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sin-to-basin comparison

검색결과 265건 처리시간 0.029초

이목정 소유역의 하천차수를 고려한 프랙탈 차원의 산정 (Estimation of Fractal Dimension According to Stream Order in the leemokjung Subbasin)

  • 고영찬;선우중호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1권5호
    • /
    • pp.587-597
    • /
    • 1998
  • 기존의 연구자들은 하천길이의 프랙탈 차원은 유역내 전체 하천에 대해 균일하며 그 수치도 1.09~1.13로 상당히 크게 보았다. 그렇지만 국제수문개발계획의 대표유역중 하나인 평창강수계내 이목정 소유역을 대상으로 1/50,000, 1/25,000, 1/5,000의 3개 축척 지형도를 이용하여 프랙탈 차원을 산정한 결과 하천차수별로 서로 다른 프랙탈 차원을 갖는 것을 발견하였고, 또한 전체 하천으로 보아도 기존 연구자들이 제안한 수치보다 작은 수치를 보였다. 이목적 소유역내 하천의 프랙탈 차원을 산정한 결과에 의하면 기존의 국내외의 연구가 전체 하천을 균일한 프랙탈 차원을 갖는 것으로 보는 것과 달리 1차, 2차 하천은 1.033, 이보다 하천차주가 높은 3차, 4차 하천을 1.014의 값을 보이는 등 하천차수별로 프랙탈 차원이 다르게 산정되었다. 또한 전체적인 하천길이에 대한 프랙탈 차원도 1.027로서 국내외에서 제시된 기존의 하천길이에 대한 프랙탈 차원인 1.09~1.13 사이의 수치는 실제보다 너무 과대평가된 것으로 추정된다.

  • PDF

GIS 기반에서 토양침식의 정량화를 위한 해상도 결정에 관한 연구 (The Determination of Resolution for Quantification of Soil Loss in GIS Environment)

  • 장영률;이근상;조기성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0권2호
    • /
    • pp.301-316
    • /
    • 2002
  • 강우나 물의 유출에 의한 토양침식은 농업 생산성을 떨어뜨리고 목초지를 손상시키며, 물의 흐름을 방해하는 등의 각종 환경적인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 또한 침식된 토사의 하천유입으로 저수지나 댐의 유효저수량이 감소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GIS를 연계하여 유역의 토양침식량을 추정하기 위해 수정범용토양손실공식(RUSLE)을 주로 활용하고 있으나, 실측자료와의 비교가 어려워 계산된 토양침식량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것은 큰 의미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RUSLE 모형으로 계산한 토양침식량의 정량적인 추정을 위해 보성강 유역의 비퇴사량 실측자료를 이용하였다. RUSLE 모형으로 계산한 비유사량과 비퇴사량 실측자료로부터 계산한 비유사량과의 비교 검토를 통해 RUSLE 계산에 적합한 해상도를 결정한 결과, 150m의 셀크기가 가장 적절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Enhancing streamflow prediction skill of WRF-Hydro-CROCUS with DDS calibration over the mountainous basin.

  • Mehboob, Muhammad Shafqat;Lee, Jaehyeong;Kim, Yeonjoo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1년도 학술발표회
    • /
    • pp.137-137
    • /
    • 2021
  • In this study we aimed to enhance streamflow prediction skill of a land-surface hydrological model, WRF-Hydro, over one of the snow dominated catchments lies in Himalayan mountainous range, Astore. To assess the response of the Himalayan river flows to climate change is complex due to multiple contributors: precipitation, snow, and glacier melt. WRF-Hydro model with default glacier module lacks generating streamflow in summer period but recently developed WRF-Hydro-CROCUS model overcomes this issue by melting snow/ice from the glaciers. We showed that by implementing WRF-Hydro-CROCUS model over Astore the result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comparison to WRF-Hydro with default glacier module. To constraint the model with the observed streamflow we chose 17 sensitive parameters of WRF-Hydro, which include groundwater parameters, surface runoff parameters, channel parameters, soil parameters, vegetation parameters and snowmelt parameters. We used Dynamically Dimensioned Search (DDS) method to calibrate the daily streamflow with the Nash-Sutcliffe efficiency (NSE) being greater than 0.7 both in calibration (2009-2010) and validation (2011-2013) period. Based on the number of iterations per parameter, we found that the parameters related to channel and runoff process are most sensitive to streamflow. The attempts to address the responses of the streamflows to climate change are still very weak and vague especially northwest Himalayan Part of Pakistan and this study is one of a few successful applications of process-based land-surface hydrologic model over this mountainous region of UIB that can be utilized to have an in-depth understanding of hydrological responses of climate change.

  • PDF

농업용 저수지 내 침강지의 설치유형에 따른 수질정화효율 평가 (The Evaluation of Pollutant Removal Efficiencies by Sedimentation Basin Types constructed at the Inlets of Irrigation Reservoirs)

  • 장정렬;최선화;남귀숙;권순국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8권8호
    • /
    • pp.665-674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농업용 저수지 유입부에 설치된 3가지 유형(준설형, 차수막형, 보조댐형)의 침강지에 대한 수질정화효율 평가와 수질정화효율 면에서 유리한 침강지의 유형과 적정규모를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 주요 수질 항목에 대한 정화효율과 침강지 설치전후의 퇴적물의 이화학적특성을 조사하였다. 수질정화효율은 침강지 유형, 수질항목 및 조사시기에 따라 $-87\%$에서 $92\%$사이의 넓은 변동을 보였다. 농도회귀법(ROC)으로 평가한 설계정화효율은 준설형이 $18\%$, 차수막형이 $29\%$, 보조댐형이 $42\%$로 나타났다. 보조댐형에서는 퇴적물의 이화학적특성 변화가 있었으나, 다른 두 유형에서는 미미하였다. 정화효율, 배수면적 대 유역면적비(SAR), 체류시간 측면에서 비교한 결과, 보조댐형 침강지가 가장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침강지는 저수지 수체와 완전히 분리되는 구조이면서 SAR가 $0.7{\sim}1.0\%$ 정도인 규모가 적절하다. 

다목적댐군의 실제 연계운영 효과 평가 (Evaluation of Effects of Real Joint-Operation of Multi-purpose Dams)

  • 강민구;이광만;차형선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0권2호
    • /
    • pp.101-112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댐군을 연계운영할 경우 발생하는 효과를 이수측면에서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여 한강수계 댐군 운영 실적의 평가에 적용하였다. 개발된 평가방법에서는 용수공급과 유황개선 부분에서 연계운영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평가지점에서 필요수량에 대한 충족률과 유황안정도를 평가지표로 사용하였다 발전 부분에서 연계운영의 효과는 댐군에 의해 생산된 총발전량을 평가지표로 사용하였다. 실제 운영실적은 공칭공급량을 공급하는 단독운영과 최적화 모형에 의한 평가지표들과 비교하여 평가되었다. 한강수계의 2001년부터 2004년까지의 실제 연계운영 실적을 단독운영과 최적화 모형의 결과와 각 연도별로 비교해 보면, 용수공급 측면에서 필요수량 충족률은 단독운영은 $94.36{\sim}99.68%$, 실제운영은 $97.16{\sim}99.90%$, 최적화 모형은 4개년 모두 100.0 %를 나타냈다. 댐 운영 방법별로 하상계수와 유황계수를 사용하여 유황안정도를 평가해 보면, 유황이 단독운영 보다 실제운영과 최적화 모형이 더 안정적인 결과를 나타냈다. 실제 총발전량을 다른 운영방법의 결과와 비교해 보면, 최적화 모형은 실제 총발전량 보다 $-3.47{\sim}6.54%$ 증가된 결과를 나타냈으며, 단독운영은 실제 총발전량 보다 $12.68{\sim}38.94%$ 감소된 결과를 나타냈다.

자료기반 실시간 홍수예측 모형의 비교·검토 (Comparison of Data-based Real-Time Flood Forecasting Model)

  • 최현구;한건연;노홍식;박세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3권5호
    • /
    • pp.1809-1827
    • /
    • 2013
  • 기후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이상홍수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대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그 중 비구조적 대책으로 홍수예경보시스템을 구축하여 홍수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실시간 홍수예측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뉴로-퍼지 모형과 다중선형회귀 모형을 비교하여 우수한 실시간 홍수예측 모형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같은 입력자료를 사용하여 뉴로-퍼지 모형과 다중선형회귀 모형을 구축하고 낙동강 유역의 다양한 홍수사상에 대해 적용하였다. 모의결과 뉴로-퍼지 모형이 다중선형회귀 모형보다 좀 더 나은 예측 결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향후 낙동강 유역의 충분한 선행시간을 확보한 정확도 높은 홍수정보시스템의 구축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공공하수처리시설 수질기준 선진화 방안 (Improvement on Sewerage Effluent Standard of Public Sewerage Treatment Plants)

  • 유순주;박상민;권오상;박수정;염익태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76-287
    • /
    • 2013
  • Domestic sewage contains increasingly more pharmaceuticals and personal care products (PPCPs), due to rising use of medicines, health supplement food and daily necessities. And various types of industrial wastewater from pollution sources in treatment areas could flow into the public sewerage treatment plants (PSTPs) in metropolitan areas. The conventional PSTPs are designed to treat suspended solids, biodegradable organics, nitrogen and phosphorous from residential and industrial areas and public facilities. However, toxic, conventional, and non-coventional pollutants from non-domestic sources that discharge into sewer system as well as domestic source with various chemicals could not be treated in the conventional PSTPs and discharged untreated to public basin. In this paper we aim to consider the establishment system of effluent standard of PSTPs in comparison with water quality standard of water environment and wastewater discharge regulation. And also we suggest the necessity of regulations on the pretreatment of industrial wastewater as part of efforts to improve water quality in sewerage systems and to protect public basin.

SWMM-LID 모델을 이용한 토지주택연구원의 물순환 개선효과 평가 (Evaluation of Water Cycle Improvement in LH Institute Using SWMM-LID Model)

  • 정종석;정광욱;강수만;현경학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308-315
    • /
    • 2018
  • SWMM-LID was calibrated with flow monitoring data in LHI to evaluate runoff after LID application. The flow rate in the B basin was estimated to be 0.94 and 6.15 for O/S and $D_v$, respectively. In the A and C basins, the difference between the observed and simulated data was greater than in the B basin. As a result of runoff reduction efficiency by the application of LID facilities, the change of infiltration increased from 34.6 % to 45.8 % in the entire watershed, and the runoff decreased from 58.8 % to 46.3 %. In the runoff reduction of each LID facility, rain garden E showed the highest effect with 99.9 % and bioretention B showed the lowest effect with 27.5 %. In order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each LID facility, a comparison is made between the pore volume (V) of the LID and the catchment area (A). The runoff showed a runoff reduction effect of about 70 % above the 0.1 volume/area (V/A) value.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unoff reduction with LID facilities by the LID module of SWMM, a reasonable design is possible by reflecting the appropriate LID volume to drainage area.

DEM을 이용한 유출역의 도시 (Representation of Runoff Area by means of DEM)

  • 김주철;윤여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2권5B호
    • /
    • pp.287-293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지형지수를 기반으로 유역의 포화도 및 그에 따른 유출역의 변화를 도시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지형지수의 산정에는 ${\infty}$-흐름방향방법을 적용하여 8-흐름방향방법이 갖는 고정된 흐름방향에 대한 구속에서 벗어남과 동시에 최소한의 흐름분산 모의를 가능하게 하였다. 산정된 지형지수의 도수분포도를 작성해 본 결과 동일한 유역에 대하여 수행된 기존의 연구 성과와 유사하게 나타나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론에 대한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누가확률밀도함수의 형태로 정의되는 포화도의 개념에 따라 포화토층의 공간적 분포를 도시해 본 결과 유역의 가변성 유출역에 대한 명시적인 접근을 가능하게 하여 강우-유출현상의 동적특성이나 비선형성에 대한 합리적인 분석 수단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열수 플룸 검출을 위한 CTD Cast와 CTD Tow-yo 방법 비교 (Comparison of CTD Cast and CTD Tow-yo Methods for Detecting Hydrothermal Plume)

  • 손주원;주종민;함동진;양승진;김종욱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6권2호
    • /
    • pp.179-187
    • /
    • 2014
  • Directly searching for undiscovered hydrothermal vent sites is inefficient due to the practical difficulty of comprehensively imaging vent fields. Thus, most searches for hydrothermal vent sites rely on the detection of hydrothermal plumes from water column observation. Detecting and measuring the hydrothermal plumes are the most efficient way to infer the presence and distribution of hydrothermal vents. Both the array of vertical casting and lateral towing are the most common methods to discover hydrothermal plumes. In this study, we compared results of cast and tow-yo operations along the same section of a spreading center with a distance of 20.5 km in the North Fiji Basin for mapping hydrothermal plumes. Operation of CTD tow-yo provides a detailed pattern of plumes which enable us to locate the hydrothermal vents. On the other hand, identification of hydrothermal activity can be determined effectively by CTD cast with additional analysis of geochemical tracers. Reduction in the operating time is another advantage of CTD cast operation, especially for regional-scale survey. Our results show that the combination of CTD cast and tow-yo would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hydrothermal plume survey to locate new hydrothermal vent si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