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owning

검색결과 998건 처리시간 0.031초

물엿농도와 열처리 조건에 따른 팥앙금 호화액의 당 및 아미노산의 변화 모니터링 (Monitoring of Free Sugar and Amino Acid of Red Bean Paste by Corn Syrup Concentration and Heating Treatment Conditions)

  • 노민환;이태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581-588
    • /
    • 2006
  • 팥앙금과 설탕 및 물엿을 혼합한 모델용액에서 물엿농도 및 가열조건에 따른 팥앙금 호화액의 당 및 아미노산 함량의 동적변화를 모니터링 하였다. 중심합성계획에 의해 유리당 함량을 측정한 결과, 갈변반응이 심하게 발생한 실험구에서 glucose와 fructose의 함량이 높고, maltose의 함량이 낮게 나타났다. 또한 팥앙금 호화액의 amino acid 함량을 분석한 결과, total amino acid 함량은 가열온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받았고, 갈변반응이 많이 일어난 시료에서 그 함량이 크게 증가하였다. 각 시료의 갈색도 측정 결과 glucose 및 아미노산의 변화와 마찬가지로 $95^{\circ}C$의 온도까지는 그 함량이 감소하다가 그 이상의 범위에서는 가열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였다. 팥앙금 호화액의 유리당 및 아미노산 함량과 갈색도와의 상관관계를 조사해 본 결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갈색도의 증가로 인한 유리당 및 아미노산의 감소보다는 열분해에 의한 유리당 및 아미노산의 증가 속도가 더 빠른 것으로 여겨진다.

신품종 배 '감천'과 '추황'의 수확시기에 따른 저장반응 (Storage Response of 'Kamchun' and 'Chuhwang' Pears by Harvest Dates)

  • 황용수;천종필;이재창;서정학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9권1호
    • /
    • pp.48-53
    • /
    • 2001
  • 본 연구는 신품종 '감천'과 '추황' 배 과실에 있어 수확시기에 따른 저장성을 조사하여 이들 품종의 수확 후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감천'은 대과로서 당도는 13.2% 이상으로 수확시기에 관계없이 높았고 산도는 0.082% 이하로 낮아 전반적인 품질이 우수하였고 저장 중 과피 흑변이 전혀 발생하지 않았지만 과심 갈변이 10월 중순 이후 수확한 과실에서 40% 정도로 높게 발생하였다. '추황'은 경도가 높고 산함량이 높으며 저장 중 과피 흑변이 수확시기에 관계없이 80% 이상 높게 발생하였고 과육갈변도 조기 수확한 과실에서 심하게 발생하였다. 따라서 수확 후 생리적 장해를 회피할 수 있는 적절한 수확시기와 이들 장해를 방지할 수 있는 수확 후 관리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 PDF

명태건조방법에 따른 갈변화 관련 물질의 변화 (Effects of Different Drying Methods on Fatty Acids, Free Amino Acids, and Browning of Dried Alaska Pollack)

  • 최희선;김종환;김재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9호
    • /
    • pp.1182-1187
    • /
    • 2007
  • 건조된 명태들은 전반적으로 다가불포화지방산이 감소하고 단일불포화지방산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주기적인 자연냉동과 해동을 반복하면서 건조된 명태(미숙성황태)를 장기간 숙성하여 완성한 황태의 지방산 조성은 북어나 미숙성황태와 비교해 볼 때, 원료시료(명태)간의 차이를 감안하더라도 특징적인 차이를 보였다.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도 황태가 북어나 미숙성황태보다 낮게 나타나 불포화지방산과 유리아미노산의 반응에 의한 점진적인 갈변화 현상을 설명해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황태의 수용성 갈변물질은 주로 숙성단계에서 많이 형성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냉장저장 중 사과슬라이스의 개별페놀성분함량과 제변화 (Changes in the Content of Individual Phenolic Compounds in Apple Slices during Cold Storage)

  • 안선정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89-498
    • /
    • 2008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on how individual phenolic compounds form on the inside of apple slices during cold storage, the changes in the content of four types of phenols, ingredient variation of individual phenolic compounds and the influence of phenolic compounds on enzymatic browning. This study measured the changes in the content of soluble solids, pH and vitamin C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s between these variables. HD and FA were the main phenolic compounds found in the apple slices, and HD was the most prevalent phenol. Furthermore, comparison of the CG and EP content revealed that there were more CGs than EPs. The phenol content tended to decrease considerably in the fresh apple slices and water-dipped apple slices but only slightly in the CP from sucrose-dipped apple slices and 0.5% ascorbic acid solution-dipped apple slices. The degree of browning increased in the following order: fresh apple slices, water-dipped apple slices, 0.5% ascorbic acid solution-dipped apple slices and CP from sucrose-dipped apple slices. The vitamin C content tended to decrease in the fresh apple slices, water-dipped apple slices, 0.5% ascorbic acid solution-dipped apple slices and CP from sucrose-dipped apple slices. The pH tended to increase in all sample groups, but the pH of the water-dipped apple slices was lower than that of the comparison group. The CP from sucrose-dipped apple slices had the lowest value of pH. The change in soluble solids tended to increase in all treatment groups, but this increase was less in the CP from sucrose-dipped apple slice.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a high degree of correlation between browning and chlorogenic acid content.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how that, when stored in the fridge, the change in phenol ingredient content in apple slices influences the browning of the slices.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HD and FA were the main phenolic compounds, while CG was shown to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browning.

표고 수집균주의 재배적 특성 및 갈변과의 상관관계 (Cultural characteristics on collected strains of Lentinula edodes and correlation with mycelial browning)

  • 김영호;전창성;박수철;유창현;성재모;공원식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145-154
    • /
    • 2011
  • 표고 수집균주의 특성을 파악하고 재배적 특성과 갈변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봄으로써 표고 톱밥재배를 안정적으로 실시하고 재배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한천배지에서의 균사생장은 균주와 배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MEA와 PDA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균사생장 최적온도는 $20{\sim}25^{\circ}C$ 이었다. 200lux의 광조건에서 갈변패턴에 따라 균주를 분류할 수 있었다. 갈변기간은 한천배지에서는 30-40일, 톱밥봉지에서는 70~100일이 소요되었다. 자실체 특성을 관찰한 결과 300g 이상 수량을 보이는 균주가 12균주였으며, 자실체 수량 및 재배특성을 고려할 때 ASI 3046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균사생장과 갈변 간의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으며, PDA배지와 톱밥 균사생장과는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며, 한천배지에서 갈변되는 기간과 톱밥배지에서 갈변되는 기간과의 관계는 고도 유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균이 갈변되는 성질은 영양분의 차이보다는 균의 고유한 성질이라고 생각되며 갈변이 빠른 균주를 선발하기 위해서는 한천배지를 이용하여 균을 선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앞으로 톱밥재배에 필수적인 갈변에 대한 이해를 실제 재배에 접목시켜 톱밥재배 기간을 단축시키거나 생산성을 비약적으로 증대시키는 등 톱밥재배를 활성화시킨다면 품질이 높은 생표고를 낮은 가격으로 생산해 낼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당-Lysine 모델 수용액을 이용한 감마선 조사에 의한 비효소적 갈변반응 연구 (The Non-Enzymatic Browning Reaction Occurred by Gamma Irradiation in Sugar-Lysine Aqueous Model Solution)

  • 이주운;오상희;김재훈;변의홍;김미리;김관수;이현자;변명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583-587
    • /
    • 2006
  • 당 및 lysine 혹은 당-lysine 혼합모델 수용액에서 감마선 조사에 의한 갈변도 변화 및 화학적 특성을 연구한 결과 감마선 조사에 의한 비효소적 갈변반응은 당 및 아미노산 단독 환경에서는 일어나지 않았으며, 당-아민 환경에서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lysine 혼합용액의 감마선 조사에 의한 갈변 반응성은 당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나, 당의 감소와 갈변도 사이의 상관관계는 없었다. 비환원당인 sucrose는 감마선 조사에 의해 환원력이 생성되었으며, 다른 당에 비해 높은 갈변 반응성을 나타냈다.

재래종 황색자두효소 갈변반응 생성물의 돌연변이 억제작용 (Desmutagenicity of the Enzymatic Browning Reaction Products Which Obtained from Prunus salicina (yellow) Enzyme and Polyphenol Compounds)

  • 함승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0권1호
    • /
    • pp.71-76
    • /
    • 1987
  • 재래종 황색계자두 효소와 4종류의 polyphenol 화합물과 반응시켜 얻어진 효소적 갈변반응 생성물에 대하여 변이원성 및 변이원 억제작용에 관한 실험결과 B. subtilis H17과 M45 두 균주를 이용한 rec-assay에서 4종류의 갈변반응 생성물 모두 변이원성은 없었다. rec-assay에서 금속이온의 영향을 실험한 결과 pyrogallol의 갈변반응 생성물의 경우 $Fe^{3+},\;Mn^{2+},\;Zn^{2+},\;Ni^{2+}\;Al^{2+}$에서 약한 영향을 받았으며 hydroxyhydroquinone의 갈변반응 생성물에서는 $Cu^{2+},\;Pb^{2+}$, 그리고 catechol의 갈변반응 생성물에서는 $Mn^{2+}$ 공존하에서 약한 영향을 받았다. DNA절단실험 결과 갈변반응 생성물 자체에 의해서는 4종류의 시료 모두 DNA절단능력은 없었다. 금속이온의 영향에서는 $Fe^{2+}$의 경우 그 자체에 의해 절단되었으며 $Cu^{2+}$은 DNA 절단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9 mix를 첨가한 돌연변이 유발실험에서는 4종류의 갈변반응 생성물 모두 농도증가에도 변이원성은 없었으며 변이원 물질인 $benzo\;{\alpha}\;pyrene$에 대한 돌연변이원 억제반응에서는 4종류의 갈변반응 생성물 모두 농도증가에 따라 대조구에 비해 강한 억제작용을 나타냈다. 따라서 재래종 황색계 자두로부터 추출한 polyphenol oxidase와 4종류의 polyphenol 화합물과 반응시켜 얻어진 효소적 갈변반응 생성물의 들연변이원성 실험결과 갈변반응 생성물자체에 의한 돌연변이원성은 없었으며 금속이온의 영향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강력한 발암물질인 $benzo\;{\alpha}\;pyrene$을 사용한 돌연변이 억제실험에서는 4종류의 갈변반응 생성물 모두 강한 돌연변이 억제작용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칼슘제 및 IBA 처리가 '부유' 단감과실의 칼슘함량 및 과정부 갈변현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lcium and Indole-3-butyric acid Treatments on Calcium Concentration and Stem-End Browning in 'Fuyu' Sweet Persimmons)

  • 김영;김월수;최현석;구멍멍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59-462
    • /
    • 2009
  • 단감 '부유' 품종은 저장 단감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저장중 발생하는 과정부갈변 현상과 과피흑변 현상은 과일의 상품성 저하의 주 원인이 되고 있으며, 과실내에서 칼슘함량이 상대적으로 낮은 부위에서 단감의 갈변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시험은 재배 중 토양관주 및 엽면시비가 토양 수체 및 과실내 칼슘 함량과 갈변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과실중 칼슘 함량은 Ca 엽면시비에서 칼슘 함량이 다른 처리구에 비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Ca + IBA 처리구와 Ca 관주 처리의 순으로 나타났다. 토양관주처리에 의한 흡수가 일정부분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과일부위별 칼슘 함량은 경와부>적도면>과정부 순으로 나타나, 갈변이 주로 발생하는 부위인 과정부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과일 특성 조사에서 당도, 경도, 중량은 처리간 뚜렷한 경향차를 보이지 않았다. 이후 저온 저장 후 상온 보관에서 1주일이 지났을 때 과정부갈변과 발생이 Ca 엽면시비에서 14%, Ca 관주에서 20%로 대조구의 50%에 비해 현저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토양관주처리와 엽면시비를 통해 토양, 엽 및 과실내 칼슘 함량이 증가함을 보여주었고, 특히 과실 과정부의 칼슘 함량의 증가로 저장중 과정부갈변이 크게 감소한 것으로 판단된다.

저장중(貯藏中) 사과의 Polyphenol Oxidase의 변화(變化)에 대(對)하여 (Changes in Polyphenol Oxidase of Apple during the Storage)

  • 김옥연;손태화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1권
    • /
    • pp.141-150
    • /
    • 1983
  • 사과 Fuji와 국광을 저온(低溫) 상태하(狀態下)에서 저장방법(貯藏方法)을 달리하였을 때, 내부갈변(內部褐變) 및 PPO.의 변화(變化)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P.E film저장(貯藏)에 있어서 내부갈변(內部褐變) 정도(程度)는 11월(月)에 수확(收穫)한 Fuji가 10월(月)에 수확(收穫)한 Fuji보다 많았고, 0.09mm 2%구(區)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고 0.06mm 2%구(區), 0.06mm 2%구(區)의 순(順)이었으며 $CO_2$를 완전히 제거(除去)한 감압저장(減壓貯藏)에서는 내부갈변(內部褐變)을 볼 수 없었다. 2. P.E film저장중(貯藏中) Fuji의 PPO. activity 및 PPO. specific activity는 11월(月) 수확(收穫)이 10월(月) 수확(收穫)에 비해 높았으며, 0.09mm의 2%구(區)가 0.06mm구(區)보다 높았고, 저장중(貯藏中) 증가(增加)하는 경향이었고, $CO_2$를 완전히 제거(除去)한 감압저장(減壓貯藏) 동안 Fuji의 PPO. activity는 변화(變化)가 거의 없었으나 PPO. specific activity는 계속 감소(減少)하였다. 3. 국광의 PPO. activity는 Fuji에 비해 상당히 높았고 저장중(貯藏中) PPO. activity 및 specific activity는 저장(貯藏) 초기(初期)와 거의 차이(差異)가 없었다. 4. 이상(以上)으로 미루어 Fuji의 내부갈변(內附褐變)은 저온장해(低溫障害)보다는 $CO_2$장해(障害)로 보이며 품종간(品種間)의 PPO. activity의 정도(程度)와 내부갈변(內附褐變)의 관련(關聯)은 찾을 수 없는 것 같다. 그러나 Fuji의 경우 PPO. activity증대(增大)는 $CO_2$의 영향(影響)을 받은 것으로 보이며 내부갈변(內部褐變)과 어느정도 관련(關聯)이 있는 것 같다.

  • PDF

재래종 적색자두(Prunus salicina) 효소갈변반응 생성물의 돌연변이 억제작용 (Desmutagenicity of Enzymatically Browned Substances Obtained from the Reaction of Prunus salicina (Red) Enzyme and Polyphenols)

  • 함승시;홍은희;대촌호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12-219
    • /
    • 1987
  • 재래종 적색 자두 (Prunus salicina)에서 효소를 추출하여 4종류의 polyphenol화합물과 반응시켜 얻어진 갈변반응 생성물에 대하여 Bacillus subtilis H17과 M45를 이용한 rec-assay와 Salmonella typhimurium TA98과 TA100 두 균주를 이용한 Ames test, 그리고 calfcthymus DNA를 이용하는 DNA절단시험을 이용하여 돌연변이원성과 돌연변이 억제작용을 조사하였다. 포자 rec-assay 에서는 pyrogallol, hydroxyhydroquinone, 3,4-dihydroxytoluene, chlorogenic acid 의 갈변반응 생성물은 모두 DNA손상능력이 없었으며 8가지 금속이온 중 ${Zn}^{2+}$${Ni}^{2+}$의 첨가로 고초균 DNA손상에 약한 영향을 나타내었다. DNA절단시험 결과 4종류 갈변반응 생성물 모두 DNA절단작용이 없었으며 금속이온의 영향에 있어서는 pyrogallol 갈변반응 생성물이 ${Cu}^{2+}$의 영향을 받아 ${Cu}^{2+}$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강한 절단작용을 나타내었으며 3,4-dihydroxytoluene 과 hydroxyhydroquinone갈변반응 생성물은 금속이온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았다. 또한 chlorogenic acid갈변반응 생성물은 DNA 절단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Ames test에서는 4가지 갈변반응 생성물 모두 변이원성은 없었으며 benzo$[{\alpha}]$pyrene을 사용한 변이원성 억제작용 실험결과 benzo$[{\alpha}]$pyrene의 활성을 강하게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