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ack pepper powder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1초

우육(牛肉) 조리법(調理法)의 역사적(歷史的) 고찰(考察) - 1945년 이전의 문헌을 중심으로 VII.(膾) - (A Historical Study of Beef Cooking - VII. Hoe(raw beef) -)

  • 김태홍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85-393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paper on Hoe (raw beef) is to investigate various kinds of its recipes, with equal focus on seasonings and sauces as well as its main and sub ingredients. The recipes of Hoe can be broadly classified into four large groups such as Salkogi Hoe(Red meat Hoe), Hankazi Naechang-yook Hoe(made from internal organs), Jap Hoe(1)(miscellaneous Meat Hoe) and Jap Hoe(II)(rolled with a whole pinenut) while the cook books written before 1945 indicate that the number of recipes reaches up to 21. The recipe of Salkogi Hoe comprises following three steps. Cut raw beef into thin strips and season them if necessary, then sprinkling sufficient pinenut powder on the strips. Its main sauce is hot pepper paste with vinegar. The recipe of Hankazi Naechang-yook Hoe uses kidney, manyplies, liver and tripes as main ingredients. Kidney should be thinly sliced with mixture of salt, seasame salt, seasame oil, and pepper as its seasonings. Regarding Manyplies, liver and tripes, there exists two possible ways to season them after cutting into strips. You can season with sesame oil and pepper or only with salt. Main ingredients of Jap Hoe(I) consist of beef, pork, kidney, manyplies, liver and tripes, among which minimum two ingredients are selected. Ingredients selected are sprinkled with pinenut powder after cutting into thin strips. And Hot pepper paste with vinegar is used as main sauce. The recipe of Jap Hoe(II) is to cut manyplies into pieces of 2Cm by 5 Cm without removing their black part and roll each piece with a whole peanut in such a manner that the peanut sticks from rolled piece.

  • PDF

시판 instant curry 및 curry 사용원료의 생리활성 (Physiological Activities of Commercial Instant Curry Powders and Individual Spices)

  • 정명수;정승현;이진선;빅기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25-131
    • /
    • 2003
  • Instant curry 제품 및 원료로 사용되는 향신료의 열수추출물을 사용하여 생리활성을 실험하였다. Linoleic acid에 향신료 추출물을 첨가하여 자동산화를 측정한 결과 ginger 추출물을 제외한 모든 추출물이 자동산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특히, clove 및 fennel의 경우 ${\alpha}-tocopherol$보다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신료를 혼합하여 제조하는 mild pure curry(MPC, p<0.001)와 spicy pure curry(SPC, p<0.01)도 항산화 활성이 있었으며, instant curry 제품에서도 linoleic acid의 자동산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Instant curry의 열수추출물이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ACE)의 활성억제작용은 없었으나, 원료로 사용되는 red pepper$(52.8{\pm}2.13%)$와 clove$(13.48{\pm}1.00%)$, coriander$(10.32{\pm}1.45%)$의 경우 ACE활성을 저해하였다(p<0.001). 향신료 열수추출물의 세포독성 실험에서 유방암세포 MCF-7의 증식억제에 black pepper$(29.31{\pm}2.12%)$와 cardamon$(19.41{\pm}3.92%)$이 유의차(p<0.01)있게 세포증식을 억제하였으며, celery seed$(28.20{\pm}5.98%)$도 억제효과를 나타냈다(p<0.05). 그러나 SPC는 증식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자궁암세포 HeLa의 경우 clover$(42.92{\pm}5.57%)$는 p<0.01 수준에서, cassia$(26.14{\pm}7.41%)$는 p<0.05 수준에서 유의성있게 증식억제 효과가 나타냈다. 그러나 MPC 및 coriander, turmeric, SPC, nutmeg, cardamon, red pepper, celery seed는 증식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뇌종양세포 A172의 경우 ginger$(34.21{\pm}1.11%)$ 및 cardamon$(31.89{\pm}3.13%)$, black pepper$(31.35{\pm}3.93%)$가 p<0.001 수준에서, 그리고 cumin 및 MPC, SPC, turmeric, celery seed에 의해서도 세포증식이 억제되었다(p<0.05). 그러나 clove 및 fenugreek, cassia에서는 A172세포의 증식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신장암 세포 SN12C에 대해서는 garlic$(82.88{\pm}0.53%)$이 가장 높은 억제효과(p<0.001)를 나타냈으며, ginger 및 cumin, cardamon이 p<0.01 수준에서 증식억제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clove의 경우 증식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위암 세포주 SNU-638의 경우 garlic$(71.63{\pm}0.38%)$이 가장 높은 억제효과를 보였으며, red pepper 및 ginger, fenugreek, SPC, cumin, MPC 등에서도 증식억제 효과를 보여주었다(p<0.001). 그러나 clove 및 nutmeg, turmeric, coriander는 증식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폐암 세포 A549에 대한 세포독성 실험 결과 대부분의 원료에서 세포독성이 없었으나 cassia(82.84 16.92%)가 가장 강한 억제효과를 나타냈으나(p<0.001), clove 및 nutmeg, fennel, celery seed, fenugreek, black pepper는 증식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또한, 신장암 세포 SN12C의 경우 MPC 열수 추출물의 첨가농도가 높아질수록 cytotoxicity가 증가하였으며, 폐암 세포주 A549의 경우 농도 증가에 따른 cytotoxicity 변화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장국의 문헌적 분석 고찰 (A bibliographical Study on the Tojangguk in Korea)

  • 이윤경;전희정;이효지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81-90
    • /
    • 1992
  • The Guk had lessened to use Gang, Whak, Tang. The Guk was classified into cooking method as a soup stock, the used main substances, and the temperature of the Guk. According to the soup stock were divided clear soup, Tojangguk, and Gooumguk. Another classification of Guk by main substances were Yuktang (meat soup), Otang (fish soup), bongtang (poultry soup), Shotang (vegetable soup), Japtang (vary substance soup) and Yonpotang (soybean-curd soup), and by the temperature of the Guk were divided Doounguk (warm soup) and Naengguk (cold soup). In the thesis, according to the kinds of Tojangguk, the reference frequency to them, the adding foods in them, and the variety cooking method in the Tojangguk were analyzed by the cook books published from 1700 to 1988 in Korea. 1. There were 29 kinds of Tojangguk. 2. The main substances of Tojangguk were meat, poultry, fish, shellfish, vegetable, mushrooms and seasonings. 3. The Tojangguk was boiled with the rice water and fermented soybean paste and fermented soybean-pepper powder paste. For the development of taste were added beef, shellfish, dried anchovy, dried small prawn, and soup stock of beef bones in winter. Seasoning substances were green onion, garlic, black pepper, sesame powder and oil.

  • PDF

방사선(放射線) 조사(照射)가 후추가루의 살균(殺菌)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Irradiation on the Sterilization of Black Pepper Powder)

  • 변명우;권중호;이미경;조한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19-321
    • /
    • 1984
  • 유통되고 있는 후추가루의 미생물(微生物) 오염(汚染)정도와 방사선(放射線) 살균효과(殺菌效果) 및 몇가지 성분(成分)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져 직접 구입 마쇄한 시료(I)과 분말 제품화(製品化)된 시료(II)를 대상으로 $3{\sim}9kGy$의 감마선을 조사하고 실험을 수행하였다. 시료(I)과 (II)의 일반세균(一船細菌)은 g당(當) $1.00{\sim}10^7$$1.67{\sim}10^7$마리로 나타났으며 대장균군(大腸菌群)은 양성(陽性)인 시료도 확인되었다. 감마선의 살균효과(殺菌效果)에서 일반세균(一船細菌)은 9kGy, 대장균군(大腸菌群)은 3kGy의 조사(照射)로서 대부분 사멸(死滅)되었으며, $D_{10}$값은 시료(試料)(I)과 (II)에서 1.49 및 1.39kGy 로 나타났다. 일반성분(一船成分)은 감마선 조사(照射)로서 환원당(還元糖)이 다소 증가되었을 뿐 기타 성분(成分)은 거의 변화가 없었고, 휘발성 정유성분(精油成分)의 수율(收率)에서는 조사선량(照射綿量)의 증가(增加)로 $4{\sim}14%$의 감소현상(減少現象)을 보였다.

  • PDF

후추의 품질평가에 관한 연구 (Studies on Quality Evaluation of Pepper(Piper nigrum L.))

  • 박완규;윤종훈;최춘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5-18
    • /
    • 1991
  • 후추의 품질평가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13종의 후추원두에 대하여 후추의 직경을 비롯한 물리화학적 특성 13항목을 분석하였다. 후추의 물리적품질은 Sarawak special, Sarawak brown 및 인도 TGEB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Lampong ASTA 및 Lampong FAO의 품질은 비교적 낮았다. 또한 화학적품질은 Lampong ASTA, Lampong FAO 및 인도 TGEB 등이 우수하였고 베트남산과 인도 MG-1이 중간, 그리고 기타의 후추들은 품질이 낮게 나타났다. 한편 색상에 있어서는 커다란 차이는 없었으나, Sarawak산 후추들이 비교적 밝은 색을 나타내었다.

  • PDF

카레분 및 향신료 추출물의 항 돌연변이 효과 (Antimutagenic Effects of Extracts of Curry Powder and Its Individual Spice)

  • 정승현;정명수;이진선;박기문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52-357
    • /
    • 2002
  • 카레분 및 카레 원료로 사용되는 주요 향신료들의 돌연변이 억제 효과를 보기 위하여 카레분 및 원료 향신료 14종의 추출물에 대한 돌연변이원성 및 항 돌연변이원성 실험을 하였다. 카레분 및 향신료 14종의 추출물에 대해 돌연변이원성 유무를 확인한 결과 돌연변이 원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항 돌연변이원성 실험에서 직접 변이원 2-NF 처리 시Saimonella typhimurium TA 98에 대하여 향신료 추출물 중cinnamon(42%) 및 fenugreek(38%), fennel(32%), ginger(28%), clove(24%)는 p<0.00I 유의수준에서, 그리고 turmeric (23%) 및 celery seed(20%), coriander(16%)는 p<0.01 수준에서 항 돌연변이율을 나타냈다. 그리고 garlic(17%)이 항 돌연변이 활성을 나타냈으며 그 밖의 향신료 및 카레분 추출물은 항 돌연변이 효과가 없었다. 간접변이원 2-AT처리 시 돌연변이 수는 115.0$\pm$46.4에서 clove추출물 첨가에 의해 13.2$\pm$8.1로 감소하여 향신료 추출물 중 clove가 116%로 가장 높은 항 돌연변이율을 보였으며, celery seed(103%) 및 cardamon(100%) 역시 강한 항 돌연변이율을 나타냈다(p<0.01). 그밖에 red pepper, cinnamon, cumin, ginger, fennel, coriander, nutmeg, turmeric에서도 항 돌연변이 활성이 존재하였다(p<0.05). 간접변이원 2-AF에서는 clove추출물이 120%의 가장 높은 항 돌연변이율을 보였으며, cinnamon(113%) 역시 강한 항 돌연변이 활성을 나타냈다(p<0.001). 그리고 cardamon(93%) 및 celery seed (80%), ginger(58%), fennel(44%) 역시 항 돌연변이 활성을 보였다(p<0.05). 그밖에 coriander, black pepper는 항 돌연변이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카레분 추출물의 경우, 간접변이원인 2-AT와 2-AF에서 6~23%의 항 돌연변이 율을 나타냈으나 유의성이 없었으며 직접변이원인 2-NF 에서는 항 돌연변이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즉, 동일한 추출물이라도 변이원에 따라 항 돌연변이율이 다르게 확인되었으며, 카레분 및 원료 향신료의 추출물에서 항 돌연변이율은 직접변이원보다는 간접변이원에서 높게 나타났다.

국조리의 과학화에 관한 연구 - 맑은장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tandardizing of Recipe for Soup Making - Focused on Clear Soup -)

  • 홍진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595-602
    • /
    • 1999
  • This study was intended to develop traditional Korean soup recipe which can be used for food service and meet consumers' taste with a focus on clear soup such as clear radish soup, sea mustard soup, dried pollack soup, croaker soup, and backbone soup. The developed sample(S1) showed the highest level of overall preference among consume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s especially between S1 and others.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each soup showed a sligh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kind of soup, however, all items had an effect on overall preference. One of the standardized recipe to make broth was presented as follows: The ingredients for broth consists of the shank or brisket of beef(100 g), water(10 cup), spring onion(20 g), onion(30 g), garlic(10 g), salt(1 teaspoonful), and black pepper power(1/10 teaspoonful). 1) The meat part of shank or brisket is prepared. 2) The unfrozen meat is immersed in cold water for 20 min, whereby blood is extracted from the meat. 3) 10 cups of water are poured into the pan and boiled enough. 4) After water has boiled enough, the lump of meat with blood extracted is cut into 2 or 3 pieces and is boiled in the boiling water by high-intensity heat with the pan lid uncovered, and dirty foam is scooped out while boiling. 5) If the broth begins to be extracted, the intensity of heat is lowered for boiling for one hour or so, and then again boiled for 30 min with spring onion, garlic, onion and the like. If the broth is extracted enough, spring onion, garlic, onion, and others are removed from the pan. the broth is seasoned with salt and black pepper powder, and foam is removed by using fine mesh sieve or gauze. Then, 6 cups of clear broth is obtained finally.

  • PDF

향신료의 휘발성 향미성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Spices in Curry)

  • 김현위;허경택;최춘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27-135
    • /
    • 1989
  • 카레가루 원료로 쓰이면서 독특한 풍미를 내는 육두구(nutmeg), 쿠민(cumin), 카다몬(cardamon), 심황뿌리가루(turmeric), 고수(coriander), 정향(clove), 올스파이스(allspice), 카시아(cassia), 회향(fennel), 셀러리시드(celery seed), 검정후추(black pepper)등 향신료 11종을 상압 수증기 증류하여 얻은 유출액으로부터 Diethyl ether: n-Pentane(2 : 1, v/v)으로 향미성분을 추출한 후, capillary GC와 GC/MS를 이용하여 그 주요 성분들을 동정하였다. 육두구는 ${\alpha}-pinene(11.06%)$, ${\beta}-pinene(11.17%)$, myristicin(19.98%), 쿠민은 cuminaldehyde(37.68%), 카다몬은 ${\alpha)-terpineol(47.33%)$, 1, 8-cineol(20.56%), 고수는 linalool(61.72%), 정향은 eugenol(63.63%), eugenol acetate(20.59%), 올스파이스는 eugenol(80.12%), methyl eugenol(10.85%), 카시아는 cinnamaldehyde(82.29%), 회향은 anethole(79.92%) 등이 주성분이었다.

  • PDF

우육지방질의 변화에 미치는 불고기 조미료의 항산화작용에 관한 연구 (Antioxidative Effect of Seasoning on the Lipid Oxidation of BULGOGI Cooked Meat)

  • 신덕규;이용억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75-81
    • /
    • 1990
  • The study was observed that anti oxidation effect of each and mutual relation on BULGOGI seasoning in Fore shank and Ribs. Each antioxidation effect were appeared to higher in suger, pear juice, soya souce, clean wine, sesamed oil, green onion, toeasted sesamed powder, black pepper, garlic im seasoned immidiately. Soya souce was revealed to higher effect anti oxidation in storaged beef among 30 minuit after seasoned. In storaged sample among 9 hour after seasoned was showed to higher effect in soya souce & galic. Mutual relation of two seasoning in BULGOGI seasoning were revealed to higher effect in mixture of green onion & galic.

1700년대~1960년대 문헌에 나타난 탕평채의 문헌고찰 (Literature Review of Tangpyeongchae in Cook Books Published in 1700~1960s)

  • 이경애;김보람;김향숙;신말식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27-335
    • /
    • 2012
  • 탕평채의 전통 조리법 발굴을 위해 1700년대부터 1960년대의 고문헌 및 고조리서에 수록된 탕평채의 재료, 양념, 조리방법의 변화 등을 검토하였다. 탕평채는 1700년대 말의 문헌인 "경도잡지"와 "고사십이집"에 처음 소개된 후 "임원십육지", "동국세시기", "송남잡식", "진찬의궤", "진작의궤", "명물기략", "규곤요람", "시의전서", "조선요리제법",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 "주부의 동무, 조선요리제법", "조선요리학", "이조궁정요리통고", "우리나라 음식 만드는 법" 등에 탕평채가 수록되었다. 조선시대 궁중 연회음식을 수록한 "진찬의궤"와 "진작의궤"에는 청포채란 명칭으로 탕평채가 소개되어 있다. 탕평채의 재료 중 묵, 고기, 미나리, 숙주나물, 달걀, 김의 사용이 보편화된 것은 1900년대 중반 이후이며, 달래, 물쑥과 같은 봄나물을 재료로 사용한 기록도 있다. 1700년대 말에는 단지 초장(간장과 초로 만듦)으로만 무쳐 먹었던 탕평채는 이후 간장, 초 뿐 아니라 고추, 후춧가루, 깨소금, 참기름, 마늘, 파, 소금, 설탕 등을 사용해서 양념하여 보다 다양한 맛을 내고자 하였다. 또한 미나리, 고춧가루, 실고추, 지단채, 통잣, 잣가루, 깨소금, 김 등을 고명으로 사용했다. 탕평채의 조리방법은 1800년대 말의 문헌부터 비교적 자세히 기술되어 있다. 1800년대 말에는 모든 재료를 함께 양념했으나, 1900년대에는 다른 재료를 먼저 양념하고 마지막에 묵을 넣고 무치는 방법도 사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