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ack seed oil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33초

산수유 열수추출물을 첨가한 찜류용 기능성 간장소스 개발 (Development of functional soy-based stew sauce including hot water extract of Cornus officinalis S. et Z)

  • 김준호;오혜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550-558
    • /
    • 2006
  • We developed a kind of soy-based sauce for stews using three recipes and sensory evaluation processes, and examined the biological activities such as antioxidative, fibrinolytic and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ies of hot water extract of Cornus officinalis S. et Z in order to use as functional ingredient. The developed stew was composed of soy sauce $1\frac{1}{2}$ Tbsp, sugar $1\frac{1}{4}$ Tbsp, garlic, small green onion, powdered sesame and sesame seed oil $\frac{1}{2}$ tsp, respectively, ginger extract $\frac{1}{4}$ tsp, black pepper $\frac{1}{8}$ and water $\frac{2}{3}$C per 300 g of main ingredients(pork rib, chicken and dried pollack). It was evaluated more highly acceptable than the original recipes by sensory test. Replacement of water in the recipe of the developed stew sauce with hot water extract of Cornus officinalis S. et Z did' nt affect the sensory quality. From the above results. we concluded that hot water extract of Cornus officinalis S. et Z might be a excellent source to provide health functionality.

Establishment of Sesame Cultivation Practices as Succeeding Cropping System of Watermelon in the Greenhouse Condition

  • Shim, Kang-Bo;Hwang, Jung-Dong;Pae, Suk-Bok;Lee, Myoung-Hee;Ha, Tae-Joung;Park, Chang-Hwan;Park, Keum-Yong;Son, Jeong-Hee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195-199
    • /
    • 2010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velop optimum sesame cultivation practices as succeeding cropping system of watermelon in the greenhouse condition. We also compared major components in sesame seed cultivated in the greenhouse and open field condition. The adaptable varieties under the greenhouse condition were white sesame 'Pyoungan' and black sesame 'Jinki' which showed higher yield and disease resistance. We also conducted several experiments to determine optimum sowing date, planting density and pinching time. Grain yields were statistical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several sowing dates. In general, sesame sowing on June 30th showed higher grain yields than July 10th, July 20th and July 30th in the greenhouse. We also found out sesame cultivation practice with the row spacing of 40 cm and interplant spacing of 30 cm (a few branch type) or 40 cm (many branch type) showed higher yield than other treatments. Optimum pinching time was 25 days after first flowering in main stem when thousand seed weight and grain yield were highest. In the comparison of major components of sesame at the different cultivation conditions, sesame seeds cultivated in the greenhouse contained 4% much more oil content than open field condition. The lignan compounds, sesamin and sesamolin were also higher by 6% in the greenhouse than open field condition. It was concluded that sesame cultivation practices as succeeding cropping system of watermelon in the greenhouse condition guaranteed higher grain yield with less labor input which is now emerging alternative farming practice system in present aging rural society and will also give sesame cultivation farmers to increase net income in Korea.

사염화탄소를 처리한 생쥐에서 석류종자기름의 간보호 효과 (The Liver Protecting Effect of Pomegranate (Punica granatum) Seed Oil in Mice Treated with $CCl_4$)

  • 김동희;등영건;이영미;윤양숙;권기록;박대복;박승규;이규재
    • Applied Microscopy
    • /
    • 제36권3호
    • /
    • pp.173-182
    • /
    • 2006
  • 최근 석류씨 기름은 항암효과를 포함하여 다양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본 연구는 BALB/c 생쥐에 석류씨 기름을 처리한 후 사염화탄소를 주사하여 석류씨 기름이 간 독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올리브 기름만을 처리한 대조군, 사염화탄소만을 처리한 실험군1, 및 사염화탄소를 처리한 후 석류씨 기름을 구강투여한 실험군2로 나누어 24시간 후 혈액을 채취하여 혈청내 AST (aspartate aminotransferase, SGOT), ALT (alanine aminotransferase, SGPT), total protein, albumin, total bilirubin, direct bilirubin 및 alkaline phosphatase의 함량을 측정하였고 광학현미경과 투과전자현미경으로 조직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AST와 ALT는 대조군에서 각각 $88.70{\pm}14.90$$22.00{\pm}3.12IU/L$, 실험군 1에서 $1963.70{\pm}1212.90$$4495.40{\pm}2803.60IU/L$ 그리고 실험군2에서 $432.20{\pm}260.10$$692.30{\pm}433.10IU/L$이었으며 실험군2에서의 측정값은 실험군 1에 비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5). 간조직을 관찰한 결과 사염화탄소를 처리한 실험군1에서는 문맥을 제외한 중심정맥 주위에서 간조직의 심한 응고성 괴사가 관찰되었고, 괴사조직 가장자리 주위로 지방변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비하여 석류씨 기름을 처리한 군에서 중심정맥 주위의 간실질 조직의 괴사가 실험군1에 비하여 현저히 줄어들었고, 간세포의 지방변성은 계속 관찰되었으나 용해소체의 감소와 미토콘드리아가 실험군1에 비해서 보존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석류씨 기름이 간보호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Stachyose 및 Raffinose 저함량 콩 선발계통의 농업적 형질 (Agronomic Traits of Soybean Breeding Lines with Low Stachyose and Raffinose Contents)

  • 하두수;문진영;최상우;심상인;김민철;정종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2권2호
    • /
    • pp.143-148
    • /
    • 2017
  • 콩의 성숙 종실에 들어 있는 stachyose 및 raffinose 성분은 난소화성당으로 콩이나 콩 제품의 품질, 영양가치 및 가공적성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Stachyose 및 raffinose의 함량이 낮은 육종계통들의 농업적 형질을 평가하여 용도별 난소화성당의 함량이 낮은 콩 품종 육성을 위한 자료를 얻기 위하여 본 실험이 진행되었으며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전체 7개의 모본을 이용하여 난소화성당의 함량이 낮은 10개의 $F_6$ 선발 계통은 포장 평가에서 초장, 종피색, 백립중, 성숙기, 수량, 도복등 농업형질에서 다양한 차이를 보였다. 2. 883-1 선발 계통은 백립중이 14.3 g으로 수확기가 9월 21일로 조숙이며 도복이 강하여 난소화성당 저함량 조생 소립품종 육성을 위한 중간모본으로 적당하였다. 3. 백립중이 20-26 g 범위의 중립인 5개의 계통(15A1, 15D1, RS-5, RS-64, RS-70)중에서 RS-5 계통은 백립중이 20.1 g 정도이며 종자상태가 매우 우수하고 도복에 강하여 난소화성당의 함량이 낮은 중립콩 품종 육성을 위한 중간모본으로 이용성이 높았다. 4. 난소화성당의 함량이 낮아 품질 및 기능성이 우수한 장류용콩 품종 육성을 위한 중간 모본으로 14G20 선발계통은 도복이 강하며 수량성이 매우 높고 백립중이 29.7 g 정도의 대립이었다. 5. 검정종피와 녹색자엽을 가진 RS-21 계통은 도복이 강하며, 수량성이 매우 높고 백립중이 28.7 g 정도의 대립으로, 난소화성당의 함량이 낮은 특수용콩 품종 육성을 위한 중간모본으로 이용성이 높았다.

내도복 다수성 검정깨 신품종 '윤흑' (A New Black Sesame Variety 'Yunheuk' with Lodging Resistance and High Yielding)

  • 심강보;황정동;배석복;이명희;정찬식;하태정;박금룡;노재환;송득영;이세종;남상영;이재철;최규환;권중배;강달순;강형식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587-590
    • /
    • 2011
  • '윤흑'은 내병성이 개선되고 다수성인 품종을 육성하기 위하여 다수성 계통인 유성깨에 고품질 내병성인 건흑깨를 1995년에 인공교배하여 육성한 품종으로 6년간의 계통육성을 통하여 유망계통을 선발하고 2002년부터 3년간 생산력 검정시험을 거친 후 전국 9개의 지역에서 3년간의 적응시험을 통하여 선발된 것으로 '윤흑'은 수량성이 높고 내도복성이면서 검정색 착색도가 진하고 레놀렌산 함량이 많은 고품질 품종이다. 또한 우리나라 기후조건에서 단작 및 이모작형의 광지역 적응품종으로 검정깨의 특산단지화 등 고품질화 및 차별화 가능성이 큰 품종이다.

위생교육에 따른 선식 제조기구와 작업장의 위생상태변화 및 일부 선식제품의 안정성과 영양적 평가 (Nutritional Evaluation, Stability of Cereals and Sanitation Status of Processing Utensils and Environments Based on Hygiene Education)

  • 김은미;김현숙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7권6호
    • /
    • pp.833-843
    • /
    • 200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ygiene education on the microbiological changes of processing utensils and the environmental in the manufacture of cereals and to evaluate the Cd, Pb contents and nutrient compositions of 11 cereals. The result of microbiological evaluation was that fungi, coliforms and staphylococcus species were detected in employees, on equipment, utensils and environments in the first inspection. Fungi were detected in most of the cereals, staphylococcus species were detected in soybeans, perilla seeds and sea tangle How, and bacillus cereus was detected in sorghum and black sesame seeds. The water content of rice, barley, glutinous rice, brown rice and carrot flour in packaged products, and in carrot flour, angelica keiskei, carrot, sea mustard and potato in bulk products was in excess of 8.0%. The Pb content of cereals was 0.14-0.51 mg/kg and Cd was not found. The acid value of Job s tears flour and black sesame seed flour was higher than 5.0 mg/g oil. Cereals were manufactured from 41 different cereals and grains, legumes, seeds and nuts, vegetables, potatoes, seaweeds, fruits, glucose and salt. The average content of cereals and grains, legumes, and seeds and nuts in cereals was 75.75%, 16.19% and 4.93%, respectively. The mean nutrient content per 100 g of cereals was calories 365.8kcal, protein 13.3 g, fats 5.9 g, carbohydrates 63.4 g, Ca 91.8 mg, p 269.9 mg, Fe 3.15 mg, Na 76.2 g, K 421.8 mg, Zn 2.33 mg, Vit. A 12.5 R.E., Vit. B$_1$0.23 mg, Vit. $B_2$ 0.16 mg, Vit. $B_6$ 0.46 mg, Niacin 3.5 mg, Vit. C 1.36 mg, folic acid 62.3 $\mu$g and Vit. E 1.24 mg. When nutrients value of 48 g of cereals and 200 $m\ell$l of milk was compared to 1/3 of the RDA, the values were below than 60% of 1/3 of the RDA except Na, K, Vitamin $B_1$ and C contents. The average carbohydrate : protein : fat ratio of energy intake was 54.27 : 17.45 : 28.28, respectively. Therefore, a training program consisting of the education of the staff in surveillance and standard operating procedures, the elimination of dangerous procedures, sanitation checklist, the implementation of Preparation methods and standard recipes for cereals is required.

배무채의 형태와 영양적 특성 및 교잡 친화성 (Morphological and Nutritional Characteristics and Crossability with Brassica Species of Baemoochae, xBrassicoraphanus)

  • 이수성;김태윤;양정민;김종기;임수연;윤무경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0권5호
    • /
    • pp.543-548
    • /
    • 2012
  • 배무채의 형태적 특성은 양친인 배추와 무의 중간형태이다. 잎은 윗부분이 배추이고 아래 부분이 무를 닮았다. 잎의 중륵은 무처럼 둥글지만 직경이 3cm 이상으로 크고 배추처럼 흰 색이다. 뿌리는 처음에 중간부위가 부풀어져 무 모양이었는데 유전적 안정화 과정을 거치면서 재래종 배추(뿌리배추)처럼 큰 직근으로 바뀌었다. 꽃은 흰 색이며 종자 꼬투리는 선명하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윗부분이 무로서 길이가 약 4cm 정도이며 그 속에 3-4개의 종자가 들고 아래 부분이 배추로서 길이가 약 3cm 정도이며 그 속에 7-8개의 종자가 들어있다. 종자는 배추와 비슷한 적갈색이며 천립중이 5.5g이고 mL당 약 120립 정도이다. 가을에 배추와 같이 재배하면 약 5kg 정도까지 자라며 외엽이 아주 무성하고 억세게 보인다. 속잎은 노란색을 띠며 엉성하지만 약 900g 정도의 구를 형성한다. 잎과 뿌리 모두 항암과 항균작용이 큰 기능성 물질 썰포라펜(sulforaphene)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다. 배무채는 복2배체 식물로서 자가불화합성이 없고 따라서 자가수정이 잘되지만 벌이 많이 오는 타가수분식물이다. 배무채는 그의 모계였던 배추와의 교잡에서 자방친일 때는 교잡이 아주 잘 되지만 부계일 때는 완전한 불화합이며 부계였던 무 및 양배추와 흑겨자 사이에는 상반교잡 모두 불화합성이다. 그러나 복2배체 식물인 유채 및 황겨자와의 사이에는 상반교잡 모두 화합성이며 갓과의 사이에는 상반교잡 모두 부분화합성이다.

국내산 소나무, 잣나무, 낙엽송, 분비나무 정유의 제초활성 (Herbicidal Activities of Essential Oils from Pine, Nut Pine, Larch and Khingan Fir in Korea)

  • 윤미선;조해미;연보람;최정섭;김성문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2권1호
    • /
    • pp.30-37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의 대표적인 침엽수인 소나무, 잣나무, 낙엽송, 분비나무로부터 추출된 정유의 제초활성을 이해하는데 있었다. 소나무, 잣나무, 낙엽송, 분비나무 정유의 기내 종자발아 제초활성 검정 결과, 유채에 대한 $GR_{50}$ 값은 각각 0, 4,766, 1,865, $5,934{\mu}g\;ml^{-1}$으로 소나무를 제외하고는 제초활성을 나타내었다. 온실조건에서 소나무, 잣나무, 낙엽송, 분비나무 정유 10%를 5종의 화본과 잡초와 5종의 광엽잡초에 처리한 결과 도꼬마리를 제외하고는 24시간 내에 완전 고사되었으며, 처리 식물의 부위는 타는 듯한 화염상 증상을 나타내었고, 처리 3일 이후에는 신초가 재생하여 4종 식물 정유는 속효성, 비선택성, 비이행성 특성을 나타내었다. 소나무, 잣나무, 낙엽송, 분비나무의 정유를 GC-MS로 분석한 결과 각각 16종, 25종, 25종, 16종의 유기화합물이 검출되었으며, 이들 정유에는 탄화수소, 알코올, 케톤, 에스테르가 공통적으로 함유되어 있었다. 그리고 정유 4종의 주 화합물은 3-carene, bornyl acetate, camphene, limonene, ${\alpha}$-pinene, ${\beta}$-pinene, ${\beta}$-phellandrene 이었다.

고추의 산화성(酸化性)에 대한 Citric Acid의 상승효과 (Synergistic Effect of Citric Acid on Antioxidant Property of Red Pepper)

  • 양기선;유주현;황적인;양융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193-198
    • /
    • 1974
  • 고추분말(粉末), 고추피(皮)의 알코올추출물(抽出物), 알코올추출물(抽出物)과 유기산(有機酸)을 기질(基質)인 식용대두유(食用大豆油)에 첨가(添加)하여 암소저장(暗所貯藏) 조건하(條件下)$(45.0{\pm}0.5^{\circ}C$$55.0{\pm}0.5^{\circ}C)$에서 과산화물형성(過酸化物形成) 억제효과를 검토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고추, 후추, 계피분말(粉末)은 모두 어느정도의 항산화효과를 나타냈으며, 이들 간(間)의 항산화효과는 거의 비슷하였다. 2) 고추피(皮)와 고추씨분말(粉末)은 모두 항산화효과를 나타냈으며, 고추피(皮)는 고추씨 분말(粉末)보다 강(强)한 항산화효과를 나타냈다. 3) 고추피(皮)의 알코올추출물(抽出物)의 강(强)한 항산화효과를 나타냈으며, 잔사(殘渣)는 거의 항산화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4) 고추피(皮)의 알코올추출물(抽出物)의 항산화효과는 알코올추출물(抽出物)의 농도가 짙을수록 거의 비례(比例)해서 강(强)하게 나타났다. 5) 고추피(皮)의 알코올추출물(抽出物)과 유기산(有機酸)의 병용효과는 구연산이 매우 강(强)하게, Vitamin C (ascorbic acid)는 강(强)하게 항산화효과를 나타냈으나, 인산의 경우 오히려 촉진(促進)되었다. 6) 고추피(皮)의 알코올추출물(抽出物) 0.1%와 구연산의 농도(濃度)에 따른 병용효과는 구연산의 농도(濃度)가 0.04%일때 가장 강(强)하게 나타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