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eaching effect

검색결과 220건 처리시간 0.033초

표백제의 치경부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각종 이장재의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BASE MATERIALS TO PROTECT THE CERVICAL LEAKAGE OF BLEACHING AGENTS)

  • 송병춘;조영곤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19권2호
    • /
    • pp.585-601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bility of several intracoronal base materials to prevent cervical leakage of a bleaching agent into the dentinal tubules and along the root canal. In this study, thirty-two anterior teeth were used. After lingual access was prepared in each tooth, tooth was instrumented with a step-back technique to a Nos. 40-50 using K-type files. All teeth were obturated with a lateral condensation technique. Excess gutta percha was removed with a warm instrument to the facial level of the CEJ. Teeth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 Teeth in control group were not filled with base material. Teeth in groups 1, 2, and 3 had 2mm of gutta percha removed with a warm instrument, then Dycal, Fuki II LC and Z-100 were filled with palstic instruments on the top of the gutta percha respectively. All teeth were bleached for 7 days, fresh bleach was added for another 7 days, then a 10 % methylene blue dye was placed inside the access preparation. They were stored at $37^{\circ}C$ and $100^{\circ}C$ humidity for 5 days. Each tooth was sectioned perpendicular to the long axis using a diamond disk. Initial cuts were made at the most coronal level of facial and lingual CEJ's, then another cuts continued appically in the levels of 0.5mm, 1.5mm, and 2.0mm respectively. The amount of dye leakage through the dentinal tubules was determined at each cut section. In addition, when the cut specimen was determined to be last penetration of any dye, this level was recorded as depth of apical leakage from the coronal terminus of the gutta percha, Dycal, Fuji II LC and Z-100. The acquired data were analyzed by Tukey's Multiple Range Test adn Cochran-Mantel-Haenszel Test to see if there was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dye penetration and linear apical leakage among the group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Control group at levels of CEJ and 0.5mm, group 3 at level of 1.5mm, and group 2 AND 3 at level of 2.0mm showed the least dye penetration through the facial or lingual dentinal tubule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ree groups. 2. Group 2 at levels of CEJ and 0.5mm, group 3 at level of 1.5mm, and group 2 and 3 at level of 2.0mm showed the least dye penetration through the proximal dentinal tubule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control group, group 2, and group 3. 3. Group 1 showed the greatest dye penetration through the facial or lingual and proximal dentinal tubules at all levels,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with other three groups. 4. Control group and group 1 showed 2mm apical dye leakage at facial or lingual and proximal aspects, group 2 showed 1.5mm, and group 3 showed 0.5mm.

  • PDF

참치 자숙액의 항산화 활성에 감마선 조사가 미치는 영향 (Antioxidant Activity of the Ethanol Extract from Cooking Drips of Thunnus thynnus by Gamma Irradiation)

  • 이희섭;김현주;최종일;김재훈;김진규;전병수;안동현;정영진;김영지;변명우;이주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810-814
    • /
    • 2008
  • 수산 가공 폐기물중 하나인 참치 자숙액을 이용하여 천연기능성 소재 개발을 하기 위해 참치 자숙액 에탄올 추출물에 감마선 조사(0, 50 kGy)를 하여 전자공여능을 확인하고, FRAP, UWLA, Rancimat 등을 사용하여 항산화 활성 변화에 관하여 알아보았다. 감마선 조사한 참치 자숙액의 전자공여능 및 hydroxyl 라디칼 소거능 측정 결과 감마선 조사에 의해 각각 16.17% 및 10.38% 증가하였고, 산화안정지수 및 FRAP value 또한 각각 23% 및 26% 증가하였다. ${\beta}$-carotene bleaching assay를 이용하여 항산화지수를 측정한 결과 감마선 조사에 의해 항산화지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참치 자숙액 자체가 가지고 있는 항산화 활성 및 산화안정성을 감마선 조사 기술을 사용하여 증진시켜 식품 및 공중보건산물의 첨가제로서의 이용이 가능할 것이라 사료된다.

물과 극성 비양자성 용매 혼합 계를 이용한 4-도데카노일옥시벤젠술폰산 나트륨의 효율적인 합성 및 표백활성화제로의 응용 (Mild and Efficient Synthesis of Sodium Dodecanoyl-4-oxybenzenesulfonate using Water and Polar Aprotic Solvent Mixed System and Its Application as a Bleach Activator)

  • 곽상운;차경온;정국인;김영호
    • 공업화학
    • /
    • 제32권5호
    • /
    • pp.532-540
    • /
    • 2021
  • 4-도데카노일옥시벤젠술폰산나트륨(sodium dodecanoyl-4-oxybenzenesulfonate; DOBS) 염은 저온에서도 효과적인 표백력과 살균력을 나타내는 물질이다. 본 연구에서는 물(W)-극성 비양자성 용매 계를 사용하는 알칼리 조건하에서 dodecanoyl chloride와 sodium 4-hydroxybenzene sulfonate로부터 DOBS의 온화하고 효율적인 합성방법을 조사하였다. 먼저 물만을 용매로 사용하고 온도 또는 시간을 변화시키며 반응한 결과, 수율은 30 ℃와 1 h 이상의 반응 조건에서 대부분 약 5% 정도로 낮게 나타났다. 효율적인 용매 계를 발견하기 위하여 극성 비양자성 용매의 종류를 변화시키며 물과 혼합하여 제조한 다양한 용매계에서 수율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수율은 아세톤(acetone; AC)과 물을 혼합한 용매 계에서 가장 우수하였으며, 온화한 반응조건(30 ℃, 1 h 및 상압)의 반응에서 약 82%의 높은 값을 나타냈다. 제조한 DOBS는 높은 표백력 및 살균력을 보여 표백활성화제로서 활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인디고 염료에 의한 모발 염색효과와 모질의 변화 (Effects of Hair Dyeing and Change of Hair Texture by Indigo Dye)

  • 김주섭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9-18
    • /
    • 2021
  • 본 연구는 인디고 염료로 모발에 도포하여 염색효과와 모질 특성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인디고 염료를 중탕하여 사용하였다. 염료를 건강모와 탈색한 시료 모발에 도포 후 열처리와 자연방치 시간을 다르게 하였다. 측정은 시료별로 도포 전과 후를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염색효과를 알기 위해 색차계를 이용하여 L⁎, a⁎, b⁎값과 물 빠짐을 측정하였다. 모질 변화를 알기 위해 인장강도, 메틸렌블루를 이용한 흡광도, 광택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염색효과 측정 결과 모든 시료에서 L⁎값, a⁎값, b⁎ 값의 도포 전과 후의 통계분석 결과는 유의미한 결과로 염색 효과가 있었다. 물 빠짐 측정결과는 1일차에는 가장 많이 빠졌고, 3일차부터는 더 이상의 물 빠짐이 없었다. 인장강도 측정결과는 모든 시료의 평균값은 증가하였다. 그러나 통계분석 결과 유의미하지 않은 결과로 모질의 특성 변화는 없었다. 메틸렌블루를 이용한 흡광도 분석결과 건강7L(3)을 제외 한 시료에서 통계분석 결과 모질의 특성 변화는 없었다. 광택측정결과는 통계분석 결과 광택에 변화를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은 인디고 염료에 의한 모발 염색효과가 있었고, 모질의 특성 변화는 광택은 있고, 인장강도와 흡광도 변화는 없었다. 차후 다양한 염색 처리방법 연구와 신뢰성과 객관적 결과를 위한 측정 연구가 필요하다.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 저항성 새섬매자기에 대한 신규 제초제 Pyrimisulfan+Mefenacet SC의 약제방제 효과 (Herbicidal Activity of New Rice Herbicide Pyrimisulfan+Mefenacet SC against Sulfonlurea-Resistant Sea Club Rush (Scirpus planiculmis))

  • 박민식;박용석;김성민;이정득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92-198
    • /
    • 2011
  • 서해안 간척지대를 중심으로 최근에는 경기, 충청 지역까지도 문제가 되고 있는 다년생의 난방제 잡초인 SU계 제초제 저항성 새섬매자기에 대하여 pyrimisulfan+mefenacet SC, triafamone+tefuryltrione GR와 HPPD 저해제인 tefuryltrione GR를 SU계 제초제인 pyriminobac-methyl+pyrazosulfuron-ethyl GR와 대조약제로 하여 온실과 포장에서 확인하였다. 생육기의 새섬매자기에 대해서 온실 및 포장조건에서 pyrimisulfan+mefenacet SC와 triafamone+tefuryltrione GR은 SU계 제초제 저항성 새섬매자기에 대해 95% 이상의 방제효과를 보여주었다. 두 약제에 의해 새섬매자기는 생육이 억제되어 갈변, 괴사하였다. Tefuryltrione GR는 생육 초기에는 새섬매자기에 대해서 80% 내외의 약효와 백화 증상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재생 및 후발아하는 새섬매자기에 대해서는 방제효과가 68%로 떨어졌다. 경기 김포, 평택, 충남 당진, 서산, 전남 해남 지역 등의 새섬매자기 다발생 지역에서도 pyrimisulfan+mefenacet SC는 발생 초기의 새섬매자기는 물론 생육기의 새섬매자기에 대해서도 우수한 방제효과를 보였다.

Melanin Bleaching and Melanogenesis Inhibition Effects of Pediococcus acidilactici PMC48 Isolated from Korean Perilla Leaf Kimchi

  • Kim, Sukyung;Seo, Hoonhee;Mahmud, Hafij Al;Islam, Md Imtiazul;Sultana, Omme Fatema;Lee, Youngkyoung;Kim, Minhee;Song, Ho-Ye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0권7호
    • /
    • pp.1051-1059
    • /
    • 2020
  • Overproduction and accumulation of melanin in the skin will darken the skin and cause skin disorders. So far, components that can inhibit tyrosinase, a melanin synthase of melanocytes,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as ingredients of cosmetics or pharmaceutical products. However, most of existing substances can only inhibit the biosynthesis of melanin while melanin that is already synthesized and deposited is not directly decomposed. Thus, their effects in decreasing melanin concentration in the skin are weak.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existing therapeutic agents, we started to develop a substance that could directly biodegrade melanin. We screened traditional fermented food microorganisms for their abilities to direct biodegrade melanin. As a result, we found that a kimchi-derived Pediococcus acidilactici PMC48 had a direct melanin-degrading effect. This PMC48 strain is a new strain, different from P. acidilactici strains reported so far. It not only directly degrades melanin, but also has tyrosinase-inhibiting effect. It has a direct melanin-decomposition effect. It exceeds existing melanin synthesis-inhibiting technology. It is expected to be of high value as a raw material for melanin degradation drugs and cosmetics.

8.3% Carbamide Peroxide 함유 펜 형 자가미백제인 BlancTis Forte의 색조개선 및 안전성에 관한 임상연구 (CLINICAL STUDY OF SHADE IMPROVEMENT AND SAFETY OF POLYMER-BASED PEN TYPE BlancTis Forte WHITENING AGENT CONTAINING 8.3% CARBAMIDE PEROXIDE)

  • 이진경;민선홍;홍성태;오소람;정신혜;황영혜;유성엽;배광식;백승호;이우철;손원준;금기연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4권2호
    • /
    • pp.154-161
    • /
    • 2009
  • 8.3%의 carbamide peroxide를 함유한 펜형 코팅용 미백제인 BlancTis Forte (NIBEC, Seoul & JinCheon)를 실험군으로, 3% hydrogen peroxide를 함유한 Whitening Effect Pen (LG, Seoul) 제재를 대조군으로 각각 피험자 20명에게 2시간씩 1일 2회 제조사의 지시대로 치아표면에 4주간 적용하도록 지시하고 색조개선 효능과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미백 효과는 미백 전 및 미백 2주, 4주, 및 미백 종료 4주 후에 $Shadepilot^{TM}$을 이용하여 색 변화를 측정하였고. 매 내원시기마다 모든 환자는 치수생활력 검사와 치주 및 치태 검사를 통해 부작용 여부 (치아과민증 및 구강 내 연조직의 부작용)를 기록한 후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실험군 및 대조군의 색 변화량 (${\Delta}E$)은 2이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색 변화를 보였으며, 두 제품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p > 0.05) 유사한 미백효능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2. 미백효과는 명도의 개선보다는 주로 a, b값의 변화에 의한 것으로 특히 실험군에서 b값의 변화, 즉 황색조의 개선효과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 < 0.05). 3. 치아나 치은의 과민증이나 이상증상을 호소하는 피험자는 없어 두 제품 모두 안전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Pectinase처리를 한 매실 농축액의 이화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 (Physiological Activity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ondensed Prunus mume Juice Prepared with Pectinase)

  • 김정호;조현동;원영선;박울림;이관우;김혁주;서권일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11호
    • /
    • pp.1369-1378
    • /
    • 2018
  • 본 연구는 예로부터 한약재 및 식용으로 널리 사용되어지는 매실을 이용한 가공식품의 기능성 원료로서 활용하기 위해 pectinase를 사용하여 제조한 매실 농축액의 이화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을 평가하였다. 총 산도는 35.81%, pH는 2.73, 당도는 $54.36^{\circ}Brix$ 및 탁도는 2.75를 나타냈다. 매실 농축액의 항산화 활성은 DPPH radical 소거활성, 환원력, $H_2O_2$ 소거활성 및 lipid peroxyl radical 소거활성을 통하여 확인하였고, positive control과 유사하거나 다소 낮게 나타나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또한 당 분해효소인 ${\alpha}$-glucosidase 활성 저해 효과 또한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매실 농축액을 처리함에 따라 B16 마우스 피부암세포, SK-MEL-2 및 SK-MEL-28 인체 피부암세포 모두 성장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인체 피부정상세포인 HaCaT 세포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형태학적 관찰에서도 농도의존적으로 세포의 형태학적 변화가 유도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매실 농축액의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588.31 mg% 및 860.45 mg%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매실 추출물은 항산화 및 당 분해 효소 활성 저해 및 암세포의 증식억제에 효능이 있는 기능성 식품 소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정선-삼척 일대 대기층 상부 고품위 석회석의 생성환경 (Genetic Environments of the High-purity Limestone in the Upper Zone of the Daegi Formation at the Jeongseon-Samcheok Area)

  • 김창성;최선규;김규보;강정극;김경배;김학수;이정상;유인창
    • 자원환경지질
    • /
    • 제50권4호
    • /
    • pp.287-302
    • /
    • 2017
  • 대기층의 고품위 석회석 생성기작은 고품위로 퇴적되었다는 견해와 퇴적 이후 열수의 작용에 의해 상부 영역에 국한되어 백색화와 함께 고품위화 하였다는 두 가지 견해로 나뉘어 있으며, 광물-암석화학적 연구를 통해 이들 견해를 검토하였다. 대기층의 암색은 크게 백색, 담갈색, 담회색, 회색, 암회색의 다섯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중 백색~담회색 암석은 53.15 ~ 55.64 wt. % CaO의 고품위 석회석이며, 담갈색은 20.71 ~ 21.67 wt. % MgO로 거의 순수한 백운석이다. 대기층은 상부와 하부의 석회암대와 그 사이에 중부 백운암대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부가 하부에 비해 전반적으로 높은 CaO 함량을 보인다. 다만, 대기층 상부와 하부에서 전반적으로 백색화 현상이 관찰되며, 하부에서 백색에 비해 담회색 암석의 CaO 함량이 높은 경향이 나타나고 있어, 백색화와 CaO 함량은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확인된다. 또한, 고품위 석회석과 중-저품위 석회석의 구분은 CaO 성분과 함께 $Al_2O_3$, $K_2O$ 등 이질성분의 함유정도에 따라 구분되는데, 백색도가 높은 영역에서 이질성분의 함량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기도 한다. 특히, $Al_2O_3$는 열수에 의해 쉽게 제거될 수 없는 성분이므로, 열수 작용에 의해 백색화와 함께 이질 성분이 제거되었다는 이론은 증거가 미약한 것으로 판단된다. 산소-탄소 안정동위원소 분포는 대기층 상부와 하부의 석회암대 모두에서 탄소 안정동위원소의 변화 폭은 2 ‰ 이내인 반면, 산소 안정동위원소는 16 ‰ 이상의 큰 폭의 변화가 인지되어, 대기층 전반적으로 열수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확인된다. 열수작용의 시기는 $85.1{\pm}1.7Ma$로 주변 동원광산의 광화시기와 일치한다. 회색-담회색-백색으로 백색화가 진행될수록 산소 안정동위원소 비는 낮아지는 경향이 확인되며, 이는 이 지역 탄산염암의 백색화는 열수에 의한 현상임을 지시한다. 따라서, 대기층은 전반적으로 열수의 영향을 받았으며, 열수에 의해 백색화가 진행되었으나, 고품위 석회석화는 백색화와 관련이 없으며, 열수에 의한 현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 대기층 상부에서의 고품위화는 이질물 특히, $Al_2O_3$ 성분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는 퇴적환경을 고려하여야 하며, 중부 백운암대를 중심으로 상-하부 주변에서 CaO 함량이 증가하는 양상으로부터 순차층서적으로 퇴적 당시 이질물의 퇴적작용이 배제된 탄산염 천해환경이 조성된 결과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미백제가 법랑질 명도 변화에 미세경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ooth Whitener on the Color and Microhardness of Human Enamel in Vitro)

  • 이용근;이홍수;김수남;이성재;방기숙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67-183
    • /
    • 1996
  • Human teeth vary widely in color. Practitioner and patients are concerned with preventing and correcting discolored or dark teeth to achieve and maintain stain-free, white teeth. Tooth brushing cannot alter tooth color but it can remove adhering films and stains. The esthetics of natural dentition can be improved by bleaching and this process can be applied to intrinsically and extrinsically stained teeth. The need for a brighter, more attractive smile has made rapid growth in the market for tooth whiteners. There is no doubt these products work as whiteners, at least on mild to moderate stains, but the safety of these products are unclear. In this experiment, the effect of tooth whitener application on the color and microhardness of extracted human enamel was measured. RMS, RMT and NWT were used as tooth whiteners, and tooth paste(ETQ) and hydrogen peroxide solution(HPO) were used as controls. 35 caries-free extracted human molars were embedded and polished with the exposed enamel diameter of 4 mm. The tooth whiteners and control agents were appli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instructions or clinically simulated procedures for eight weeks, and measurements were repeated every two weeks. Value(L*) difference was measured using Differential Colorimeter(Model TC-6FX, Denshoku Co., Japan), and microhardness was measured using microhardness tester(Mitsuzawa Seiki Co., Japa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fter application of agents for eight weeks, the Vickers hardness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ETQ, RMS and RMT application group(p〈0.01), and that decreased significantly in NWT application group(p〈0.01), but in HPO application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The change in microhardness was greatest in NWT application group(p〈0.01). 2. After application of tooth whiteners and controls for eight weeks, the value change of toothpaste application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other agents groups(p〈0.01),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value(L*) change among tooth whitener groups(p〉0.01). 3. The application of tooth paste and paste type tooth whitener made gradual value change, but hydrogen peroxide gel type tooth whitener and hydrogen peroxide solution made rapid value change during initial application perio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