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nk erosion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22초

Modeling of Sediment Transport and Sand Bank Formation in a Macrotidal

  • Park, Moon-J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제35권1호
    • /
    • pp.1-10
    • /
    • 2000
  • A two-dimensional numerical model was applied to investigate the sediment transport and sand bank formation in a macrotidal sea, the Kyunggi and Asan Bays. The tidal residual currents show quite complex pattern including counter-rotating eddies off the northwestern corner of the Dugjeok Island that reflect the promontory effect. Complex residual eddies are also present off the coast of the Taeanbando and in the Asan Bay. Net sediment transport pattern shows that sandy sediments in the Kyunggi and Asan Bays are generally transported landward from the outer sea suggesting sediment trapping inside the bays. This phenomenon may be related to the formation and maintenance of numerous sand banks in this macrotidal sea. Alternate occurrences of deposition and erosion predicted from the numerical model along the coast of the Taeanbando with strong deposition o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Jangansatoe'(JSB), a large sand ridge off the coast of the Taeanbando appear to reflect the loose connection of JSB, The 'Joongangcheontoe', a central sand bank (CSB) with the main axis in the NW-SE direction in the Asan Bay may undergo a modification with strong deposition along the northeastern flank.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sand banks are actively modified and maintained by the strong tidal currents in this shallow macrotidal sea.

  • PDF

안면도 할미섬 주변의 침식·퇴적환경 변화 분석 (Analysis of Sedimentation and Erosion Environment Change around the Halmi-island, Anmyeondo in West Coast of Korea)

  • 김장수;장동호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23-132
    • /
    • 2012
  • 본 연구는 기준목 측정값과 입도분석자료, 풍향 및 풍속자료를 이용하여 안면도 할미섬 주변의 침식 및 퇴적환경 요인을 분석하였다. 할미섬 주변의 퇴적 및 침식환경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할미섬 주변 12곳에 기준목을 설치하고 2010년 5월 16일부터 2012년 5월 8일까지 총 32회의 현장실측을 실시하였다. 현장실측 결과 H-3, H-4, H-5, H-9 지점은 퇴적환경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H-7, H-8, H-10, H-11, H-12 지점은 침식환경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H-2, H-6 지점은 침식과 퇴적이 반복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할미섬의 남서측에 설치된 제방에 의해 해빈의 모래가 할미섬의 북동변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이들 지점에 퇴적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며, 할미섬 전면의 비치리즈에서 모래를 공급받지 못한 북동측에서는 침식이 우세하게 진행된 것으로 판단된다. 즉 일반적으로 할미섬의 남서측에서는 퇴적이 우세한 반면 북동측에서는 침식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북동측의 H-9 지점과 남서측의 H-12지점은 반대의 경향이 관찰되었는데, H-9 지점의 경우 할미섬에 연결된 사취의 끝단에 위치하고 있어 조류에 의한 퇴적물 공급이 가능했기 때문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사구에 위치한 H-12 지점은 측정기간이 짧아 침식원인에 대한 분석을 내리기가 어려웠다.

항공사진과 기준목 측정자료를 이용한 안면도 바람아래 해빈의 시계열 변화 분석 (Time-series Analysis of Baramarae Beach in Anmyeondo Using Aerial Photographs and Field Measurement Data)

  • 김장수;장동호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39-51
    • /
    • 2011
  • 본 연구는 안면도 바람아래 해빈의 형태와 퇴적 및 침식환경 변화를 시계열 분석하였다. 1967년부터 2009년까지의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바람아래 해빈 형태를 시계열 분석한 결과, 할미섬 남단에 발달한 사취의 방향성이 EEN의 방향성을 가지고 있었지만, 점차 서진하면서 2009년 항공사진에서는 NNS의 방향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현장실측 결과 H-3, H-4, H-5, H-6 지점은 퇴적환경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H-7, H-8, H-9 지점은 침식환경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할미섬의 남서변은 퇴적이 우세하고 북동변은 침식이 우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H-3 ~ H-6 지점의 결과는 할미섬의 남서변에 설치된 제방에 의해 해빈의 모래가 할미섬의 북동변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이들 지점에 퇴적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며, 역설적으로 할미섬의 남서변에서 모래를 공급받지 못한 북동변의 H-7 ~ H-9 지점은 침식이 우세하게 진행 된 것으로 판단된다. 계절별 분석결과, 전 지점에서 퇴적이 우세한 계절은 가을철이며 침식이 우세한 계절은 봄철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할미섬을 남서측과 북서측으로 구분해 보면 남서측은 주로 가을철에 퇴적이 우세한 반면, 북서측은 여름철에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침식은 남서측은 겨울철과 봄철에 우세하고, 북서측은 여름철에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CCHE2D를 이용한 수리구조물에 의한 흐름 및 하상변동 연구 -창녕함안보를 중심으로- (Analysis of Flow and Bed Change on Hydraulic Structure using CCHE2D : Focusing on Changnyong-Haman)

  • 안정민;류시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6권7호
    • /
    • pp.707-717
    • /
    • 2013
  • 충적하천에서 발생하는 하천의 침식과 퇴적은 흐름을 통해 발생하는 자연적인 현상이다. 침식 및 퇴적과 관련된 수치모형을 이용한 분석은 하천에 존재하는 보와 같은 수리구조물들의 유사이송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기능보들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하여 낙동강수계에 위치해 있는 창녕함안보를 대상으로 하상변동을 예측하였다. 2차원 모형은 CCHE2D를 이용하여 유사이송이 지배적으로 발생하는 다기능보 상 하류 구간 12 km를 대상으로 침식과 퇴적에 대한 모의를 수행하였다. 2003년 태풍 "매미"사상을 대상으로 모형을 검 보정 하였으며, 모의결과와 관측값의 비교를 통하여 전체 모의구간에서 신뢰성 있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함안창녕보가 건설된 이후 태풍사상에 의한 하상변동은 상당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하상변동은 유사의 재분배를 야기하였다. 보와 같은 수리구조물들은 하도내 흐름과 유속을 변화시키기 때문에 세굴과 퇴적 문제를 심화시켰다.

바이오폴리머 배합토를 이용한 호안 조성과 모니터링 (Monitoring for Constructed Revetments Using Biopolymer Mixed Soil)

  • 김명환;이두한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1권6호
    • /
    • pp.645-653
    • /
    • 2021
  • 바이오폴리머는 살아있는 유기체에 의해 생성되는 고분자 화합물의 통칭이다. 이 중 미생물의 부산물로 만들어지는 유기성 고분자 화합물인 잔탄, 베타글루칸 등은 물질의 점성을 높이는데 사용되는데 이를 물에 희석하여 모래나 진흙과 혼합하면 압축강도와 전단강도를 높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특수하게 흙의 강도를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된 잔탄 및 베타글루칸 계열의 바이오폴리머와 흙을 혼합하여 제조한 배합토를 하천 제방 호안에 도포하고 겨울을 지낸 후의 변화를 3차원 지상 LiDAR를 활용하여 모니터링 하였다. 동절기 전후 지상 LiDAR 측량을 통하여 취득한 3차원 점군자료를 이용하여 테스트베드 주요 구간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바이오폴리머 배합토를 도포한 두 구간에서는 눈으로는 확인하기 어려울 정도로 변화가 없었던 반면 바이오폴리머 배합토를 사용하지 않은 자연제방 구간에서는 세류침식(Rill erosion)으로 인한 토양손실이 확인되었다.

RUSLE을 활용한 금강 수변지역의 하천정비사업 전·후의 연간 표토침식량 변화 비교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Annual Surface Soil Erosion Before and After the River Improvement Project in the Geumgang Basin Using the RUSLE)

  • 김정철;최종윤;이선민;정형섭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5권6_4호
    • /
    • pp.1351-1361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금강 유역(대청댐~금강하구둑)을 대상으로 RUSLE (Revis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를 활용하여 하천정비사업 전(2007년)과 후(2015년)의 연간 표토 침식량을 계산하였고, 이를 5단계의 class를 구분하여 해당 구간 별 표토침식면적을 산출하고 그 결과를 환경부의 토지피복 변화와 비교·분석하였다. RUSLE을 구성하는 각 인자를 생성하기 위하여 2007년과 2015년의 토지피복도, 국가기본 공간정보, 정밀 토양도, 연평균 강수량 자료 등의 다양한 공간정보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지역에서의 연간 표토 침식량은 2007년과 대비하여 2015년에 class 1의 면적은 증가하였고, class 2, 3, 5의 면적은 감소하였으며, class 4의 면적은 증가하였다. 이러한 원인으로는 연구지역의 연평균 강수량의 감소, 생태공원조성과 이로 인한 인공시설물 확대, 농경지 감소 등으로 인하여 대부분의 지역에서 연평균 표토 침식량이 감소된 것으로 사료된다.

원식생 복원을 위한 산림표토내의 매토종자 적정 활용방안 연구 (The Study on the Utilization of Soil Seed Bank for the Restoration of Original Vegetation)

  • 김남춘;김호연;최미연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201-214
    • /
    • 201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forest topsoil's usefulness from July 2013 to Oct 2014. Generally, there are abundant seeds in topsoils and it can be used at restoration works. Mt. GARIWANG is famous for biodiversity in Korea. This study was aimed to find out the suitable utilization methods of natural topsoils for restoration works at sky-slopes construction sites. Test beds was made to identify suitable collecting times and suitable topsoil thickness. The mai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t. GARIWANG have diverse species and in topsoils we can find lots of burried seeds which can be used at restoration works. Second, according to indoor experiment, as the depth of topsoil used thicker, the number of plants and coverage rates were increased. Also, there were no distinct differences in coverage rates between 5cm and 8cm thick topsoil plots and it can be possible to use at least 3cm thick topsoils even thou lower coverage rates. Third, as the results of research about indoor and outdoor experimental plots, there were difference in plant emergency. If we use the stabilizer to protect soil erosion, then we can get more increased results at sloped outdoor experimental plots. Fourth, based o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there was 389 species in whole region of Mt. GARIWANG. Through this seed bank experiments, we can find 23 varieties, including 4 tree varieties and 19 herbaceous varieties. We can find lots of native herbaceous species from topsoils. Fifth, this research was done at the specific area of Mt. GARIWANG and used limited topsoils. But we monitoring more longer periods, then there will be more useful outcomes. Finally by researching topsoils of Mt. GARIWANG, we can find diverse native plants. Thus, we must reuse natural topsoils of Mt. Gariwang for restoration of original vegetation.

Effect of Extended Egg Preservation Schedule in Conservation of Mutant Silkworm (Bombyx mori L.) Genetic Stocks in Gene Bank

  • Muthulakshmi M.;Mohan B.;Balachandran N.;Sinha R. K.;Thangavelu K.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11권2호
    • /
    • pp.93-98
    • /
    • 2005
  • Studies on extended egg preservation schedule from 120 days to 180 days was taken up with 20 germplasm accessions of mutant silkworm genetic stocks of Bombyx mori L. Statistical analyses of the data collected over three trials revealed no significant changes both in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traits of the genetic stocks between treatment (6 months egg preservation) and control (4 months egg preservation), except for fifth instar larval duration in TMS-61, TMS-62, TMS64, TMS-31 and TMS-34 shell weight in TMS-62, TMS-64 and TMS-66. Thus, the results indicate that extended schedule of 6 months egg preservation can safely be adopted, which will reduce the cost of conservation and minimize the genetic erosion owing to reduced crop cycle.

벤토나이트를 혼합한 준설해사의 차수재 활용성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bentonite-mixed dredged sea sand as a water-proof material)

  • 김서룡;이득원;공길용;유전용;김현태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3년도 학술발표논문집
    • /
    • pp.175-178
    • /
    • 2003
  • There is a case to use dredged-sea sand as a filling material because of difficulty of obtaining required filling material for tideland reclamation project from the land. At this time, side slope erosion is occurred because the precipitation falling to the top of bank acts as infiltration water when it pass through inside of the semi-permeable filling section. This study has confirmed the declining effect of permeability by conducting permeability test to the condition of mixing of bentonite to the dredged sea-sand. And also this study has confirmed that the above processed-soil could be used as a water-proof layer to protect infiltration of water through the infiltration flow analysis.

  • PDF

문헌 및 위성영상에 기초한 북한의 산지토사재해 발생경향 및 복구사례 분석 (Analyzing the Occurrence Trend of Sediment-Related Disasters and Post-Disaster Recovery Cases in Mountain Regions in N orth Korea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and Satellite Image Observations)

  • 김기대;강민정;김석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0권3호
    • /
    • pp.419-430
    • /
    • 2021
  • 이 연구는 1960년부터 2019년까지 북한에서 발생한 산지토사재해의 시공간적 발생경향과 일부 발생 및 복구 사례를 분석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북한의 산지토사재해 발생이력은 1995년(김정일 집권시기)부터 대외적으로 보고되기 시작하였고, 여름철 호우가 주된 유발요인으로 나타났다. 산림황폐율은 인구밀도와 밀접한 관련성(R2 = 0.4347, p = 0.02)을 보이며, 산림황폐율이 높은 서해안에서 산지토사재해 발생 보고건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위적 산림훼손이 산림황폐화의 주된 원인이며, 나아가 산지토사재해 발생에도 현저한 영향을 끼쳤음을 시사한다. 위성영상을 통해 표층붕괴, 토석류 및 땅밀림 발생이 확인되었으며, 이러한 산지토사재해는 일반산지뿐만 아니라 다락밭, 채석장, 임도, 산불피해지 등 산림훼손지에서도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피해지역은 복구사업의 시행 없이 존치되었지만, 일부 지역에서 산복 녹화공 등의 산지사방사업 또는 사방댐, 유도둑 등의 야계사방사업을 시행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향후 산림복구 및 사방사업 분야의 남북 교류협력 확대에 필요한 기초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