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ta test

검색결과 2,142건 처리시간 0.03초

고추역병균(疫病菌)(Phytophthora capsici)의 생물학적(生物學的) 방제(防除);Ⅲ. 항균물질(抗菌物質)의 구조분석(構造分析) (Biological Control of Phytophthora Blight of Red-pepper Caused by Phytophthora capsici.;Ⅲ. Identification of the Antifungal Substances Produced by Pseudomonas sp. A - 183.)

  • 장윤희;장상문;최정;이동훈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6
    • /
    • 1997
  • 고추 역병균(疫病菌)(P. capsici)에 우수(優秀)한 항균활성(抗菌活性)을 가진 3가지의 항균물질(抗菌物質)을 Pseudomonas sp. A-183 배양액(培養液)으로 부터 분리(分離) 정제(精製)하였다. 분리(分離)된 3가지의 항균물질(抗菌物質)에 대한 분자구조식(分子構造式)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UV, IR, $^1H$ NMR, $^{13}C$ NMR Spectroscopy법(法)으로 해석하였다. A와 B물질(物質)은 Molish 및 Anthrone반응(反應)에 양성(陽性)으로, Fehling반응(反應)에는 음성(陰性)으로 나타났으므로 nonreducing sugar구조(構造)를 함유(含有)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C물질(物質)은 위의 시약(試藥)에서 정색반응(呈色反應)을 나타내지 않고 단지 UV흡수(吸收)만을 나타내었다. Mass, NMR 및 IR 분광분석(分光分析)에 의해 A와 B물질(物質)은 당(糖)으로는 deoxyhexose인 rhamnose를 포함하고 지방산으로는 ${\beta}-hydroxydecanoic$ acid를 포함하였다. 또 이들 사이에는 O-glycoside결합(結合)이 형성(形成)되어 있었으며 A와 B물질(物質) 사이에는 당(糖) 한분자(分子)의 차리(差異)가 나타났다. 종합적(綜合的)으로 A물질(物質)은 glycolipid B인 3-hydroxy-(3-hydroxydecanoyl) -decanoic acid $3-O-{\alpha}-L-rhamnopyranosyl(1{\to}2)rhamnopyranoside$, B물질(物質)은 glycolipid A인 3-hydroxy-(3`-hydroxydecanoyl)decanoic acid $3-O-{\alpha}-L-rhamnopyranoside$로 동정(同定)되었으며, C물질(物質)은 phenazine으로 확인(確認)되었다.

  • PDF

인공시효된 Al6061-T6의 초음파 비선형 특성 평가 (Evaluation of Ultrasonic Nonlinear Characteristics in Artificially Aged Al6061-T6)

  • 김종범;이경준;장경영;김정석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20-225
    • /
    • 2014
  • 초음파 비선형 특성은 일반적으로 재료 내부를 전파한 초음파의 기본주파수 및 2차 고조파 성분 크기에 의해 결정되는 비선형 파라미터 ${\beta}$로 측정되며, 재료의 미세한 변질을 평가하는데 효과적인 인자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공시효된 Al6061-T6의 열처리 시간에 따른 초음파 비선형 특성을 평가하였다. 초음파가 시편을 투과하여 수신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비선형 파라미터 ${\beta}$를 구하였고, 비선형 파라미터 측정 후 마이크로 비커스 경도를 측정하였다. 비선형 파라미터 측정 결과로부터 열처리 시간에 따른 재료 내 미세 구조적인 변화를 추정하였으며, 경도 측정 결과로부터 이러한 추정이 합당함을 증명하였다. 측정 결과 비선형 파라미터는 석출거동 메커니즘에 의한 재료 미세조직 변화와 매우 밀접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로부터 초음파 비선형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인공시효에 의한 재료 내 미세구조 및 상태 변화를 초음파 비선형 파라미터로 평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임상에서 분리된 Metallo-β-lactamase 생성 Pseudomonas aeruginosa의 분자역학 (Molecular Epidemiology of Metallo-β-lactamase Producing Pseudomonas aeruginosa Clinical Isolates)

  • 최명원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9호
    • /
    • pp.1268-1276
    • /
    • 2012
  • 사람의 감염증 치료에 사용되는 carbapenem계 약제에 대한 내성균의 출현 및 확산은 감염증 치료를 제한할 뿐만 아니라 집단 발병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beta}$-lactam 약제에 내성을 갖는 Pseudomonas aeruginosa (P. aeruginosa)를 대상으로 metallo-beta-lactamase (MBL)의 유전형을 규명함으로써 내성세균의 감염증 치료지침 및 확산방지책 마련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이 된 254개의 임상 검체 중에서 42주의 P. aeruginosa 를 분리하여 imipenem 혹은 meropenem에 내성을 나타내는 Hodge 변법과 EDST에서 각각 28주와 23주가 양성반응을 보였다. DNA의 염기서열 분석결과 $bla_{IMP-6}$ 유전자 보유균이 8주, $bla_{VIM-2}$ 유전자 보유균이 17주로 59.5%(25/42)가 MBL을 생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bla_{IMP-6}$의 유전자 환경은 $bla_{IMP-6}$-qac-aacA4-$bla_{OXA-1}$-aadA1 유전자 배열을 지니고 있었다. 또한 ERIC PCR 결과 IMP-6과 VIM-2를 생성하는 일부 균주에서 역학적 연관성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분리한 carbapenem계 항균제 내성 P. aeruginosa가 보유한 $bla_{IMP-6}$ 유전자는 대구지역에서 발병이 보고된 유전자의 gene cassette와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들 세균이 지역사회에 정착하고 있고 이들을 보유한 세균에 의한 감염증 치료시 치료약제에 대한 선택압을 증가시킬 것으로 우려된다. 그러므로 항균제 내성 검사를 통하여 적절한 항균제를 선택하고, 항균제 내성균들의 출현과 확산을 막는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Metallo-${\beta}$-lactamase를 생성하여 Imipenem에 내성인 Pseudomonas aeruginosa에 대한 항균제 병합요법의 효과 (Effect of Antibiotic Combination Therapy on Metallo-${\beta}$-Lactamase Producing Imipenem Resistant Pseudomonas aeruginosa)

  • 홍승복;김홍철;이장원;손승렬
    • 미생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39-345
    • /
    • 2008
  • 국내 대학병원에서 분리되어 imipenem 에 대한 최소억제농도가 $8{\mu}g/ml$ 이상인 51개의 포도당비발효 그람음성 간균들 중 metallo-${\beta}$-lactamase (MBL)을 생성하는 균주들을 분리하고, 그들 중에서 내성이 강한 Pseudomonas aeruginosa에 대한 항균제 병합요법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승효과를 보이는 항균제 조합을 찾아보았다. 9개의 균주(Pseudomonas aeruginosa 2주 및 Achromobacter xylosoxidans subsp. xylosoxidans 7주)가 MBL 양성을 나타냈으며, PCR 결과 9주 모두에서 $bla_{VIM-2}$ 유전자가 관찰되었다. 이들 중에서 P. aeruginosa DK569는 aztreonam (MIC; $8{\mu}g/ml$)을 제외하고 실험한 모든 ${\beta}$-lactam 항균제, aminoglycoside, ciprofloxacin에 내성을 보여 aztreonam 함유 배지를 이용하여 상승효과률 보이는 항균제를 찾고자 하였다. One disk synergy test 에서 선별된 항균제 조합을 이용하여 생존률 검사 실험을 한 결과, aztreonam (AZT)와 piperacillin-tazobactam (TZP)의 병합은 항균제 노출 6시간 후에 AZT 또는 TZP의 단독 항균제 노출시 보다 균수가 1/18.7로 감소하였다. 그리고 AZT와 amikacin (AN)의 병합에서도 항균제 노출 6 시간 후에 AZT 또는 AN의 단독항균제의 투여보다 균수가 1/17.1 로 감소하였다. 결국 위 두 조합은 의미있는 상승효과를 보이지 못하여 위 세 항균제를 조합하여 실험하였다. 위의 세 항균제를 병합하였을 때 항균제 노출 8시간 후에 AZT, TZP 및 AN의 단독 투여에 비하여 병합요법에 의해 균수가 1/183.3 로 감소하여 의미있는 상승효과를 보였다. 이 결과는 치료가 쉽지 앓은 MBL 생성균에 의한 감염에 대한 치료에 AZT, TZP 및 AN의 세 가지 항균제 병합요법이 유용할 것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황금, 어성초를 배합한 익수영진고가미 한약재배합물의 베타글루칸, 진세노사이드 함량, 2,2-diphenyl-1-picrylhydrazyl Free Radical 소거 활성, 항염 활성 및 안전성 연구 (A Study on 𝛽-glucan, Ginsenoside Content, 2,2-diphenyl-1-picrylhydrazyl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ti-inflammatory Activity and Safety of Herbal Medicine Mix - Iksooyoungjingogami with Scutellariae Radix and Houttuynia cordata Thunb)

  • 김명훈;문양선;강상미;김형석;김선종;나창수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17
    • /
    • 2022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beta-glucan & ginsenoside content, antioxidant activity, anti-inflammatory effect and safety of herbal medicine mix. Methods The marker compounds contents, antioxidant activity and safety of herbal medicine mix were tested. The contents of beta-glucan and ginsenoside Rg3 were measured, the antioxidant activity was measured using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ti-inflammatory and a safety test was conducted via single dose toxicity assessment. Results Analyzing the contents of marker compounds showed 362.3 mg/g of beta-glucan, and 0.4184 mg/g of ginsenoside Rg3. In the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IC50 of herbal medicine mix, was 0.146%. The scavenging activity of herbal medicine mix was 88.28% activity at 0.5% concentration, and 90.61% activity at 5% concentration. In the lipopolysaccharides (LPS) anti-inflammatory test, the herbal remix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𝛼) and interleukin-6 (IL-6) compared to the LPS-induced group. In the single dose toxicity test of herbal medicine mix, a dose of 2,000 mg/kg body weight (BW) was set at its highest capacity and observed after oral administration to female and male rats. No toxicological findings were recognized. It was observed that the resulting lethal dose can be set to 2,000 mg/kg BW or higher for both females and males.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on herbal medicine mix showed that the marker compounds contents were beta-glucan and ginsenoside Rg3, that antioxidant activity was observed through the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ti-inflammatory effect was observed through TNF-𝛼 and IL-6 measurement, and safety was confirmed through the single dose toxicity assessment.

고압호스 조립체의 가속수명시험에 관한 연구 (Study of the high pressure hose assemblies by accelerated life test)

  • 이기천;이용범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7권8호
    • /
    • pp.886-892
    • /
    • 2013
  • 고압호스 조립체는 건설기계, 선박, 항공기, 산업기계, 공작기계 및 자동차 등의 각종 유압장치에 널리 유압배관으로 사용된다. 이는 유연성이 필요한 부분에 유체동력($P^*Q$)으로 전달해야 함으로서, 고장이 발생할 경우는 유압시스템 전체가 작동이 불가능함으로서 신뢰성이 매우 중요한 부품이다. 가속 수명 시험 데이터는 와이블분포 분석을 통해서 형상 모수를 추종 하였다. 본 시험연구에서는 실제 가속수명시험 조건의 충격압력과 반복 굽힘을 변화시켜 시험시간을 감소시켰다. 가속수명시험 모형은 GLL(generalized linear)모형을 사용하였으며, 충격압력과 반복 굽힘에 대한 가속지수는 각각 6.64와 4.46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시험 결과에 대한 분석결과 형상모수(${\beta}$)는 6.19이며, 실제 사용조건인 35 MPa과 굽힘 반경 R100 mm를 적용하였을 경우 척도모수(${\eta}$)는 $1.035{\times}108$사이클로 확인되었다.

40세 이상 여성의 요실금 유병률, 1회 배뇨량, 잔뇨량, 빈뇨 및 야뇨 (Prevalence of Urinary Incontinence, Single Voided Volume, Post Void Residual Volume, Daytime Frequency, and Nocturia in Women over 40 Years)

  • 김옥분;윤혜상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679-689
    • /
    • 2013
  • Purpose: This prospective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urinary incontinence (UI), voided volume, post void residual volume (PVRV), daytime frequency and nocturia in women over 40 years. Methods: The sample comprised of 302 women over 40 years.The study lasted from February 2008 to November 2009. Data about daytime frequency and nocturia were gathered from 48 hour bladder diary. Further, a PVRV was assessed through a bladder ultrasonography.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t-test, Mann Whitney test, Kruskal Wallis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Although the prevalence of UI among the women was as high as 70.5%, the perception rate of UI was as low as 10.8%.Single voided volume of women without or with UI was 223 mL or 198 mL (p<.001), respectively; PVRV, 25.8 mL or 23.6 mL (p=.055); daytime frequency, 5.89 or 6.96 (p<.001); nocturia, 0.99 or 1.23 (p=.040). Age (${\beta}$=0.19, p=.001), single voided volume (${\beta}$=-0.16, p=.006), and nocturia (${\beta}$=0.12, p=.034) were associated with UI. Conclusion: The prevalence of UI was found to be 70.5% among the participants. The assessment of single urinary volume and nocturia through a bladder diary lends support to identifying UI for women over 40 years.

Effects of Carbohydrate and Water Temperature on Nutrient and Energy Digestibility of Juvenile and Grower Rockfish, Sebastes schlegeli

  • Lee, Sang-Min;Pham, Minh-An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4권11호
    • /
    • pp.1615-1622
    • /
    • 2011
  • A factorial ($4{\times}2{\times}2$) experimental design was employed to determine apparent digestibilities of dry matter (DM), protein, lipid, energy and nitrogen-free extract (NFE) of the test diets containing either ${\alpha}$-potato starch (A-PS), ${\beta}$-potato starch (B-PS), ${\beta}$-corn starch (B-CS) or dextrin (DEX) as dietary carbohydrate energy for juvenile (average weight 30 g) and grower (average weight 300 g) rockfish reared at 13$^{\circ}C$ and 20$^{\circ}C$. Chromic oxide was used as an inert marker. Feces were collected by fecal collectors attached to rearing tanks from triplicate groups of juvenile and grower rockfish. Digestibilities of DM, energy and NFE of the test diets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dietary carbohydrate and water temperature (p<0.01), but not by fish size. DM digestibility of the fish fed the A-PS die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fish fed other treatments, except for the DEX diet at 20$^{\circ}C$. DM digestibility of rockfish fed the B-CS diet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other diets. A similar pattern was observed in apparent digestibility of energy. NFE digestibility of fish fed the test diets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carbohydrate and significantly correlated to DM (r = 0.97, p<0.01) and energy (r = 0.99, p<0.01) digestibilities, regardless of water temperature and fish size. NFE digestibility of the fish fed the ${\beta}$-starch diets was relatively lower compared to that of the ${\alpha}$-starch diets, and ranged from 35 to 43% and 20 to 27% for B-PS and B-CS, respectively. The present findings indicate that carbohydrate and water temperature significantly affected digestibilities of dry matter, energy and nitrogen-free extract of rockfish. Among dietary carbohydrates, ${\alpha}$-potato starch could be effectively used as dietary carbohydrate energy for rockfish at 13$^{\circ}C$ and 20$^{\circ}C$.

입원한 조기진통 임부의 불확실성이 불안에 미치는 영향: 불확실성 평가와 대처양상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Impact of Uncertainty on the Anxiety of Hospitalized Pregnant Women Diagnosed with Preterm Labor: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Uncertainty Appraisal and Coping Style)

  • 김은미;홍세훈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485-496
    • /
    • 2018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uncertainty appraisal and coping style in the relation between uncertainty and anxiety in hospitalized pregnant women diagnosed with preterm labor.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05 pregnant women diagnosed with preterm labor in hospitals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to October 2017. The measurements included the Uncertainty in Illness Scale, Uncertainty Appraisal Scale, Coping Style Scale, and State Anxiety Inventory.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 independent t-test,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following the Baron and Kenny method and Sobel test for mediation. Results: The mean score for anxiety was 2.29 out of 4.00 points and for uncertainty it was 2.46 out of 5.00 points.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uncertainty, uncertainty danger appraisal, uncertainty opportunity appraisal, problem-focused coping, emotion-focused coping, and anxiety. Uncertainty danger appraisal (${\beta}=.64$, p<.001) ha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 between uncertainty and anxiety (Z=4.54, p<.001). Uncertainty opportunity appraisal (${\beta}=-.45$, p<.001) ha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 between uncertainty and anxiety (Z=3.28, p<.001). Emotion-focused coping (${\beta}=-.23$, p=.021)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 between uncertainty and anxiety (Z=2.02, p=.044). Conclusion: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focusing on managing uncertainty appraisal and improving emotion-focused coping are highly recommended to decrease anxiety in hospitalized pregnant women diagnosed with preterm labor.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우울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elf-Esteem and Depression on Smartphone Addic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 양경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113-123
    • /
    • 2016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정도를 파악하고,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우울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D시, C도 소재 4년제 대학에 재학하는 대학생 34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기술 통계와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분석하였고, 자아존중감, 우울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은 1일 스마트폰 사용시간(${\beta}=.300$, p<001), 성적 도움정도(${\beta}=.262$, p<001), 우울(${\beta}=.148$, p=.011)로 나타났으며, 모형 설명력은 28% 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수준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스마트폰 사용시간을 줄이는 방안을 모색하고, 우울을 예방하는 적극적인 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