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Search Result 2,982,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병원을 이용하는 임산부들의 산과적 지식정도에 관한 일 조사 연구 (A STUDY TO DETERMINE THE LEVEL OF OBSTETRIC KNOWLEDGE OF PREGNANT WOMEN AND POSTPARTUM MOTHERS)

  • 이선자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81-91
    • /
    • 197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obstetric knowledge of pregnant women and postpartum mothers, and to contribute the data to community health teaching program as well as maternity nursing. 385 pregnant women and postpartum mothers visited at or admitted to Seoul Adventist Hospital were sampl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97.9% of the subjects were between the age of 21 to 35, most of them (82.9%) were housewives with high school education and with a middle class family background. 2. The first symptoms of pregnancy were amenorrhea (70.4%), nausea & vomiting (23.9%), change of skin color (1.6%). 3. 77.9% of the subjects did not know how to deal with morning sickness. 4. 52.9% did not know when the sex determination of the fetus-occurs. 5. Concerning the fetus position; 77.1% of them believed it lies head down. head up (12.0%). and not knowing (10.9%). 6. 73.2% recognized the need for a well balanced food during pregnancy. 7. As to the dangerous symptoms during pregnancy: vaginal bleeding was considered the 1st, edema, the and, continuous abdominal pain, the 3rd. 82% of them would confer with physician in case of vaginal bleeding. As to the type of activities restricted by pregnancy: hard exercise was considered first, travel the second, and coitus during 1st and last trimester of pregnancy the 3rd. 8. 82.4% of them visited antenatal clinic at the second or third month of amenorrhea and 88.5% realized the regular physical examination imperative. 9. The purpose of urine test was recognized correctly by 44.7%, blood test: 89.4%, B. P. and weight check ; 69.9%. 10. The need of breast care during pregnancy was recognized by 76.9% of the subject. 11. 75.8% realized that prenatal exercise was needed. The higher the education the better the understanding of the need for it before delivery. 12. The concept of postpartum period was understood correctly by 54.4%. 13. The state of uterus after delivery was understood correctly by 49.1% only. 14, Regarding the management of colostrums: 48.3% knew it was to feed infants, and it was to squeeze and discard 43.4%. 15. Dealing with postpartum exercise; 67.8% answered it was needed, 9.1% not needed, not heard about 23, 1%.

  • PDF

조직변화에 따른 심리상태와 공공봉사동기가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조사연구: 전력공기업의 지방 이전 실시 전후의 비교 (A Study on The Effect of Psychological State occurred by the Organizational Change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on the JobAttitude: A comparison before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Relocation of Electric Power Public Corporation to Local Areas)

  • 이준태
    • 벤처창업연구
    • /
    • 제17권3호
    • /
    • pp.147-163
    • /
    • 2022
  • 공공기관들의 지방이전은 '국가균형발전'을 위해 시행된 정책으로 2019년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의 충북혁신도시 이전을 끝으로 마무리되었다. 전력공기업 또한 전국 8개 지역으로 이전을 완료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지방이전이라는 조직변화에 따른 심리적, 경제적, 생활환경 등 다양한 측면에서의 변화와 그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세부적으로는 이들 기관 구성원들의 조직변화에 따른 심리상태를 바탕으로 공공봉사동기와 직무태도 간의 구조관계를 파악하여, 전력공기업의 지방이전 이후의 안정화 방안을 모색하는 한편, 2차 공공기관 지방 이전에 의한 '국가균형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번 연구에서 지방이전에 따른 심리상태와 조직몰입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고, 기대심리가 높을수록 조직몰입이 높아지는 관계를 보인 반면, 불안심리는 조직몰입과 관계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대심리와 이직의도는 유의적이지 않았으나, 불안심리가 강할수록 이직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대심리가 높을수록 공공봉사동기도 증가하며, 불안심리가 높을수록 공공봉사동기는 낮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공공봉사동기가 클수록 조직몰입 또한 커지지만, 이직의도와는 유의적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변화로 인한 기대심리와 이직의도 간 공공봉사동기의 조절효과는 유의적이지 않았으나, 그 이외 불안심리는 공공봉사동기의 조절효과가 유의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조직변화에 대한 기대심리가 공공봉사동기에 미치는 영향은 전력공기업 구성원들이 지방으로 이전하기 전 보다는 이후에 크며, 지방으로 이전 한 이후에는 기대심리와 이직의도의 관계가 낮아진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전정자극 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Vestibular Stimulation Training on the Balance of Patient with Chronic Stroke)

  • 남기원;오채은;서동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597-604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전정자극훈련 프로그램이 정적 균형 및 동적 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14년 7월 15일부터 9월 6일까지 진행하였으며, 대상자는 뇌졸중 진단을 받은 환자 20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고, 무작위로 Group I(일반운동치료, n=10)과 Group II(전정자극훈련, n=10)로 나누었다. 두 군 모두 주 3회, 회당 40분씩 6주간 치료적 중재를 실시하였다. 균형 능력은 Good Balance System을 이용하여 정적 균형 및 동적 균형을 측정하였으며, 중재 전과 후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전정자극 훈련군에서는 눈감고 선자세의 좌우 및 전후 균형, 눈뜨고 선자세의 좌우 및 전후 균형, 이동시간, 이동거리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일반운동 치료군에서는 눈뜨고 선자세의 좌우 균형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전정자극 훈련은 만성 뇌졸중 환자의 정적 균형 능력과 동적 균형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이러한 뇌졸중 환자의 균형능력 향상을 위한 치료프로그램에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기관지절개술 환자의 흡인시 사용하는 용액의 오염수준 변화 연구 (A Study on the Contamination of Solution with Suction used in Tracheostomy Patients)

  • 임윤희;유광수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85-200
    • /
    • 1998
  • It has been contributed to public health that the hospital has multiplied in the aspect of number and has been a large size with development of modern medical science, meanwhile the problem of hospital infection is coming out seriously. Respiratory hospital infection among hospital infections develops, very commonly from patients having taken the operation of intubation or tracheostomy, which results from a big factor that the infection developed from medical appliances used for respiration aids, contamination of solution and infection of medical staff. This study is separated into four steps-the time to use normal saline and distillation water for storaging catheter which are the cause of the infection of solution to store distillation water and catheter, not to say the catheter used when the patient who should get tracheostomy operation takes s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the basic data which are needed to check contamination degree as time goes by and nurse intervention and grope for a new nursing intervention. The target of this study is hospitalized 1D an intensive care unit having 700 sickbeds which is located in IKSAN city and it targeted patients before 7 days passed after an operaion of a tracheostormy. Materials collected were analyzed by SPSS PC+ figures program.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gradual contamination levels of the normal saline used In suction are showing that colony increase in proportion to the length of time. 2. while colony increases in normal saline with the lapse of time. distillation water mixed with 5cc of potadine did not show any sign of the formation of colony from its preparation until it was used for 8 hours. 3. Such variables as the period of intubation insertion. the length of hospitalization in I.C.U. the age and the level of contamination of normal saline have no inter-relationship. Therefore. as the length of normal saline used In suction. the contamination level increases with the excelleration of the contamination speed. 4. Regarding the number of suction and the contamination level of the normal saline. We can observe correlation contamination level in the 3 step of suction(mean value:13.4) and the saline which was used for one hours(r=0.702. P=0.00l). four hours(r=0.694. P=0.00l). eight hours(r=0.488. P=0.029). Further we can observe contamination in the 4 step of suction (mean value: 17 .8) well as saline used for eight hours; [for one hours (r=0.64l. P=0.002). four hours (r=0.670. P=0.00l). eight hours (r=0.57 4. P=0.008)]. Thesedays clinics use normal saline by changing it. three times a day. however. the timing of saline change and the current suction methoed should be changed given the one hour used normal saline contamination number 79.850. Regarding the number of suction and the contamination lend of the normal saline.

  • PDF

뇌졸중 환자의 웰니스를 위한 호흡기능, 하지근활성도 및 균형에 미치는 효과 - 호흡운동을 결합한 전신진동운동을 중심으로 - (Effects on the Respiratory Function, Lower Extremity Muscle Activity and Balance for the Wellness of Stroke Patients - Focused on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Combined with Breathing Exercise -)

  • 강정일;양상훈;정대근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397-405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전신진동이 결합된 들숨근 훈련을 적용하여 뇌졸중 환자의 호흡기능 개선 및 다리근육의 기능향상을 위한 운동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뇌졸중 환자 21명을 임상 표본추출하여 호흡운동을 결합한 전신진동운동을 적용한 집단 11명을 실험군I로, 호흡운동을 결합한 위약운동을 적용한 집단 10명을 실험군II로 각각 무작위 배치하여 5주 간, 4일/주, 1회/일, 4세트/1회 중재 프로그램을 시행하였다. 중재 전 최대들숨압 측정기로로 호흡기능을 측정하였고, 표면 근전도로 하지 근활성도를 측정하였으며, 버그발란스 검사를 사용하여 균형능력을 측정한 후, 5주 후에 사후검사를 사전검사와 동일하게 재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실험군I의 집단 내 변화 비교에서는 호흡근력, 넙다리두갈래근, 앞정강근의 활성도 및 균형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실험군II의 집단 내 변화 비교에서는 호흡근력과 균형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집단 간 변화 비교에서는 넙다리두갈래근, 앞정강근의 활성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1). 향후에도 신경근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호흡운동과 전신진동에 대한 프로토콜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텃밭가꾸기 활동이 유아의 영양지식 및 식습관에 미치는 영향 (An The Effects of Backyard Gardening Activities of Children's Nutrition Knowledge and Eating Habits)

  • 구자림;한상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292-301
    • /
    • 2020
  •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텃밭 가꾸기 활동을 통하여 유아의 영양 지식과 식습관 형성의 변화를 탐색하였다. 경기도 수원 H 어린이집과 화성 H어린이집 유아를 대상으로 실험집단 18명과 비교집단 18명으로 나누고, 사전사후 검사를 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이 거주하고 있는 두 지역 유아들은 아파트에 거주하고 있으며 비교집단은 텃밭 가꾸기 활동을 실시하지 않는 시설이다. 연구 도구는 영양지식 측정도구와 식습관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분석기법으로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동질성 검증을 위해 t-test(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텃밭 가꾸기 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의 만 3, 4세 유아들이 비교집단의 유아들에 비해 영양지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양지식의 경우, 텃밭 가꾸기 활동을 실시하기 이전에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실험처치 후에는 실험 집단이 비교집단의 사후 검사에서 영양지식(음식을 먹는 이유, 식품의 종류 및 기능, 위생, 텃밭)에 대한 개념 향상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텃밭 가꾸기 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의 만 3, 4세 유아는 경험하지 않은 비교집단의 유아들에 비해 식습관 태도 하위요소 중 식사예절과 식사 행동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텃밭 가꾸기 활동은 유아의 영양 지식과 식습관 형성에 긍정적인 변화를 기대할 수 있는 측면에서 교육적으로 유용성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

오픈이노베이션이 스타트업 성장에 미치는 영향 : 매출 협업 성과를 중심으로 (Impact of Open-innovation on Startup Growth : Focusing on Sales Collaboration Performance)

  • 김진우
    • 벤처혁신연구
    • /
    • 제6권4호
    • /
    • pp.1-21
    • /
    • 2023
  • 이 연구는 스타트업이 대기업 및 금융기관 등과의 오픈이노베이션 협업 성과와 관련한 연구이다. 일반적인 기업의 생애주기에서 스타트업의 성장은 예측하기 힘든 위치에 있다. 혁신적인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으나 설립된지 얼마되지 않은 스타트업은 대기업 및 금융기관과의 오픈이노베이션 참여를 통해 이들이 보유하고 있는 기술 및 능력에 대해 검증하고자 하며, 더 나아가 기업 성장의 발판을 마련하려고 노력한다. 하지만, 이론적 상생방안으로만 접근한다면 스타트업 입장에서는 막연한 시도로만 여겨질 것이다. 이 연구는 대기업과 중소기업(스타트업)의 오픈이노베이션 참여를 기준으로 매출 성과를 목적으로한 스타트업의 매출 성장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오픈이노베이션의 유익성을 차별성 있게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검증하는데 있어 실제 오픈이노베이션 협업 B2C 모델의 매출 결과를 기준으로 분석하였으며, 협업 이전과 이후를 비교함으로써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여기에 성장이론인 기업성장 단계이론을 반영함으로써 연구의 차별성을 더하였다. 기업성장 단계이론 배제한 경우 스타트업의 오픈이노베이션에 의한 매출 성장은 3개월차부터 적용됨이 확인되었으며, 참여 여부에 따른 매출 성장은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기업성장 단계이론이 적용된 경우 매출성장은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4개월차부터 그 성장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고, 참여 여부에 따른 매출 성장에서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이 연구는 스타트업의 오픈이노베이션 참여시 얻을 수 있는 효과를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내용으로써, 대기업, 금융기관 및 정부기관에서 주도하고 있는 오픈이노베이션이 양질의 프로그램 환경으로 발전되길 기대한다.

초임 중등 과학교사를 위한 협력적 멘토링에서 나타나는 멘토의 멘토링 특징과 멘티의 반성적 실천 사이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or Teachers' Mentoring Characteristics and Mentee Teachers' Reflective Practice in Collaborative Mentoring for Beginning Science Teachers)

  • 박지훈;남정희;강유진;박종석;손정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15-128
    • /
    • 2019
  • 이 연구는 협력적 멘토링에서 나타나는 멘토교사의 멘토링 특징과 멘티교사의 반성적 실천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고, 이로부터 멘티교사의 반성적 실천을 증진시킬 수 있는 멘토교사의 멘토링 방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교직경력 7년 이상의 멘토 4명과 초임중등과학교사 4명을 선정하여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멘토링 과정에서 수집한 자료들은 멘토 및 멘티 저널, 멘티교사의 5차시 수업 녹화본 및 전사본, 학습지도안, 수업평가지, 일대일 멘토링 녹음 및 전사본, 사전 설문, 중간 설문과 사후 설문, 일대일 멘토링 효과 설문 등이었다. 멘토교사의 멘토링 특징은 멘토교사의 상호작용 방법과 수업 피드백에 의한 지원의 내용과 빈도수로 구분하여 분석하였고, 멘티교사의 반성적 사고는 자발적 반성과 지원에 의한 반성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으며, 멘티교사의 반성적 실천은 RTOP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멘티교사의 교수 실행에서의 문제점을 멘티교사 스스로 파악할 수 있도록 대화를 유도하는 멘토교사는 멘티교사의 반성적 실천을 증진시킬 수 있었다. 멘토교사의 반성적 사고 유도 질문은 멘티교사의 자발적 반성을 이끌어 내었으며, 자발적 반성은 멘토교사의 지원에 대한 반성 및 반성적 실천을 증진시켰다. 또한 멘토교사가 수업 피드백을 통한 지원을 제공할 때 멘티교사 스스로 자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찾을 수 있도록 조력자의 역할을 할 경우 멘티교사의 반성적 실천을 증진시킬 수 있었다.

고등학교 과학과목 이수가 일 대학 간호학생의 기초간호과학 및 전공간호학성적에 미치는 융합적 효과 (The Converging Effects of Complete Science Subjects in High School on the Grades of Basic Nursing Sciences and Major Nursing Subjects of Nursing Students of one University)

  • 정인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97-106
    • /
    • 2016
  • 본 연구는 고등학교과학과목(이하, 과학과목)이수가 대학 입학 후 기초간호과학과 전공간호학성적에 미치는 융합적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일 대학 간호학과 4학년 111명 대상으로 시도되었다. SPSS 19.0으로 t 검정, Pearson 상관계수, 다중 및 단일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생물I, 생물II, 화학I, 화학II이수집단의 해부학, 생리학, 병리학 평균이 유의하게 높았고, 생물II 이수집단의 전공간호학평균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과학과목이수와 기초간호과학 및 전공간호학 간, 화학II 이수와 기초간호과학 간, 기초간호과학과 전공간호학 간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과학과목이수의 기초간호과학, 전공간호학에 대한 설명력은 각각 18.2%, 8.6%이었고, 기초간호과학의 전공간호학에 대한 설명력은 63.8%였다. 이 연구결과는 대상과 지역을 확대하여 반복연구 후 입학사정 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고, 입학 전 과학과목을 이수하지 않은 신입생의 기초간호과학의 효과적인 수강을 위한 준비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유산소운동이 금연에 참여한 여자대학생의 호기 일산화탄소 및 호흡순환기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erobic Exercise on Exhaled Carbon Monoxide and Cardiorespiratory Function of Female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Nonsmoking)

  • 김승석
    • 산업융합연구
    • /
    • 제18권5호
    • /
    • pp.30-35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융복합을 통한 유산소운동이 금연에 참여한 여자 대학생의 호기 일산화탄소 및 호흡순환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대상자는 D광역시 D대학 여자대학생들로 흡연을 시작한지 2년 이상 그리고 규칙적인 신체활동을 하지 않는 자를 우선 선별한 후, 실험 참가 의사를 밝힌 총 18명을 선정하여, 금연의 서약서와 실험 동의서를 받았다. 무선배정으로 운동집단 9명, 통제집단 9명으로 분류하였으며, 정확한 운동프로그램을 설정하기 위해 최대하운동부하검사를 통해 개인별 운동강도를 설정하여 1-3주 50%HRmax, 4-6주 60%HRmax, 7-9주 70%HRmax로 설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일산화탄소의 변화는 운동집단에서 참여 전 상습흡연자 수치에서 참여 후 비흡연자 수치로 나타났으며, 통제집단 역시 금연의 효과로 비흡연자 수치를 보였다. 둘째, 호흡순환기능은 운동집단에서 최대산소섭취량, 최대심박수, 최대환기량 모두 유의한 증가를 보였지만, 통제집단은 유의한 수준의 변화를 보이지 않아 건강한 삶을 영위하기 위해 규칙적인 신체활동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