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nsulfuron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19초

Quinclorac과 Bensulfuron-methyl의 혼합처리(混合處理)에서 벼의 생장(生長)에 대한 제초제간(除草劑間) 길항작용(拮抗作用) (Antagonistic Interaction between Quinclorac and Bensulfuron-methyl on Growth of the Rice Plants)

  • 권오연;권용웅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88-294
    • /
    • 1997
  • 본(本) 연구(硏究)는 논 제초제(除草劑)로서 근래(近來)에 합제화(合劑化)된 bensulfuron-methyl과 quinclorac, 두 제초제(除草劑) 성분(成分)이 약해면(藥害面)에서 벼의 생장(生長)에 미치는 상호작용효과(相互作用效果)를 밝히고자 수행하였다. Quinclorac은 0, 300, 600, 900g ai/ha수준, bensulfuron-methyl은 0, 25, 50, 100g ai/ha수준에서 조합(組合) 처리(處理) 하였으며, 벼는 추청벼 10, 35, 55일묘(日苗)를 공시(供試)하고 온실, 생장상 및 포장에서 실험하였다. 제초제간(除草劑間)의 상호작용성(相互作用性)은 Chisaka 및 Colby의 성적분석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벼 총건물중(總乾物重)을 10% 감소(減少)시키는 약량(藥量)은 quinclorac 단제처리의 경우 aj/ha, 유묘기(幼苗期)(파종후 20일 : 3.5엽기)에는 584.8g ai/ha, 분얼기(分蘖期)(파종후 65일 : 7엽기)에는 517.7g ai/ha로 벼의 생육기(生育期)에 따른 차이가 작았으나 bensulfuron-methyl 단제처리의 경우에는 유묘기에는 43.2g ai/ha, 분얼기에는 84.2g ai/ha으로 벼의 생육기에 따라 약제에 대한 내성(耐性)이 크게 달랐다. 2. Quinclorac과 bensulfuron-methyl을 벼의 유묘기(幼苗期)와 분얼기(分蘖期)에 혼합처리(混合處理)하였을 경우 총(總) 건물중(乾物重)을 10% 감소시키는 등(等) 효과선(效果線)을 얻은결과 상호작용지수(相互作用指數)(antagonism index)는 -0.63 과 -0.67로서 길항작용효과(拮抗作用效果)가 인정되었으며, quinclorac과 bensulfuron-methyl간에 최대의 길항효과(拮抗效果)를 나타낸 혼합비율(混合比率)은 유묘기에는 796.3 : 100g ai/ha, 분얼기에는 760.3 : 100g ai/ha로서 유묘기에 길항효과가 컸다. 3. 지상부(地上部) 생장에 대한 길항작용효과(拮抗作用效果)에 있어서 유묘기에는 지상부(地上部) 건물중(乾物重) 감소(減少)가 quinclorac 600g ai/ha에 bensu1furon-methyl 100g ai/ha를 혼합처리(混合處理)한 구에서 quinclorac 600g a.i/ha과 bensulfuron-methyl 100g a.i/ha의 각 단제처리 구보다 작았으며, 상호작용지수(相互作用指數)(antagonism index)는 -0.79이었다. 분얼기(分蘖期)때는 quinclorac 600g ai/ha에 bensu1furon-methyl 25g ai/ha를 혼합처리한 구가 무처리구(無處理區)에 비해 지상부 건물중이 증가되었으며, 상호작용지수(antagonism index)는 -1.33 이었다. 4. Quinclorac의 auxin적 활성(活性)에 의해 발생되는 통엽(筒葉)은 유묘기(幼苗期)처리시에는 quinclorac 600g ai/ha단제 처리구에서 개체당 평균 0.22개의 분얼(分蘖)(1.87%) 에서 발생하였으며, quinclorac 900g a.i/ha의 단제처리구에서는 개체당 5.44개의 분얼(分蘖)(47.10%)에서 발생하였다. 또한 분얼기(分蘖期) 처리시에 는 quinclorac 900g ai/ha의 단제처리구에서 개체당 평균 0.22개의 분얼(2.2%)에서 통엽(筒葉)이 발생하였다. 5. Quinclorac과 bensulfuron-methyl을 혼합처리(混合處理)하였을 때는 bensulfuron-methyl의 처리량(處理量)이 증가(增加)할수록 통엽(筒葉)발생이 급격히 감소(減少)하여 유묘기에 quinclorac 600g ai/ha과 bensulfuronmethyl 100g ai/ha를 혼합처리한 구에서는 통엽발생(筒葉發生)이 없었으며, quinclorac 900g a.i/ha과 bensulfuron-methyl 100g a.i/ha을 혼합처리한 구에서는 개체당 1.78개의 분얼(18.45%)에서만 통엽(筒葉)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분얼기 에서는 길항효과(拮抗效果)가 잎의 발육면(發育面)에서도 충분히 나타나 모든 혼합처리에서 통엽(筒葉)이 발생되지 않았다. 6. 약제처리효과(藥劑處理效果)의 온도반응(溫度反應)에서는 quinclorac 600g ai/ha 단제처리구(單劑處理區)에서는 온도(溫度)가 낮을수록, bensulfuron-methyl 102g aijha 단제처리구에서는 온도(溫度)가 높을수록 총(總) 건물중(乾物重) 감소(減少)가 심해졌으며, 이들의 혼합처리(混合處理區)에 있어서는 온도(溫度)가 낮을수록 총(總) 건물중(乾物重) 감소(減少)가 작아졌다. 또한 quinclorac 600g a.i/ha과 bensulfron-methyl 102g a.i/ha을 혼합처리하였을 때 저온조건(低溫條件)에서의 quinclorac 600g ai/ha 단제처리나, 고온조건(高溫條件)에서 bensulfuron-methyl 102g ai/ha 단제처리보다 총(總) 건물중(乾物重) 감소(減少)가 적었다. 온도(溫度)에 따른 상호작용성(相互作用性) 변화(變化)는 총(總) 건물중(乾物重)의 실측치(實測値)와 기대치(期待値)의 차이가 저온조건(低溫條件)에서 -32.44, 적온조건(適溫條件)에서 -21.92, 고온조건(高溫條件)에서 -21.53으로서 온도(溫度)가 낮아질수록 길항효과(括抗效果)가 컸다.

  • PDF

올방개 괴경(塊莖)의 맹아(萌芽)와 재생후(再生後) 생육(生育)에 미치는 Bensulfuron-methyl 의 영향(影響) (Effect of Bensulfuron-methyl on Bud Sprout and Regrowth from Growth Cessation in Eleocharis kuroguwai)

  • 신현승;전재철;이철규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7
    • /
    • 1992
  • 올방개의 괴경(塊莖)의 아간(芽間), 재생(再生)및 재생후(再生後) 생육(生育)에 미치는 bensulfuron-methy1의 영향(影響)을 검토(檢討)하였다. 1. Bensulfuron-methyl 무처리구(無處理區)에서는 정아(頂芽)만이 맹아(萌芽)한 반면(反面), 처리구(處理區)에서는 측아(側芽)의 맹아(萌芽)가 유기(誘起)되이 정아(頂芽)의 생육(生育) 억제(抑制) 기간중(期間中) 2-3개(個)의 측아(側芽)가 맹아(萌芽)되었다. 2. Bensulfuron-methyl 처리(處理)로 출아시(出芽時) 엽신(葉身)의 갈변(褐變) 고사(枯死)를 나타내었지만, 그 후(後) 생육(生育) 억제(抑制) 기간중(期間中)에 정아(頂芽) 및 측아(側芽)는 생물학적(生物學的) 활성(活性)을 나타내었다. 3. 올방개는 생육(生育) 억제(抑制) 기간중(期間中)에도 최소한(最小限)의 호흡(呼吸)을 하고 있었으나, 재생전후(再生前後)에 호흡량(呼吸量)이 급속도(急速度)로 증가(增加)되었는데, 증가(增加) 정도(程度)는 정아(頂芽)에서 보다 측아(側芽)에서 높았다. 4. 제초제(除草劑) 처리후(處理後) 재생(再生) 일수(日數)는 51 g a.i/ha 처리구(處理區)에서 정아(頂芽)에서 35일(日)이 소요(所要)된 반면(反面), 제(第) 1 측아(測芽)와 제(第) 2 측아(側芽)는 각각(各各) 29 일(日)과 28 일(日)이 소요(所要)되었다. 5. 생육(生育) 억제후(抑制後) 신경(新莖) 형성수(形成數)는 정아(頂芽)에서 보다 측아(側芽)에서 2-3배(倍) 더 많았으며, 재생후(再生後) 생장(生長) 속도(速度)도 측아(測芽)의 경우가 빨랐다.

  • PDF

제초제(除草劑) Bensulfuron methyl(DPX-F5384)의 작용특성(作用特性)에 관한 연구(硏究)- 제1보(第1報) 기계이앙답(機械移秧畓)에서의 약해(藥害) 및 약효(藥效) 변동요인(變動要因) (Studies on the Herbicidal Properties of Bensulfuron methyl(DPX-F5384) -1. Variation of Phytotoxicity and Weeding Effect Caused by Herbicide Treatment in Mechanically Transplanted Paddy Field)

  • 양환승;장익선;마상용;정수현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34-145
    • /
    • 1986
  • 신규(新規) 제초제(除草劑) bensulfuron methyl(DPX-F5384)의 약해(藥害) 및 제초효과(除草效果) 변동요인(變動要因)을 구명(究明)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이앙묘(移秧苗)(3.5 엽묘(葉苗), 삼강(三綱)벼)에 대하여 bensulfuron methyl 3~6g a.i./10a의 처리약량수준(處理藥量水準)에서는 대체로 안전(安全)하고 그 이상(以上)으로 약량(藥量)이 증가(增加)되면서 약해(藥害)는 약간식(若干式) 증대(增大)되었으나, 12g q.i./10a 처리(處理)에서도 그 약해(藥害)는 경미(輕微)하였다. 처리시기(處理時期), 누수량(漏水量), 온도(溫度), 이앙심도(移秧深度), 토양특성(土壤特性)의 차이(差異)에 따른 약해변동(藥害變動)은 거의 없었다. 품종간(品種間)에는 인도형(印度型) ${\times}$ 일본형(日本型)(삼강(三綱)벼) 벼보다 일본형(日本型)(동진벼) 벼에서 약해(藥害)가 다소(多少) 증대(增大)되었다. 2. Bensulfuron methyl은 일년생잡초(一年生雜草) 대부분(大部分)과 다년생잡초(多年生雜草) 중(中) 너도방동사니, 가래에 대해서는 탁월한 방제효과(防除效果)가 있고 올미, 벗풀, 올방개에 대해서도 그 효과(效果)가 우수(優秀)하였다. 일년생잡초중(一年生雜草中) 피해 대해서는 만족(滿足)스런 효과(效果)를 기대(期待)할 수 없었다. 본제(本劑)의 최적처리시기(最適處理時期)는 이식(移植) 5일후처리(日後處理)고 생각되지만 그보다 처리시기(處理時期)가 다소(多少) 빠르거나 늦어져도(3-10DAT) 효과(效果)의 변동(變動)은 적었다. 또한 토양(土壤)의 특성차이(特性差異)에 따른 효과변동(效果變動)도 크지 아니하였다. 그러나 누수량(漏水量)이 증가(增加)될 때와 온도(溫度)가 낮을 때 초종(草種)에 따라서는 효과(效果)가 약간(若干) 감소(減少)되었다.

  • PDF

Bensulfuron-methyl에 대(對한) 올방개 괴경(塊莖) 이식(移植) 심도별(深度別) 감수성(感受性) 차이(差異) (Difference in sensitivity of Eleocharis kuroguwai tubers to bensulfuron-methyl at different burial depths)

  • 신현승;전재철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55-61
    • /
    • 1993
  • 올방개 괴경(塊莖)의 이식(移植) 심도별(深度別) bensulfuron-methyl에 대(對)한 감수성(感受性) 차이(差異)를 밝히기 위하여 이식(移植) 심도별(深度別) 출아(出芽), 측아발생(側芽發生), 괴경(塊莖)의 탄수화물(炭水化物) 소장(消長), 재생(再生) 후(後) 생육(生育) 및 괴경(塊莖) 형성(形成)을 검토(檢討)하였다. 괴경(塊莖) 이식(移植) 심도(深度)가 얕을수록 bensulfuron-methyl 처리(處理) 후(後) 재생일수(再生日數)가 짧았다. 출아시(出芽時) 괴경(塊莖)의 탄수화물(炭水化物) 함량(含量)은 이식(移植) 토심(土深)이 얕을수록 소비(消費)가 적었다. 생육억제(生育抑制)로 부터 재생(再生) 후(後) 초기(初期) 생육(生育)은 천토층(淺土層)의 괴경(塊莖)일수록 왕성(旺盛)하였으며, 생육억제(生育抑制) 기간(期間) 동안 천토층(淺土層)의 괴경(塊莖)일수록 측아발생(側芽發生)이 많았다. 생육(生育) 억제(抑制)로 부터 재생(再生) 후(後) 생육속도(生育速度)는 천토층(淺土層)의 괴경(塊莖)에서 빨라서, 생육(生育) 후(後) 건물(乾物) 생산량(生産量)과 신생괴경(新生塊莖)의 형성수(形成數)가 천토층(淺土層)에 이식(移植)한 올방개에서 모두 많았다. 이상(以上)의 괴경(塊莖)의 발생(發生) 생태적(生態的) 특성(持性) 차이(差異)는 bensulfuron-methyl에 의한 영향(影響)보다는 토심(土深)의 영향(影響)이 더욱 컸다.

  • PDF

제초제(除草劑) bensulfuron과 imazaquin에 대한 1, 8-naphthalic anhydride(NA)의 옥수수와 콩에 대한 약해경감작용기구(藥害輕減作用機構) (Safening Mode of Action of 1, 8-Naphthalic Anhydride on Corn and Soybean Against Herbicide Bensulfuron and Imazaquin)

  • 황인택;최정섭;김진석;조광연;전재철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8-15
    • /
    • 1994
  • 1. NA의 bensulfuron 및 imazaquino에 대한 약해경감효과(藥害輕減效果)는 옥수수에 대해서 약해경감효과지수(藥害輕減效果指數)가 각각 10.2, 5.0이였으나, 콩에 대해서는 두 약제(藥劑) 모두 약해경감효과지수(藥害輕減效果指數)가 1.3 정도(程度)로서 미약(微弱)한 효과(效果)를 보여 주었다. 2. 옥수수와 콩에 있어서 NA 처리시(處理時) 내생(內生) GST가 각가(各各) 1.8배(倍), 1.3배(倍) 증가(增加) 되었으나, 증가(增加)된 GST가 관여(關與)하는 GSH-CDNB conjugation 반응(反應)에 대한 bensulfuron 및 imazaquin의 억제활성(柳制活性)은 나타나지 않았다. 3. NA 처리시(處理時) 옥수수에서만 ALS가 증가(增加)되었고, 유출(抽出)된 ALS에 대한 bensulfuron 및 imazaquin의 억제활성(抑制活性)은 낮은 농도(濃度)에서는 차이(差異)를 보였으나, 높은 농도(濃度)에서는 NA처리(處理) 유무에 관계(關係)없이 동일(同一)한, 경향(傾向)이었다. 콩에서는 ALS의 증가(增加)도 없었고, 두 약제(藥劑)의 억제활성(抑制活性)도 NA 처리(處理)에 관계(關係)없이 동일(同一)하였다. 4. NA 처리시(處理時) 옥수수에서는 ACCase가 3.2배(倍) 증가(曾加)되었으나, 콩에서는 거의 증가(增加)가 없었고, 효소작용(酵素作用)에 대한 두 제초제(除草劑)의 영향(影響)은 아주 미약(微弱)하였다.

  • PDF

벼 재배 microecosystem 내에서 제초제 bensulfuron-methyl의 행적 (Fate of the herbicide bensulfuron-methyl in a soil/rice plant microecosystem)

  • 이재구;;권정욱;안기창;박주형;이용필
    • 농약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99-308
    • /
    • 2004
  • 토양/벼 microecosystem내에서 sulfonylurea계 제초제 bensulfuron-methyl의 행적을 구명하기 위하여 [Phenyl-$^{14}C$]bensulfuron-methyl의 신생(fresh) 잔류물과 13주간 숙성된 숙성(aged) 잔류물을 처리한 2종의 상이한 논토양을 stainless steel pot (내경, 17 cm $\times$ 높이 10 cm)에 담고 벼 (Oryza sativa L.)를 12주간 재배 하였다. 토양 A(유기물 함량, 3.59%; 양이온 치환용량, 7.65 $cmol^+\;kg^{-1}$; 토성, 사질 식양토)와 토양 B(유기물 함량, 1.62%; 양이온 치환용량, 4.51 $cmol^+\;kg^{-1}$; 토성, 사양토)에서 $[^{14}C]$bensulfuron-methyl이 13주간의 숙성 기간동안 $^{14}CO_2$로 무기화된 량은 최초 처리량의 각각 6.79와 10.15% 이었다. 신생 잔류물을 함유한 토양으로부터 방출된 $^{14}CO_2$량은 숙성 잔류물을 처리한 토양으로부터 방출된 량보다 많았다. 12주간 벼를 재배하고 수확하였을 때 신생 잔류물을 함유한 토양 A와 B로부터 벼가 흡수 이행한 $^{14}C$량은 각각 최초 처리량의 1.53과 4.40%이었고 숙성 잔류물을 함유한 토양 A와 B로부터 흡수 이행한 양은 최초 처리량의 4.04와 6.37% 이었다. 숙성과 토성에 관계없이 토양에 잔류하고 있는 $^{14}C$량은 최초처리량의 $80.41\sim98.87%$ 이었다. 유기 용매로는 토양에 잔류하는 $^{14}C$ 방사능의 $39.25\sim70.39%$를 추출할 수 있었고 bensulfuron-methyl의 추출불가 토양 흡착 잔류물의 대부분은 fulvic acid 부분에 혼입되어 있었다 $(61.32\sim76.45%)$. 벼 재배 유무에 따른 미생물 활성을 비교한 결과 벼 재배시 두 토양에서 모두 미생물 활성이 벼를 재배하지 않은 경우의 $1.6\sim3.0$ 배 이었으나 $^{14}CO_2$ 발생량과는 반드시 일치하지 않았다.

Oxyfluorfen 및 Bensulfuron-Methyl 내성수도품종의 광합성 및 호흡저해 반응 (Differential Response in Photosynthesis and Respiration of Rice Cultivars as Affected by Oxyfluorfen and Bensulfuron-methyl)

  • 구자옥;이영만;김영진;이도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70-374
    • /
    • 1988
  • Clark type의 산소전극장치를 이용하여 기 선발된 oxyfluorfen 및 bensulfuron-methyl 에의 내성 및, 감수성 수도품종에 대한 광합성 및 호흡반응차이를 비교한 목적으로 본 시험이 수행되었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Oxyfluorfen 농도증가로 $O_2$ 발생율은 저하하는 반면에 호흡율은 상승하였다. 벼 풍종간에는 $10^{-3}$M에서 감수성이었던 Mushakdanti 의 광합성율이 무처리의 43%까지 떨어졌으나 내성이었던 Aichiasahi 는 56%까지로서 상대적으로 덜 떨어졌으며 호흡에서의 품종차이는 거의 없었다. Bensulfuron-methyl 농도증가에 따라서 $O_2$ 발생율은 저하(감수성인 IR 1846은 광합성에서 무처리의 55%까지, 내성인 Chinsurah Boro II 는 77%까지만 저하) 하였고 호흡율은 상승(품종간에 140~149% 내외의 차이)하는 양상으로서 역시 내성품종이 광합성에서 덜 떨어지는 반면 호흡에선 품종간 차이가 인정되지 않는 경향이있다.

  • PDF

토양중(土壤中)에 있어서 신규(新規) 제초제(除草劑) Bensulfuron methyl (DPX-F5384) 의 행동(行動) (Behavior of New Heribicide Bensulfuron methyl (DPX-F5384) in Soil)

  • 장익선;문영희;양환승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74-77
    • /
    • 1987
  • 토양중(土壤中)에 있어서 bensulfuron methyl의 이동(移動), 분해(分解)~불활성화(不活性化)를 물달개비를 검정식물(檢定植物)로 하여 실험(實驗)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Bensulfuron methy1은 식양토(植壤土)에서 3cm까지 사양토(砂壤土)에서 4cm까지 이동(移動)하였으며 식양토(埴壤土)에서는 0~2cm층(層)에 농밀(濃密)한 처리층(處理層)을 형성(形成)하였고 사양토(砂壤土)에서는 0~3 cm층(層)에 농밀(濃密)한 처리층(處理層)을 형성(形成)하였다. 토양중(土壤中) 분해(分解)~불활성화(不活性化)는 토양특성(土壤特性)에 따라 약간의 차이(差異)가 있고 잔효반감기(殘効半減期)($GR_{50}$)는 식양토(埴壤土)에서 87일(日), 사질식양토(砂質埴壤土)에서 78일(日)이었으며 완전불활성화(完全不活性化) 기간(期間)은 토양토(土壤土)에서 110일(일), 사질식양토(砂質埴壤土)에서 100일(日)로 매우 긴 제초제(除草劑)였다.

  • PDF

Bensulfuron에 대(對)한 내성(耐性) 및 감수성(感受性) 수도품종(水稻品種)의 전기영동(電氣泳動) 표현형(表現型) 차이(差異) (Difference in Electrophoretic Phenotypes of rice Cultivars Selected to Bensulfuron)

  • 국용인;구자옥;김영주;이도진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50-257
    • /
    • 1988
  • Bensulfuron에 대표적인 내성군(耐性群)(UCP-28, Chinsurah Boro II, Fukunohama, Fadehpur-2, IR 14252-13-2-2-5)과 감수성품종군(感受性品種群)(HP93(3) FA, HP94(9) FA, Padilabou Alumbis. KH-17854, IR 1846-2841-1)을 공시(供試)하여 종실(種實) 단백질(蛋白質)(SDS-PAGE)과 유묘(幼苗) 동위효소(同位酵素)(malate dehydrogenase, acid phosphatase, peroxidase, esterase: 7% PAGE)의 전기영동(電氣泳動) profile을 분석(分析)하고, bensulfuron 0, $10^{-6}$, $10^{-5}$, $3{\times}10^{-5}M$ 용액에서 생장(生長)한 두 대표 품종(品種)(cv. Chinsurah Boro II와 cv. IR 1846)의 5 일령(日齡) 유묘(幼苗)의 동위효소(同位酵素) profile 변화양상(變化樣相)을 비교(比較)하므로써, bensulfuron에의 내성차이(耐性差異)와 이들 전기영동(電氣泳動) profile 차이(差異)가 갖는 연관성(聯關性)을 알고저 하였다.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종실단백(種實蛋白)의 전기영동(電氣泳動)으로 16개(個) band를 확인(確認)할 수 있었고, 이를 근거(根據)로 clustering한 결과(結果), 내성(耐性)에서의 M, O, P band가 높게 나타났고 또한 전체 peak 면적(面積)이 크다는 특이성(特異性)에 기인(起因)하여 두 품종군간(品種群間)에 비유사성(非類似性)이 인정(認定)되는 정도(程度)로 분류(分類)되었다. 2. 무처리(無處理)된 유묘(幼苗)의 동위효소(同位酵素) 가운데, peroxidase로는 4개(個) band가 얻어졌고, 내성군(耐性群)의 특이성(特異性)은 D band에서의 활성(活性)이 높은 데 있었다. Malate dehydrogenase는 3개(個) band로 분리(分離)되었고, 내성군(耐性群)만이 A band를 나타내며 B 및 C band도 내성군(耐性群)에서 선명하였다. Esterase는 3~4개(個) band로 구분(區分)되었고 내성군(耐性群)이 A 및 B band에서 높은 활성(活性)을 보였다. Acid phosphatase는 하나의 major band와 2~3개(個)의 minor band로 나타났으며 내성군(耐性群)만은 B band를 갖는 경향(傾向)이었다. 3. Bensulfuron의 처리농도(處理濃度)에 따라, 동위효소(同位酵素) 가운데 peroxidase는 감수성(感受性)에서만 C band의 생성(生成)과 D band의 소실현상(消失現象)이 야기(惹起)되었고, 내성품종(耐性品種)에서는 C band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다른 band에서의 변화(變化)도 없었다. Malate dehyrogenase의 경우, major band인 D, E, F는 감수성(感受性)에서 활성(活性)이 컸고 변화(變化)는 없었으며, minor band인 A, B, C는 감수성(感受性)에서만 민감(敏感)하게 소실(消失)되었다. Esterase는 5개(個) band로 표현(表現)되었으며 내성(耐性)에서는 A, B, C, D 감수성(感受性)에서는 A, B, C, E만 나타났으며, 약처리농도증가(藥處理濃度增加)로 감수성품종(感受性品種)은 A, C, E band의 활성(活性)이 민감(敏感)하게 소실(消失)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