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lief in teaching mathematics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9초

유아 교사의 수학교수 효능감에 따른 수학수업실제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Kindergarten Teachers' Efficacy Belief on Mathematics Education Practices)

  • 정정희
    • 아동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25-241
    • /
    • 2001
  •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that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has on teacher's mathematics education practices. Data was obtained from 220 kindergarten teachers who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the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developed by Enochs). Among these 220 teachers, upper and lower 5 % of the teachers on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belief were chosen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on mathematics activity style, teaching strateg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eacher's interest in math, previous participation in mathematics teaching method course mainly influenced mathematics teaching self-efficacy. Teachers with high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belief preferred providing mathematical learning activity than providing other learning areas. They employed effective mathematics teaching strategy such as high and medium cognitive distancing strategy and established positive teacher-child relationship.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were discussed.

  • PDF

대학 순수교양수학에 대한 수학적 신념 연구 (Study on Mathematical Belief about Liberal art subject of Mathematics)

  • 김윤민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2권2호
    • /
    • pp.175-192
    • /
    • 2016
  •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needs of changes in the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in the university and to develop the liberal art subject of mathematics. The changes of mathematical belief in the university students were investigated to understand how the liberal art subject of mathematics affected them related to mathematics. Upon the study results, the significant changes were occurred from the utility factor on the subject of mathematics in mathematical belief, the importance factor of the answers in the teaching-learning belief, teaching activity factor of the teachers, and inborn capability factor in the belief on the self-concept. The meaningful learning environment and teaching method for the liberal art subject of mathematics are suggested further by these results.

수리 철학 학습 과정이 예비 초등 교사의 수학적 신념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a Mathematical Philosophy Course o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Mathematical Beliefs)

  • 서관석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21
    • /
    • 2002
  • 교사들의 교수 행동은 그들 신념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학생들의 신념 체계 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교원 양성 대학의 교육과정이 예비교사들의 긍정적 신념 체계 형성에 도움을 줄 수 있는가를 경험적으로 살펴보았다. 먼저 신입 예비 교사들의 수학에 대한 신념을 묻는 설문 조사 결과, 신입 예비 교사들의 전체적인 수학에 대한 신념이 다소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나 만족할 만한 수준은 아니었다. 그러나 ‘수리 철학’ 강의를 실시한 뒤 나타나는 수학적 신념 변화를 사전-사후 질문지로 분석한 결과, 신입 예비 교사가 수학 교수 학습 방법 등 수학 교육과 관련한 교과목을 이수하지 않은 상황에서도 수학에 대한 신념이 매우 긍정적으로 바뀌었음을 알 수 있었고, 그 중에서도 수리 철학 그 자체의 개념과 가장 부합되는 수학 본질 신념 영역에서 가장 많은 변화를 보여 주었다. 이를 통해 예비 교사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수리 철학 강의가 예비 교사들의 수학에 대한 긍정적 신념 체계 형성에 많은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중등 예비 수학 교사의 교육철학에 대한 귀납적 분석 (Inductive Analysis Approach on Middle Grade Mathematics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Philosophies)

  • 한선영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5권4호
    • /
    • pp.599-615
    • /
    • 2015
  • 교사의 교육철학은 학교 현장의 교육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함에도 불구하고, 현 교사 양성 교육과정에서는 교사의 교육철학이 소홀하게 다뤄지고 있다. 교직과목에서 뿐만 아니라 교과교육학 과목에서도 교사의 교육철학이 비중 있게 다뤄질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우선 예비 교사들의 교육적 신념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학 예비 교사의 교육 철학과 그것의 하위 영역을 살펴본 후 그 영역들 간의 관계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수학 교사의 교육철학과 관련한 기존의 연구들은 주로 '교사의 신념'에 대한 것이었으며 연구 방법으로는 설문이나 질문지를 통한 연역적 접근이 대부분이었다. 이 연구들은 공통적으로 수학 교사의 신념을 '수학 본질에 대한 신념', '수학 교수 방법에 대한 신념', 그리고 '수학 학습 방법에 대한 신념'의 세 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이렇듯 교사 신념에 대한 세 가지 영역의 구분이 점차 고착화되었고 그 외의 다른 영역이 존재하는가에 대한 연구는 미미하였다. 수학 예비 교사들의 자유 글쓰기를 귀납적인 질적 분석을 통하여 살펴본 결과, 기존의 연구에서 지적되었던 세 가지 영역 외에 '수학 교사의 역할에 대한 신념'과 '수학 교육의 목적에 대한 신념', 그리고 '교직(수학 교사)에 대한 직무 동기' 등이 추가적으로 드러났다. 또한 이 영역들 간에는 유기적인 연관성이 나타났으며 특히 '수학 교육의 목적에 대한 신념'과 '교직의 직무 동기' 영역이 다른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수학 예비 교사들이 가지는 교육 신념의 하위 영역들 간에 독립적 병렬적 관계 외에 원인 결과의 수직적 관계 또한 존재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 수학 교과 교육학의 과목에서 예비 수학 교사들을 위한 교육철학이 어떻게 다뤄져야 할지에 대해 연구적 교육적 함의를 제공하고 있다.

유아교사의 구성주의 교육신념, 수학교수효능감 및 수학교과교육학지식이 수학교수적극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nstructive Teaching Belief,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Mathematics on Teaching Intention for Mathematic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서정민;이정화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85-200
    • /
    • 2017
  •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beliefs,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mathematics on their teaching intention of mathematics. Methods: A total of 266 early child teachers in Busa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completed a set of question naires which consisted of questions about teaching beliefs,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mathematics, and the teaching intention of mathematic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program. Results: First, we observed several positive correlations among the four variables. Second, we found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constructive teaching beliefs,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mathematics had effects on their teaching intention of mathematics. The knowledge about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mathematics among the subcategorie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mathematics was observed as the strongest predictor for the teachers' teaching intention. Conclusion: We need to take more interest in the pedagogical knowledge about teaching-learning methods of mathematics in teacher training courses in order to enhance teachers' teaching intention of mathematics. As a result, this will makea contribution to high quality math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수학적 신념 측정 및 특성 분석 (Instrument Development and Analysis of Secondary Students' Mathematical Beliefs)

  • 김부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2권2호
    • /
    • pp.229-259
    • /
    • 2012
  • 본 연구는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적 신념을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는 표준화된 측정 도구를 문헌연구와 심리측정학적 분석을 바탕으로 수학교과에 대한 신념, 수학 문제해결 신념, 수학 교수 학습에 대한 신념, 수학적 자아개념의 4개의 하위 요소로 구성하여 중학생용은 총 37문항으로, 고등학생용은 총 40문항으로 개발하였다. 그리고 대단위 표집 검사를 실시하여 우리나라 중 고등학생의 수학적 신념이 학교급별, 성별, 성취수준에 따라 어떤 특성이 나타나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중 고등학교 모두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수학이 유용하다고 믿는 신념, 수학에서 과정보다 정답을 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믿는 신념, 많은 수의 문제를 푸는 것이 중요하고 믿는 신념 등이 강하게 나타났고,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 진급하면서 수학적 자아개념 중 '감정' 요인이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여학생은 중 고등학교 모두 수학 교수 학습에 대한 신념 중 '교사의 수업활동' 요인만이 남학생보다 강하였다. 성취수준이 '기초이하' 집단 학생들이 수학은 암기해야 하는 공식과 절차라거나 창의적 활동에 대한 기회를 제공하지 못한다고 생각하는 '고정관념'이 가장 강하였다. 그 외요인에서는 '우수' 집단 학생들의 신념이 강하였다.

  • PDF

수학교사의 확률과 통계에 대한 지식과 신념 (Mathematics teachers' knowledge and belief on the high school probability and statistics)

  • 김원경;문소영;변지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5권4호
    • /
    • pp.381-406
    • /
    • 2006
  • This work aims to investigate mathematics teachers' knowledge and belief on the high school probability and statistics. For this aim, two research questions are estabilished as follows. (1) How is mathematics teachers' knowledge on the main contents of the high school probability and statistics in the 7th mathematics curriculum? (2) What is mathematics teachers' belief on the high school probability and statistics? Survey and interviews were carried out to answer the above research questions. Subjects of the survey were 2 7mathematics teachers who were answered to questionnaire. Among them, 3 volunteers were chosen by provinces for in-depth interview. Research findings in mathematics teacher's knowledge are as follows. Firstly, mathematics teachers do not have much of mathematical knowledge on the newly added and changed contents of the high school probability and statistics in the 7th mathematics curriculum. Secondly, mathematics teachers do not change their teaching-learning method for probability and statistics. Thirdly, many teachers think that the use of technology and reconstruction of the textbooks are required in teaching and learning of the high school probability and statistics. But, they stick on their own way. Research findings in mathematics teachers' belief are as follows. Firstly, many mathematics teachers view the nature of statistics as a branch of the applied mathematics and put the value of high school probability and statistics on the practical usefulness, Secondly, many mathematics teachers think that understanding concepts and improving problem solving ability are the best method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Thirdly, many mathematics teachers think that high school probability and statistics textbooks should cause motivations and interests in order not to give up studying probability and statistics. It is expected that the above findings can be used to change teacher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to improve teachers training program.

  • PDF

"이해만 됐다면 수학은..." -어느 초등 교사의 이해 중심의 수학지도- ("Once Mathematics is Understood, Then..." -An Elementary Teacher′s Teaching of Mathematics with Understanding-)

  • 조정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1권2호
    • /
    • pp.173-187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through ethnographic inquiry is to describe how an elementary teacher teaches mathematics with understanding. The ways that teachers'beliefs affect instructional activities, what means understanding from the view of cognitive psychology, and ethnographic research tradition were reviewed to anchor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A third-grade teacher and his 45 students were selected in order to capture vivid and thick descriptions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of mathematics. Three major sources of data, that is, participant-observation with video taping, formal and informal interviews with the teacher and his students, and a variety of official documents were collected. These data were analyzed through two phases: data analysis in the field and after the fieldwork. According to data analysis, ‘teaching mathematics with understanding’ was identified as the teachers central belief of teaching mathematics. In order to implement his belief in teaching practices, the teacher made use of three strategies: ⑴ valuing individual student's own way of understanding, ⑵ bring students' everyday experiences into mathematics classroom, and ⑶ lesson objectivies stated by students. It is suggested for future research that concrete and specific norms of mathematics classroom for the improvement of mathematics understanding are needed to be identified and that experienced and skillful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should be incorporated with theories of teaching mathematics and necessarily paid more attention by mathematics educators.

  • PDF

잠재집단회귀모델(LCRM)을 통한 학생의 수학적 신념에 대한 교사의 수학적 신념 영향분석 (Analysis of the Effect in Mathematics Teachers Beliefs on their Students Beliefs by Latent Class Regression Model)

  • 강성권;홍진곤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4권4호
    • /
    • pp.485-506
    • /
    • 2020
  • 본 연구는 교사의 수학적 신념이 학생의 수학적 신념에 주는 영향을 잠재집단회귀모델(Latent Class Regression Model; LCRM)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본 연구는 잠재집단분석(Latent Class Analysis; LCA)을 통해 교사 60명과 그 교사에게 배우는 학생 1850명의 수학적 신념을 각각 분류한 강성권, 홍진곤(2020)의 연구결과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수학의 본질'에 대한 교사의 신념은 학생의 '수학교과', '수학문제해결', '수학학습' 신념에 영향을 주었다. 또한, '수학의 교수'와 '수학적 능력'에 관한 교사의 신념은 학생의 '수학교과', '수학문제해결', '자아개념' 신념에 영향을 주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교사의 수학적 신념이 학생의 수학적 신념에 실질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통계적으로 실증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교사들의 연수와 관련한 목표와 내용의 설정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잠재집단분석(LCA)에 의한 수학교사와 학생들의 신념유형 분석 (Analysis of Belief Types in Mathematics Teachers and their Students by Latent Class Analysis)

  • 강성권;홍진곤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4권1호
    • /
    • pp.17-39
    • /
    • 2020
  • 본 연구는 수학과 관련된 수학교사와 학생들의 신념을 잠재집단분석(Latent Class Analysis; LCA)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수학의 본질', '수학의 교수', '수학적 능력'에 대한 고등학교 수학교사 60명의 설문과 '수학교과', '수학문제해결', '수학학습', '자아개념'에 대한 고등학생 1850명의 설문에 대해 유사한 응답을 한 교사와 학생을 각각 소집단으로 분류하고, 그 신념특성을 분석하며 신념프로파일을 작성하였다. 관찰결과, 수학교사들은 '수학의 본질'에 대해 3개, '수학의 교수'와 '수학적 능력'에 대해서는 각각 2개의 신념소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학생들은 '자아개념'에 대해 3개, '수학교과', '수학문제해결', '수학학습'에 대해서는 각각 2개의 신념소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이 연구에서 사용된 잠재집단분석은 수학적 신념을 귀납적으로 범주화하는 새로운 방법으로, 교사와 학생의 신념의 상관관계 및 인과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는데 기초가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