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ueberry extraction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7초

착즙 방법에 따른 당근·사과·블루베리 주스의 항산화 영양소 비교 (Effects of Extraction Methods on Antioxidative Properties of Carrot, Apples, and Blueberry Juices)

  • 김은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66-173
    • /
    • 2017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vitamin A, E, ${\beta}-carotene$, polyphenol content,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carrot, apple, and blueberry juices as affected by extraction methods using slow juicer (HJ), no vacuum blending (NVJ) and vacuum blending (VJ). Juice yields of carrot, apple, and blueberry were 100% in NVJ and VJ groups. Vitamin A content of all juices was the highest in VJ group. Vitamin E content in carrot and apple juices increased most in the HJ group, followed by the NVJ and VJ group; Vitamin E content in blueberry juice was higher in the NVJ group than VJ or HJ group. ${\beta}-carotene$ and polyphenol content in all juices were highest in the VJ group. In addition, the differences between vacuum blending and non-vacuum blending were only shown on apple and blueberry juices. Polyphenol content in carrot and blueberry juices increased most in the HJ group, followed by the NVJ, and VJ groups, and in apple juice, polyphenol content was higher in the VJ group than the HJ or NVJ group.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the VJ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NVJ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e vacuum blending method had outstanding antioxidative nutrients compared to other juicing methods.

효소처리에 의한 블루베리 음료 생산을 위한 최적추출조건 (Optimization of blue berry extraction for beverage production using enzyme treatment)

  • 지유정;임무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60-67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저온추출 뿐만 아니라 효소처리를 이용하여 생과형 블루베리 과일음료생산을 위한 최적의 방법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생리학적 기능성물질 추출 시 열에 의한 영양손실을 막기 위해 저온을 사용하였다. 또한 다양한 효소처리를 이용하여 혼탁 방지 및 추출수율 향상을 위한 최적의 추출조건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블루베리를 cellulase, pectinase 및 cellulase:pectinase(1:1) 혼합 효소와 효소 처리량, 추출온도, 추출시간, 추출 교반속도 등을 고려한 다양한 조건으로 추출하였을 때, 가장 우수한 추출 조건을 조사하였다. cellulase로 처리할 경우, 추출률이 85.72-86.55%, pectinase 처리구는 87.06-87.93%, cellulase:pectinase(1:1) 혼합 처리할 경우, 86.84-88.14%의 추출률을 나타냈다. 추출 온도는 $45^{\circ}C$에서 $87.91{\pm}0.05%$, 3시간 추출 하였을 경우 $87.88{\pm}0.10%$, 교반속도는 90 rpm에서 가장 높은 추출결과를 보였다. 블루베리 추출액의 당도 및 pH는 추출 조건에 관계없이 모든 처리구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사한 결과를 보였으나, 총 폴리페놀 함량은 pectinase 처리구에서 18.62 mg/g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유리당 함량은 모든 시료에서 과당과 포도당 두 가지 당류만 검출되었으며 cellulase 효소 0.10%를 처리한 블루베리 추출액의 유리당 함량이 포도당 0.51%, 과당 0.49%로 가장 높았으나 다른 처리구와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블루베리를 이용하여 생과일형 음료 제조를 위한 최적 조건은 cellulase: pectinase(1:1) 혼합효소 0.1%를 첨가하여 $45^{\circ}C$ 온도에서 90 rpm의 교반속도로 조사되었다.

초고압 처리가 블루베리의 항산화 증진에 미치는 영향 (Enhancement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Blueberry (Vaccinium ashei) by Using High-Pressure Extraction Process)

  • 박성진;최영범;고정림;김영언;이현용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471-47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초고압 추출공정을 이용하여 전통적인 기존 추출공정과 비교함으로써 초고압 추출공정에 의한 블루베리의 항산화 활성 증진을 확인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초고압 처리 추출물의 수율이 18.48, 19.89%로 높은 추출수율을 나타내어 일반 열수추출공정(12.36%)과 비교하여 약 1.6배의 높은 추출수율을 나타내었다. 초고압 공정에 따른 변화 비교에서는 초고압 공정을 병행하였을 시 총 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초고압 공정을 거치지 않은 것보다 다소 증가되는 것으로 보아 활성성분의 용출이 증진된 것으로 보인다. DPPH radical 소거 활성은 15분 초고압 처리한 추출물이 53.84%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환원력 역시 전체적으로 초고압 공정을 실시하였을 때의 활성이 높게 측정되었다. 추출공정에 따른 블루베리 시료의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해 초고압 추출이 블루베리 내부 조직까지 영향을 주어 세포벽이 깨어지면서 조직 및 구조가 변화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를 통해 수율 및 활성성분의 용출 증가가 이루어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블루베리의 초고압 추출공정의 최적화를 통한 활성물질의 추출 극대화를 통해 높은 경제적 가치를 이룰 것으로 판단된다.

블루베리 유산균 발효물을 첨가한 양갱의 제조 및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nggaeng Prepared with Fermented Blueberry by Lactic Acid Bacteria)

  • 양수진;홍주헌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28-135
    • /
    • 2015
  • Blueberry juice extraction (JE), hot water extract (HE), and 50% ethanol extract (EE) were fermented with Lactobacillus plantarum CGKW3. We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yanggaeng prepared with different amounts of fermented blueberry extract (JE, HE, EE). The viable cells in fermented HE was higher (7.49 log CFU/mL) than JE (7.28 log CFU/mL) and EE (6.99 log CFU/mL), during the fermentation period. The viable cells and acidity in yanggaeng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levels of fermented blueberry extract (p<0.05). In terms of color, the lightness and yellowness decreased significantly, but redness increased with increasing levels of fermented blueberry extract. In the texture profile analysis, control showed the highest result in hardness. Cohesivenes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mount of fermented blueberry extract. The springiness decreased with the increasing levels of fermented blueberry extract. Antioxidant activity, which was measured by DPPH and reducing power,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control; and it increased proportionally according to the amount of fermented blueberry extract. Anthocyanin contents were increased proportionally with the increasing levels of fermented blueberry extract. Sensory evaluation showed that the color, taste, flavor, texture, and overall acceptability of yanggaeng containing the JE, HE, and EE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국내산 Black Chokeberry와 Blueberry의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생리활성 비교 (Comparison of Total Polyphenols, Total Flavonoid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Black Chokeberry and Blueberry Cultivated in Korea)

  • 정해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9호
    • /
    • pp.1349-135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생산되는 블랙초크베리와 블루베리의 기능적 특성을 비교 조사하기 위하여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radical 소거능, superoxide 음이온 소거능, ABTS radical 소거능, 금속 킬레이트 효과, 환원력, 아질산염 소거능 등을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블랙초크베리가 117.20 mg/g, 블루베리가 42.26 mg/g이었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블랙초크베리가 32.50 mg/g, 블루베리가 26.39 mg/g으로 나타났다. 생리활성 측정 결과 블랙초크베리는 본 실험에서 조사한 기능성에서 탁월한 활성을 나타내었는데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반적으로 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DPPH radical 소거능, ABTS radical 소거능, 금속 킬레이트 효과, 아질산염 소거능은 5 mg/mL의 농도에서 90% 이상의 활성을 나타냄으로써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ascorbic acid의 활성과 대등하였다. 블루베리도 추출물의 농도증가에 따라 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블랙초크베리의 0.2~0.7배에 해당하는 낮은 활성을 나타내어 블랙초크베리보다 기능성이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블랙초크베리와 블루베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생리활성 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농도가 증가할수록 생리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이들 간에는 높은 양(+)의 상관성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Ethyl Acetate와 Methanol을 이용한 블루베리 추출물 대사체 분석 (Metabolomic Analysis of Ethyl Acetate and Methanol Extracts of Blueberry)

  • 조영희;김수경;권다애;이홍진;최형균;어중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419-424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LC-MS/MS를 이용한 블루베리의 methanol과 ethyl acetate 추출 분획에 존재하는 대사체의 분석을 통해 효율적인 대사체 profiling의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LC-MS/MS에서 검출되는 대사체를 통계 처리한 결과, methanol 추출 분획에서는 5-O-feruloylquinic acid, malvidin hexoside, malvidin-3-arabinoside, petunidin-3-arabinoside, delphinidin hexoside, delphinidin, petunidin hexoside와 같은 안토시아닌 계열의 화합물들이 존재하였고, ethyl acetate 분획에서는 chlorogenic acid, chlorogenic acid dimer, 6,8-di-C-arabinopyranosylluteolin, luteolin과 같은 플라보노이드 계열의 화합물이 검출되었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와 달리 대사체학 기법을 이용한 블루베리 추출물 전체 대사물질의 profiling을 시도한 최초의 연구로서 블루베리에 함유된 유용 성분의 스크리닝 등 향후 응용 연구에 유용한 기반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추출조건에 따른 블루베리 열수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비교 (Antioxidant activities of blueberry hot water extracts with different extraction condition)

  • 고경아;손모아;강혜림;임지희;임근형;김소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428-43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추출방법을 달리하여 블루베리 열수추출물들간의 항산화 활성 차이를 비교하였다. Autoclave를 이용한 가압가열추출(AE), 오븐을 이용한 추출(OE), 끓인 증류수에 혼합 후 sonication한 추출(HWSE), 끓인 증류수에 산을 첨가한 후 sonication한 추출(HWASE) 및 15분간 끓여 추출(BE) 등의 방법으로 추출물을 제조하고, 총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및 안토시아닌 함량을 확인하고 ABTS, alkyl 및 DPPH radical 소거능 실험과 $Fe^{2+}$ ion chelating 활성을 확인하였다.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모두 AE에서 각각 $3.47{\pm}0.16mg\;GAE/g$$1.59{\pm}0.19mg\;RE/g$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한편 이와는 반대로 총 안토시아닌 함량은 AE가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냈으며, HWSE(5.29 mg/g) 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ABTS와 alkyl radical 소거능 측정 결과, AE가 가장 우수한 소거능을 나타냈으며, DPPH radical 소거능 실험에서는 AE와 더불어 안토시아닌 함량이 가장 높은 HWSE이 우수한 활성을 나타냈다. $Fe^{2+}$ ion chelating 활성 측정 실험에서는 모든 추출물이 유의적 차이 없이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SOD activity 측정 실험에서 AE가 가장 우수한 활성을 나타냈으며, $H_2O_2$에 의해 유도된 세포독성 또한 AE가 가장 효과적으로 억제시켰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추출 조건에 따른 항산화 활성 차이를 수율 대비로 비교하였을 때, 가장 낮은 활성을 나타냈던 HWASE에 대비하여 AE는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1.90배, alk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2.32배,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1.72배, SOD assay 1.65배, $H_2O_2$에 의해 유도된 세포독성에 대한 보호효능 1.84배의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블루베리 (Vaccinium corymbosum L.) 유래 효소 추출물의 항산화성 (Antioxidant Potential of Enzymatic Extracts from Blueberry (Vaccinium corymbosum L.))

  • ;전유진;하진환;김소미;김수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49-57
    • /
    • 2006
  • 제주지역에 서식하고 있는 블루베리 (Vaccinium corymbosum L.)로부터 수용성 추출물을 효과적으로 제조하기 위하여 5가지 종류의 탄수화물 분해효소 (AMG, Celluclast, Termamyl, Ultraflo, Viscozyme)와 또 다른 5종의 단백질 분해효소 (Alcalase, Flavourzyme, Kojizyme, Neutrase, Protamex)를 이용하여 효소적 추출을 시도하였다. 이들 효소를 이용하여 제조된 여러 가지 블루베리 효소 추출물에 대하여 1,1-diphenyl 2-picrylhydrazyl (DPPH), 활성산소종 (ROS), 일산화질소 $(NO{\cdot})$ 등의 소거 활성, 금속 킬레이트결합능, 그리고 지질 과산화 저해능과 같은 항산화 효과를 검토하였다. 모든 효소 추출물의 페놀함량은 $517.85\~597.96\;mg/100 g$ 건조시료이었으며, 항산화 효과에 대한 평가에서 특히 DPPH 및 $NO{\cdot}$ 소거활성, 그리고 금속 킬레이트 결합능 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Viscozyme 추출물은 DPPH 소거활성 $(0.046{\pm}0.002\;mg/mL)$이, 그리고 AMG 추출물은 $NO{\cdot}$ 소거활성$(0.339{\pm}0.011\;mg/mL)$ 및 지질 과산화 억제활성 $(0.28{\pm}0.01\;mg/mL)$이 각각 우수하였다. 과산화 수소 소거활성에 있어서는 블루베리 효소 추출물들이 천연 항산화제인 a-토코페롤보다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블루베리는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화합물들을 함유하고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천연 항산화 자원으로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재배지역에 따른 농산물의 phytochemical 함량 (Phytochemical contents of agricultural products cultivated by region)

  • 나환식;김진영;윤설희;박학재;최경철;양수인;이지헌;조정용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51-458
    • /
    • 2013
  • 최근 건강 증진을 위해 소비가 증가하고 있는 농산물을 대상으로 phytochemical 성분을 정량하고, 다양한 phytochemical 성분을 동시에 분석하는 방법에 대해 조사하였다. Lycopene, ${\alpha}$, ${\beta}$-carotene, cryptoxanthin과 lutein을 대상으로 동시분석을 실시한 결과 회수율은 각각 lycopene $120.7{\pm}4.1%$, lutein $89.1{\pm}3.5%$, ${\alpha}$-carotene $91.2{\pm}2.9%$, ${\beta}$-carotene $99.1{\pm}4.4%$, cryptoxanthin $100.0{\pm}5.3%$로 나타나 향후 다양한 phytochemical 성분을 동시에 분석하는데 유효하 방법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농산물을 대상으로 4종의 phytochemical(${\beta}$-carotene, lycopene, lutein 및 cryptoxanthin)을 분석한 결과, lutein은 시금치>참다래>토마토>블루베리>메론 순이었으며 시료별 분석 결과 시금치(나주, 신안산), 참다래(해남, 보성산)와 블루베리(담양산)가 타 시료에 비해 lutein 함량이 더 높은 결과를 보였다. Lycopene은 토마토와 시금치에서 검출되었으며, 분석 시료 중 흑 토마토($56.66{\pm}7.48mg/kg$)와 장성 토마토($50.28{\pm}5.42mg/kg$)의 lycopene 함량이 가장 높았다. ${\beta}$-carotene의 경우 시금치와 토마토 시료에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특히, 나주 시금치($65.03{\pm}4.83mg/kg$)와 신안 시금치($37.67{\pm}5.49mg/kg$)에 다량 함유되어 있었다. Quercetin 분석 결과 블루베리에서 가장 높게 검출되어 담양산 블루베리가 $1,054.06{\pm}80.54mg/100g$으로 수입산($986.57{\pm}67.85mg/100g$) 보다 높았으며, kaempferol의 경우도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총 폴리페놀의 경우 블루베리(213.60~229.96 mg/100 g)가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고, 시금치(112.50~141.67 mg/100 g), 참다래(46.49~70.44 mg/100 g) 에서도 높게 검출되었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분석한 결과 블루베리, 시금치 시료에서 타 시료에 비해 함량이 높게 검출되었으며, 비타민 C 함량은 참다래(39.45~86.79 mg/100 g), 한라봉(38.65~50.96 mg/100 g), 토마토(5.90~15.97 mg/100 g), 블루베리 순으로 나타났고, 블루베리에서 총 안토시아닌 함량을 측정한 결과 담양산 블루베리>수입산 블루베리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유통 중인 농산물에 다양한 phytochemical 성분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재배지역, 품종, 숙성 정도 등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추출 용매에 따른 아사이 베리(Euterpe oleracea Mart.)의 생리활성 및 항산화 활성 비교 (Comparison of Bioactivi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Acai Berry (Euterpe oleracea Mart.) by Different Extraction Solvents)

  • 진동혁;이영근;성종환;김한수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741-750
    • /
    • 2016
  • The acai berry (Euterpe oleracea Mart.) contains vitamin B complex, vitamin C, anthocyanin and so on. Especially acai berry was seen as nutritionally comparable to blueberry and related berries. The acai berry has significant aging-reducing properties. Compounds have been found to have anti-aging and antioxidant components. Acai berry was extracted with 70% methanol, 70% ethanol and CM (chloroform:methanol=2:1, v/v). After sample and reagents of each experiment was reacte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reducing power were measured to determine the antioxidant capacity, and as results of comparing each extract. Ethanol (70%) extraction was measured highest. Anthocyanin, total phenol, flavonoid also appeared similar to the results. In addition,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extraction solvents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s, but showed lower antioxidant activity than the positive control (ascorbic acid). As a result, antioxidant activities of sample supposed to affect by the anthocyanin, phenol and flavonoid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