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nding MOR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21초

대형요소의 기계적 접합법을 이용한 공학목재 개발 (Development of Engineered Wood using Mechanical Jointing Methods with Large Elements)

  • 박주생;심국보;김광모;박문재;조성택;김외정
    • 임산에너지
    • /
    • 제25권2호
    • /
    • pp.34-41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국산 중소경재를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재 수율이 높은 대형요소를 이용하여 구조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공학목재를 개발하였다. 중소경 원목으로부터 생산된 상대적으로 큰 단면의 Flitch재를 이용하여 세 가지 기계적 접합방법을 적용한 구조용 대단면 공학목재를 개발하고 휨시험을 통해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개별 요소를 접합하기 위한 기계적 접합방법으로는 강철 볼트와 목재 다우얼, 철제 래그 볼트가 각각 검토되었다. 개발된 공학목재의 휨성능을 평가한 결과, 강철 볼트를 적용한 경우에 MOR은 평균 $514kgf/cm^2$, MOE는 $129,000kgf/cm^2$ 대표적인 구조용 공학목재인 집성재에 비해 조금 낮거나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목재 다우얼과 철제 래그 볼트를 적용한 경우에는 하중이 증가함에 따라 층재가 분리되어 개별적으로 하중에 저항함으로써 MOR과 MOE 모두가 절반정도로 감소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대형요소의 기계적 접합으로 제조되는 공학목재의 휨성능은 개별 요소의 접합 성능에 의해 가장 크게 영향 받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철강구성(鐵鋼構成)이 톱밥보오드의 휨성질(性質)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the Wire Net Composition on Flexural Properties of Sawdustboard)

  • 이필우;서진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3권4호
    • /
    • pp.67-72
    • /
    • 1985
  • To improve the bending strength of sawdustboard, verious resin contents of 10, 13, 16, and 19% were applied to the thin shell (face layer) composed with wire net or not. The shell effect of sawdust and wire net composition formed with core sawdustboard were evaluated. Forcusing on the effects of wire net composition and noncomposition including a comparison with chipboard and veneer complyboard, bending properties (Modulus of rupture (MOR), Modulus of elasticity (MOE), Stress at proportional limit ($S_{pl}$). Work to maximum load ($W_{ml}$))were analyzed and discussed. 1. In modulus of rutpute, veneer comply was the highest (621.5 kg/$cm^2$), and next decreasing order was wire net composition (159.1 kg/$cm^2$), chipboard (81.75 kg/$cm^2$), and wire net noncomposition (76.21 kg/$cm^2$) as in modulus of elasticity, work to maximum load, except for stress at proportional limit. 2. The highly significant effects were shown in both wire net composition and noncomposition, at the same time wire net composition exceeded two times of noncomposition throughout resin contents in bending properties. Chipboard was similar to the mean or 16% resin content in noncomposirion. 3. Every board in wire net composition above 10% resin content was beyond 100 kg/$cm^2$ in MOR, minimum allowable strength for structural use according to KS F 3104. In conclusion, the feasibility for improving the bending strength of weak sawdustboard by wire net composed shell was offered.

  • PDF

억새 파티클보드의 흡음성능과 휨강도성능 (Sound Absorption Capability and Bending Strength of Miscanthus Particle Based Board)

  • 강춘원;박희준;전순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0권1호
    • /
    • pp.38-43
    • /
    • 2012
  • 억새파티클보드의 흡음재로서의 사용가능성을 파악하고자 몇 가지 목표비중의 억새파티클보드를 제작하여 전달함수법(two microphone transfer function method)으로 상용주파수대역에서 흡음성능을 측정하고 휨강도 시험으로 역학적성질을 각각 측정,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측정주파수범위에서 거대억새보드의 흡음률이 상용석고보드보다 높은 흡음성능을 나타내었다. 탄성계수와 휨강도는 목표비중 증가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억새보드의 흡음률은 1~2.5 Khz 범위의 주파수범위에서 50~80%의 수치를 나타내다 이후 주파수에서는 30~50%의 흡음률을 나타내었으며 비중에 따라서는 비중이 증가할수록 흡음률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한국산 물푸레나무속(屬) 주요 수종의 물리 및 역학적 특성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Major Korean Ash Species)

  • 황원중;권구중;김남훈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0권2호
    • /
    • pp.95-101
    • /
    • 2002
  • 물푸레나무속 주요 수종의 합리적 이용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해, 물리 및 역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물푸레나무와 쇠물푸레의 생재함수율은 변·심재간 차이가 없었으나, 들메나무 심재부의 생재함수율은 변재부보다 다소 높았다. 들메나무의 생재밀도와 전건밀도는 다른 두 수종에 비해 낮게 나타났고, 쇠물푸레 변재부의 수축·팽윤율은 물푸레나무보다 다소 높은 값을 보여주었다. 쇠물푸레의 종압축강도와 종압축탄성계수는 다른 두 수종보다 다소 낮았으며, 쇠물푸레 방사·접선단면의 전단강도는 다른 두 수종보다 높게 나타났고, 세 수종 모두 방사단면 전단강도가 접선단면보다 높았다. 세 수종 모두 우수한 휨 특성을 나타냈다. 물푸레나무와 들메나무간에 있어서 충격휨흡수에너지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닥나무의 목질부로 만든 우드세라믹의 비파괴휨강도평가 -소성온도의 영향- (Nondestructive Bending Strength Evaluation of Woodceramics Made from Woody Part of Broussonetia kazinoki Sieb. -Effect of Carbonization Temperature-)

  • 변희섭;원경록;이호영;오승원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6권1호
    • /
    • pp.35-41
    • /
    • 2012
  • 공진주파수 모드를 이용하는 비파괴 평가기술법을 닥나무를 소성온도별(600, 800, 1000, $1200^{\circ}C$)로 제조한 우드세라믹에 적용하였다. 공진주파수 및 동적 탄성계수는 소성온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동적 탄성계수 및 정적 휨 탄성계수와 휨강도사이에는 밀접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따라서 공진 주파수 모드를 사용하는 동적 탄성계수측정은 소성온도에 따라 제조된 우드세라믹의 휨강도를 예측하는 비파괴 평가 방법으로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대나무 Zephyr의 제조 조건에 따른 보드의 물성비교 (Effect of Zephyr Producing Method on Properties of Bamboo Zephyr Boards)

  • 김유정;노정관;박상진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1권4호
    • /
    • pp.24-30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합판 대체용도로서 고성능을 보유하는 대나무 Zephyr 보드의 제조기술을 확립하기 위한 기초조사로서 Zephyr의 제조방법을 달리하여 Zephyr를 제조한 후 각각의 Zephyr로 제조된 보드의 물성을 검토하였다. 제조된 보드는 KS F 3014와 KS F 3113에 준하여 성능평가를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최종 롤러간극을 각각 1 mm, 1.5 mm, 2 mm로 달리하여 제조된 Zephyr 보드 중에서는 1.5 mm에서 제조된 Zephyr 보드가 휨성능(MOR, MOE)과 박리강도(IB)에서 가장 높은 강도를 보유하고 있었다. 또한, 2시간 자비한 후 1시간 상온수에 침지한 다음에 측정된 보드의 습윤시 휨성능(MOR, MOE) 역시 최종 롤러간극 1.5 mm에서 제조된 Zephyr 보드에서 가장 높은 잔존강도를 보유하고 있어 상태시와 거의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고 있었다. 24시간 상온수에 침지한 후의 두께팽창율 시험에서 모든 보드가 KS A 3014의 기준인 12%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그중 롤러간극 1.5 mm Zephyr로 제조된 보드가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어 치수안정성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처리에 따른 대나무 Zephyr 보드의 강도 성능은 무처리 생재상태로 제조된 보드가 다른 전처리(증해, 0.3%NaOH자비)를 한 Zephyr 보드보다 높은 강도를 보유하고 있었다. 따라서, 무처리 생재상태에서 최종롤러 간극 1.5 mm로 제조된 Zephyr sheet가 최적의 보드 제조조건임을 알 수 있었다.

목재섬유, 톱밥 및 녹차 이종복합보드의 정적 휨 강도성능에 미치는 녹차 및 톱밥 배합비율의 영향 (Effect of Green Tea and Saw Dust Contents on Static Bending Strength Performance of Hybrid Boards Composed of Wood Fiber, Saw Dust and Green Tea)

  • 박한민;이수경;석지훈;최남경;권창배;허황선;김종철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5권6호
    • /
    • pp.41-46
    • /
    • 2011
  • 이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의 녹차-목재섬유 복합보드에 부가하여, 목제품 생산 후 발생하는 부산물인 편백 톱밥의 효율적인 이용과 건축내장재로의 응용을 목표로 목재섬유와 편백톱밥 및 녹차분말을 혼합한 복합보드를 제조하여 정적 휨강도성능에 영향하는 톱밥 및 녹차의 배합비율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목재섬유-톱밥-녹차 복합보드의 휨 탄성계수는 0.956~1.18 GPa의 범위에 있었고, 목재섬유 : 톱밥 : 녹차의 배합비율 50 : 40 : 10에서 가장 높은 값을, 50 : 30 : 20에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 값은 선행연구의 녹차-목재 섬유 복합보드보다 2.0~3.1배 낮은 값을 나타냈다. 목재섬유-톱밥-녹차 복합보드의 휨 강도는 8.99~11.5 MPa의 범위에 있었고, 구성요소의 배합비율에 따른 휨 강도의 변화는 휨 탄성계수와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 값은 선행연구의 녹차-목재섬유 복합보드보다 1.9~3.5배의 낮은 값을 나타내었고, KS에 규정된 파티클보드 및 중밀도섬유판의 강도치보다 약간 낮은 값을 나타냈다. 따라서 이 복합보드를 산업화하기 위해서는 복합보드 구성요소의 배합비율의 조정, 이종재료와의 복합화 및 접착제의 전환 등으로 강도성능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 of Test Zone Selection for Evaluating Bending Strength of Lumber

  • Pang, Sung-Jun;Lee, Jun-Jae;Oh, Jung-Kwo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1권5호
    • /
    • pp.392-398
    • /
    • 2013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test zone selection for evaluating bending strength of visually graded lumber. This will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two different methods under different standards. In method I, the major defect was randomly placed in the test specimen. In method II, the major defect was randomly placed in the maximum moment zone (MMZ).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ethod II is more accurate for reflecting the effect of defects governing the grade of lumber. Unless the maximum strength-reducing defect (MSRD) is placed in MMZ, the evaluated value would be higher than that of MSRD. For evaluating the modulus of rupture (MOR) of visually graded lumber in test set-up of Method I, the Eq. (5) needs to be considered.

낙엽송 소경각재의 종접합 성능평가 (Longitudinal Bonding Strength Performance Evaluation of Larch Lumber)

  • 이인환;박주현;송다빈;홍순일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1호
    • /
    • pp.85-92
    • /
    • 2018
  • 소경각재를 이용한 소경각재 적층목을 기둥-보 목조건축 구조재로 이용하기 위해선 장대재 제작이 가능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낙엽송 소경각재의 종접합 성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시험편들은 종접합 방법에 따라 6가지 형상으로 제작하였으며 인장 및 휨 강도시험으로 종접합성능을 검토하였다. 종접합 접합부의 인장시험에서 Lap 시험편의 인장강도는 Double Lap 시험편보다 양호하였으며, Scarf 시험편의 인장강도는 Hooked scarf 시험편보다 양호하였다. Rod 시험편의 인장강도는 3.6 MPa로 가장 양호하였다. 종접합 접합부의 휨 시험결과 봉형 GFRP를 삽입 접착한 시험편들은 평균 29 MPa의 휨 파괴계수가 측정되었으며, 타 접합부 시험편들은 11 MPa 이하의 휨 파괴계수 값이 관찰되었다. 봉형 GFRP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를 삽입 접착한 시험편들은 인성파괴가 관찰되었고 나머지 시험편들은 취성파괴가 발생하였다. Rod + Lap 시험편의 평균 휨 파괴계수가 30.5 MPa로 종접합한 시험편 중 가장 양호한 성능을 발휘하였다. Rod + Lap 시험편의 휨 강도는 종접합하지 않은 대조군 시험편 휨 파괴계수의 66%에 해당되었다. 낙엽송 소경각재 종접합 방법으로 봉형 GFRP 삽입 접착이 가장 유효한 강도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리기다소나무의 구조용 집성재 이용기술 개발 -낙엽송 층재와의 혼합 구성을 통한 집성재의 휨성능 향상- (Development of Pitch Pine Glued Laminated Timber for Structural Use -Improvement of Bending Capacity of Pitch Pine Glulam by Using Domestic Larch Laminars-)

  • 김광모;심국보;박주생;김운섭;임진아;여환명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5권6호
    • /
    • pp.13-22
    • /
    • 2007
  • 주요 조림수종으로 도입 식재된 리기다소나무의 고부가가치 이용을 위한 구조용 집성재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고, 이에 적합한 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국산 리기다소나무 제재목의 기계응력등급은 대부분 E7에서 E9등급으로 집성재 제조에는 다소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단일수종 및 혼합수종 구조용 집성재 제조에 필수적인 리기다소나무 및 낙엽소 판재의 접착성을 평가한 결과 전단접착력, 목파율, 침지 및 삶음박리율 모두 KS기준 이상으로 나타났다. 리기다소나무 단일수종 집성재의 휨성능을 측정해본 결과 휨강도는 KS의 집성재 강도등급에 따른 휨성능 합격기준을 만족한 반면 휨 탄성계수는 기준에 다소 못 미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낙엽송 층재와의 혼합구성을 통해 리기다소나무 집성재의 휨성능(휨강도와 휨탄성계수)을 20% 향상시킬 수 있었으며, 층재 구성방법에 있어서는 판재의 탄성계수가 높고 품질이 우수한 낙엽송 층재를 외층에 배치하는 방법이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리기다소나무의 부가가치 증진을 위한 구조용 집성재 이용은 그 가능성이 매우 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