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bbles

검색결과 879건 처리시간 0.026초

탄산을 첨가한 슬러리 쉴드 터널에서의 침투 거동 및 굴진면 안정성 평가 (Infiltration behavior and face stability of carbonate-added slurry shield tunnel)

  • 이익범;최기훈;이인모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401-413
    • /
    • 2013
  • 최근 연약지반 터널 현장에 활용되는 슬러리 쉴드 TBM은 굴진면으로 슬러리가 주입됨으로 그 안정성을 확보하는 공법이다. 하지만 간극이 과다하여 슬러리에 의한 폐색이 발생하지 않는 조립질 지반에서는 적용이 어렵기 때문에 첨가제를 혼입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첨가제의 역할로서 탄산가스를 주입함으로 슬러리가 주입되었을 때에 간극 내에 탄산가스가 흡착하여 폐색현상을 촉진시키는 효과를 규명하였다. 실내실험 결과 탄산 혼입에 따라 슬러리 쉴드 터널이 적용 가능한 유효입경이 1.0 mm에서 2.6 mm가량으로 증가하였고, 필터계수 ${\lambda}$$0.007sec^{-1}$이상인 경우에 탄산에 의한 효과가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폐렴 간균-괴사성 근막염에 이어 발생한 간농양 (Klebsiella Pneumonia-Necrotizing Fasciitis followed by Liver Abscess)

  • 이승현;최정우;이명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427-431
    • /
    • 2018
  • 본 저자들은 괴사성 근막염 환자에서 간농양이 발생한 사례가 있어 보고하고자 한다. 5일 동안 지속되는 우측 대퇴부의 통증을 동반한 부종, 발열, 오한을 주소로 51세 남자 환자가 본원에 내원하였다. 내원 당시 시행한 MRI 검사 상 우측 대퇴부의 후내측과 후외측 부분에 공기 방울로 보이는 다량의 어두운 음영과 액체 군집이 있어 괴사성 근막염으로 추정 진단하였다. 입원 당시 시행한 복부 초음파 검사 상 양측 신장의 실질 에코는 증가하였지만 간 내 농양은 보이지 않았다. 근막절개 10일 후에 시행한 복부 컴퓨터 단층촬영 검사 상 간 내 농양이 보여, 초음파 검사를 통한 경피적 배액술을 시행하였다. 우측 대퇴부와 간농양에서 배약된 농 검체 모두 폐렴 간균이 배양되었다. 환자는 몇 차례 근막 절개술을 시행 받았고 비경구항생제로 치료한 결과 점차 호전이 되기 시작했다. 치료 시작 5주 후 간농양의 크기는 감소하였고, 10주 후 간농양은 사라졌다. 우리가 아는 한 폐렴 간균 괴사성 근막염에서 간농양이 발생한 첫 사례이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풍선도자관의 Ho-166-DTPA 흡수선량 (Absorbed Dose for the Endovascular Ho-166-DTPA Brachytherapy Using a Balloon Angio Catheter)

  • 조철우;박찬희;윤석남;강해준;김미화;장지선;박경배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3권2호
    • /
    • pp.98-103
    • /
    • 2002
  • 관상동맥 성형술 시행시 재협착률을 줄이기 위하여 풍선도자에 Ho-166을 주입하였을 때 혈관 주위에 전달되는 방사선의 흡수선량을 여러 가지 풍선 직경에 따라 평가하였다. 액체 상태의 Ho-166은 한국원자력연구소에서 중성자핵반응인(n, ${\gamma}$)반응으로 얻었다. 혈관 내벽의 흡수선량을 구하기 위하여 GafChromic film과 개조한 마이크로 메터를 이용하여 거리에 따른 홉수선량을 구하였다. 풍선내의 방사능 농도와 조사시간을 고려하여 흡수선량율의 단위를 Gy/min/GBq/ml 로 구하였다. 이는 단위체적당의 방사능 즉 방사능농도(GBq/ml)에 따른 분당 흡수선량 즉 흡수선량률(Gy/min)이다. 직경이 2.5, 3.0, 3.5, 4.0 mm인 풍선도자의 풍선의 표면에서의 흡수선량율은 각각 0.86, 1.01, 1.11, 1.24 Gy/min/GBq/ml 로 측정 되었다. 풍선표면에서부터 거리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는 흡수선량을 정확하게 측정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풍선내의 공기방울을 제거하여 균일한 흡수선량이 되도록 하였다.

  • PDF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몬모릴로나이트 나노복합체를 이용한 아크릴계 골시멘트의 제조 및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crylic Bone Cement with Poly(methyl methacrylate)/Montmorillonte Nanocomposite Beads)

  • 임진숙;손은희;황성주;김승수
    • 폴리머
    • /
    • 제29권4호
    • /
    • pp.350-356
    • /
    • 2005
  • 아크릴계 골시멘트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고 중합열을 낮추기 위하여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몬모릴로나이트 나노복합체를 골시멘트에 도입하는 연구를 행하였다. 나노복합체는 현탁중합으로 합성하였고 이의 특성을 주사전자 현미경, X-선 회절분석기, 투과전자현미경, 젤 투과 크로마토그래피, 입도분석기, 에너지 분산 분광기로 확인하였다.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몬모릴로나이트 나노복합체를 도입한 골시멘트를 제조하고, 이의 발열특성, 인장 및 압축특성을 조사하였다. 합성된 입자는 몬모릴로나이트 층들이 부분적으로 박리되고 고분자가 삽입된 나노복합체였고, 직경이 약 $50\~60$um인 구형이었다. 골시멘트의 경화온도는 $98^{circ}C$에서 $81\~87^{circ}C$로 감소하였으며, 골시멘트의 기계적 특성을 측정해 본 결과 0.1$wt\%$몬모릴로나이트를 함유하고 있는 골시멘트의 기계적 강도는 증가하였으나, 그 이상에서는 대체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현탁중합 과정에 생성된 나노복합체 내의 기포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중공사막 결합형 생물반응기를 이용한 기체상 톨루엔 제거 특성 검토 (Performance of a Hollow Fiber Membrane Bioreactor for the Treatment of Gaseous Toluene)

  • 손영규;김용식;김지형;송지현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7권8호
    • /
    • pp.886-891
    • /
    • 2005
  • 본 연구는 침지형태로 운전되는 중공사막 결합형 생물반응기(HFMB) 시스템의 VOC 처리능력 및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일차적으로 미생물이 없는 조건에서 VOC 물질전달을 알아보기 위한 abiotic test를 통해, 본 연구에서 사용한 HFMB는 미세기포를 이용한 산기관과 유사한 물질전달율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HFMB는 일반 산기관 시스템과는 달리 기체 유속과 중공사막 개수를 증가시켜 물질전달율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반응조에 톨루엔 분해 미생물을 첨가하고 다양한 유입부하 조건에서의 기체상 톨루엔 제거 실험을 수행하였는데, 50, 100, $500\;g/m^3/hr$의 유입부하 조건에서 $70{\sim}80%$ 수준의 처리효율을 얻을 수 있었다. 추가적으로 수행된 분해능 실험에서는 최대 $800\;g/m^3/hr$ 이상의 분해능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여, 문헌에 제시된 기존 생물여과공법의 최대분해능($50{\sim}100\;g/m^3/hr$) 보다 월등히 높았다. 따라서 HFMB는 기존의 VOC 저감기술을 대치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기술이라고 판단된다.

Colloidal Gas Aphrons의 제조와 안정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Preparation of Colloidal Gas Aphrons and Stability)

  • 윤미해;조대철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670-677
    • /
    • 2007
  • 비이온성 및 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제조한 CGA(cllodial gas aphron)의 안정성을 고찰하였다. 실험에서 이용한 계면활성제는 SDS(Sigma-Aldrich, Co.), Triton X-100, Tween 80, Quillaja Saponin이다. CGA발생장치를 이용하여 단일 성분의 계면활성제 및 혼합 계면활성제에 의한 CGA를 제조하였고, 농도, 온도, 시간에 따른 CGA의 안정성을 조사하였다. 단일 성분 CGA의 경우, Saponin이 143분의 지속시간을 보여 가장 높은 안정성을 나타내었고 Triton X-100, SDS, Tween 80순으로 안정성이 높았다(상온). CGA제조시 계면활성제 용액을 $70^{\circ}C$로 가열한 경우, SDS가 가장 높은 안정성을 보였으며(116분) Saponin은 상온에 비해 안정성이 낮아졌다. (105분). 혼합 계면활성제일 경우, 두 계면활성제의 중간 수준의 안정성을 보였으며, SDS+Saponin 조합이 139분으로 가장 안정성이 컸다. 가열한 혼합 계면활성제에서는 Saponin+Triton X-100 조합이 가장 안정성이 낮아 53분에 불과했다. CGA는 초기 평균 입경이 약 140 ${\mu}m$ 였다가 융합이 일어나면 그 크기가 약 190 ${\mu}m$로 상승하고 이후 붕괴하는 양상을 띠었다. 가열하여 제조한 CGA에서는, Saponin이 포함된 경우 상온에 비해 그 크기가 감소하였으며, 타 계면활성제에서는 일반적으로 그 크기가 증가하였다. 요약하면 CGA는 가열 했을 때 보다는 상온일때, 분자간 상호작용이 크게 작용하는 혼합 계면활성제보다 단일 계면활성제일 경우, CGA 지속시간이 길어져 안정성이 높아졌다.

고압공기분사를 이용한 유류오염토양 세척기법의 적용성 연구 (Applicability of Washing Techniques Coupled with High-Pressure Air Jet for Petroleum-contaminated Soils)

  • 최상일;김강홍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1권6호
    • /
    • pp.61-68
    • /
    • 2006
  • 유류오염토양에 대한 고압공기분사를 이용한 세척기법의 적용성 연구를 위하여 저유소 주변의 실제 디젤오염토양을 사용하였으며 초기 오염농도는 $2,828{\pm}206\;mg/kg$으로 토양환경보전법상 가지역 우려기준 농도를 5배 이상 초과하였다. 세척공정의 기본 운전인자들에 대한 조건별 효율성 평가 및 최적조건 도출실험을 수행한 결과 효율적인 세척을 위하여 impeller는 편심 및 기울어진 중심에 위치하는 것이 가장 유리하였으며 교반속도는 높은 전단력(shear force)이 발생하는 고속교반조건(300 rpm)에서 세척효율이 가장 우수하였다. 교반시간은 10분이 효율성 및 경제성이 우수한 조건으로 판단되었으며 1차 반응속도식에서 도출된 교반속도별 속도상수들간 증가율 감소를 확인하여, 저속 교반조건(30, 60 rpm)에서도 추가적인 물리적 탈착력이 더해진다면 고속교반조건에서와 같은 제거효율을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고압공기 분사에 따른 세척효율은 소수성(hydrophobic)의 토양표면 유류물질이 수중의 공기방울 표면에 강하게 부착(attracting)되어 제거됨을 확인하였고 공기압이 높아질수록 반응기내 공기유량이 증가되면서 오염물질의 부착율이 향상되었다. Impeller에 의한 교반과 고압공기 분사 혼합공정에서는 60 rpm, $2\;kg/cm^2$ 조건이 가장 효율적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고압공기분사를 통한 토양세척기법은 유류오염토양 정화에 효율적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인두 이물감을 호소하는 환자에서 식도 내 공기에 대한 연구 (Esophageal Air in Patients with Globus Pharyngeus)

  • 심예지;남동우;김보해;진영주;유윤종;김민수;정은재;권성근;하정훈;권택균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27-129
    • /
    • 2015
  • Background and Objectives : The etiology of globus pharyngeus remains uncertain. It has been known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the presence of air bubbles in esophagus and GERD symptom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relationship between the globus symptom and the presence of air column in esophagus. Subjects and Methods : The study population consisted of 46 patients who underwent CT scan as part of evaluation for globus. Controls were chosen from the population consisted of patients with lymphadenopathy who underwent CT sca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resence of globus symptom and diameter, volume, and position of the air column was assessed using t-test. Reproducibility of diameter and volume of the esophageal air column was analyzed using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s : In study group, the mean volume of the air column was $769.56{\pm}983.08mm^3$, the mean diameter was $8.24{\pm}4.90mm$, the mean distance from the inferior border of posterior lamina of cricoid cartilage was $88.86{\pm}28.01mm$. In control group, $682.18{\pm}767.28mm^3$, $8.37{\pm}5.50mm$, $88.34{\pm}21.06mm$, respectively. There were no differences of diameter, volume and distance of the air column between the two groups. We failed to obtain acceptable reliability when we compare the diameter and the volume of the esophageal air column. Conclusion :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air column of esophagus and presence of globus symptom. And the measurement of diameter and volume of the esophageal air column change over time and it should be considered in a further study.

  • PDF

치면열구전색제의 도포 시 전색제에 따른 기포 발생 양태 (BUBBLE BEHAVIOR OF PIT AND FISSURE SEALANT)

  • 김현진;이난영;이상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99-105
    • /
    • 2007
  • 치면열구전색제의 도포 시 발생하는 기포는 전색제의 두께 감소에 의한 강도의 저하로 파절 및 마모를 일으킬 수 있으며 특히 계면부에 발생한 경우 미세 누출 등의 임상적인 문제점을 가져온다. 본 조사에서는 치면열구전색제 중 Teethmate $F-1^{(R)}$(Kuraray, Japan), Ultraseal $XTplus^{(R)}$(Ultradent, USA), $Clinpro^{(R)}$(3M-ESPE, USA), $Helioseal^{(R)}$(Ivoclar-Vivadent, Liechtenstein)의 기포 발생 양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자연치 교합면의 열구를 모방한 표준화된 시편을 제작하고 치면열구전색제를 각 군별 20개의 시편에 전색하고 광중합시킨 후 열구 중앙을 절단하여 stereoscope(Olympus SZ61, Japan)으로 확대하여 관찰하였고 컴퓨터 영상분석 프로그램(Image Pro plus Express, Mediacybermetics Co., U.S.A)을 통하여 기포의 발생 양태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기포의 발생 빈도는 Ultraseal $XT^{(R)}$ plus에서 사용 시간과 관계없이 $Helioseal^{(R)}$에 Clinprotip과 metal canula tip을 적용한 경우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p<0.05). 2. 기포의 단면적 당 개수는 Ultraseal $XT^{(R)}$ plus old가 $Clinpro^{(R)}$, $TeethmateF-1^{(R)}$, $Helioseale^{(R)}$에 brush tip을 적용한 경우보다 많이 발생하였다(p<0.05). 3. 기포의 평균 단면적은 Teethmate $F-1^{(R)}$가 다른 군에 비해 큰 값을 보였다(p<0.05). 4. $Clinpro^{(R)}$와 적용 tip을 달리한 $Helioseal^{(R)}$의 경우 기포의 발생 빈도, 평균 개수, 평균 단면적 모두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p>0.05).

  • PDF

원인을 알 수 없는 폐출혈을 동반한 지방색전 증후군 1예 (Fat Embolism Syndrome with Pulmonary Hemorrhage of Unknown Origin)

  • 정혜철;정기환;김병규;김경규;이상엽;박상면;이신형;신철;조재연;심재정;인광호;김한겸;유세화;강경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8권3호
    • /
    • pp.383-387
    • /
    • 2000
  • 지방색전증은 주로 근 골격계 외상 후 발생하는 호흡기계, 신경계 및 피부 출혈성 반점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으로 정확한 병인기전은 잘 모르는 상태이나 대개는 위험요소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 발생하며 진단방법으로 조직 검사 외에 폐포세척술이나 폐동맥카테터를 이용한 지방체의 존재 증명법 등이 연구되고 있다. 치료는 대부분 보존적 치료가 행해지고 있다. 연자들은 특별한 위험요소 없이 건강하게 지내던 중년의 성인여성에서 발생한 폐출혈을 동반한 지방색전증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