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cl-2 protein, p53 protein

검색결과 121건 처리시간 0.027초

완전 절제된 제IIIA기 비소세포폐암에서 Cyclin D1, p53, Bcl-2 단백질 발현의 의의 (Correlation between Cyclin D1, p53, Bcl-2 Protein Expression and Prognosis in Primary, Resected Stage IIIA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 정경영;양우익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12호
    • /
    • pp.1200-1205
    • /
    • 1998
  • 연구목적: 폐암은 protooncogene의 활성화와 종양억제유전인자(tumor suppressor gene)의 비활성화 등 다단 과정에 의하여 발생한다. 치료목적의 완전 절제가 가능하였던 제 IIIA기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cyclin D1, p53, bcl-2 gene의 변이가 폐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0년부터 1995년까지 연세의료원에서 치료목적의 완전절제가 가능하였던 stageIIIA 비소세포폐암 환자 100명의 paraffin block과 임상기록을 이용하였다. 각 환자의 조직절편을 labelled streptavidin-biotin method로 immunohistochemical 염색하였고 cyclin D1, p53, Bcl-2 immunostaining을 위한 조직절편들은 immunostaining하기 전 citrate buffer 내에서 10분에서 20분간 microwave oven으로 전처치한 후 cyclin D1은 NCL-cyclin D1-GM으로 p53는 lone DO-7으로 bcl-2는 clone 124로 overnight incubation하였다. 수술 후 평균 추적조사기간은 24.1 개월(range; 2∼84 개월)이었다. 결과: 100예의 폐암 중 56예가 편평상피세포암, 37예가 선암, 5예가 adenosquamous cell carcinoma, 2예가 대세포암이었고 수술 후 5년 생존율은 32.1%이었다. cyclin D1의 양성율은 35 %, p53는 56 %, bcl-2는 17 %였으나 cyclin D1, p53, Bcl-2 단백질 양성 발현과 생존율과의 상관관계는 없었다. 결론: 연구결과 cyclin D1, p53, Bcl-2 단백질 양성 발현이 비소세포폐암 발생기전과 연관되어 있으나 수술 후 예후인자로서는 부적당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비호지킨림프종에서 아포프토시스 및 세포증식 : Bcl-2, P53 단백발현과의 관계 (Apoptosis and Proliferative Activity of Non-Hodgkin's Lymphoma : Correlation with Bcl-2 and P53 Protein Expression)

  • 오윤경;이미자;전호종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0권1호
    • /
    • pp.73-80
    • /
    • 2002
  • 목적 : 종양의 성장은 세포의 증식과 소실의 순수한 결과이며, 대부분의 종양들에서 아포프토시스는 계속되는 세포 소실의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호지킨림프종 환자들을 REAL 분류에 따라 재분류한 다음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이용하여 아포프토시스 지수, Ki-67 세포증식지수, Bcl-2 단백 발현, P53 단백 발현을 관찰하여 종양의 성장에 영향을 주는 여러 인자들의 관련 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비호지킨림프종 환자 6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Working Formulation을 이용하여 분류하였을 때 저등급이 3명, 중등급이 64명이었다. 세포 표현형은 전체 67명의 환자 중 47명$(70\%)$이 B세포 표현형이었고, 18명$(27\%)$이 T세포 표현형이었으며, 2명에서는 분류할 수 없었다. 환자의 파라핀 포매 조직을 이용하여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실시하여 아포프토시스 지수와 Ki-67 세포증식지수, Bcl-2 단백발현, P53 단백발현을 관찰하였다. 결과 : Bcl-2 단백의 발현은 $40\%$ (26/65)에서 양성 반응을 보였다. P53 단백의 발현은 $31\%$ (20/65)에서 보였다. 아포프토시스 지수는 $0\%$$15\%$사이의 범위에 있었으며 평균은 2.16이고 중앙값은 1.2이었다. 아포프토시스 지수는 세포 표현형이나 P53 단백발현 여부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Bcl-2 단백발현 여부에 따라서는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p=0.005). Bcl-2 단백발현이 양성이면 아포프토시스 지수가 낮았다. Ki-67 세포증식지수는 $1\%$$91\%$ 사이의 범위에 있었으며 평균은 $55.4\%$이었다. Ki-67 세포증식지수는 세포표현형이나 B치-2 단백발현 여부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P53 단백발현 여부에 따라서는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p=0.000). 전체 환자군에서는 아포프토시스 지수와 Ki-67 세포증식지수 사이에 관련이 없었으나, Bcl-2 단백발현 양성인 환자에서는 아포프토시스 지수가 증가하면 Ki-67 세포증식지수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p=0.012). 결론 : Bcl-2 단백발현이 양성이면 아포프토시스 지수가 낮았고, P53 단백발현이 양성이면 Ki-67 세포증식지수는 높았다. 또한 Bcl-2 양성인 환자에서는 아포프토시스 지수와 Ki-67 세포증식지수사이의 양성 연관성을 보였는데 이는 아포프토시스가 종양의 성장에 있어서 세포의 증식과 별도로 분리하여 생각할 수 없는 것임을 시사해준다고 본다.

흉선상피종에서 bcl-2, p53 단백의 발현과 악성도 (Expression of bcl-2, p53 Protein and Aggressiveness in Thymic Epithelial Tumor)

  • 조성래;전도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8호
    • /
    • pp.726-731
    • /
    • 1999
  • 목적 및 배경: 세포사를 조절하는 암유전자 산물인 bcl-2 단백과 암억제유전자 산물인 p53 단백은 암의 발생 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종양 조직내에서 bcl-2 단백 및 p53 단백의 발현과 종양의 악성도 및 예후와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흉선종에서의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대상 및 방법: 1984년부터 1997년까지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흉부외과에서 수술 치험한 흉선상피종 중 병리 조직의 보관이 비교적 양호하고 병록 기록지가 충실한 30례를 대상으로 Rosai씨 분류법 및 Masaoka 병기와 중증근 무력증의 동반 여부에 따라 분류하고 종양조직을 이용하여 면역조직화학 검사를 시행하여 각 분류에 따른 bcl-2 단백과 p53 단백의 발현율, 그리고 bcl-2 단백과 p53 단백의 발현간에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결과: bcl-2 단백은 비침습성 흉선종에는 발현된 경우가 없었고 침습성 흉선종 10례 중 3례(30%), 흉선암 11례 중 8 례(61.5%)에서 발현되어 악성도가 높을수록 발현율이 높게 나타났다(p=0.021). p53 단백은 비침습성 흉선종에 서 1례(14.3%), 침습성 흉선종 5례(50%), 흉선암 8례(61.5%)에서 발현되어 악성도가 높을수록 발현율이 높아 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p=0.126). 17례의 흉선종의 Masaoka 병기(1기 5례, 2기 7례, 3기 2례, 4a기 3례)에 따른 bcl-2 단백은 1기와 4a기에서는 발현 예가 없었고, 2기 1례(14.3%), 3기 2례(100%) 에서 발현되어 병기가 진행할 수록 높은 발현율을 보였고(p=0.011), p53 단백은 1기 1례(20%), 2기 2례 (28.6%), 3기 2례(100%), 4a기 1례(33.3%) 발현되어 p53 단백 역시 병기가 진행할 수록 발현율이 높아지는 경 향을 보였으나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p=0.229). 중증근무력증의 동반 여부와 bcl-2단백, p53 단백의 발현 과는 무관하였다. bcl-2 단백과 p53 단백의 발현간의 상관관계는 bcl-2 단백과 p53 단백의 발현이 일치하는 경우가 23례(76.7%), 불일치하는 경우가 7례(23.3%)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kappa치=0.525). 결 론: 흉선상피종 조직내 bcl-2 단백의 발현은 종양의 악성도를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p53 단백은 종양의 악성도와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두 단백의 발현간에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의 규명을 위해서는 향후 p53 단백의 유전자 변이와 두 단백의 발현과 환자의 생존율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 구가 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Induction of p21 and apoptosis by C11 in human hepatocarcinoma cells

  • Kim, Won-Ho;Kang, Kyung-Hwa;Choi, Kyung-Hee
    • 한국동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학회 1998년도 한국생물과학협회 학술발표대회
    • /
    • pp.360-360
    • /
    • 1998
  • C11, a chloride-containing VK3 analog, acts as a mediator of programmed cell death in SK-Hep-1 cell lines, but its molecular mechanisms linked to cell death are not understoo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xpression of p21 gene and its relationship to apoptosis induced by C11. In SK -hep-1 cells, the addition of C11 resulted in time-dependent growth suppression and DNA fragmentation characteristics of apoptosis. p21 protein was induced during this process, while the protein level of p53 was not changed at the same condition. This apoptotic cell death with p21 induction was also observed in the Hep3B cells lacking functional p53 after treatment of C11. These results suggest that C11-induced apoptosis is associated with up-regulation of p21 protein in p53-independent pathway. Next, in order to confirm whether the p53-independent p21 induction is required for C11-induced apoptosis, we introduced the p21 gene into Hep3B. Overexpression of p21 did not affect the expression of the bcl-2 gene, but DNA fragmentation and PARa cleavag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These data indicate that p21 is involved in C11-induced apoptosis. Although Bcl-2 has been implicated to interfere with an essential signaling molecule involved in the apoptosis pathway, its molecular mechanism and target molecule are poorly understoo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bcl-2 overexpression on apoptosis and to investigate whether BcI-2 interfers with the p53-independent p21 pathway, we transfected the bcl-2 expression vector into SK - Hep-1 cels. Overexpression of Bcl-2 prevented C11-induced apoptosis. Taken together, C11-induced apoptosis is regulated by p52-independent p21 pathway and bcl-2 may inhibit functional activity of p21, therebe may inhibit the C11-induced apoptosis.ptosis.

  • PDF

함치성 낭종 및 법랑아세포종에 있어서 Apoptosis 관련 단백 발현에 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IMMUNOHISTOCHEMICAL STUDY ON EXPRESSION OF APOPTOSIS RELATED PROTEINS IN DENTIGEROUS CYST AND AMELOBLASTOMA)

  • 최진영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2권1호
    • /
    • pp.15-21
    • /
    • 2000
  • 저자는 국소적 재발율에 있어서 큰 차이를 보이는 두 치성종양중 대표적인 함치성 낭종과 법랑아세포종에 있어서 apoptosis 관련 단백(p53, bcl-2, bax)의 발현 양상을 관찰하기 위하여 10례의 함치성 낭종과 16례의 법랑아세포종에 대하여 면역조직화학적 연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p53은 함치성 낭종보다 법랑아세포종에서 강하게 발현되었고 법랑아세포종의 조직학적 분류에 따른 p53 발현의 차이를 관찰할 수 없었으며 함치성 낭종의 경우에는 p53이 거의 basal layer에서 발현되었다. 2. Bcl-2는 함치성 낭종의 경우 주로 기저층 혹은 전층에서 발현되었고 법랑아세포종에서는 바깥층 혹은 전층에서 발현되었는데 특히 종양 실질조직중 입방형 또는 주상형 세포층에 집중되어 염색되었다. 3. Bax는 함치성 낭종의 경우 법랑아세포종에 비하여 보다 강하게 발현되었고 함치성 낭종과 법랑아세포종간에 발현양상의 차이는 관찰할 수 없었다. 함치성 낭종 및 법랑아세포종에 있어서 apoptosis 관련단백의 발현양상에 관한 이러한 차이가 법랑아세포종의 독특한 공격적 성장양상과 연관이 있으리라 사료된다.

  • PDF

Expression of bcl-2 and p53 in Induction of Esophageal Cancer Cell Apoptosis by ECRG2 in Combination with Cisplatin

  • Song, Hai-Yan;Deng, Xiao-Hui;Yuan, Guo-Yan;Hou, Xin-Fang;Zhu, Zhen-Dong;Zhou, Li;Ren, Ming-Xi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3호
    • /
    • pp.1397-1401
    • /
    • 2014
  • Aim: To investigate the mechanisms of induction of apoptosis of esophageal cancer cells by esophageal cancer-related gene 2 (ECRG2) in combination with cisplatin (DDP). Methods: Hoechest staining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effects of single ECRG2 and ECRG2 in combination with DDP on apoptosis of EC9706 cells. The expression levels of p53 and bcl-2 mRNA and protein were determined by RT-PCR and Western blotting, respectively. Results: The number of apoptotic cells after the treatment with ECRG2 in combination with DDP for 24 hours was more than that after the treatment with single ECRG2. RT-PCR and Western blotting showed that the expression levels of bcl-2 mRNA and protein were both down-regulated, while p53 mRNA and protein were both up-regulated in the cells treated with ECRG2 in combination with DDP compared with those given ECRG2 alone. Conclusion: ECRG2 in combination with DDP can enhance the apoptosis of EC9706 cells, possibly by down-regulating bcl-2 expression and up-regulating p53.

The Combined Effects of Ginkgo Biloba Extracts and Aspirin on Viability of SK-N-MC, Neuroblastoma Cell Line in Hypoxia and Reperfusion Condition

  • Moon, Sung-Hwan;Lee, Yong-Jik;Park, Soo-Yong;Song, Kwan-Young;Kong, Min-Ho;Kim, Jung-Hee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49권1호
    • /
    • pp.13-19
    • /
    • 2011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mbined effects of ginkgo biloba extract, ginkgolide A and B and aspirin on SK-N-MC, human neuroblastoma cell viability and mRNA expression of growth associated protein43 (GAP43), Microtubule-associated protein 2 (MAP2), B-cell lymphoma2 (Bcl2) and protein53 (p53) gene in hypoxia and reperfusion condition. Methods: SK-N-MC cells were cultured with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 media in $37^{\circ}C$, 5% $CO_2$ incubator. The cells were cultured for 8 hours in non-glucose media and hypoxic condition and for 12 hours in normal media and $O_2$ concentration. Cell survival rate was measured with Cell Counting Kit-8 (CCK-8) reagent assay. Reverse transcriptase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was used to estimate mRNA levels of GAP43, MAP2, Bcl2, and p53 genes. Results: The ginkgolide A and B increased viable cell number decreased in hypoxic and reperfused condition. The co-treatment of ginkgolide B with aspirin also increased the number of viable cells, however, there was no additive effect. Although there was no increase of mRNA expression of GAP43, MAP2, and Bcl2 in SK-N-MC cells with individual treatment of ginkgolide A, B or aspirin in hypoxic and reperfused condition, the co-treatment of ginkgolide A or B with aspirin significantly increased GAP43 and Bcl2 mRNA levels. In MAP2, only the co-treatment of ginkgolide A and aspirin showed increasing effect. The mRNA expression of p53 had no change in all treating conditions.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ombined treatments of Ginkgo biloba extracts and aspirin increase the regeneration of neuroblastoma cells injured by hypoxia and reperfusion.

산양삼 첨가 고지방식이가 골격근의 항세포사멸에 대한 작용 연구 (The Study of Mountain Ginseng-added High Fat Diet on Anti-Apoptosis of Skeletal Muscle)

  • 서효빈;김판기;류승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3호
    • /
    • pp.383-38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고지방식이에 산양삼 첨가량을 달리하였을 때, 흰쥐의 골격근에서 항세포사멸 단백질 발현을 보고자 하였다. 24마리의 SD계 수컷 흰쥐를 대상으로 CON(고지방식이군), MG1(0.5% 산양삼 첨가 식이군), MG2(1.0% 산양삼 첨가 식이군)으로 각 그룹별 8마리씩 분류하였다. 4주간의 각 식이섭취의 결과 세포사멸 활성유전자인 p53은 MG2군이 CON군과 MG1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으며, 항세포사멸 인자인 bcl-2와 bcl-xl은 MG1군과 유의한 차이는 나지 않았으나 CON군보다 높은 발현량을 나타내었다. 최종 세포사멸의 인자인 caspase-9 및 3는 CON군과 비교하여 산양삼을 섭취한 그룹에서 낮은 발현량을 나타내었다. 특히, MG2군에서는 유의하게 낮은 발현량을 나타내어 고지방식이에 산양삼 첨가는 골격근에서 세포사멸 활성 유전자인 p53을 억제하고, 항세포사멸 유전자의 활성을 증가시켜 최종 세포사멸인자의 활성을 저해하여 약용식물로서의 인체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 사료된다.

Effect of Carcinogenic Chromium(VI) on Cell Death and Cell Cycle in Chinese Hamster Ovary Cells

  • Lee, San-Han;Nam, Hae-Seon;Kim, Sung-Ho
    • 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13-120
    • /
    • 2004
  • Chromium compounds are known human and animal carcinogens.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sodium chromate on apoptosis and cell cycle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unveil the elements of early cellular responses to the metal. Using Chinese hamster ovary cells(CHO-K1-BH4), we found taht chromium (VI) treatment induced apoptosis in these cells, as signified by nuclear fragmentation, DNA laddering on agarose gel electrophoresis, and an increased proportionof cells with hypodiploid DNA. Preceding these changes, chromium (VI) treatment increased caspase 3 pritease activity and also increased expression of p53 protein, while the level of bcl2 protein was not changed. Coincubation with caspase inhibitor, Z-DEVD-FMK, inhibited chromium-induced apoptosis. In the flow cytometric analysis using propidium iodide fluorescence, an increase of cell population in G2/M phase was shown in cells exposed to at least 160 $\mu\textrm{m}$ of sodium chromate for 72h, form 9.8% for 0$\mu\textrm{m}$ chromium (VI) to 26.4% for 320$\mu\textrm{m}$ chromium(VI). Taken togethe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hromium(VI)-induced apoptosis is accompanied by G2/M cell cycle arrest, and that p53-mediated pathway may be involved in positive regulation of G2/M arrest and a concurred apoptosis in CHO cells.

  • PDF

폐암세포에 대한 부자(附子) 추출물의 독성 효과 (Cytotoxic Effects of Radix Aconiti Extract in Lung Cancer Cell Lines)

  • 권강범;김은경;문형철;송용선;류도곤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628-632
    • /
    • 2005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ytotoxic effect and its mechanism on Radix Aconiti(RA) extract in lung cancer cell lines. RA extract treatment decreased the cell viability in a dose-dependent fashions in lung cancer cells including A549, H460, H23 and H157 cells. Many investigators reported that A549 and H460 cells expressed wild-type p53, but H23 and H157 cells preserved mutated p53. After treatment with RA extract in A549 and H460 cells, we measured the expression of p53 protein levels using Western blot. analysis. In both cells treated with RA extracts, p53 protein expressions were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our experiments, RA extracts also have cytotoxic effects in H23 and H157, which have mutated p53. Treatment with RA extract decreased bcl-2 protein expressions in both cel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RA extracts have cytotoxic effects via p53 expression increase and bcl-2 inhibitable pathways in A549, H460 cells and H23, H157 cells,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