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nchmark dose lower limit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3초

동집단 자료의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를 종점으로 한 납의 벤치마크 용량 하한 도출 (Derivation of benchmark dose lower limit of lead for ADHD based on a longitudinal cohort data set)

  • 김병수;김대희;하미나;권호장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5권5호
    • /
    • pp.987-99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환경부에서 최근에 구축한 아동 동집단 경시적 자료인 아동 건강과 환경 연구 (CHEER) 자료에 기초하여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 (ADHD)와 혈중 납 농도의 상관을 선형혼합모형을 사용하여 규명하고, CHEER 자료의 경시적 특성으로 나타나는 ADHD 점수의 "평균으로의 회귀" 현상을 보고하고자 한다. 또한 ADHD를 종점으로 한 혈중 납 농도의 용량-반응 곡선을 도출하며, 이렇게 도출된 용량-반응 곡선에 기초하여 몇 가지 상황 하에서 독성기준치인 벤치마크 용량 하한 (BMDL)을 유도한다.

Determining a BMDL of Blood Lead Based on ADHD Scores Using a Semi-Parametric Regression

  • Kim, Ah-Hyoun;Ha, Min-A;Kim, Byung-Soo
    • 응용통계연구
    • /
    • 제25권3호
    • /
    • pp.389-401
    • /
    • 2012
  • This paper derives a benchmark dose(BMD) and its 95% lower confidence limit(BMDL) using a semi-parametric regression model for small lead based changes in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DHD) scores in the first wave of the Children's Health and Environment Research(CHEER) survey data, which have been regularly collected in South Korea since 2005. Ha et al. (2009) showed that the appearance of ADHD symptoms had a borderline trend of increasing with the blood lead concentration. Butdz-J${\o}$rgensen (EFSA, 2010a) derived the BMDL of lead corresponding to a benchmark region of 1 full intelligent quotient (IQ) score using the raw data in Lanphear et al. (2005, EHP). European Food Safety Authority (EFSA, 2010b) determined the BMDL of $1.2{\mu}g/dl$ as a reference point for the characterization of lead when assessing the risk of the intellectual deficit measured by IQ scores. Kim et al. (2011) indicated that an even lower BMDL could be obtained based on the ADHD score; however, the BMDLs depended heavily upon the model assumptions. We show in this paper that a semi-parametric approach resolves the model dependence of BMDLs.

생식독성과 Benchmark Dose를 활용한 Endosulfan의 노출허용수준 산출 (Estimating Permissible Intake Level for Endosulfan Using Benchmark Dose based on Reproductive Tonicity)

  • 이효민;윤은경;염영나;황명실;양기화;신효선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18권1호
    • /
    • pp.65-71
    • /
    • 2002
  • A benchmark dose (BMD) approach has been evaluated us a replacement for the traditional NOAEL methodology currently being wed to assess the noncancer effects of toxicants. The endocrine disrupt-ing effect of endosulfan which showed decrement of sperm count and testicular testosterone level in animals, was currently reported. The amount of endosulfan used as pesticide in the country has been continuously increase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permissible intake level (PIL), corresponding to Accept-able Daily Intake (ADI), based on endocrine disrupting effect wing BMD. Various animal data were collected by consideration of critical effect showing endocrine disruption and an animal data for reproductive toxicity was selected. The Power model from BMD software for induction of $BMD_10$ having meaning which is the dose at the 95% lower confidence limit on a 10% response was used due to that the form of selected dose-response animal data was continuous data. The $BMD_10$ was estimated to be 0.393 mg/kg/day based on reproductive toxicity showing decrement of sperm count. The permissible intake level (PIL) was calculated by dividing the $BMD_10$ by the uncertainty factors of 100 with consideration of from animal to human and human variability. The PIL as 0.004 mg/kg/day was compared with traditional ADI as 0.006 mg/kg/day based on the incidence of marked progressive glomerulonephrosis and blood vessel aneurysm in males.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장애를 종점으로 하는 혈중 납의 벤치마크 용량 하한 도출: 두 동집단 자료의 병합 (BMDL of blood lead for ADHD based on two longitudinal data sets)

  • 김시연;하미나;권호장;김병수
    • 응용통계연구
    • /
    • 제31권1호
    • /
    • pp.13-28
    • /
    • 2018
  • 우리나라 환경부에서는 지난 2005년과 2006년, 매 2년마다 세 번에 걸친 추적 조사를 하여 두 개의 독립적인 자료를 구축하였고, 2010년에 두 자료를 병합하여 Children's Health and Environmental Research (CHEER) 자료라 명명하였다. 본 연구는 CHEER 자료를 이용한 Kim 등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5, 987-998, 2014)과 Lee 등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29, 1295-1310, 2016)의 후속 연구로서, 두 동집단을 병합한 자료에서도 기존 연구에서 보고되었던 결과가 재현되는지 확인하고 ADHD를 종점으로 한 혈중 납 농도의 95% 신뢰 하한 (BMDL) 도출하였다. Lee 등 (2016)에서 제시한 벌점화 스플라인 모형을 이용하여 모든 년도의 ADHD 척도를 통일하였고, 경시적 자료의 특성과 아동의 나이에 대한 평균으로의 회귀 현상을 반영하여 임의 기울기 모형과 AR(1) 모형을 구축하였다. 두 모형을 바탕으로 혈중 납 농도의 벤치마크 용량 하한을 공식과 모의실험을 이용하여 도출한 결과, 종전의 연구보다 작은 벤치마크 용량의 분산 값으로 인하여 벤치마크 용량 하한 값이 증가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할법을 활용한 범주형자료의 다차원척도법 (Multidimensional scaling of categorical data using the partition method)

  • 신상민;천선경;최용석
    • 응용통계연구
    • /
    • 제31권1호
    • /
    • pp.67-75
    • /
    • 2018
  • 다차원척도법은 개체간의 비유사성을 저차원 공간에 기하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다변량 자료의 탐색적 분석기법이다. 그러나 일반적인 다차원척도그림에서는 개체들의 유사성 정보만이 표현될 뿐 변수와 관련된 정보가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그림의 해석 상에 한계점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범주형 자료를 다중표시행렬로 변환하고 Torgerson (1958)의 알고리즘에 의한 다차원척도법을 적용하여 개체들의 군집화 성향과 군집들의 상대적 크기를 다차원척도그림으로 시각화하였다. 그리고 Shin 등 (2015)의 분할법을 적용하여 범주형변수의 범주수준별 정보를 다차원척도그림 상에 투영하여 추가적인 정보를 표현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다차원척도그림을 이용하면 개체들의 유사성 정보와 함께 범주형변수들 사이의 연관성도 탐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식품을 통한 니트로사민 노출량 평가 (Exposure Assessment of N-nitrosamines in Foods)

  • 조천호;박희라;김동술;이광호;김미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541-548
    • /
    • 2010
  • GC/PCI-MS/MS를 이용하여 식육가공품 등 총 154건을 대상으로 니트로사민의 함량을 조사하여 노출량을 평가하였다. 니트로사민의 회수율은 84-112%였고, 검출한계는 0.5 ${\mu}g$/kg 이하, 정량 한계는 1.5 ${\mu}g$/kg 이하의 수준이었다. 니트로사민은 전체 시료 154 건 중 89건이 검출되어 검출율이 58%를 보였으며 이중 전체식품 대비 식육가공품이 27%, 어육가공품이 19%, 젓갈 7%, 주류 및 음료 5%의 검출율을 보였다. 1일 평균 섭취량과 체중을 근거로 전체 인구집단의 니트로사민 인체노출량을 산출한 결과, 평균노출에서 $4.92{\times}10^{-7}$mg/kg b.w./day으로 나타났으며, 노출안전역 (MOE)은 208,939로 위해영향이 거의 없는 수준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