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uxism

검색결과 108건 처리시간 0.023초

Evaluation of the effect of two different occlusal splints on maximum occlusal force in patients with sleep bruxism: a pilot study

  • Karakis, Duygu;Dogan, Arife;Bek, Bulent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6권2호
    • /
    • pp.103-108
    • /
    • 2014
  • PURPOSE. The occlusal splint has been used for many years as an effective treatment of sleep bruxism. Several methods have been used to evaluate efficiency of the occlusal splints. However, the effect of the occlusal splints on occlusal force has not been clarified sufficient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occlusal splints on maximum occlusal force in patients with sleep bruxism and compare two type of splints that are Bruxogard-soft splint and canine protected hard stabilization splint. MATERIALS AND METHODS. Twelve students with sleep bruxism were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All participants used two different occlusal splints during sleep for 6 weeks. Maximum occlusal force was measured with two miniature strain-gage transducers before, 3 and 6 weeks after insertion of occlusal splints. Clinical examination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was performed for all individuals according to the Craniomandibular Index (CMI) before and 6 weeks after the insertion of splints. The changes in mean occlusal force before, 3 and 6 weeks after insertion of both splints were analysed with paired sample t-test. The Wilcoxon test was used for the comparison of the CMI values before and 6 weeks after the insertion of splints. RESULTS. Participants using stabilization splint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occlusal force before, 3, and 6 weeks after insertion of splint (P>.05) and participants using Bruxogard-soft splint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d occlusal force 6 weeks after insertion of splint (P<.05).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CMI value of the participants in both of the splint groups (P<.05). CONCLUSION. Participants who used Bruxogard-soft splint showed decreases in occlusal force 6 weeks after insertion of splint. The use of both splints led to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clinical symptoms.

Application of botulinum toxin in maxillofacial field: part I. Bruxism and square jaw

  • Kwon, Kyung-Hwan;Shin, Kyung Su;Yeon, Sung Hee;Kwon, Dae Gun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41권
    • /
    • pp.38.1-38.13
    • /
    • 2019
  • The application of botulinum in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begins in 1982, where Jan Carruthers started using it for reducing the muscle mass and smoothing the skin, and since then it has been used for cosmetic purposes. In Korea, it is already being used by various specialties including dentistry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oral medicine), plastic surgery, dermatology, ophthalmology, general surgery, and orthopedic surgery, etc. Each specialty approaches to Botox with its own medical indications. In this article, we will discuss the maxillofacial application of botulinum toxin, which includes theoretical and practical aspects of such as bruxism and square jaw.

Relationships between Intermittent Locking History and Self-Reported Bruxism in Temporomandibular Joint

  • Lee, Myeong-Ok;Lee, Yeon-Hee;Kang, Soo-Kyung;Chun, Yang-Hyun;Hong, Jung-Pyo;Auh, Q-Schick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42권2호
    • /
    • pp.29-34
    • /
    • 2017
  • Purpose: To evaluate aggravating factors of intermittent locking among temporomandibular joint using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and diagnostic criteria for temporomandibular disorder (DC/TMD) diagnosis.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conducted of 35 patients with intermittent locking history but normal intra-articular findings between September 2012 and June 2015 in Kyung Hee University Dental Hospital. A standardized DC/TMD assessment was performed on subjects with MRI findings. Clinical findings were assessed on the basis of maximum mouth opening (active & passive), self-reported habits, patients' age, gender, systemic diseases at the initial visit. First, chi square test was used to examine differences with variables and then risk factors for intermittent locking were assessed using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Results: Self-reported bruxism was strongly associated with intermittent locking history. Conclusions: The new DC/TMD protocol is intended for use within any clinical setting and supports the full range of diagnostic activities from screening to definitive evaluation and diagnosis. Self-reported sleep bruxism has been associated with a higher likelihood of intermittent locking. Comorbidity is therefore a factor that must be assesse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amount of contact of the teeth and the duration.

이갈이 진단 및 조절용 구내장치의 개발과 신뢰도 조사 (Development and Reliability of Intraoral Appliance for Diagnosis and Control of Bruxism)

  • 김성원;김미은;김기석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0권1호
    • /
    • pp.69-77
    • /
    • 2005
  • 이갈이 치료에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는 구내교합장치는 치아와 턱관절 및 주위조직을 보호함으로써 이갈이 때문에 발생하는 여러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지만, 이갈이 억제에 있어서는 일시적인 증상감소의 효과만을 가질 뿐이므로 환자 스스로가 이갈이를 인지하여 습관을 중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특수한 장치의 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형 방수 스위치를 이용하여 구내장치에 들어가는 부품을 최소화하고 전원의 사용시간을 최대화 함으로서 상품화 가능한 이갈이 진단 및 조절용 장치(이하 이갈이장치)를 개발하여 소개하고, 임상적으로 사용하기 전 장치에 대한 신뢰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새로 개발한 장치는 이갈이 센서인 소형 방수스위치로 구성된 정보입력부, 중앙정보처리장치(CPU)인 정보처리부, 이갈이 신호를 수신하는 정보저장부, 이갈이 신호에 대한 소리나 진동으로 반응하는 반응장치부 및 컴퓨터상에서 저장된 이갈이 정보를 표시하여 이갈이 빈도와 시간, 양태 등을 확인시켜주는 정보표시부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에서 resin sheet로 만든 상하의 wafer 사이에 정보입력부인 스위치는 좌우 견치 설면에 고정하고 정보처리부 CPU는 구개중앙에 고정하여 구내교합장치를 제작한 한편, 여기에서 송신되는 정보는 별도의 외부 장치인 반응장치 및 정보저장장치에서 인식하여 feedback을 보낼 수 있도록 하였다. 장치제작의 신뢰도조사를 위해서는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학생 중 정상교합을 가진 지원자 10명의 상악 석고모형에 대하여 두 명의 술자가 각각 이갈이장치를 제작하여 그 장치가 반응하는 힘의 크기를 비교하였으며(술자간 신뢰도조사), 또한 한명의 술자가 첫 회에 조사한 정보를 기억하지 못하게 약 2일의 시간 간격을 두고 각각 제작하고 그 장치가 반응하는 힘의 크기를 비교하였다(술자내 신뢰도조사). 술자간 및 술자내 조사에서 이갈이장치가 반응하는 최소의 수직력, 측방력, 중심력에서 모두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측정된 값에 있어 서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지 않았다. 새로 개발한 이갈이장치는 부품을 소형화하였으며 제작이 편리하고 구강내에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원의 사용시간을 최대로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술자간 및 술자내 신뢰도 조사를 통하여 임상에 적용가능한 높은 재현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이 장치는 정보처리 및 저장장치가 있고 음향이나 진동을 이용한 바이오피드백 기능을 가지고 있어 이갈이 환자의 진단과 조절에 임상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교합 안정장치가 교근 Silent Period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OCCLUSAL SPLINT ON THE MASSETERIC SILENT PERIOD)

  • 신상용;김광남;장익태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95-204
    • /
    • 198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cclusal splints on the masseteric silent period and the changes of the masseteric silent period after experimental bruxism with occlusal splints. In nine subjects, anterior occlusal splints were fabricated. The jaw-jerk reflex was induced by tapping over mandibular symphysis area with solenoid driven hammer and electromyogram of left masseter muscle was recorded. In the recorded electromyogram of left masseter muscle the silent period duration was measured. This procedure was done before insertion of anterior occlusal splints, after insertion of anterior occlusal splints, after 30 min experimental bruxism with anterior occlusal splints, and 3hr after removal of anterior occlusal splints. The result were as follows; 1. The mean silent period duration was increased after insertion of occlusal splints compared with the mean silent period duration before insertion of occlusal splints. 2. There was no change of the mean silent period duration after 30 min experimental bruxism with occlusal splints compared with the mean silent period duration after insertion of occlusal splints. 3. 3hr after the removal of occlusal splints, the mean silent period duration showed no difference from the mean silent period duration before insertion of occlusal splints.

  • PDF

수면중 이갈이에 의해 발생한 턱관절 통증 환자에 대한 FCST 활용 1예 보고 (A Case Report of Sleep Bruxism-induced Temporomandibular Jount (TMJ) Pain Improved by Appliance of FCST)

  • 엄태민;김윤식;설인찬;유호룡
    • 턱관절균형의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8-11
    • /
    • 2014
  • 본 증례에서는 수면 중 이갈이에 의해 발생한 턱관절 통증에 대하여 FCST를 포함한 침치료를 통해 양호한 치료효과가 있는 것을 관찰하였다. 상기 환자는 FCST의 균형측정지 검사상 TMJ의 경미한 불균형 외에 방사선 소견상 구조적인 큰 이상이 없었음에도 이갈이에 따른 심한 근육긴장으로 통증이 발생한 경우였다. 이것을 통해 FCST가 턱관절의 구조적인 문제에만 국한되어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턱관절 주위 근육 긴장의 빠른 회복에도 상당한 효과가 있음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야간에 TBA를 착용한 상태로 잠을 자게 되면 그 자체로 이갈이에 대한 예방효과가 있어 현재 턱관절통증 등의 증상이 없는 이갈이 환자에게도 예방적인 목적으로 TBA의 처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Evalu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leep bruxism and pulpal calcifications in young women: A clinico-radiological study

  • Tassoker, Melek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48권4호
    • /
    • pp.277-281
    • /
    • 2018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leep bruxism(SB) and pulpal calcifications in young women.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100 female participants between 20 and 31 years of age who were referred to our radiology clinic for a dental check-up, including 59 SB and 41 non-SB patients, were sampled for the analysis. SB was diagnosed based on the American Academy of Sleep Medicine criteria. All teeth were evaluated on digital panoramic radiographs to detect pulpal calcifications, except third molars, teeth with root canal treatment, and teeth with root resorption.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determine the risk factors for pulpal calcifications. The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 was applied and the Pearson chi-square test was used for categorical variables. To test intra-examiner reproducibility, Cohen kappa analysis was applied. P values <.05 were considered to indicate statistical significance. Results: A total of 2800 teeth were evaluated (1652 teeth from SB patients and 1148 from non-SB patients), and 61% of patients had at least 1 dental pulpal calcification.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SB and pulpal calcifications (P>0.05). In SB patients, the total number of pulpal calcifications was 129, while in non-SB patients, it was 84. Binary logistic analysis showed that SB was not a risk factor for the presence of pulpal calcifications(odds ratio, 1.19; 95% CI, 0.52-2.69, P>.05). Conclusion: No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SB and pulpal calcifications.

측두하악장애 환자에서 치아 교모도에 의한 연령감정의 유효성 (The Effectiveness of Age Estimation Method by Occlusal Tooth Wear in Temporomandibular Disorder(TMD) Patients)

  • 정재용;김영준;김철;박문수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3권3호
    • /
    • pp.269-277
    • /
    • 2008
  • 본 연구는 측두하악장애 환자에서 이갈이의 유무 및 심도에 따른 추정연령과 실제 연령과의 차이(추정오차)를 평가하여 그 관계를 살펴보고, 측두하악장애 환자의 이갈이가 치아 교모도를 통한 연령감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교모도를 이용한 Takei의 연령감정법을 163명(대조군: 56명, 환자군: 107명)의 대상자에게 적용하였다. 저자는 추정연령과 실제연령의 차이를 통해 대상자의 교모도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연령에 따라서는 측두하악장애 환자군이 대조군에 비해 모든 연령군에서 교모도가 더 큰 경향을 나타냈으며, 특히 20대에서 유의성 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2. 성별에 따라서는 측두하악장애 환자군이 대조군에 비해 교모도가 더 큰 경향을 나타냈으며, 특히 남성에서 유의성 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3. 이갈이가 있는 측두하악장애 환자군은 대조군에 비해 교모도가 더 큰 경향을 나타냈으며 유의성 있는 차이를 나타냈다. 4. 측두하악장애 환자군간에는 이갈이 심도와 교모도에 대한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5. Takei에 의한 방법은 한국에서 여전히 유용한 연령감정법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측두하악장애 환자에서 교모도를 이용한 연령감정의 경우, 이갈이 심도에 대한 평가와 연령, 성별, 지역에 따른 차이에 대해서도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수면이갈이 환자에서 교합안정장치 사용 후 교합력 및 동기능적교합분석: 예비 연구 (Changes of bite force and dynamic functional occlusion analysis after occlusal stabilization splint therapy in sleep bruxism patients: a pilot study)

  • 김재연;최이슬;송율빈;박원서;김성택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8권4호
    • /
    • pp.204-212
    • /
    • 2022
  • 목적: 수면이갈이 환자에서 한달 간 수면 시 교합안정장치를 장착하였을 때 교합력과 교합 접촉 면적 및 동기능적교합분석의 변화량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2021년 10월부터 2022년 7월까지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구강내과 외래에 방문한 수면이갈이 환자 30명 중 교합안정장치를 수면 중 착용하는 실험군(treatment; n = 15)과 교합안정장치를 착용하지 않는 대조군(control; n = 15)으로 구성하였다. 교합안정장치 장착 전, 장착 1개월 후에 교합력 검사와 동기능적교합분석(측방, 전후방 하악 운동 시 좌/우 힘의 균형, 평균 교합력, 최대 교합력, 최대 접촉 개수)을 진행하였다. 결과: 한달 간 수면 중 교합안정장치를 착용하는 실험군과 교합안정장치를 착용하지 않는 대조군에서 교합력과 교합 접촉 면적은 차이가 없었으나 측방 및 전후방 운동에서 평균 교합력과 최대 교합력, 전후방 운동에서 최대 접촉 개수가 유의한 차이가 있었음을 관찰하였다. 결론: 교합안정장치가 측방, 전후방 운동을 하는 이갈이 환자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추가적으로 대단위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이중 맹검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