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own rice green tea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3초

밤속껍질에서 기능성 음료의 개발(II) -밤차, 현미녹차 및 결명자차가 생체기능활성화에 미치는 효과-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Beverage from the Inner Skin of the Chestnut Castanea crenata ( II ) -Physiological Effects of Chestnut Inner Skin Tea, Brown Rice-preen Tea and Cassia tora Tea in Mouse and Rat-)

  • 전병관;정현우;이종률;지준명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411-418
    • /
    • 2000
  • 결명자차, 녹차 및 밤차가 인체의 생체기능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국소뇌혈류량 및 혈압, in vitro상에서의 면역세포의 활성화, 그리고 암세포가 이식된 동물에서의 면역세포 활성화와 암세포의 증식억제 효과를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단당류는 현미녹차와 결명자차에는 glucose, ga-lactose등이 들어 있으나 밤차에는 glucose, gal-actose, mannose가 들어 있다. 2. 아미노산은 현미녹차, 밤차, 결명자차 순으로 들어 있다. 3. 카페인은 현미녹차에는 들어 있으나 밤차와 결명자차에는 들어 있지 않았다. 4. 결명자 차는 국소뇌혈류량을 증가시킨 반면 밤차는 감소시켰다. 5. 녹차는 혈압을 증가시켰다. 6. 밤차는 in vitro 상에서 흉선세포와 비장세포의 증식을 유의성있게 증가시켰다. 7. 결명자차와 녹차는 in bitro 상에서 흉선세포의 증식을 감소시켰다. 8. 결명자차와 녹차는 L1210세포가 이식된 동물의 흉선세포 증식을 감소시켰다. 9. 밤차는 L1210세포가 이식된 동물의 비장세포 증식을 촉진시켰다. 10. 밤차와 결명자차는 L1210세포가 이식된 동물의 암세포 증식을 억제하였다.

  • PDF

찻물에서의 Cd과 Pb이온 제거에 관한 차입자의 효과 (Effect of Some Tea on Removability of Cd and Pb Ion in Solution)

  • 김중만;백승화;박성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521-527
    • /
    • 1998
  • Removabilities of heavy metals(Cd and Pb) by the tea materials (barley-tea, corn-tea, jasmin-tea, brown rice-green tea, black-tea, cassia tora-tea, persimmon peel-tea, and rice-tea) in the tea-water were studied in the various conditions ; particle size of tea (20, 40, 70 mesh), concentration of heavy metal (25, 50, 100 ppm) and extraction temperature(20, 30, 50, 100$^{\circ}C$). The removabilities by the tea solids were increased as the particle size decreased, concentration of heavy metal increased, and extracting temperature increased. Of the nine kinds of tea, Cd and Pb removability by jasmin-tea was highest. In addition, heavy metal removability by cassia tora tea was better than that of other tea as extraction temperature was increased.

  • PDF

전북지역 성인의 녹차 및 녹차관련 제품에 대한 기호도와 이용실태에 관한 연구 (The Preference and Utilization of Green Tea and its Products of Adults in Chonbuk Area)

  • 양향숙;노정옥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4권9호
    • /
    • pp.21-29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ferences and utilization of green tea and its products for adults living in Chonbuk are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388 (117 male, 271 female) subjects. who were classified into 5 groups by age. Data were analysed by chi-square and ANOVA.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On the investigation of preferenc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nd among the age groups(p<.001). More than 20% of the subjects in the $20{\sim}29$ years group preferred coffee and juice. A half of the elderly over 60 years preferred a kind of green tea. The frequency of green tea drinking was not significantly influenced by age. Drinking green tea less than once a day was replied by 59.0% of the subject of whom 44.3% drank the green tea at home. and 42.0% got information about green tea from TV or radio. Regarding the satisfaction with products using green tea, 62.6% of the subjects responded only 'mediocre.' The brown rice-green tea was marked to be the highest in terms of recognition among all kinds of products. The green tea-related products were rated higher by the elder group. In conclusion, future research should focus on the development of green tea and its products in accordance with the consumption pattern in each age group.

시판 기호식품 중 카페인 함량에 관한 조사 (A Evaluation of the Caffeine Contents in Commercial Foods)

  • 윤미혜;이명진;황선일;문수경;김재관;정일형;임준래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95-299
    • /
    • 2001
  • 식생활의 여유와 더불어 생활패턴 변화로 커피, 차, 콜라 등 카페인 함유 기호식품의 소비가 급증하고 있어 카페인 섭취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카페인 및 카페인 함유식품에 대한 정보제공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중 유통되고 있는 커피 등 기호식품 13종 115품목을 대상으로 소비자가 실제적으로 음용할 때 섭취되는 카페인 함량을 HPLC로 분석하였다. 카페인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난 식품은 캔 커피로 1캔에서 78.3~141.4mg의 카페인이 검출되었고 커피믹스와 인스탄트커피는 53.3~70.4mg, 54.0~71.1mg이었으며, 원두커피의 경우 35.9~57.2mg으로 다른 커피보다는 약간 낮은 수준이었다. 홍차의 경우 티백에서 19.5~38.3mg, 캔 음료에서 9.0~29.2mg의 카페인 함량을 보였고 녹차는 잎차가 26.0~48.0mg, 티백 13.7~26.8mg, 캔 음료는 12.4~17.5mg이었다. 그 외 식품에서의 카페인 함량은 현미녹차 티백 7.1~16.5mg, 코코아차 22.8mg, 콜라 10.3~25.0mg, 커피맛빙과 10.0~48.2mg이었다. 또한 홍타, 원두커피, 녹차에 들어있는 카페인이 침출조건에 따라 용출되는 양은 물의 온도 10$0^{\circ}C$에서 침출시간 5분까지 급속히 증가를 보이다가 10분부터는 거의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침출온도의 변화에서는 10$0^{\circ}C$까지 계속적인 증가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외식업소 음용수의 위생실태와 침출재료에 따른 기호성과 저장성 (Hygienic Quality of Drinking Water Served in Restaurant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Drinking Water Boiled with Various Plant Materials)

  • 안유복;정은주;이신호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59-164
    • /
    • 2007
  • 대구근교 외식업체 25곳의 고객에게 제공되고 있는 음용수의 위생실태를 조사한 결과 약 60%가 총균수의 허용한도는 100 CFU/mL를 초과하였으며, 외식업체를 경영하는 CEO 50명을 대상으로 음용수에 관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음용수에 대한 위생의식은 매우 부족하였다. 보리차, 결명차, 옥수수, 메밀, 둥굴레, 캐모마일, 현미녹차, 페파민트를 사용하여 제조한 음용수의 색, 맛, 향, 종합적기호도는 생수에 비해 전반적으로 기호성이 증가하였으며, 종합적 기호도는 둥굴레차가 가장 좋았으며, 옥수수차, 결명자 차, 보리차 순으로 양호하였다. 시판 현미녹차, 둥굴레차, 보리차, 결명차, 옥수수차를 이용하여 음용수를 제조하여 플라스틱 물병에 분주하여 $10^{\circ}C$$25^{\circ}C$에 저장하면서 총균수의 변화를 검토한 결과 $10^{\circ}C$에서 대조구는 저장 4일 이후 $10^2 CFU/mL$이상을 나타내어 음용수로서 부적절하였으며, 현미녹차, 둥굴레차, 결명차, 옥수수차는 저장기간 동안 미생물의 증가 현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25^{\circ}C$에 저장한 경우 대조구는 저장 2일 이후 $10^2 CFU/mL$이상을 나타내었으며. 옥수수차, 둥굴레차, 보리차, 결명차에서 오히려 미생물의 성장이 촉진되는 현상을 나타내었으나, 현미녹차의 경우 전 저장기간 동안 생균수의 증가현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국내 시판되는 일부 다류 제품의 항산화 효과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Some Commercial Teas)

  • 최용민;김명희;신정진;박주미;이준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723-727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일상생활에서 손쉽게 음용할 수 있는 차 추출물에 대해 항산화력과 항산화 성분의 함량을 측정함으로써 그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차 추출물의 항산화력은 ABTS 와 DPPH radical을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항산화력 성분은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총 비타민 C 함량을 각각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홍차, 허브티 I, 녹차 I, 허브티 II, 녹차 II, 한차 I에서 101.51~62.60 mg범위로 다른 차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허브티 II, 한차 I, 홍차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반면 총 비타민 C의 경우 한차 I이 15.78 mg을 나타낸 제품을 제외 하고 다른 것들은 모두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항산화력이 높게 나타난 차는 주로 녹차류와 홍차였으며 이들의 항산화력에 기여하는 물질이 주로 비타민 C나 플라보노이드가 아닌 폴리페놀성 화합물임을 알 수 있었다.

조선시대 궁중의 천신(薦新) 식품에 대한 고찰 (A Study of Chunshin(薦新) Ceremony Food Items from Annals of the Chosun Dynastys)

  • 한복진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489-501
    • /
    • 2002
  • The list of monthly offering items of the Chunshin(薦新) ceremony, the service of offering the first food product of year to ancestors, shown in the Walryong(月令) in Oreaeui(五禮儀), the book written in early years of the Chosun dynasty, was studied and classified by food group. Six kinds of the cereals and grain products - barley, wheat, an early-ripening rice plant, a barnyard millet, and millet seed were offered. The meat products offered were wild geese, pheasants, swans, hares and dried-pheasants. Though not shown in e Walryong, roe deer and deer were offered from hunting trips in e winter. Eight kinds of sea-fish, six kinds of fresh-water first and six kinds of other seafood such as crab, octopus, and squid were offered. Ten kinds of vegetables: bamboo shoots, e99plants, cucumbers, etc. - were offered. Eleven kinds of tree fruits - cherries, apricots, Pears, etc., seven kinds of citrus fruits - tangerines, citrons, etc., seven kinds of nuts - chestnuts, pine-nuts, etc. and two kinds of melons - watermelons etc. - were offered. The hi인est variety in the offering items was the fruits category The remaining offering items included wine brewed from new rice. new brown seaweed, and green tea.

  • PDF

사출구 온도와 CO2 가스주입이 현미·야채류 압출성형물의 물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 Temperature and CO2 Gas Injection on Physical Properties of Extruded Brown Rice-Vegetable Mix)

  • 길선국;류기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1호
    • /
    • pp.1848-1856
    • /
    • 2013
  • 녹차, 토마토, 호박가루 첨가와 사출구 온도, $CO_2$ 가스 주입에 따라 압출성형물의 물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비기계적에너지, 팽화특성, 기계적 특성, 색도, 수분용해지수와 수분흡착지수, 미세구조를 분석하였다. 수분함량 27%, 스크루 회전속도 100 rpm, 원료 사입량 100 g/min, 사출구 3 mm 원형으로 고정하였고, 사출구 온도(60, 80, $100^{\circ}C$), $CO_2$ 가스 주입량(0, 150 mL/min)으로 조절하였다. 원료는 알파현미 25%, 현미가루 50%와 당류 16%에 녹차, 토마토, 호박을 각각 9%씩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비기계적 에너지 투입량은 사출구 온도 $100^{\circ}C$, $CO_2$ 가스 주입량 150 mL/min, 호박가루를 첨가했을 때 52.67 kJ/kg으로 가장 낮은 비기계적 에너지 투입량을 나타내었다. $CO_2$ 가스를 주입하지 않은 경우 사출구 온도는 직경팽화율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직경팽화율은 $60^{\circ}C$에서 $CO_2$ 가스를 주입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CO_2$ 가스 주입량이 증가할수록 비길이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녹차 첨가 시 사출구 온도와 $CO_2$ 가스 주입량이 증가할수록 밀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특히 사출구 온도 $60^{\circ}C$에서 $CO_2$ 가스 주입 시 $100^{\circ}C$에서 $CO_2$ 가스를 주입하지 않을 때와 비슷한 기공의 크기와 수를 보여주었다. 모든 사출구 온도에서 $CO_2$ 가스 주입시 파괴력은 감소하였다. 수분용해지수는 사출구 온도증가 시 감소하고 $CO_2$ 가스 주입 시에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수분흡착지수는 사출구 온도와 $CO_2$ 가스 주입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사출구 온도 $60^{\circ}C$에서 $CO_2$ 가스 주입을 통한 저온 압출성형은 생식 제조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나타내고 있다.

뽕잎 및 뽕잎차의 항산화능 (Anti-oxidative Capacity of Mulberry Leaf and its Tea)

  • 김현복;강충길;성규병;강석우;이정란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18-23
    • /
    • 2007
  • 고부가가치 천연물 산업 및 기능성 양잠산업의 소재로서 경쟁력이 있는 뽕나무의 자원화 및 이용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국내 외에서 수집하여 보존 중인 뽕나무로부터 뽕잎을 채취하여 항산화능을 비교, 검색하는 동시에 실생활에 이용되고 있는 다류와 음용수준에서의 항산화능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하면 다음과 같다. 1. 국내 외에서 수집되어 유리온실에서 보존 중인 뽕나무 유전자원 중 공시된 34계통의 평균 항산화능 값은 892.30nmol(ascorbic acid equivalents)로서 국내 장려뽕 및 야생뽕에 비해 상당히 낮았다. 그러나 우즈베키스탄에서 수집한 'BA 2', 일본 도입종 '흑상' 및 강원도 양양에서 채취한 '수산항 2'는 각각 2,149.78nmol, 1,390.35nmol, 1,307.67nmol로써 항산화능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2. 뽕잎을 음건하여 제조한 뽕잎차의 항산화능은 1,053.72nmol이었고, 3회 덖음 처리한 뽕잎차의 항산화능은 796.92nmol이었다. 한편 실생활에서 일반인에게 널리 음용되고 있는 다류 중 커피믹스의 항산화능은 2,531.01nmol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현미녹차의 항산화능은 1,867.42nmol으로 뽕잎차보다 항산화능이 높은 반면 둥글레차와 레몬홍차의 경우 각각 29271nmol, 188.91nmol로 항산화능이 낮았다. 3. 뽕잎에 300배, 500배의 물을 넣고 끓여 음용 수준으로 희석한 뽕잎물의 항산화능을 분석한 결과 각각 919.32nmol, 891.96nmol의 항산화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일상생활에서 꾸준히 뽕잎을 음용수로 이용한다면 항산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뽕나무 유전자원의 항산화능 비교 (Anti-oxidative capacity of mulberry genetic resources)

  • 김현복;석영식;서상덕;성규병;김성국;조유영;권해용;이광길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71-77
    • /
    • 2015
  • Much attention has been focused on the activity of the natural antioxidants present in fruits and vegetables, because potentially these components may reduce the level of oxidative stress. Especially, mulberry leaves containing many natural components are considerable resource for natural antioxidants. The antioxidant capacity of mulberry leaves was investigated with minilum L-100 device and ARAW-KIT (anti-radical ability of water-soluble substance), in comparison to the ascorbic acid. The antioxidant capacity of 16 varieties was 3303.4 nmol at opening stage of five leaves in spring. The highest stage of antioxidant capacity (3708.0 nmol) and yield rate was just before the coloration stage with anthocyanin in fruits, whereas the lowest stage was middle of June (2231.6 nmol) and about two months growing stage after summer pruning (2064.6 nmol). But after summer pruning, the antioxidant capacity of mulberry leaves increased gradually until just before fallen leaves stage. Even if samples were same variety, antioxidant effect of those showed different results according to collected regions. Also, antioxidant effect of mulberry leaves were higher than that of branches. The antioxidant capacity of yield-type mulberry leaves and fruits (Morus alba L., M. bombycis Koidz, and M. Lhou (Ser.) Koidz) collected from In-je, Won-ju and Yang-yang regions, Kang-won province, Korea, was investigat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otal antioxidant capacity of yield-type mulberry leaves was 2711.2 nmol. In the antioxidant capacity analysis of Jeollabuk-Do genetic resources, autumn's mulberry leaves showed higher antioxidant capacity than that of spring's i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ea on antioxidative capacity, five kinds of tea(coffee mix, green tea added brown rice, mulberry leaf tea, Polygonatum odoratum tea and black tea added lemon)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eir's anti-oxidative capacity were 2,531.01 nmol, 1,867.42 nmol, 1,053.72 nmol, 292.71 nmol and 188.91 nmol, respectively. The antioxidative capacity of drinking water soaked with mulberry leaf showed 891.96 nm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