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nthic amphipods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9초

Amphipod (Crustacea: Malacostraca) fauna of the continental shelf region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 Kyung-Won Kim;Jae-Hong Choi;So-Yeon Shin;June Kim;Young-Hyo Kim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13권2호
    • /
    • pp.159-177
    • /
    • 2024
  • A faunal study on the marine amphipods at eight sites of the continental shelf region in the Southern Sea, Korea was conducted from 16-17 August 2022. In this study, 26 amphipod species in 19 genera and 14 families were found. Among these 14 families, the family Ampeliscidae with six species showed the highest abundance, followed by the family Caprellidae with five species. Amphipods were collected using conical nets, MOCNESS nets, SM grabs, and trawls. When using the SM Grab for collecting benthic sediment, 15 out of a total of 26 amphipod species were surveyed, indicating the highest diversity of amphipod species. Out of the total 26 species, four identified species (Ampelisca pygmaea Schellenberg, 1938; Byblis longiflagelis Ren, 1998; Caprella iniquilibra Mayer, 1903; Primno latreillei Stebbing, 1888) and five unidentified species(Themisto sp., Liljeborgia sp., Dulichiella sp., Cranocephalus sp., Primno sp.) are newly recorded in Korean fauna. These newly recorded species are fully illustrated and compared with related species. We provide a list amphipod fauna in Southern Sea of Korea including figures and tables.

폐기물 배출해역 퇴적물의 생물학적 독성평가 연구 (Biological Toxicity Assessment of Sediment at an Ocean Dumping Site in Korea)

  • 석형주;김영윤;김태원;황철희;손민호;최기영;김창준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9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폐기물 배출해역의 퇴적물이 해양생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2016~2019년 3개 배출해역; 동해병, 서해병, 동해정 해역의 9개 정점에서 채취한 퇴적물 시료들을 대상으로 국내 해양폐기물공정시험기준에 의거하여 저서성단각류(Monocorophium acherusicum)와 발광박테리아(Vibrio fischeri)를 이용한 독성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결과, 상대평균생존율(저서성단각류)과 상대발광저해율(발광박테리아)이 각각 30 % 이하로서 '독성없음'으로 판정되었으나, t검정을 이용한 독성 평가 결과에서는 총 12개(2016년 6개, 2017년 1개, 2018년 1개, 2019년 4개)의 저서성단각류 시료에서 대조구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저서성단각류의 독성원인 탐색을 위해 퇴적물 내 8종 중금속 함량(Cr, As, Ni, Cd, Cu, Pb, Zn, Hg)과 저서성단각류 상대평균생존율의 단순선형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Cr의 저서성단각류 독성 기여도가 가장 높았다(p=0.000, R2=0.355). 또한, 매년 독성영향이 가장 높은 정점(DB-85)의 시료에서 Cr이 여전히 가장 높은 농도로 검출되었으며, 해양환경기준을 매년 초과하였다. 해양폐기물공정시험기준의 생태독성판정 기준 적용 시 '독성없음'으로 평가되는 퇴적물 오염도가 대조구와의 통계적 유의성 검정, 독성원인확인 평가를 적용할 경우 독성영향을 수용 가능한 수준으로 판단하기 어려우므로 향후 종민감도분포곡선을 활용한 정량적 위해성 평가를 통한 준거치를 도출하여 생태독성 영향 판단 기준의 재설정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서해 중부 연안에 출현하는 쥐노래미(Hexagrammos otakii)의 성장과 계절에 따른 식성 변화 (Size-related and Temporal Dietary Variations of Hexagrammos otakii in the Mid-western Coast of Korea)

  • 최희찬;허성회;박주면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17-123
    • /
    • 2017
  • 본 연구는 서해 중부 연안에 출현하는 쥐노래미 (Hexagrammos otakii)의 위내용물 분석을 통하여, 위내용물 조성과 성장 및 계절별 식성변화를 분석하였다. 쥐노래미의 전장 (total length, TL)은 5.6 cm에서 32.4 cm의 범위였다. 쥐노래미는 단각류 (amphipods), 새우류 (carid shrimps), 어류 (teleosts)를 주로 섭식하였고, 그 외 다양한 저서 갑각류와 무척추동물을 소량 섭식하였다. 새우류와 어류는 미성어 (immature)와 성어 (mature)의 위내용물에서 공통적으로 우점하였다. 단각류와 갯지렁이류 (polychaetes)는 그 다음으로 우점하였는데, 단각류는 작은 크기의 어류에서, 갯지렁이류는 큰 크기의 어류에서 그 비율이 더 높았다. DISTLM (distance-based linear modelling) 결과, 쥐노래미의 위내용물은 전장, 계절, 수온에 따라 유의하게 변하였지만, 성숙도와는 관련이 없었다.

국내산 저서 단각류를 이용한 퇴적물 독성시험법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Sediment Toxicity Test Protocols using Korean Indigenous Marine Benthic Amphipods)

  • 이정석;이승민;박경수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3권2호
    • /
    • pp.147-155
    • /
    • 2008
  • 본 논문은 저서 단각류를 이용한 해양생태독성시험법 개발을 위하여 국내에 분포하는 후보종을 이용하여 수행된 일련의 생태독성시험결과를 제시하고, 이에 근거하여 퇴적물 독성시험을 위한 표준 시험종과 방법을 제시하였다. 퇴적물 독성평가를 위한 시험종으로는 저서단각류인 Mandibulophoxus mai, Monocorophium acherusicum 그리고 여러 국내산 단각류를 이용하였다. 시험법 개발 및 표준화를 위한 시험항목으로는 퇴적물 입도, 수온, 염분 및 암모니아에 대한 내성범위를 파악하기 위한 실험과 카드뮴과 같은 중금속이나 PAHs와 같은 유기오염물질에 대한 민감도를 파악하기 위한 실험이 포함되었다. 시험 결과 두 종 모두 여러 환경요인에 대한 적합한 내성과 민감도를 갖고 있어 퇴적물 시험종으로서 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이들 저서 단각류의 현장 적용성 평가를 위해서 다양한 오염도를 갖는 현장 퇴적물에서 10일간 노출한 이후 사망독성을 평가하고, 오염정도와 생물반응의 관계성 등을 분석하였다. 두 종을 비교한 결과, 민감도의 측면에서는 M. mai가, 시험생물 공급, 배양, 유지 및 실험수행의 편의성에서는 M. acherusicum이 상대적으로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두 종 모두 10일간의 퇴적물 사망 독성시험의 시험종으로서 충분한 적합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단각류를 이용한 퇴적물 공정시험법의 작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cute Toxicity of Heavy Metals, Tributyltin, Ammonia and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to Benthic Amphipod Grandidierella japonica

  • Lee, Jung-Suk;Lee, Kyu-Tae;Park, Gyung-Soo
    • Ocean Science Journal
    • /
    • 제40권2호
    • /
    • pp.61-66
    • /
    • 2005
  • Benthic amphipod, Grandidierella japonica widely inhabits the Korean coastal waters and is developed as a standard test species for sediment toxicity tests. We exposed G. japonica to various pollutants including 4 kinds of inorganic metals (Ag, Cd, Cu and Hg), tributyltin [TBT], ammonia and 7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 (PAH) compounds (acenaphthene, chrysene, fluoranthene, fluorene, naphthalene, phenanthrene and pyrene) to estimate the no observed effect concentration (NOEC) and the median lethal concentration (LC50) of each pollutant during the 96-hour acute exposure. Among all tested pollutants, TBT was most toxic to G. japonica, and Rg was most toxic among inorganic metals. The toxicity of pyrene to G. japonica was greatest among PAH compounds, followed by fluoranthene, phenanathrene, acenaphthene, fluorene and naphthalene. The toxicity of PAH compounds was closely related to their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such as $K_ow$ and water solubility. G. japonica responded adequately to pollutant concentrations and exposure durations, and the sensitivity of G. japonica to various inorganic and organic pollutants was generally comparable to other amphipods used as standard test species in ecotoxicological studies, indicating this species can be applied in the assessment of environments polluted by various harmful substances.

남해안 여자만의 저서 다모류 군집 분포 (Distribution of Benthic Polychaeta Community in Yoja Bay, Korea)

  • 김용현;신현출;임경훈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399-412
    • /
    • 2005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mposition and the distribution of the benthic polychaeta community in the semi-enclosed Yoja Bay o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and was designed to deduce temporal changes in the community with the comparison of the previous studies. In YoJa Bay, benthic polychaetous community structure was investigated on the base of the samples from 87 stations. The surface sediment was mainly composed of fine-grained sediment, mixed clayey silt and silty clay. The total benthic macrofaunal density was $387 indiv./m^2$, and the density was higher in the middle bay, and in the mouth of bay than in the inner bay. scapharca subcrenata (Bivalvia) and amphipods (Crustacea) were important species in the inner and the middle of the bar, respectively. Benthic polychaetes were comprised of 72 species with a mean density of $149 indiv./m^2$. Their distributions showed higher densities in the mouth of bay than in the rest of bay. The dominant species over 1.0 percentages were composed of the 20 species, and they occupied $84.5\%$ of the total density. The most dominant species was Sternaspis scutata ($13.6\%$), fallowed fly Heteromastus filiformis ($9.8\%$), Polynoidae indet. ($8.3\%$), Sigambra tentacuzata ($7.1\%$) and others. The cluster analysis revealed that the study area was divided into three station groups. At the station group YI located in the inner bay, the most dominant species was Heteromastus filiformis . At the station group YII in the middle bay, the dominant species was Sternaspis scutata. And at the station group YIII in the mouth of bay, the dominant species was Paraiacydonia paradoxa. Whereas Sternaspis scutata and Mediomastus sp. were the dominant species in the past study, Heteromastus filiformis and Tharyx sp. appeared newly to be the dominant species, even if their low densities that in the past. These facts mean that Yoja Bay be maintained yet as little polluted area compared to other bays on the coast of Korea, but needed some caution of marine environmental management.

황해 대청도 옥죽포의 외해로 노출된 모래갯벌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대상분포 (Zonation of the Exposed Sandy Beach Macrofauna in Okjukpo, Taechongdo, Korea)

  • 윤상필;홍재상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5권2호
    • /
    • pp.146-156
    • /
    • 2000
  • 황해 대청도 옥죽포의 모래갯벌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대상분포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1998년 6월 24일에 1개의 조사지선을 설정하여 10개의 정점에서 조사를 실시하였다. 퇴적물의 평균 입도 범위는 1.97${\sim}$2.23${\phi}$였으며, 유기물 함량은 0.52${\sim}$1.02% 사이의 값을 나타내었다. 조사 결과 총 25종의 저서동물이 채집되었으며, 채집된 저서동물의 총 개체수와 생체량은 각각 10,705개체, 89.13 gWWt였다. 본 연구 지역에서 가장 우점한 분류군은 미소갑각류에 속하는 단각류와 등각류였으며, 주요 우점종으로 Eohaustorius setulosus(33%), Excirolana chiltoni(26%), Haustorioides koreanus(12%), Platorchestia crassicornis(8%), Cycladicama cumingii(6%) 등이 출현하였다. 이들 주요 우점종들의 대상분포 양상은 Dahl(1952)과 Jo(1990)의 연구 결과와 매우 유사하였으며 다음과 같이 3층의 대상분포 양상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1) 상부의 Platorchestia crassicornis, (2) 중부의 Excirolana chiltoni, (3) 하부의 haustoriid - dogielinotid - urothoid - oedicerotid로 구성되는 단각류 군집.

  • PDF

오염된 퇴적물로부터 해양저서 단각류 Leptocheirus plumulosus의 은(Ag)축적에서 흡수경로의 상대적 기여도 평가 (Relative Influence of Sediments, Food and Dissolved Sources on Ag Bioaccumulation in the Amphipod Leptocheirus plumulosus)

  • 유훈;이인태;이병권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7권2호
    • /
    • pp.87-93
    • /
    • 2002
  • 해양퇴적물 오염평가에 널리 쓰이는 단각류 Leptocheirus plumulosus를 이용하여 오염된 퇴적물에서 Ag을 축적하는데 있어서 각 매질(퇴적물, 공극수, 먹이)의 상대적 기여도를 조사하였다. 또한 퇴적물 중 중금속의 생물 이용도와 독성을 조절하는 인자로 잘 알려진 황화물(AVS)이 공극수 중 용존 Ag 농도와 생물내 흡수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연안 퇴적물을 임의로 4개의 농도구배(0.1${\sim}$3.3 ${\mu}$mol Ag/g)로 오염시킨 후, AVS농도를 40 또는 <0.5 ${\mu}$mol/g로 조절하여 실험생물을 35일 동안 노출시켰다. 실험생물이 배양되는 동안 Ag으로 오염된 것과 오염되지 않은 $TetraMin^{(R)}$을 보조 먹이로 공급하여 생물 체내 Ag축적 농도 차이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L. plumulosus의 체내 Ag농도는 퇴적물 내 Ag의 농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갖고 증가하였다($r^{2}$=0.87, p<0.001). 퇴적물 중 AVS의 함량은 공극수 중 용존 Ag의 농도를 조절하는 중요한 인자로 확인되었으나, AVS 농도는 L. plumulosus의 Ag축적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았다. Ag으로 오염된 먹이가 제공된 L. plumulosus는 오염되지 않은 먹이가 제공된 L. plumulosus보다 최고 1.8배 정도 높게 Ag을 체내에 축적하였다. 즉, Ag으로 오염된 퇴적물에서 L. plumulosus의 Ag축적은 공극수나 해수 중의 용존 Ag의 흡수보다는 퇴적물이나 먹이의 섭식을 통한 흡수가 주요 노출경로라는것을 시사한다.

유해오염물질에 급성 노출된 단각류 Monocorophium acherusicum의 지연 사망률에 관한 연구 (Delayed Mortality of Benthic Amphipods Monocorophium acherusicum Exposed to Various Pollutants in Seawater(Cd, Cu, Hg, TBT, Ammonia and Phenanthrene))

  • 이정석;이규태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0권2호
    • /
    • pp.133-141
    • /
    • 2005
  • 다양한 유해오염물질에 급성 노출된 단각류 Monocorphium acherusicum의 노출 기간 이후에 발생하는 지연 사망(latent mortality)이 반수치사농도(LC5O)산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규명하기 위한 일련의 실험이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생물을 카드뮴, 구리, 수은과 같은 중금속, tributyltin(TBT), 암모니아 그리고 방향성탄화수소인 phenanthrene에 각각 96시간 동안 노출시킨 후 깨끗한 해수에 옮겨 다시 6일 동안 배양하면서 사망률을 조사하였다. 실험결과 구리, TBT, 암모니아, phenanthrene과 같은 물질에 노출된 M. acherusicum의 사망률은 노출이 끝난 이후에도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지연 사망이 관찰되었으며, 이에 따라 기존의 방법_으로 산출된 96-h LC50보다 지연 사망을 고려한 새로운 LC50이 크게 낮아지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지연사망률을 고려하지 않은 기존의 독성시험 결과는 지연 사망의 영향을 반영하지 못하므로 실제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염물질의 영향을 과소평가 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지연 사망률에 대한 고려는 실제 현장 개체군에 대한 유해오염물질의 영향을 보다 정화하게 예측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표영생물이 동중국해 주변 해역과 대한해협의 대형저서동물 군집에 미치는 영향 파악을 위한 선행 연구 (A Preliminary Study of the Effect of Pelagic Organisms on the Macrobenthic Community in the Adjacent East China Sea and Korea Strait)

  • 유옥환;백상규;이형곤;강창근;김동성;이재학;김웅서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0권3호
    • /
    • pp.303-312
    • /
    • 2008
  • Despite the impacts of the climate changes on the pelagic ecosystem, few studies have examined the pelagic-benthic coupling in the adjacent East China Sea and Korea Strait. Therefore, the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the macrobenthic community, as well as the potential food sources of benthic fauna were investigated in the present study using stable isotope analysis (${\delta}^{13}C\;and\;{\delta}^{15}N$) for suspended particulate organic matter (SPOM), sedimentary organic matter (SOM), phytoplankton, and zooplankton. A total of 157 macrobenthic fauna were collected, and the density of the macrobenthic fauna ranged from 4 to 434 ind./0.25 $m^2$, with an average density of 149 ind./0.25 $m^2$. The density of the benthic fauna increased moving from offshore shelf sites to coastal sites adjacent to the Korea Strait. Cluster analysis showed that the macrobenthic communities consisted of three distinct groups: group A in the Korea Strait, group B in the East China Sea, and group C near Ieodo. The dominant species in group A were the amphipods Photis japonica and Ampelisca miharaensis, followed by the polychaete Scolotoma longifolia. Environmental variables, such as the temperature of the seawater and sediment, and oxygen, and chlorophyll a levels, appeared to affect the structure of the community, suggesting the importance of coupling with the pelagic system. The ${\delta}^{13}C$ values of SPOM and zooplankton ranged from -22.97 to -23.5% and -19.92 to -21.86%, respectively, showing a relatively narrow range(<1%) between the two components.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lta}^{13}C$ values of SOM and pelagic organic matter was also within 1%, suggesting that the SOM originated from the pelagic system, which is an important factor controlling the macrobenthic commun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