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it trap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3초

합성(合成)페로몬의 지상(地上)높이별(別) 위치(位置) 및 풍속(風速)에 따른 솔껍질깍지벌레 수컷의 비행(飛行) (Flight of Matsucoccus thunbergianae Males in Response to Synthetic Pheromone Placed at Various Heights above Ground and the Wind Speed)

  • 박승찬;위안진;김형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1호
    • /
    • pp.135-140
    • /
    • 2000
  • 솔껍질깍지벌레의 수컷성충이 합성페로몬에 반응하여 비행하는 행동습성을 규명하고자 수직으로 세운 대나무 막대에 지상 0.1m부터 2.0m의 범위에 끈끈이 트랩을 5개 배열하고 그중 0.1m, 1.0m, 2.0m중의 한곳에 합성페로몬을 처리한 bait를 부착하여 각 끈끈이 트랩에서의 수컷부착수를 수관 울폐도별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솔껍질깍지벌레 피해 해송림 근처의 공터에서, 페로몬 bait를 지상 2m 및 1m에 설치했을 때 동일 수직 막대상에 있는 각 높이의 트랩당 수컷부착수는 차이가 없었으나 지면근처에 bait를 설치한 경우 지면근처에 수컷이 집중적으로 비행하고 있었다. 수관 울폐도가 소한 임지의 경우, bait를 지상 2m에 설치한 것은 동일 수직막대상에 있는 각 높이의 트랩당 수컷부착수는 차이가 없었으나 지상 1m에 설치한 것은 bait 부위를 중심으로 많은 수컷이 비행하고 있었고, 수관 울폐도가 밀한 장소에서는 bait의 지상높이에 관계없이 수컷은 그 bait의 근처에서 많이 비행하고 있었다. 3개 지역 공히 지면부위에 bait를 설치한 처리구에서 지면부위의 트랩에 가장 많은 수컷이 부착되어 본 해충의 선단지 조사를 위한 페로몬 트랩 설치장소는 지면부위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풍속별 수컷의 페로몬에 대한 반응조사 결과, 페로몬을 감지한 수컷은 풍속이 낮은 공간을 주로 비행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꽃게 통발용 미끼의 유인효과 (Attracting effect of baits used in trap for swimming crab)

  • 장호영;구재근;이근우;조봉곤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3권4호
    • /
    • pp.301-309
    • /
    • 2007
  • In order to develop the artificial bait of trap for swimming crabs, the attracting effect was analyzed in the duration time of attracting effect, preference and shape recognition to the bait in the water tank and field experiments. According to the result which investigated the mean entrapped number of swimming crabs into the trap for each bait(mackerel, sardine and anchovy) in water tank experiments, the mean entrapped number was found to be higher in the trap with mackerel(6.9 ind.; 23.0%) than in other traps with sardine(5.2 ind.; 17.3%) and anchovy(3.4 ind.; 11.3%). In addition, the mean entrapped ratios of swimming crabs into the traps for 3 kinds of baits were estimated to be over 80% all in 5 hours after soaked in the water tank. For preference of swimming crabs to 3 kinds of baits, the trap with mackerel(6.9 ind.; 23.0%) was evaluated to be higher than the traps with sardine(2.8 ind.; 9.3%) and anchovy(0.2 ind.; 0.7%). In the field experiments, the mean entrapped number of swimming crabs into the trap with mackerel and sardine were found to be similar as 120 and 118 ind., but the trap with anchovy was only 85 ind.. According to the result which investigated the shape regnition of swimming crabs to the bait used mackerel, divided into 8 pieces, 16 pieces and grinded mass in water tank experiments, the mean entrapped number of swimming crabs into the traps that includes the mackerel divided into several piece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Moreover, by the presence of skin of mackerel for bait, there was a great difference in the entrapped number of swimming crabs. Therefore, it was thought that the swimming crab was attracted to the bait and entrapped into the trap would indicate that not only the chemical stimuli such as the attactant, but also the visual stimuli such as the shape recognition to the bait might be closely related.

통발용 인공미끼의 개발 (The Improved Artificial Trap Baits)

  • 염말구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4권2호
    • /
    • pp.185-190
    • /
    • 1998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artificial trap baits being able to replace the natural anchovy or sardine baits. The fishing trials for evaluating the fishing efficiencies of the artificial baits were conducted with commercial traps at coastal areas near Tongyoung, southern Korea. The preferable artificial baits which were made of minced anchovy, sardine, mackerel, or fish surplus products mixed with wheat flour into dry or wet pelleted or crumbled types, were showed some merits as the following. \circled1 Fishing efficiencies of the artificial baits were same or little higher level than that of the natural bait anchovy; \circled2 bait cost were same or little lower level; \circled3 dry artificial baits stocked in the room condition showed good fishing efficiencies; \circled4 making of artificial baits were very simple; \circled5 there were no harm to the fish and little pollution to the environment; \circled6 the releasing rate of attractants in the artificial or natural bait showed similar patterns. The artificial baits using the fish by-products which were vacuum freeze-drying extract of boiled anchovy or tunas extract, showed lower catches in the conger eel, Coner miriaster, but similar catches in the crabs, mainly Charybdis japonica, to the those of natural anchovy bait.

  • PDF

Effectiveness of Plant-Based Attractants in Preventing the Escape of Golden Apple Snails (Pomacea canaliculata) into the Ecosystem

  • Il Kyu Cho;So-Young Jang;Woo Young Cho;Yun-Su Jeong;Jun Seok Kim;Seong Eun Han;Kil Yong Kim;Gi-Woo Hyoung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71-381
    • /
    • 2023
  • The effectiveness of plant-based attractants was studied using large traps, which attracted relatively more snails in agricultural water drainage ditches and rice-cultivating environments, although their effectiveness in rice fields and lakes was limited. The rate began to rise after three hours of observation. Watermelon peel exhibited the highest apple snail attraction rate (13.8%), followed by potatoes (10.0%), and apple peel (8.8%). These values significantly differed from the attraction rate attributed to papaya leaves (F=3.84; P=0.0387). After 24 h, watermelon peel and apple peel indicated a higher rate of attraction (23.4% and 21.7%, respectively), which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compared with those of papaya leaves and potatoes (F=9.94; P=0.00455). Large bait traps outperformed funnel traps in capturing golden apple snails and trapped a significant number of snails measuring over 1 cm in size. Watermelon peel was the most effective attractant for a large bait trap, followed by apple peel, potatoes, and papaya leaves. On average, 110 snails were captured in the lure net. However, potatoes, apple peels, and papaya leaves caught an average of 93, 80, and 79 snails, respectively. Among the attractants, the lure effect of the snail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 efficiency of large bait traps in capturing snails, regardless of the plant attractant employed, followed the order: apple peel > watermelon peel and potatoes > papaya leaves > melon > Korean melon. Watermelon peel is highly recommended for farmer use, as well as apple peel and potatoes. Utilizing these snail attractants may contribute positively to developing a safe and environment-friendly integrated pest management strategy.

대한민국에서 멧돼지 포획을 위한 두 가지 유인먹이에 대한 반응과 상자형 포획트랩 이용 (Response of Wild Boars (Sus scrofa) to Two Attractants, and Use of Cage Traps to Capture Wild Boars in Korea)

  • 송장훈;최으뜸;서호진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81-391
    • /
    • 2018
  • 본 연구는 상자형 포획트랩으로 멧돼지를 성공적으로 포획할 수 있는지 확인하고 유인먹이에 대한 반응과 트랩포획 개체수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상자형 철골 포획트랩은 길이 4${\times}$폭 1.5${\times}$높이 1.2 m 크기로 제작하여 2017년 1월 17일부터 동년 3월 24일까지 전남 담양군 소재 2개소와 전북 순창군 소재 1개소에서 설치하였다. 유인먹이의 선호도를 확인하고자 옥수수 알곡사료와 발효된 옥수수 알곡사료를 혼합하여 멧돼지 이동통로 주변에 200 m 간격으로 제공하였다. 미리 먹이주기를 통해 먹이반응이 활발한 곳으로 선택하여 트랩설치를 하였고, 트랩설치를 한 후 유입구를 열어둔 상태를 유지하였다. 그 결과 유인먹이 처리별로 선호하는 특성을 확인할 수 없었고 모두 고르게 섭식하였다. 또한 처음 유인먹이를 제공한 후 멧돼지가 먹이를 모두 섭식할 때까지 소요일수를 조사한 결과, 수렵활동이 활발한 담양과 영암지역은 6~12일이 소요되었으나 수렵활동이 없었던 순창지역은 5일이 걸렸다. 또한 먹이유인을 8.7일간 하고 트랩 유입구를 개방한 채로 3일 더 유인작업을 한 결과 약 13.7일이 되어 트랩당 4.3마리의 멧돼지가 포획되었다. 따라서 멧돼지의 포획을 성공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트랩주변의 수렵활동 강도가 중요 요인임을 시사한다.

자운영답에서 알팔파바구미 유충 및 성충 조사방법 (Scouting Methods for Larva and Adult Alfalfa Weevil, Hypera postica (Coleoptera: Curculionidae) on Chinese Milkvetch, Astragalus sinicus L.)

  • 이흥수;권진혁;정부근;김태성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67-72
    • /
    • 2012
  • 자운영포장에서 알팔파바구미 유충 및 성충의 조사방법에 따른 효율을 평가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알팔파바구미 유충 밀도를 Shake-bucket, Shake-picking, Sweeping net 방법을 사용한 결과 조사지역 3곳에서 조사방법과 조사시기에 따라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 포충망을 이용하여 유충밀도를 조사한 결과 4월초까지 유충을 조사할 수 없어 초기에 발생하는 유충을 조사하는데 적합하지 않았다. Shake-bucket과 Shake-picking을 이용한 조사에서 유충발생이 3월 중순부터 확인되었으며, 두 방법간에 차이는 없었다. 미끼를 넣은 Pitfall trap을 이용하여 알팔파바구미 성충 밀도를 조사한 결과 유인조건에 따라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p<0.018). 각 처리간 성충 유인수를 조사한 결과 싹 틔운 강남콩 92마리, 강낭콩 종자 42마리, 트랩만 설치한 것에서 39마리로 싹 틔운 콩을 넣은 트랩에서 밀도유인 효과가 가장 좋았다. 자운영답에서 알팔파 바구미를 조사할 때 초기 발생하는 유충은 Shake-bucket법을 성충은 싹 틔운 강남콩을 미끼로 하는 pitfall trap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경북 내륙지역에서의 말레이사상충 역학적 조사 3. 말레이사상충 매개문의 생태학적 조사 (Epidemiological Studies on Malayan Filariasis in an Inland Area in Kyungpook, Korea 3. Ecological Survey of VECtor Mosquitoes of Brugia malayi)

  • 이형일;최동익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4권1호
    • /
    • pp.15-24
    • /
    • 1986
  • 1985년 5월부터 동년 11월까지 6개월간 경북 내륙지역에 출현하는 문종류와 계절적 출현소장을 조사함과 아울러 매개문에서의 감염형 유충의 최근 감염상을 관찰하였다. 조사기간중에 채집된 문의 종류는 4속 9종이었으며, 기중 A. sinensis가 최우점종으로 전채집수의 84.7%를 차지하였다. 조사지역에서 A. sinensis를 처음으로 채집할 수 있는 시기는 5월 초순이었으며 이 기간중 기온은 $14.3~22.8^{\circ}C$, 습도는 53~90%였으며, 그 밀도는 1.0마리였다. 4. sinensis의 최대밀도 시기는 7월 중순에서 8월 초순사이였으며 그기간중 기온은 $21.5~30.6^{\circ}C$, 습도는 72~91%였으며 최대밀도는 316.0마리였다. A. sinensis의 야간 흡혈 활동상을 알아 보기 위해 7월 17~18일과 9월 7~8일 2회에 걸쳐 저녁 17시부터 그 다음날 아침 6시까지 1시간 간격으로 채집하였던 바 활동이 가장 활발한 시간은 7월에는 22시에서 23시사이, 9월에는 20시에서 21시사이였으며 아침 6시 이후에는 한마리도 채집할 수 없었다. A. sinensis 218마리를 부검하였던 바 이 가운데 사상충 유충을 전혀 검출할 수 없었다. 이상의 성적으로 미루어 보아 경북 내륙지역의 분포 모기중 A. sinensis가 우점종이며, 매개문에서 사상충의 감염형 유충은 전혀 검출할 수 없음을 알았다.

  • PDF

함정어구와 미끼에 대한 태평줄 새우 (The Behaviour of Shrimp , Palaeman Pacificus , to the Model Trap and the Odour of Baits)

  • 고관서;김용해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19권2호
    • /
    • pp.85-91
    • /
    • 1983
  • 원통 및 직육면체 등의 단순한 모형함정과 모형통발, 재료의 종류와 입구의 형태, 입국의 경사각도에 따른 입롱과 도피행동 및 미끼의 냄새에 유집되는 행동 등에 대한 태평줄생우의 선택행동을 수조에서 관찰하여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망지재료가 P. A, P. E 및 면인 경우 새우의 입롱수는 차이가 거의 없었으며, 삼각형, 사각형의 입구단면보다는 원형에 더 많이 들어 갔고 입구의 경사가 클수록 들어가는 미수가 적었다. 2. 모형함정의 입구경사가 0$^{\circ}$, 90$^{\circ}$일 때부다 30$^{\circ}$, 60$^{\circ}$일 때가 시간의 경과에 따른 새우의 도피율이 낮았으며, 직육면체의 평면입구일 때보다는 원통의 원추형 입구일 때 도피율이 적었다. 3. 미끼의 축출용액에 모여드는 새우의 수는 전갱이와 바지락, 새우와 고등어, 고등어육과 내장 등 간에는 차이가 거의 없으나 고등어와 멸치젓, 족발과 새우간에는 각각 고등어와 새우 육에 더 많이 모여들었다. 4. 먹이가 들어 있는 모형통발에는 없을 때의 3배 정도 입롱수가 많았고, 미끼가 없을 경우 입구의 수가 1개와 2개일 때는 입롱수에 차이가 거의 없으나 도피수는 2개일때가 훨씬 많았다.

  • PDF

New Report on Two Species of the Genus Nipponomysis (Crustacea: Mysida: Mysidae) from Korean Waters

  • Kim, Mijin;Song, Sung Joon;Kim, Won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1권1호
    • /
    • pp.15-21
    • /
    • 2015
  • Two species of mysid, Nipponomysis fusca (Ii, 1936) and N. tenuiculus (Ii, 1940), are newly recorded in Korean fauna. These two species were collected using a light or a bait trap from all coasts of the Korean peninsula. The genus Nipponomysis can be distinguished from allied genus by the following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hird to eighth thoracic endopods with carpopropodus divided into five to six subsegments compared to three subsegments, and anterior four pairs of pleopod in female subequal in length and fifth pair elongated. Nipponomysis fusca is characterized by its acute rostral plate and armature of telson, and N. tenuiculus differs from other species by the number of spine in ventral statocyst region and the shape of the fourth pleopod in male. Herein, we present detailed descriptions of two species from Korean waters with illustrations of morphology. In addition, an identification key to the Korean species of the genus is provi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