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ood clot

검색결과 104건 처리시간 0.051초

건강한 영아에서 발생한 폐혈전색전증 1례 (A case of pulmonary thromboembolism in a healthy infant)

  • 최우연;최영석;오수민;조영국;마재숙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10호
    • /
    • pp.1030-1033
    • /
    • 2007
  • 폐혈전색전증은 혈전에 의해서 폐동맥이 갑자기 막혀 폐동맥 혈류의 장애를 초래하는 질환으로 1861 Steveson에 의해 처음 보고되었다. 소아에서는 매우 드문 질환이나 최근에는 소아 치료 기술의 향상으로 장기 입원 환자가 늘고 중심정맥도관 삽입 기회가 늘어남에 따라 그 발병률이 증가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임상증상은 비특이적이며, 폐혈류 장애정도와 질환의 급성도에 의해 중증도가 결정되어 임상증상만으로 이 질환을 진단하기는 어렵다. 먼저 위험인자가 있는 환아에서 질환을 의심하고 이에 따른 영상검사를 시행하여 확진되거나 의심되면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직 소아에서의 치료에 대해서 연구가 부족한 상태로 성인을 대상으로 시행한 연구에서 효과적이라고 알려진 치료법을 소아에 적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에서는 건강한 영아에서 발생한 폐혈전 색전증의 진단이나 치료에 대하여 보고된 바가 없어 저자들은 객혈을 주소로 내원한 위험요인이 없었던 건강한 환아에서 폐혈전색전증을 진단하고 저분자량 헤파린 치료를 통해 회복된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이마부위 자가 지방이식 후 발생한 동정맥 샛길 치험례 (Arteriovenous Fistula on Forehead after Autologous Fat Injection: A Case Report)

  • 허정우;오득영;윤석호;서제원;이종원;안상태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6권4호
    • /
    • pp.489-492
    • /
    • 2009
  • Purpose: Autologous fat injection is ideal for patients who wish to add contour, projection and gross volumization of the aging, atrophic face and is claimed to be a safe procedure. However, there are several case reports in the literature where patients have suffered from acute visual loss and cerebral infarction after facial fat injection. This paper will explore a rare case of vessel related complication, an arteriovenous fistula that occurs after fat injection on forehead. Method: A 28 - year - old female who showed a non - tender, soft $1.0{\times}2.5cm$ sized mass on forehead for 3 weeks. A thrill could be detected on the totuous dilatated vessel - like structure around the mass. She had a fat injection on forehead for soft tissue augmentation 3 months prior to developing the mass. 3 - dimensional brain CT angiography showed arteriovenous fistula. Results: The fistula is totally excised with ligation of feeding vessels. Pathology report showed an atypical vessel which had intimal thickening, myxoid degeneration and thrombus formation. There were no evidences of recurrence at least for 2 months of follow - up. Conclusion: An occurrence of arteriovenous fistula after autologous fat injection is very rare. After perforation of artery and vein by coincidence, blood extravasates with the formation of a hematoma capsule and a pseudocapsule around it. The hematoma capsule would expand and clot would reabsorb resulting in a cavity leading to fistula formation. Other vessel related complications like acute visual loss or cerebral infarction are very severe. Therefore, surgeons should be cautious during facial fat injection to avoid vessel injuries.

석화채(石花菜) 추출물 도포가 마우스의 심재성 2도 화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kin Application of Gelidium amansii Extract on Deep Second-degree Burns in Mice)

  • 김동현;홍승욱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36-47
    • /
    • 2010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kin application with Gelidium amansii extract on skin with deep second degree burns in mice. Methods: BALB/c mice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normal (NOR) group; burn-elicited mice (CON) group, Silmazine-treated mice after burn elicitation (ST) group, and Gelidium amansii-extract treated mice after burn elicitation (GT) group. To examine the skin recovery effect after burn, changes of burn area, angiogenesis and histologic structure were analyzed. To measure effect of edema regulation, matrix metalloproteinase-9 (MMP-9) was analyzed. To estimate the skin regenerative & stable effect, 5-bromo-2'-deoxyuridine (BrdU) and substance P were analyzed. Results: 2 weeks later, 1. The size of burn area decreased in the GT and ST groups more than the CON group. 2. Alleviation of angiogenesis appeared in the GT and ST groups more than in the CON group. 3. Blood clot, epithelial cell hyperplasia, and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declined in the GT and ST groups more than in the CON group. 4. MMP-9, BrdU, and substance P positive reaction decreased in the GT and ST groups more than in the CON group 5. In the comparative study, the GT group was superior to the ST group. Conclusion: The skin application of Gelidium amansii extract could lessen skin damage by the medium of regulation MMP-9 activation. This skin stabilization was induced in mice with deep second degree burns.

Co-60조사가 백서 발치창 치유과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F THE EFFECT OF CO-60 IRRADIATION ON THE HEALING PROCESS OF EXTRACTION WOUNDS IN WHITE RATS)

  • 유영준
    • 치과방사선
    • /
    • 제12권1호
    • /
    • pp.105-113
    • /
    • 1982
  • Because of the development of rampant caries, osteomyelitis and osteoradionecrosis that occur after radiation therapy of oral cancers, extraction of teeth at or near the malignant lesion has been done in the past. Few, however, have studied the radiation effect on the healing of extraction wounds.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the effect of Co-60 irradiation on the healing process of extraction wounds in rats. Fifty six, male, Spraque-Dawley rats are used. The right first molar of the mandible is extracted from all animals. They are divided into three experimental groups of 14 each and a control group of 14. Three experimental groups are irradiated respectively with 200 rad, 400 rad and 600 rad and a pair of rats in each group are killed on days 1, 3, 5, 7, 14, 21 and 28 after irradiation. Two animals from the control group are killed on the day when the experimental rats are killed. The irradiated hemimandibles are fixed in 10% neutral formalin, decalcified in 5% trichloroacetic acid, embedded in paraffin and sectioned. The sections are stained in hematoxylin and eosin, van Gieson, Masson's trichrome or silver nitrate. Results show that in general radiation effects on healing extraction wounds are dose dependent; i.e., the higher is the dose, the greater is the histologic changes observed: 1. Irradiation tends to retard blood clot organization and epithelial regeneration. 2.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giant cells and osteoclasts is noted after irradiation. 3. Formation of regenerating connective tissues around and within the extraction site is com- promised, and a clear reduction of primitive mesenchymal type connective cells is noted. 4. The healing process begins along the lateral aspect of the extraction socket in the control, while irregular histologic appearances of the brabecular pattern is present in the experimental rats.

  • PDF

일개 대학 신입생의 월경과 비만도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 of Obesity and Menstruation in First-year Female College Students)

  • 류한우;임은미;김윤상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99-108
    • /
    • 2011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relation of menstrual pattern and dysmenorrhea affected by obesity of first-year female college students. Methods: From March 22th to April 2nd, 2010 we researched 251 first-year female students at OOcollege, aged 19(born after March 1991 to February 1992) by questionnaires to investigate their Body Mass Index(BMI), menstruation and dysmenorrhea. The BMI range of normal group is 18.5~25, abnormal group is over 25. Results: 1. The normal group was 227 people(90.4%) and the abnormal group(over BMI 25) was 24 people(9.6%). 2. In the mean of BMI, the normal group was $21.08{\pm}1.64$ and the abnormal group was $27.94{\pm}2.19$. 3.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normal group and the abnormal group in menstrual cycle, menstrual amount, menstrual color and menstrual blood clot. 4. There was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normal group and the abnormal group in menarcheal age, menstrual duration and dysmenorrhea. 5. In the mean of VAS, the normal group was $3.68{\pm}2.45$ and the abnormal group was $3.21{\pm}2.05$, and two groups were not different statistically.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e relation of menstrual pattern and dysmenorrhea affected by obesity. The normal group and the abnormal group were different statistically in menarcheal age, menstrual duration and dysmenorrhea. In consequence of this study, it was supposed that obesity had an effect on menstruation.

Combined effects of a chemically cross-linked porcine collagen membrane and highly soluble biphasic calcium phosphate on localized bone regeneration

  • Kim, You-Kyoung;An, Yin-Zhe;Cha, Jae-Kook;Lee, Jung-Seok;Jung, Ui-Won;Choi, Seong-Ho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6권12호
    • /
    • pp.667-685
    • /
    • 2018
  • Objectives: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bone regenerative efficacy of a chemically cross-linked porcine collagen membrane (CM) when used in combination with highly soluble biphasic calcium phosphate (BCP). Materials and methods: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the experimental collagen membrane were analyzed. Four circumferential defects with diameter of 8 mm were created in each calvarium of New Zealand white rabbits (n = 10). Defects were randomly allocated to one of following 4 groups: 1) BCP-CM (BCP (20% hydroxyapatite/80% ${\beta}$-tricalcium phosphate) covered with the prepared collagen membrane), 2) BCP (only BCP used), 3) CM (only the prepared collagen membrane used), and 4) C (control; only blood clot). After 2 weeks (n = 5) and 8 weeks (n = 5), histologic and histomorphometric analyses were performed. Results: The experimental collagen membrane exhibited dense and compact structure, relatively high tensile strength and lower degradability. Histologic analyses revealed that new bone increased rapidly at 2 weeks, while defect was preserved at 8 weeks. Histomorphometric analyses revealed that the new bone areas increased in the BCP-grafted groups over 8 weeks, with BCP-CM exhibiting greater total augmented area than that of BCP group both at 2 weeks ($27.12{\pm}3.99$ versus $21.97{\pm}2.27mm^2$) and 8 weeks ($25.75{\pm}1.82$ versus $22.48{\pm}1.10mm^2$) (P < 0.05). Conclusions: The experimental collagen membrane successfully preserved localized defect for 8 weeks despite early rapid resorption of BCP. Within the study limitations, combined use of the chemically cross-linked porcine collagen membrane and highly soluble BCP aided localized bone regeneration.

  • PDF

실험적 폐색전증에서 조직형플라스미노겐활성체의 투여방법에 따른 혈전용해효과의 차이 (Differences in Thrombolytic Effects in Accordance with Dosing-regimens of Tissue-type Plasminogen Activator in Experimental Pulmonary Embolism)

  • 정희순;김호중;한용철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0권2호
    • /
    • pp.123-134
    • /
    • 1993
  • 연구배경 : 조직형플라스미노겐활성체는 생리적인 플라스미노겐활성체이므로 혈전의 섬유소에 결합된 플라스미노겐만을 활성화시키는 특이성이 있어 효과적이고 안전한 혈전용해제로 사용될 수 있다고 기대된다. 그러나 조직형플라스미노겐활성체의 투여방법에 대해서는 장시간동안 계속 주입해야한다는 주장과 투여시간을 1시간이내로 해도 혈전용해효과는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부작용을 유발하는 정도도 미미하므로 투여시간을 짧게 하자는 주장이 양립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폐혈전색전증에서 조직형플라스미노겐활성체의 투여방법에 따라 혈전용해효과가 어떻게 달라지고 폐색전증으로 인한 심폐기능장애가 약제의 투여방법에 따라 어떠한 영향을 받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실험견에 방사성동위원소로 표지된 자가혈병으로 대량의 폐색전종을 유발시켜서 대조군은 특이치료를 하지 않고 제 1 치료군은 15분동안, 제 2 치료군은 3시간에 걸쳐서 재조합형의 조직형플라스미노겐활성체를 체중당 1mg씩 정맥주입하였다. 그리고 실험과정중 4시간동안 혈전색전에서 방출되는 감마선량과 각종 혈역학적 지표를 감시하고 주기적으로 동맥혈 및 혼합정맥혈의 가스분석을 시행하여 어떠한 약제투여방법이 더 효율적인가를 분석하였다. 결과: 1) 혈전용해효과는 제 1 치료군이 $36.2{\pm}3.3%$, 제 2 치료군이 $39.6{\pm}2.3%$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혈전용해속도는 제 1 치료군이 $81.4{\pm}16.8%/hr$, 제 2 치료군이 $37.3{\pm}2.4%/hr$로 제 1 치료군에서 급속한 혈전용해효과를 보였다 (p<0.05). 2) 약제의 작용시간은 제 1 치료군이 $63.3{\pm}22.2$분, 제 2 치료군이 $148.5{\pm}14.0$분으로 (p<0.05), 제 1 치료군에서는 약제투여후에도 지속적인 혈전용해효과를 보이지만 제 2 치료군에서는 약제투여중에 혈전용해효과가 정지되었다. 3) 폐색전증으로 인한 혈역학적 장애와 가스교환의 장애는 제 1 치료군 및 제 2 치료군에서 비슷한 정도로 개선되었으나, 제 1 치료군에서 보다 신속하게 개선되었다(p<0.05). 결론 : 폐색전증에서 치료목적으로 동량의 조직형플라스미노겐활성체를 투여할때 약제의 투여시간이 15분인 경우와 180분인 경우를 비교해보면, 혈전색전의 용해정도는 비슷하지만 혈전의 용해속도 및 폐색전증으로 인한 심폐기능장애의 개선효과는 약제의 투여시간이 15분일 때 더 우수하였다. 따라서 약제의 투여시간을 짧게하여 혈전의 용해속도를 촉진함으로써 폐색전증으로 인한 심폐기능장애를 신속히 개선할 수 있겠다.

  • PDF

($CO_2$)레이저를 이용한 백서의 치은절제술시 출력에 따른 초기 치유과정의 비교 (A Comparative Study of Initial Healing Process in White Rats after Gingivectomy using $CO_2$ Laser of different watts)

  • 조규성;홍성재;최성호;채중규;김종관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7권3호
    • /
    • pp.603-619
    • /
    • 1997
  • 레이저를 이용한 연조직 수술은 출혈이 없어 시야를 좋게 하고 시술시간이 단축되며, 술후 종창이 최소화 되고, 통증이 감소화 최소화된 반흔 형성, 그리고 레이저가 조사되는 일부 부위의 멸균효과등이 장점이 있어 최근에 의학분야 및 치의학분야에서 많이 사용되는 추세에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CO_2$레이저를 이용한 백서의 치은절제술시의 치유과정과 레이저 출력을 달리 하였을때의 치유과정을 관찰하기 위해, 백서의 상악전치의 치은조직에서 치은절제술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최소 출력인 4watts를 이용한 부위를 대조군으로, 6watts를 이용한 부위를 실험군으로 하여, 술후 2일, 3일, 1주, 3주후에 각각 실험동물을 희생시켜 치유결과를 조직학적으로 비교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대조군과 실험군 모두에서 2일째에서만 작은 크기의 혈병이 관찰되었고, 그 이후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2. 염증세포 침윤지역 크기는 대조군과 실험군 모두에게 2일째 가장 컸으며, 그 크기는 시간이 경과될수록 줄어들어 2주째는 거의 소실되었으며, 실험군의 경우 대조군에 비해 2,3째까지 크기가 더 컸으나, 1주째부터는 크기의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3. 육아조직은 대조군, 실험군 모두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점점 성숙되어, 2주째부터는 거의 정상 치은 결합조직으로 대체되는 소견을 보였고, 3주째에서는 완전한 치유양상을 보였다. 실험군의 경우 대조군보다 3일째까지는 그 크기가 더 컸으나 1주째부터는 크기의 차이가 없다. 4. 대조군과 실험군 모두에게 치은의 상피화하는 2일째에서 시작되는 소견을 보였고, 1주부터 상피돌기와 부분적인 접합상피의 재생이 관찰되었으며, 2주째부터는 구강열구상피의 각화가 시작되어 3주째에는 각화의 완성이 관찰되었다.

  • PDF

만성 이첨판 폐쇄부전증에 걸린 개에서 혈장 D-dimer 농도 측정 연구 (Evaluation of Plasma D-Dimer Concentration in Dogs with Chronic Mitral Valve Insufficiency)

  • 박정순;서상일;오연수;현창백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5-8
    • /
    • 2015
  • D-dimer란 섬유소분해산물로 응고혈액이 섬유소용해 후에 혈액 내에 보이는 작은 단백질 파편이다. D-dimer의 농도는 혈전증과 혈전색전증을 결정하기 위해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인의에서 혈전색전증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울혈성 심부전이기 때문에, 금번 연구에서 만성 이첨판 폐쇄부전증에 의한 울혈성 심부전의 다양한 심각도를 가진 개들에서 혈전색전증의 정도와 위험성을 조사하였다. 혈장 d-dimer의 농도는 건강한 개 20마리와 만성 이첨판 폐쇄부전증에 의해 울혈성 심부전에 이환된 다양한 중등도의 30마리 개에서 평가되었다. D-dimer의 농도는 상품화 된 키트로 측정하였다. 혈장 D-dimer의 농도는 건강한 개체 집단과 만성 이첨판 폐쇄부전증에 이환된 집단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는 존재하지 않았다. 게다가, d-dimer의 농도는 심초음파 인덱스 중 대동맥대 좌심방비, 대동맥대 좌심실 이완말기 직경비와 연관성이 보이지 않았고, 이번 연구 집단의 심부전의 심각도와도 연관성이 존재하지 않았다. 따라서 금번 연구는 심부전을 가진 개에서 혈전색전증의 정도가 심하지 않거나 혈장 d-dimer의 농도 검사 자체가 개의 혈전색전증을 발견하는데 신뢰하지 못하다는 점을 암시하고 있다.

전신성 동맥 사상충증에 이환된 개의 양측성 대퇴동맥의 폐쇄 (Hindlimb Lameness Secondary to Bilateral Femoral Artery Occlusion in a Dog with Systemic Arterial Dirofilariasis)

  • 최우신;송진영;이영재;이동훈;김주형;장진화;강지훈;장동우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34-338
    • /
    • 2012
  • 3세 수컷 풍산견이 2주동안 지속된 좌측후지 파행과 식욕저하로 내원하였다. 환자의 외상 병력은 없었으며, 백신과 심장사상충 예방은 하지 않았다. 전혈구검사에서 중증의 백혈구 증가증과 호중구 핵좌방이동이 확인되었고, 혈액화학검사에서 저알부민혈증, 질소혈증, 간담도계 효소수치의 상승을 확인되었으며, 심장사상충 항원 키트에서 양성으로 확인되었다. 흉부 방사선 검사에서는 주폐동맥의 확장, 우심비대, 폐의 간질패턴이 관찰되었으며, 심장사상충 감염소견과 일치하였다. 이후 실시된 심초음파 검사에서 페동맥판역류와 폐성 고혈압이 확인되었다. 선택적 대퇴동맥 혈관 조영술에서 양측성 대퇴동맥의 폐쇄가 확인되었고, 환자는 혈관조영술후 폐사하였고 부검이 실시되었다. 부검결과 심장사상충 성충과 혈전이 좌우측 대퇴동맥 내강을 폐쇄시키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증례보고는 심장사상충이 대퇴동맥으로 비정상적 이주를 하여 후지의 파행을 유발한 케이스이며,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