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own rot fungi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6초

Cladosporium cladosporioides and C. tenuissimum Cause Blossom Blight in Strawberry in Korea

  • Nam, Myeong Hyeon;Park, Myung Soo;Kim, Hyun Sook;Kim, Tae Il;Kim, Hong Gi
    • Mycobiology
    • /
    • 제43권3호
    • /
    • pp.354-359
    • /
    • 2015
  • Blossom blight in strawberry was first observed in a green house in Nonsan, Damyang, and Geochang areas of Korea, between early January to April of 2012. Disease symptoms started as a grey fungus formed on the stigma, which led to the blossom blight and eventually to black rot and necrosis of the entire flower. We isolated the fungi purely from the infected pistils and maintained them on potato dextrose agar (PDA) slants. To test Koch's postulates, we inoculated the fungi and found that all of the isolates caused disease symptoms in the flower of strawberry cultivars (Seolhyang, Maehyang, and Kumhyang). The isolates on PDA had a velvet-like appearance, and their color ranged between olivaceous-brown and smoky-grey to olive and almost black. The intercalary conidia of the isolates were elliptical to limoniform, with sizes ranging from $5.0{\sim}10.5{\times}2.5{\sim}3.0{\mu}m$ to $4.0{\sim}7.5{\times}2.0{\sim}3.0{\mu}m$, respectively. The secondary ramoconidia of these isolates were 0- or 1-septate, with sizes ranging betweem $10.0{\sim}15.0{\times}2.5{\sim}3.7{\mu}m$ and $8.7{\sim}11.2{\times}2.5{\sim}3.2{\mu}m$, respectively. A combined sequence analysis of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regions, partial actin (ACT), and translation elongation factor 1-alpha (TEF) genes revealed that the strawberry isolates belonged to two groups of authentic strains, Cladosporium cladosporioides and C. tenuissimum. Based on these results, we identified the pathogens causing blossom blight in strawberries in Korea as being C. cladosporioides and C. tenuissimum.

참깨의 종자전염성(種子傳染性) Alternaria sesami와 Corynespora cassiicola에 관(關)하여 - 종자(種子) 및 유묘(幼苗)에 미치는 피해(被害)와 종자소독(種子消毒)의 효과(效果) - (Seed-borne Infection of Alternaria sesami and Corynespora cassiicola in Sesame, Damage to Seeds and Seedlings and Control by Seed Treatment)

  • 유승헌
    • 농업과학연구
    • /
    • 제10권2호
    • /
    • pp.269-276
    • /
    • 1983
  • 전국(全國)에서 수집(收集)한 50개(固) 참깨종자(種子) sample을 blotter법(法)으로 조사(調査)하였던 바 Alternaria sesami는 29개(固) sample에서 최고(最高) 37%, Corynespora cassiicola는 38개(固) sample에서 최고(最高) 76%의 높은 비율(比率)로 검출(檢出)되었다. A. sesami와 C. cauiicola에 각각(各各) 심(甚)하게 이병(罹病)된 종자(種子)는 종자부패(種子腐敗)를 일으켜 전혀 발아(發芽)하지 못하며 일부(一部) 이병(罹病)된 종자(種子)는 발아(發芽)하더라도 곧 유묘감염(幼苗感染)이 되어 유근(柳根)이나 자엽(子葉)의 일부(一部)가 갈변(褐變)하며 고사(枯死)하였다. 종자전염성(種子傳染性) A. sesami와 C. cassiicola에 대(對)한 몇가지 종자소독제(種子消毒劑)의 효과(效果)를 조사(調査)하였던 바 A. sesami의 종자감염(種子感染)에 대(對)하여는 Busan 30의 소독효과(消毒效果)가 높았고 C. cassiicola의 종자감염(種子感染)에 대(對)하여는 Benlate T와 Homai의 소독효과(消毒效果)가 탁월(卓越)하였다.

  • PDF

목재 내 Copper Azole 보유량이 목재부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opper Azole Retention Level to Wood Decay)

  • 이현미;손동원;이한솔;황원중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3권1호
    • /
    • pp.112-121
    • /
    • 2015
  •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가압주입 처리용 구리 붕소 아졸화합물계의 목재 방부제 Copper Azole (CuAz)의 목재내 주입량별 부후 특성을 조사하였다. 여러 가지 주입량으로 CuAz-2 방부제를 가압주입한 시편을 이용하여 갈색부후균인 부후개떡버섯에 의한 방부효력시험을 실시한 후 질량감소율을 측정하였다. 또한, CuAz-2 처리 시편을 부후개떡 버섯으로 부후시킨 후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으로 부후 특성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부후개떡버섯에 의한 무처리재는 40% 이상의 질량감소율을 보여주었고 실내 부후에 의한 CuAz-2 약제의 방부효력을 나타내는 값은 $1.79{\sim}3.32kg/m^3$이었다. CuAz-2의 주입량에 따라 횡단면, 방사단면, 접선단면에서의 목재조직은 무처리 시편과 비교하여 부후 정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횡단면에서는 조재와 만재부분에서 수직수지구, 방사조직의 부후가 많이 관찰되었고, 방사단면에서는 방사가도관, 방사유세포, 벽공 부분이 부후되어 파괴되었고, 접선단면에서는 방사조직, 수평수지구가 심하게 부후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주입량에 따른 부후 현상이 크게 차이가 난 점 등을 고려하여, 현재의 CuAz-2 주입량에 대한 적정성 검토가 국내 환경에 대해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사과나무의 겹무늬병(윤문병) 및 사마귀병 (우피병)의 병원균과 병원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White rot and Blister Canker in Apple Trees caused by Botryosphaeria berengeriana)

  • 이두행;양장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82-88
    • /
    • 1984
  • 사과나무의 과실 부패현상과 가지 사마귀현상의 평원균 및 그 병원성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다. 1. 사과나무와 배나무의 가지 및 과실, 벚나무${\cdot}$복숭아나무${\cdot}$자두나무${\cdot}$능수버드나무 및 자작나무의 가지 등 7종의 병든식물에시 분리된 것은 Dothierella mali (Botryosphaeria berengeriana 의 불완전세대)가 대부분이었고 사과의 썩은 과실에서는 Alternaria sp.와 Pencicillium expansum도 분리되었으며, 배의 썩은 과실에서는 Phomopsis sp.도 분리되었다. 2. B. berengeriana의 10개 분리균을 4종 재배에 배양한 결과 균사생장, 균총의 모양 및 색깔의 차이에 따라 2가지로 나눌 수 있다. 공시된 분리균은 배지에 특이한 색깔을 나타내지 않았다. 병자각은 자좌속에 형성되었으며, 모양은 구형 또는 편구형으로 흑갈색이었고, 크기는 사과 병조직의 것이 $103.5-287.5\mu\times92.0-287.5\mu$사이었다. 병포자는 보통 무색, 단포, 타원형-방추형으로써 사과나무 가지에서 분리한 균의 크기의 범위는 $4.3-7.2\mu\times20.0-31.5\mu$(평균 $5,9\times25.4\mu$)이었다. 병포자는 발아전후에 1개, 2개 또는 3개의 격막이 생기는 것도 있었다. 배지 또는 접종부위에 형성된 병자각 안에는 소형포자도 형성되었다. 접종식물의 잎과 과실에는 겹무늬의 갈색-흑갈색 병반이 나타났고 사과나무와 배나무의 햇가지에는 사마귀상 돌기가 접종부위에 생기는 것이 있었으며, 복숭아나무 및 벚나무의 가지에는 조피형 동고성 병반이 나타났다.

  • PDF

불로초버섯 노랑썩음병의 발생과 병원균의 분류 동정 (Occurrence and Identification of the Fungus Causing Yellow Rot on Ganoderma lucidum)

  • 오세종;전창성;이종규;김희규
    • 한국균학회지
    • /
    • 제26권1호통권84호
    • /
    • pp.31-38
    • /
    • 1998
  • 1990년을 전후하여 불로초버섯 재배원목에 노랑 얼룩무늬를 형성하며 버섯균을 심하게 썩히는 토양 전염성 곰팡이에 의한 병이 발생되었다. 불로초버섯 재배기간이 10년 이상인 철원과 강화 지역의 발병율은 각각 61%와 94%로 매우 높았으며 재배 년수가 비교적 짧은 문경과 홍성에서는 아직 병발생이 없었다. 피해원목을 절개하여보면 감염 초기에는 원목내부에 연한노랑 얼룩무늬를 형성하면서 영지버섯균사와 대치된 부분에서 갈색의 띠를 형성하였는데, 병이 많이 진전된 경우에는 원목의 내부 전체가 약간 푸르스름한 색깔을 띄면서 병원균의 자낭각이 다량으로 형성되어 있었다. 심하게 이병된 원목에서는 불로초버섯의 자실체가 전혀 생산되지 못하였으며 자실체가 형성된 경우라도 매우 불량하고 거의 죽어있었다. 단포자로 분리에 의해 배양된 병원균은 배양기상에서나 재배원목에서 불로초버섯 균사체를 심하게 용해시키는 강한 병원성을 나타내었으며, 병원균이 분비한 항균물질에 의하여 불로초버섯 균사체는 전혀 생장하지 못하였다. 본 병원균은 Arthrographis cuboidea로 동정되었는데 이들은 일반 배양기에서 비교적 빠르게 자라며 노란 색소를 형성하고 무성세대인 분절포자를 형성하였으며 포자낭병은 분지되지 않고 연속적으로 포자를 형성하였다. 무성포자의 폭이 길이보다 넓은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A. cuboidea에 의한 불로초버섯 노랑썩음병에 대한 병원성 및 분류 동정한 결과를 보고하고자 합니다.

  • PDF

침엽수 혼합목분에서 배양조건을 달리한 Fomitopsis palustris 의 균체외효소 활성 변화 (Effect of Various Culture Conditions on the Activity of Extracellular Enzymes from Fomitopsis palustris, Brown Rot Fungi)

  • 이영민;최두열;김현정;윤정준;김영숙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4권1호
    • /
    • pp.53-59
    • /
    • 2008
  • 목질 바이오매스(wood biomass)를 효율적으로 분해하는 최적 배양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국내 침엽수 4수종(소나무, 낙엽송, 잣나무, 리기다소나무)의 목질바이오매스를 혼합하여 목분의 적정입도, 배양기간, 기질첨가농도별 균주의 균체외효소 활성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혼합목분을 기질로 했을때 Fomitopsis palustris가 분비하는 균체외효소 활성은 효소 종류에 따라 기질농도, 목분입도, 및 배양기간등의 배양조건에 따라 다른 효소활성 값을 나타냈다. 침엽수 혼합목분을 기질로 했을 때 대부분의 cellulase 분비를 유도하는 최적 조건은 목분 입도, 80~100 mesh, 기질 농도는 7.5%가 적정한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최적의 목분입도 및 투입농도 조건에서 배양기간은 4~8주로 적절한 것으로 구명되었다.

  • PDF

Effect of Carbon Source on the Hydrolytic Ability of the Enzyme from Fomitopsis pinicola for Lignocellulosic Biomass

  • Kim, Hyun-Jung;Kim, Yoon-Hee;Shin, Keum;Kim, Tae-Jong;Kim, Yeong-Suk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8권5호
    • /
    • pp.429-438
    • /
    • 2010
  • In this study, effect of carbon source on the hydrolytic ability of the enzyme from Fomitopsis pinicola, a brown rot fungi, for lignocellulosic biomass were examined on two lignocellulosic biomasses (rice straw and wood) without any pretreatment. Cellulase activities of crude enzyme from F. pinicola, which was cultured on softwood mixture as a carbon source, were 19.10 U/$m{\ell}$ for endo-${\beta}$-1,4-gulcanase (EG), 36.1 U/$m{\ell}$ for ${\beta}$-glucosidase (BGL), 7.27 U/$m{\ell}$ for cellobiohydrolase (CBH), and 7.12 U/$m{\ell}$ for ${\beta}$-1,4 xylosidase (BXL). Softwood mixture as a carbon source in F. pinicola comparatively enhanced cellulase activities than rice straw. The optimal pH and temperature of the cellulase was identified to pH 5 and $50^{\circ}C$for the hydrolysis of rice straw. Under these condition rice straw was hydrolyzed to glucose by the cellulase up to $32.0{\pm}3.1%$ based on the glucan amount of the rice straw for 72 h, while the hydrolytic capability of commercial enzyme (Celluclast 1.5${\ell}$) from rice straw to glucose was estimated to $53.7{\pm}4.7%$ at the same experimental condition. In case of addition of Tween 20 (0.1% w/w, substrate) to the cellulase the hydrolysis of rice straw to glucose was enhanced to $38.1{\pm}2.0%$.

생물학적인 방법을 이용한 방부처리재의 중금속 제거 (II) - CCA, CCFZ 처리재에서 중금속 제거 - (The Removal of Heavy Metals from Treeated Wood by Biological Methods (II) - Removal of Heavy metals from CCA and CCFZ- treated Wood -)

  • 손동원;이동흡;강창호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2권2호
    • /
    • pp.1-8
    • /
    • 2004
  • 갈색부후균 Tyromyces palustris를 이용하여 CCA처리 목재와 CCFZ처리 목재에서 중금속을 제거하였다. 전처리 방법으로써 증기압처리와 수산처리가 검토되었다. 수산 전처리에 의한 균처리의 제거율 상승 영향과 일정 균체량에 대한 방부처리재의 폭로양의 차이에 따른 처리율의 변화정도를 검토하였다. 배양방법을 달리하여 방부처리재의 유효성분 제거량을 비교하고 생물반응기를 이용하여 중금속 제거를 실시하였다. 크롬과 비소는 수산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제거율이 증가하였으나 구리는 농도의 증가에 따른 제거율이 크게 향상되지 않았다. T. palustris는 균체량 287 mg으로 크롬과 비소는 시료무게 3 g까지 60% 이상의 제거율을 나타냈고 구리는 50% 이상의 제거율을 나타내었다. 진탕배양에서는 크롬, 구리, 비소의 제거율이 60% 이상의 제거율을 보였으며, 정치배양에서는 구리의 제거율이 진탕배양보다 높게 나타났다. 생물반응기 적용 시 7일 배양이후 제거율은 크롬 72%, 구리 61%, 비소는 59%이었다.

버섯재배용 배지재료의 성분분석 (Composition analysis of raw material constituting the medium for mushroom cultivation)

  • 김선영;정민화;김민근;임착한;김경희;김태성;김동성;정종천;홍기성;류재산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08-213
    • /
    • 2013
  • 버섯의 혼합배지에 사용되는 배지원료의 아미노산과 일반성분을 분석한 결과, 순단백질(아미노산) 함량은 대두박이 44.02%로 가장 높았고, 건비지가 31.5, 면실박이 30.6%로 나타났다. 주요 질소원 배지지료의 비단백태질소화합물(NPN)의 조단백질에 대한 비율은 대두박이 2.4%, 건비지는 5.6%였지만, 탄소원 배지재료인 미강과 밀기울은 17.6%로써 높았다. 조단백질/가격(원)은 채종박이 6.0으로 가격대비 조단백질량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균사생장에 관여하는 가용성무질소물(NFE)는 알파콘이 72.9%, 소맥피B가 57.2%로 높았다. 산성세제불용섬유(ADF)는 콘콥이 51.88%로 높았는데, 잣버섯 등 갈색부후균이 이용하기 어려운 리그닌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사용에 주의가 필요하다.

주요 잔디류와 화본과 식량 밭작물의 황색마름병원균 및 설부소립균핵병원균에 대한 저항성 평가 (Resistance Evaluation of Several Turfgrass Species and Graminious Crop Species against Rhizoctonia cerealis and Typhula incarnata under Controlled Conditions)

  • 장석원;장태현;양근모;최준수;노용택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9-15
    • /
    • 2010
  • 2008~2009 겨울 동안 강원도와 전라북도 소재 골프장에서 분리한 황색마름병원균(Rhizoctonia cerealis Van der Hoeven)과 설부갈색소립균핵병원균(이하 설부병원균)(Typhlua incarnata Lasch ex Fr.)에 대한 화본과 식물과 잔디 종(품종)의 저항성이 실내에서 평가되었다. 분리균주의 병원성 검정결과 대부분의 잔디와 화본과 식물에 병을 일으켰지만 균주간의 병원력 차이도 발견되었다. 황색마름 병균은 잔디의 지제부위를 통해 감염하여 연한 갈색의 원형 반점 증상을 보이다가 진전되면 적색을 띄다가 결국 진한 갈색의 증상으로 나타났다. 설부병 증상은 수침형 반점으로 시작해서 전체 식물체를 갈색으로 고사시켰는데, 대부분 감염부위에서 흰색의 균사체가 식물체와 토양을 뒤덮었고 진전되면 다양한 크기의 갈색과 검은색의 독특한 균핵을 형성하였다. 병 발생은 습실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화본과 작물과 잔디의 종(품종)간에는 병원균의 병원력에 차이도 나타났으며 두 병원균에 대해 양적인 차이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