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nsulfuron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5초

수도(水稻)와 너도방동사니에서 Bensulfuron의 흡수(吸收), 이행(移行) 및 대사(代謝) (Absorption, Translocation and Metabolism of Bensulfuron in Rice and Cyperus serotinus Rottb.)

  • 권채순;변종영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75-80
    • /
    • 1993
  • 수도(水稻)와 너도방동사니간의 Bensulfuron 선택성(選擇性) 기작(機作)을 밝히고자 $^{14}C$-bensulfuron을 공시(供試)하여 식물체(植物體)간 Bensulfuron의 흡수(吸收), 移行(이행) 및 대사(代謝)를 연구(硏究)하였다. 1. Bensulfuron 흡수량(吸收量)은 줄기보다 뿌리에서 월등히 많았으며 너도방동사니보다 수도(水稻)에서 현저하게 높았다. 2. 뿌리로 부터 줄기로의 Bensulfuron 이행속도(移行速度)는 수도(水稻)보다 너도방동사니에서 빨랐으며 이행량(移行量)도 많았다. 3. Bensulfuron의 대사속도(代謝速度)는 수도(水稻)에서는 현저하게 빨랐으나 너도방동사니에서는 매우 느린 경향이었다. 4. 따라서 수도(水稻)의 내성(耐性)은 빠른 대사속도(代謝速度)에 주로 기인(基因)하며 부분적으로 느린 이행속도(移行速度)와도 관련이 있으며 너도방동사니의 감수성(感受性)은 느린 대사속도(代謝速度)와 빠른 이행속도(移行速度)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사료(思料)되었다.

  • PDF

Bensulfuron-methyl 혼합(混合) 액상수화제(液狀水和劑)의 사용법(使用法) 개발(開發) 연구(硏究)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weed Control Method for Paddy Rice by Bensulfuron-methyl Combination Suspension Concentrate)

  • 류갑희;박재읍;이인용;이한규;이정운;박영선;신현승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8-33
    • /
    • 1994
  • 본(本) 실헌(實驗)은 pyributicarb/bensulfuron-methyl과 oxadiazon/bensulfuron-methyl 액상수화제(液狀水和劑)의 제초효과(除草效果)를 검토(檢討)하고 사용(使用) 기술(技術) 개발(開發)을 자연(目的)으로 수행(遂行)하였다. 1. Pyributicarb/bensulfuron-methyl과 oxadiazon/bensulfuron-methyl 액상수화제(液狀水和劑)의 제초효과(除草效果)는 입제(粒劑)와 유사(類似)하였다. 2. Pyributicarb/bensulfuron-methyl과 oxadiazon/bensulfuron-methyl 액상수화제(液狀水和劑)의 확산(擴散) 거잡(距雜)는 6m 이상(以上)이었다. 3. Pyributicarb/bensulfuron-methyl 액상수화제(波狀水和劑)를 관수시(灌水時) 물꼬처리(處理)와 담수(湛水) 후(後) 논뚝처리(處理)한 후(後) 제초효과(除草效果)는 90% 이상(以上)이었다. 4. Pyributicarb/bensulfuron-methyl 액상수화제(波狀水和劑)의 침강속도(沈降速度)는 1시간(時間)에 1-2cm 정도(程度)였다. 5. Pyributicarb/bensulfuron-methyl 액상수화제(波狀水和劑)의 담수심별(湛水深別) 제초효과(除草效果)는 담수심(湛水深) 0-1cm에서 보다 6-7cm에서 더 높았다.

  • PDF

벼에 있어서 bensulfuron-methyl의 흡수(吸收) 이행(移行)에 미치는 무기영양분(無機營養分)과 혼합제초제(混合除草劑)의 영향(影響) (Effect of Mineral Nutrients and Mixed Herbicides on the Absorption and Translocation of Bensulfuron-methyl in Rice)

  • 전재철;한강완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60-65
    • /
    • 1994
  • 벼에 있어서 bensulfuron-methyl의 흡수 이행에 미치는 무기영양성분 및 혼합제초제의 영향을 수경 액상에서 $^{14}C$-제초제(除草劑)로 조사하였다. 뿌리에 의한 $^{14}C-bensulfuron-methyl$의 흡수(吸收)는 처리농도(處理濃度)의 증가에 따라 감소되었지만, 농도 증가가 줄기로의 이행(移行)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14}C-bensulfuron-methyl$의 총흡수양(總吸收量)은 흡수(吸收) 12시간 및 48시간 사이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던 반면에, 줄기로의 이행(移行)은 흡수시간(吸收時間)이 길수록 증가되었다. $^{14}C-bensulfuron-methyl$의 흡수(吸收) 이행(移行)은 혼합제초제(混合除草劑) butachlor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지만, quinclorac이 고농도(高濃度)로 혼합될 때 $^{14}C-bensulfuron-methyl$의 흡수 이행이 감소되었다. 무기성분의 결핍(缺乏) 및 과량공급(過量供給)은 $^{14}C-bensulfuron-methyl$의 흡수를 저해(沮害)하였다. $^{14}C-bensulfuron-methyl$의 흡수 이행은 질소(窒素)의 결핍 및 황(黃)이 과량 공급될 때 가장 심하게 감소되고 지연되었다.

  • PDF

벼와 잡초에서 온도조건(溫度條件)에 따른 Bensulfuron의 흡수(吸收), 이행(移行) 및 대사(代謝) (Absorption, Translocation and Metabolism of Bensulfuron in Rice and Weeds at Different Temperatures)

  • 강태구;변종영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21-328
    • /
    • 1995
  • 온도조건에 따른 벼의 품종별 bensulfuron의 약해기구(藥害機構) 및 잡초에 대한 살초성(殺草性)을 구명하고자 $^{14}C$-bensulfuron을 사용하여 흡수(吸收), 이행(移行) 및 대사실험(代謝實險)을 수행하였다. 1. $^{14}C$-bensulfuron 흡수실험에서 품종간 벼의 흡수량(吸收量)은 삼강벼보다 상풍벼에서 많았으며 전반적으로 25/$20^{\circ}C$ 보다는 30/$25^{\circ}C$에서 흡수량이 많았다. 잡초의 흡수량은 올미, 너도방동사니, 피 순으로 많아 올미와 너도방동사니에서 살초력이 높은 것으로 생각되고 온도간에 $^{14}C$-bensulfuron의 흡수량은 차이가 적었다. 2. 이행율(移行率)은 벼의 경우 품종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상풍벼에서 높았으며 25/$20^{\circ}C$ 보다 30/$25^{\circ}C$에서 더 높은 경향이었다. 잡초는 너도방동사니, 올미, 피 순으로 이행율이 높았으며 3초종 모두 30/$25^{\circ}C$에서 이행율이 높았다. 따라서 피에서는 이행량이 낮았기 때문에 내성을 보였고, 올미와 너도방동사니는 이행량이 높아 감수성을 나타낸 것으로 생각된다. 3. $^{14}C$-bensulfuron의 대사실험에서 식물체내에 남아있는 친화합물(親化合物)인 bensulfuron은 감수성인 상풍벼가 삼강벼보다 높았으며 잡초에서는 25/$20^{\circ}C$에서 내성을 보인 피가 가장 적었으며 올미와 너도방동사니는 높았으며 30/$25^{\circ}C$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따라서 벼 품종간의 선택성 차이는 식물체가 가지고 있는 불활성 대사능력의 차이에 의한 것이라 생각되며 잡초에서의 살초성 작용기작은 bensulfuron 흡수량과 이행율이 관계된다고 생각되며 온도의 상승은 흡수 및 이행량을 증대시킴으로써 약해(藥害)와 살초력(殺草力)을 증가시켰다고 사료된다.

  • PDF

직파(直播)벼의 제초제(除草劑) 약해(藥害) 요인(要因)과 회복(回復)에 관한 연구(硏究) - I. 약해(藥害)의 변동(變動) 요인(要因) (Factors and Recovery of Herbicide Phytotoxicity on Direct - seeded Rice - I. Variation Factors of Phytotoxicity)

  • 임일빈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92-300
    • /
    • 1996
  • 벼 담수직파시 제초제에 의한 약해의 원인을 구명하고자 온도, 용액의 pH, 수심, 토성 및 영양(營養)의 유무(有無) 등의 조건하에서 실험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Bensulfuron methyl 및 pyrazosulfuron-ethyl 처리는 20/$11^{\circ}C$에서 30/22$^{\circ}C$에서보다 벼 생육 억제 정도가 컸으며, 특히 근부(根部)에서 현저히 컸다. Dimepiperate 및 molinate 처리는 저온 (20/$11^{\circ}C$) 고온(30/$22^{\circ}C$) 에서 생육억제 정도가 컸으며 경엽부(莖葉部)에서 현저하였다. 2. 무영양(無營養) 조건에서는 bensulfuron methyl 처리에서, 영양(營養)조건 에서는 pyrazosulfuron-ethyl의 처리에서 생육 억제 정도가 컸다. 3. pH3.5, 5.5, 7.5 및 9.5 용액에 bensulfuron methyl 및 pyrazosulfuron-ethyl 처리시 벼 생육은 pH3.5 및 5.5의 낮은 pH에서 저조하였으며, 무처리 대비한 생육 억제정도는 bensulfuron methyl 처리는 pH5.5 및 7.5에서 pyrazosulfuron-ethyl 처리는 pH7.5 및 pH9.5에서 낮았다. 4. 수심 6cm의 심수조건에 bensulfuron methyl 및 pyrazosulfuron-ethyl 처리시는 근부(根部)의 생육이, dimepiperate 및 molinate의 처리는 경엽부(莖葉部)의 생육이 크게 억제되었으며, 특히 dimepiperate처리는 90% 정도 억제되었다. 또한 pyrazosulfuron-ethyl+molinate의 처리에서 bensulfuron methyl+dimepiperate 처리보다 경엽부(莖葉部)의 억제정도가 컸다. 5. Pyrazosulfuron-ethyl 처리는 무비구는 식양토에서, 시비구는 사양토에서 생육저해 정도가 컸으며, bensulfuron methyl 처리는 사양토에서 생육이 저조한 경향이었다.

  • PDF

직파(直播) 벼의 제초제(除草劑) 약해(藥害) 요인(要因)과 회복(回復) 연구(硏究) - 3. 비료 3요소에 따른 약해 발생 특성 (Factors and Recovery of Herbicide Phytotoxicity on Direct - seeded Rice - 3. Phytotoxicity of Herbicide by Three Elements of Fertilizer)

  • 임일빈;;조수연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0-27
    • /
    • 1998
  • 직파 벼에서 몇가지 제초제의 약해에 대한 비료 3요소의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일반계 품종인 동진벼(Oryza sativa L. japonica cv dongjin)를 공시하여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비료 3요소와 각 요소 혼합용액에서 제초제 처리에 의한 벼의 생육 억제 반응은 질소 및 질소 + 칼리 용액에서는 pyrazosulfuron-ethyl 과 pyrazosulfuron-ethyl+molinate처리에서 bensulfuron methyl과 bensulfuron methyl+dimepiperate처리에서보다 전체적으로 경엽 및 근부의 생육 억제 정도가 컸다. 인산 및 인산+칼리용액에서는 bensulfuron methyl 및 bensulfuron methyl+dimepiperate처리에서 pyrazosulfuron-ethyl 및 pyrazosulfuron-ethyl+molinate처리보다 생육의 억제정도가 큰 편이었다. 또한 질소+인산 및 질소+인산+칼리용액에서는 경엽부는 pyrazosulfuron-ethyl 및 pyrazosulfuron-ethyl+molinate처리에서 뿌리 부분은 bensulfuron methyl 및 bensulfuron methyl+dimepiperate처리에서 생장억제율이 상대적으로 큰 경향이었다. thiocabamate계인 dimepiperate과 molinate의 처리는 전체 비료 용액에서 초장 신장을 억제시켰으며 근부는 질소+인산용액에서 생육이 가장 억제되었으나 대체로 억제정도는 경엽부보다 낮았다. pyrazosulfuron-ethyl과 bensulfuron methyl 및 그의 혼합 처리에서는 질소농도가 높을수록 생육 억제정도가 컸으며, 비료 3요소 중 인산 결핍시 생육 억제정도가 가장 큰 경향이었다.

  • PDF

광학활성 ${\alpha}$-Methylbenzylphenylurea 유도체의 bensulfuron-methyl과 pyribenzoxim의 벼에 대한 약해경감효과 (Safening Activity of Optically Active ${\alpha}$-Methylbenzylphenylurea toward Bensulfuron-methyl and Pyribenzoxim Injury to Rice)

  • 유재환
    • 농약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53-158
    • /
    • 2005
  • 광학활성 1-${\alpha}$-methylbenzylphenylurea 유도체의 bensulfuron-methyl, pyribenzoxim에 대한 약해경감효과를 조사하였다. 대부분의 유도체가 담수토양처리시험에서도 제초제 bensulfuron-methyl에 의한 벼의 근부신장 저해에 대하여 높은 약해경감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S-이성체의 2,3-diCl 치환체와 2-F-4-Me 치환체는 dymuron 보다 4배 높은 약해경감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두 치환체들은 동시 혼합처리뿐만 아니라 4일 후의 지연처리에서도 bensulfuron-methyl의 약해를 효과적으로 경감하였다. S-이성체의 2-F-4-Me치환체는 벤조산계 제초제 pyribenzoxim에 대해서도 지상부, 근부 모두 95%의 높은 약해경감효과를 나타내었다.

Differential Responses of Two Freshwater Cyanobacteria, Anabaena variabillis and Nostoc commune, to Sulfonylurea Herbicide Bensulfuron-methyl

  • KIM JEONG-DONG;LEE CHOUL-GY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1호
    • /
    • pp.52-56
    • /
    • 2006
  • The effect of bensulfuron-methyl on the nontargeted cyanobacteria was greater on A. variabillis than N. commune. Both A. variabillis and N. commune were initially able to utilize low concentrations of the herbicide, bensulfuron-methyl, whereas higher concentrations of bensulfuron-methyl or the hydrolyzed products of the herbicide were found to be toxic. Growth and photosynthesis inhibitions of over $50\%$ were observed, when 8 to 10 ppm of the herbicide was applied. Nitrogenase activities of the cyanobacteria were decreased by $94-98\%$ in A. variabillis and by $85-86\%$ in N. commune after 24 h of incubation with 10 ppm and 20 ppm of bensulfuron-methyl. Nitrogenase activities were also inhibited by the addition of ammonium salts as low as 0.05 mM. Furthermore, the toxic effect of the herbicide was the highest at pH 4-6, showing approximately $42-60\%$ toxicity, whereas much lower toxicity $(9-28\%)$ was observed at higher pH of 7-10, due to base-catalyzed hydrolysis of bensulfuron-methyl.

Bensulfuron-methyl처리(處理) 후 올방개 생육억제기간(生育抑制期間) 중의 생리적(生理的) 변화(變化) (Physiological Changes of Eleocharis Kuroguwai During Period of Growth Inhibition Caused by Bensulfuron-methyl)

  • 전재철;신현승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71-175
    • /
    • 1994
  • Bensulfuron-methyl 처리(處理) 후 올방개 생육(生育) 억제(抑制)로 부터 재생(再生)에 이르는 기간(期間) 중의 상대생장율(相對生長率), 괴경(塊莖) 탄수화물(炭水化物) 함량(含量)의 소장(消長), 각(各) 기관별(器官別) 호흡(呼吸), 광합성율(光合成率) 등을 조사(調査)하였다. Bensulfuron-methyl 처리(處理)이후 생장(生長) 억제(柳制) 기간(期間)에는 상대생장율(相對生長率)의 증가(增加)가 전혀 없다가, 39g/ha 처리(處理)에서는 처리(處理) 후 25-30일부터, 51g/ha 처리(處理)에서는 30-35일부터 증가(增加)되기 시작하였는데 이 시기가 재생(再生)의 시점(時點)이었다. 괴경(塊莖) 탄수화물(炭水化物)은 무처리(無處理)에서는 처리(處理) 직후 부터 급속히 감소되어 40일 후에는 거의 소진(消盡)되었던 반면에, bensulfuron-methyl이 처리(處理)된 경우에는 재생(再生) 직전까지 거의 변화(變化)가 없다가 재생(再生)과 함께 급격히 소모(消耗)되었다. 또한 괴경(塊莖)의 생존력(生存力)은 무처리(無處理)에서는 30일, 39g 및 5lg/ha 처리시(處理時)에는 각각 처리(處理) 후 60일 및 70일까지 지속(持續)되었다. Bensulfuron-methyl 처리(處理) 후 생육(生育) 억제(柳制)된 올방개는 이 기간(期間)중에도 최소한(最小限)의 호흡(乎吸)과 광합성(光合成)을 행하였으며, 재생(再生)과 함께 호흡(呼吸)과 광합성율(光合成率)이 크게 증가되기 시작하였다.

  • PDF

재배양식(栽培樣式)에 따른 수종(數種) 제초제(除草劑)에 대한 벼와 피의 해부형태적(解剖形態的) 반응차이(反應差異) - II. Bensulfuron 에 대한 반응차이(反應差異) (Morphological and Anatomical Response of Rice and Barnyardgrass to Herbicides under Various Cropping Patterns -II. Response to Bensulfuron)

  • 천상욱;구자옥;국용인;한성욱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30-236
    • /
    • 1996
  • 다양한 재배양식하에서 재배된 벼와 피에 파종 및 이앙후 5일째에 bensulfuron 102g ai/ha를 토양처리하여 그들의 생장 및 해부학적 반응차이를 구명하고자 온실내에서 pot 시험으로 수행되었다. 초장, 근장, 지상부 및 지하부 생체중을 조사한 결과, 건답직파벼 및 이앙벼의 생장 및 발육은 무처리와 유사하거나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담수직파벼는 무처리에 비해 심하게 억제되었으며, 지상부보다는 지하부가 더 심하게 억제되었다. 한편 피는 건답조건 에서 억제정도가 다소 낮게 나타났으나 담수조건에서는 치명적으로 억제되었다. Bensulfuron에 의한 주요한 해부학적 반응은 건답직파조건의 피에서만 엽시원체의 위축 및 엽육세포의 부분적 파괴로 인한 세포배열의 규칙성 상실 등이 야기되었다. 결국, 건답직파벼 및 이앙벼는 Bensulfuron에 대해 안전하였으나 담수직파벼는 심한 약해가 유발되었다. 본 연구에서 해부학적 반응차이는 생장반응의 차이와 반드시 일치하지 않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