원 물혹은 드물게 발생하는 선천성 질환으로 주로 종격동에 분포하며 기관지와의 소통이 발생하는 경우, 악성으로 전환된 경우를 제외하고는 크기가 갑자기 커지는 경우는 드문 일이다. 1년 전 검진에서 시행한 단순 흉부 촬영에서 이상이 없었던 젊은 남자가 흉부검진에서 종격동 덩어리가 발견되어 급격한 크기의 증가가 확인되었던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분열효모에서 spTho1 유전자의 결실과 과발현이 생장 및 mRNA Export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pTho1 Deletion and Over-Expression on mRNA Export in Fission Yeast)

  • 조예슬;윤진호
    • 미생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401-404
    • /
    • 2010
  • 출아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에서 RNA-binding 단백질인 Tho1은 mRNA가 전사되는 동안 초기 mRNA에 결합하여 mRNP 생성과 성숙한 mRNA의 핵에서 세포질로의 방출에 관여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분열효모 Schizosaccharomyces pombe에서도 Tho1과 유사한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spTho1로 명명)를 찾아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이배체 S.pombe 균주에 하나의 spTho1 유전자만을 결실시킨 후 4분체분석을 수행한 결과, 이 유전자는 생장에 반드시 필요하지 않았다. 또한 spTho1 결실 돌연변이는 mRNA의 핵에서 세포질로의 방출도 정상적으로 보였다. 그러나 티아민에 의해 발현이 조절되는 강력한 프로모터를 이용하여 spTho1를 과발현시키면, 세포의 생장이 억제되었으며 $poly(A)^+$ RNA가 핵 안에 축적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들은 spTho1 유전자가 필수적이지는 않지만 mRNA의 핵에서 세포질로의 방출에 관여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분열효모에서 spDbp5 유전자의 결실돌연변이 제조와 기능에 대한 연구 (Construction of spDbp5 Null Mutants Defective in mRNA Export)

  • 배진아;조현진;윤진호
    • 미생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80-84
    • /
    • 2008
  • mRNA의 핵에서 세포질로의 이동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발아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의 DEAD-box RNA helicase인 DBP5 유전자와 유사한 분열효모 Schizosaccharomyces pombe의 유전자(spDbp5로 명명)의 결실돌연변이주(knockout mutant)를 제조하여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이배체인 S. pombe 균주에 하나의 spDbp5 유전자만을 결실시킨 후 4분체분석(tetrad analysis)을 수행한 결과, 이 유전자가 결실된 반수체 균주는 생장하지 못했다. mRNA의 핵에서 세포질로의 이동에 있어서 spDbp5의 역할을 알아보기 위해, spDbp5의 발현이 티아민(thiamin)에 의해 억제되는 균주를 제작하여 in situ hybridization을 통해 세포 내의 $poly(A)^+$ RNA 분포를 살펴보았다. spDbp5 유전자의 발현이 억제되면, $poly(A)^+$ RNA가 핵 안에 축적되고세포질에서는 줄어들었다. 이와 같은 결과들은 spDbp5 유전자 역시 mRNA의 핵에서 세포질로의 이동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목제(木製) 프러쉬 문의 함수율 변동에 따른 틀어짐과 좌굴 예측모델 (II) : 치수변동과 탄성계수의 간이측정법과 불량율 예측 Monte Carlo 시뮬레이션 (Warpinging and Budding Prediction Model of Wooden Hollow Core Flush Door due to Moisture Content Change (II) : Simple Method of LMC and MOE, and Monte Carlo Simulation for Calculating Reject)

  • 강욱;정희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8권1호
    • /
    • pp.18-27
    • /
    • 2000
  • 목재와 목질재료는 물리적 및 기계적 성질에 큰 변이를 지니므로 표러쉬 문의 표면재을 동일한 재료로 제조하는 경우에도 주위 환경의 변화에 따라 틀어짐이 발생할 수 있다. 틀어짐을 예측하는데 필요한 치수변동계수(LMC)와 탄성계수 등은 ASTM 규정대신에 전건법과 동적 탄성계수로 추정할 수 있었다. 틀어짐과 LMC간 관계는 곡선적이지만, 틀어짐과 탄성계수간에는 선형관계를 나타내었다. 경질섬유판과 합판과 같은 표면재의 재료성질은 정규분포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그 변이는 경질섬유판보다 합판이 훨씬 더 컸다. 확율분포 모수와 틀어짐의 관계를 이용해 몬테카롤로 시뮬레이션을 한 결과 틀어짐의 발생 크기에 따른 프러쉬 문의 불량율을 예측할 수 있었다.

  • PDF

벌채후의 상수지의 생장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growth of mulberry branches after cut-down)

  • 김문협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권
    • /
    • pp.7-17
    • /
    • 1965
  • (1)춘벌상수의 벌채후의 지조의 생장은 거의 일직선으로 생장하여 특별한 생장주기가 없는것 같지만 하벌상수의 지조의 생장은 발육초기 약1개월간은 그 생장이 비교적 빠르고 그 후의 생장은 호간 느린 경향이 있다. (2)지조는 그 생장도중의 상당히 빠른 시기에 자기도태현상이 일어나서 춘벌상수에 있어서는 대체로 6월하순∼7월상순경에 또 하벌상수에 있어서는 8월상순경에 유효지조의 수가 결정되어 버리는 것이다. (3)적아처리를 하면 왜소지비율이 적어지고 또 무처리구에 비하여 조장별 지조의 분포의 폭이 넓어진다. (4)벌채후에 있어서 신아는 춘벌상수이면 5월상순∼6월상순에, 또 하벌상수이면 7월중순∼월하순에 걸쳐서 발아하는 것이지만 대부분은 그 초기에 집중적으로 발아하는 것이다. 그러고 유효지조는 초기에 발아한 아중에서 되는 것이고 늦게 발아란 것은 대개 왜소지가 되어 버리는 것이다. (5)춘벌 또는 하벌한 후 발아한 신초를 솎아서 그 수를 제한하면 잔존지조의 생장을 추진시켜서 무처리구에 비하여 그 유효조장을 20%∼60%증대시킬 수가 있으며 이와 같은 유효조장의 증대는 발아처리를 하므로서 그 유효지수가 증가하는데 기인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적아처리의 방법은 조장이 30∼60cm자랐을 때에 조수의 1/3을 솎아 버리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