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ach profile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6초

해운대(海雲臺)사빈(砂濱)의 단면(斷面)의 천이주행(遷移走行) 및 저류(貯溜) 표사량(漂砂量) 변화특성(變化特性)에 관한 연구(研究) (A Study on the Profiles Transition and Storage Movement on the Profiles at HAEUNDAE Beach)

  • 양윤모;함계운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권1호
    • /
    • pp.1-12
    • /
    • 1983
  • 자연해안(自然海岸)에 호안등(護岸等) 구조물(構造物)과 새로운 용지(用地)의 확보(確保)를 위해 매립(埋立)을 행(行)하였을 경우 이에 수반되는 예기(豫期)치 않던 지형변화(地形變化) 해안공학상(海岸工學上) 커다란 문제점(問題點)으로 대두(擡頭)되고 있다. 본(本) 연구(硏究)는 최근(最近) 사빈침식(砂濱侵蝕)이 심(甚)하게 얼어나고 있는 해운대사빈(海雲臺砂濱)의 침식방지(侵蝕防止) 및 양빈공법(養濱工法)을 모색(摸索)할 목적(目的)으로 사빈(砂濱)의 단면변화특성(斷面變化特性)을 안정적(安定的)으로 진단(診斷)하고자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해석방법(解析方法)에 의해 진단(診斷)을 행(行)하였다. (1) 현장실측자료(現場實測資料)에 의해 사질단면(砂質斷面)의 경년적변화(徑年的變化)를 조사(調査)하였다. (2) 저질특성(底質特性)에 의한 단면(斷面)의 형성(形成) 및 진행상태(進行狀態)를 고찰(考察)하였다. (3) Malkov chain model에 의한 이론적(理論的) 고찰방법(考察方法)을 해운대사빈(海雲臺砂濱)에 적용(適用)하고 단면(斷面)의 천이특성(遷移特性)을 한정(限定)된 단면형상(斷面形狀) 천이(遷移) model로 확정(確定)하여 단면변화(斷面變化)의 주행특성(走行特性)을 파악(把握)하였다. (4) 해운대사빈(海雲臺砂濱)의 천이(遷移) model 해석결과(解析結果)로서 매수면상(梅水面上)(MSL)의 저류표사량((貯溜漂砂量)을 확정(確定)하는 형상함수(形狀凾數)에 의해 결정(決定)된 자연사빈(自然砂濱)의 저류표사량산정식((貯溜漂砂量算定式)이 호안(護岸)과 같은 해안구조물(海岸構造物) 설치(設置)된 사빈단면砂濱(斷面) 저류표사량산정((貯溜漂砂量算定)에도 유용(有用)하게 적용(適用)될 수 있음을 검토확인(檢討確認)하였다.

  • PDF

Undertow를 고려한 해빈단면지형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each Profile Change in the Consideration of Undertow)

  • 손창배;김창제
    • 한국항만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47-154
    • /
    • 1999
  • A Numerical model is developed in order to predict cross-shore beach profile change. In this model it is assumed that sediment transport is generated by waves(bed load transport suspended load transport) and undertow which is defined as offshore directional steady flow in the surf zone. In addition wave tank experiments which reproduce storm-surge were performed. By comparing resulting profile of calculation with experiments, the applicability of this method is verified.

  • PDF

천해 불규칙파에 의한 해빈변형 및 평형 (Beach Profile Change and Equilibrium due to Irregular Waves in the Nearshore Region)

  • Kang, Hyo-Jin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95-102
    • /
    • 1996
  • Wells (1967)에 의해 제안된 2nd order 파랑들의 비선형 상호작용에 의한 바닥 부근에서의 유속분포에 대한 왜도(skewness)를 다시 계산하고 재평가하였다. 해안선에 수직한 방향의 퇴적물 이동 방향을 그 유속의 3차 모멘트(왜도)의 부호에 따라 알 수 있음을 보였고, 해빈이 어떤 교란을 받은 후에도 원래의 평형을 회복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중립수심을 제안하였다. 또한 계절적인 파랑조건의 변화에 따른 해빈단면의 변화(폭풍-너울 단면)도 종래의 단순한 파랑구배에 의한 구분보다는 파랑의 비선형 상호작용으로 설명되었다. 즉, 파랑의 비선형 작용이 강할 때에는 (폭풍파) 해빈은 침식을 받으며, 반면에 비선형작용이 약할 때에는 (너울파) 해빈은 퇴적됨을 보였다.

  • PDF

광안리 해수욕장의 최소 해빈폭 관리를 위한 양빈 설계 (Beach Nourishment Design for Minimum Beach Width Management at Gwangalli Beach)

  • 배선한;이정렬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15년 정기학술대회
    • /
    • pp.141-143
    • /
    • 2015
  • 본 연구는 해변의 양측에서 퇴적되고 해변 중앙에서 침식이 일어나고 있는 광안리 해수욕장에 최소 해빈폭을 최대로 하는 최적의 양빈 설계를 하고자 실시하였다. 광안리 해수욕장에 3가지 case의 양빈안을 수치 모의 시나리오로 구성하여 OneLine Shoreline Model을 적용하여 해빈폭의 시간적 변화를 모의하였으며, Cross-shore Profile Model을 적용하여 연평균 파고에 따른 전진폭과 최고 파고에 따른 침식폭을 추정하였다.

  • PDF

지상 라이다를 이용한 단기간 해빈과 해안사구의 지형변화 연구 (The short-term morphological changes of the beach and dune using by terrestrial LIDAR)

  • 신대섭;서종철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83-296
    • /
    • 2011
  • 경북 포항시 북구 송라면의 화진 해빈을 대상으로 지상 라이다를 이용하여 두 차례 측량한 후 단기간의 해빈과 해안사구 지형 변화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해빈의 역동성과 일반 이론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2010년 9월과 10월에 2회에 걸쳐 측량된 자료를 통해 10cm 간격의 고해상도 DEM과 음영기복도를 제작하였다. 그 결과 수 cm 단위의 해안 미지형을 파악할 수 있었고, 측정 시기에 따른 해안선의 위치와 해안지역의 면적 변화가 정확하게 확인되었다. DEM을 이용한 단면 분석에서는 북쪽 해빈의 비치페이스(beach face)가 침식 현상이 확인되었고, 남쪽 해빈에서는 중간 부분의 비치페이스(beach face)에서 퇴적 현상이 확인되었다. 또한 두 시기의 지형 단면은 파랑의 에너지 상태를 잘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형해빈단면 개념을 이용하여 파랑 에너지 유입에 따른 해안선 변동 해석 (Analysis of Shoreline Response due to Wave Energy Incidence Using Equilibrium Beach Profile Concept)

  • 김태곤;이정렬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16-122
    • /
    • 2018
  • Dean's equilibrium beach profile formula was us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tatic shoreline position and the incident wave energy. The effect of the longshore sediment transport was neglected, and the results showed the reasonable agreement compared with the field observations of Yates et al.(2009), which were conducted for almost 5 years on southern California beaches, USA. The shoreline response varies with the scale factor of Dean's equilibrium beach profile. This implies that the shoreline response could be simply estimated using the sampled grain size without laborious long-term field work. Therefore, the present study results are expected to be practically used for the layout design of submerged or exposed detached breakwaters although the further work is required for performance verification. In addition, after laborous mathematical reviews, the linear relation between incident energy and shoreline response, which was obtained from Yates's field study, yielded a clear mathematical equation showing how the beach slope is related to the grain size.

수치모델을 이용한 인공 연안 사주가 있는 해빈 단면 변화 연구 (Study of Beach Profile Change with a Fixed Artificial Bar Using a Numerical Model)

  • 김태림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59-65
    • /
    • 2003
  • 자연 연안 사주와 고정된 인공 연안 사주가 있는 해안에서의 해양 물리 환경 변화에 따른 해빈 단면변화를 수치모델을 통하여 연구하였다. 수치 모델은 준3차원 파랑-흐름-퇴적물 이동모델에 인공 구조물 위에서의 퇴적물 이동에 대한 경계조건을 제안하여 적용하였다. 수치실험 결과 자연 사주의 경우 해수면이나 파고의 변화에 따라 위치를 이동하며 적을 하였으나 고정된 인공 사주의 경우 사주 후면에 새로운 자연 사주를 형성시키거나 혹은 사주 후면에서 세굴 현상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는 잠제 설치에 따른 해안 지형 변화를 연구하는데 응용될 수 있다.

평형해빈단면식을 이용한 해빈반응실험에 대한 이동상 모형법 (Movable-Bed Modeling Law for Beach Response Experiments Using Equilibrium Beach Profile Formula)

  • 김진훈;김인호;이정렬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351-360
    • /
    • 2018
  • The construction of large scale harbor structures at Maengbang beach, which is located on the eastern coast of Korea, is of great concern because it may cause disastrous beach erosion in the vicinity. Therefore, a hydraulic model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orphological changes after such construction. The water depth was scaled using the method of Van Rijn (2010), which is a well-known scale law, but the results appeared to be overestimated. The present study developed a new scale law that applies an equilibrium beach profile formula to scale the model evolution to the prototype scale. When compared with survey data observed at Maengbang beach, the proposed method showed better agreement than the method of Van Rijn (2010).

해빈 종단면 변형의 수치모의 (Numerical Simulation of Beach Profile Changes)

  • 천세현;안경모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101-109
    • /
    • 2008
  • 현재까지 제안된 해빈 종단면 변형 모델은 공통적으로 폭풍으로 인한 해빈침식과 연안 사주의 형성에 대해서는 비교적 잘 모의 할 수 있었으나 폭풍 후 퇴적작용에 의한 정상 해빈으로의 복구 과정은 잘 모의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한계를 극복하고자 쇄파에 의해 부유된 모래를 천수 Dean상수를 이용해 재분배하는 메카니즘을 적용한 새로운 수치모델을 제안하였다. 수치모의 결과를 미육군공병단과 일본 중앙전력연구소에서 실시한 LWT (Large Wave Tank) 실험과 비교하여 정확성을 검증하였다.

불규칙한 수심단면에서 쇄파대 부근의 파고변형 (Wave Transformation near the Surfzone on the Arbitrary Beach Profile)

  • 최한규;강장수;이철응
    • 산업기술연구
    • /
    • 제17권
    • /
    • pp.261-275
    • /
    • 1997
  •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two numerical model for predicting the wave height with set-up/down near the surfzone on a arbitrary beach profile. Two wave models, regular wave model and random wave model, are based on the energy flux equation with the energy dissipation effects. The developed numerical models are verified by comparison of numerical results with analytical solutions that are derived under the simple conditions. The characteristics of parameters included in each model are then investigated and decided to the range of behaviour by the sensitivity analysis. For sensitivity analysis, we carried out total 46 laboratory tests. Finally, the developed numerical models are applied to the field where the wave height near the surfzone has been measured. From the applications of numerical models, it is concluded that the developed numerical models may accurately predict the wave height with the set-up/down near the surfzone on a arbitrary beach profil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