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cterial wilt disease

검색결과 109건 처리시간 0.021초

고랭지 여름배추(Brassica rapa subsp. pekinensis)재배에서 8년간 콩(Glycine max)과의 돌려짓기 재배가 토양 환경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8-year soybean crop rotation on soil characteristics in highland Kimchi cabbage cultivation)

  • 백계령;이정태;김양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27-41
    • /
    • 2024
  • In this study, we evaluated productivity, soil physiochemical properties, and soil microbial characteristics in Kimchi cabbage(Brassica rapa subsp. pekinensis) cultivation within a highland environment during summer. Specifically, we examined the effect of different cropping systems, namely monoculture and rotation with soybean, over an 8-year cropping period. The results of our investigation revealed tha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absent in terms of yield and soil physiochemical properties between the two cropping systems. However, microbial characteristics exhibited distinctive patterns. Bacterial divers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rotation system that in the monoculture, whereas fungal diversity demonstrated a preference for rotation although the result was not significant. Our findings identified the presence of Bradyrhizobium stylosanthis, a nitrogen-fixation symbiont, as an indicator ASV (amplicon sequence variant) in the rotation system, where it displayed significantly higher abundances. These observations suggest a potential positive effect of the rotation system on nitrogen fixation. Notably, throughout the cultivation period, both cropping systems did not exhibit critical disease incidences. However, Fusarium oxysporum, a well-known pathogen responsible for inducing fusarium wilt disease in Kimchi cabbage, was detected with significantly higher abundance in the monoculture system. This finding raises concerns about the potential risk associated with Kimchi cabbage cultivation in a long-term monoculture system.

수경재배에서 토마토풋마름병의 전염경로 (Infection Route of Bacterial Wilt of Tomato Caused by Ralstonia. solanacearum in Hydroponic Culture)

  • 남기웅;문병우;김영호;이창희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71-176
    • /
    • 2009
  • 본 연구는 토마토 수경재배에서 풋마름 병원균의 분포와 침입 및 전파경로를 구명하여 풋마름병 방제의 기초 자료를 얻고자 수행하였다. 배양액 재배시스템에서 토마토 풋미름병의 발생정도별로 배양액탱크, 배지, 폐액에서 병원균의 밀도를 검정한 결과 20% 정도 발병된 포장의 폐액에서는 19,000cfu/mL의 밀도로 검출되었으며 연작연수가 많을수록 병 발생이 심하였다. 토마토 펄라이트 수경재배시스템에서 토마토 풋마름병의 발생전파 과정은 최초 발생지점으로부터 좌우로 급속히 전파되었다. 토마토 풋마름병 발생포쟁에서 병원균의 유입경로를 추적한 결과 육묘 중에 감염되는 경우와 웹스 주변의 이병된 토양에서 감염되는 경우로 크게 두 가지 방법으로 유입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시판용 토마토 종자에서는 풋마름병원균이 검출되지 않았다.

토마토 뿌리에서 분리한 식물생육촉진과 생물방제 세균 Chryseobacterium sp. T16E-39 균주의 유전체 서열 (Complete genome sequence of Chryseobacterium sp. T16E-39, a plant growth-promoting and biocontrol bacterium, isolated from tomato (Solanum lycopersicum L.) root)

  • 이신애;김상윤;상미경;송재경;원항연
    • 미생물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351-353
    • /
    • 2017
  • 토마토 뿌리에서 분리한 Chryseobacterium sp. T16E-39 균주는 식물생육촉진과 역병, 시들음병에 대한 억제효과가 있었다. 이 균주의 유전체 염기서열은 4,873,888 염기쌍이었으며 G + C 함량은 35.22%이었다. 이 유전체는 4,289개 단백질 유전자, 15개 rRNA 유전자, 71개 tRNA 유전자를 포함하였다. T16E-39 균주의 유전체에서 인산가용화, 식물호르몬 조절, 항산화 활성, 키틴 분해, 제9형 분비시스템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확인하였으며, 이들 유전자는 식물의 생육을 촉진하고 병발생을 억제하는 기작과 관련되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Role of Trehalose Synthesis in Ralstonia syzygii subsp. indonesiensis PW1001 in Inducing Hypersensitive Response on Eggplant (Solanum melongena cv. Senryo-nigou)

  • Laili, Nur;Mukaihara, Takafumi;Matsui, Hidenori;Yamamoto, Mikihiro;Noutoshi, Yoshiteru;Toyoda, Kazuhiro;Ichinose, Yuki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7권6호
    • /
    • pp.566-579
    • /
    • 2021
  • Ralstonia syzygii subsp. indonesiensis (Rsi, former name: Ralstonia solanacearum phylotype IV) PW1001, a causal agent of potato wilt disease, induces hypersensitive response (HR) on its non-host eggplant (Solanum melongena cv. Senryo-nigou). The disaccharide trehalose is involved in abiotic and biotic stress tolerance in many organisms. We found that trehalose is required for eliciting HR on eggplant by plant pathogen Rsi PW1001. In R. solanacearum, it is known that the OtsA/OtsB pathway is the dominant trehalose synthesis pathway, and otsA and otsB encode trehalose-6-phosphate (T6P) synthase and T6P phosphatase, respectively. We generated otsA and otsB mutant strains and found that these mutant strains reduced the bacterial trehalose concentration and HR induction on eggplant leaves compared to wild-type. Trehalose functions intracellularly in Rsi PW1001 because addition of exogenous trehalose did not affect the HR level and ion leakage. Requirement of trehalose in HR induction is not common in R. solanacearum species complex because mutation of otsA in Ralstonia pseudosolanacearum (former name: Ralstonia solanacearum phylotype I) RS1002 did not affect HR on the leaves of its non-host tobacco and wild eggplant Solanum torvum. Further, we also found that each otsA and otsB mutant had reduced ability to grow in a medium containing NaCl and sucrose, indicating that trehalose also has an important role in osmotic stress tolerance.

고추 세균성점무늬병 저항성 유전자원과 그 주요 특성 (Characterization of Sources of Resistance to Bacterial Spot in Capsicum Peppers)

  • 변시은;;제갈윤혁;;;모황성;유희주;장길수;황지은;전수경;이수헌;김병수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4권5호
    • /
    • pp.779-789
    • /
    • 2016
  • 국내외에서 보고된 저항성 유전자원과 새로 찾은 자원을 포함한 고추 유전자원 총 33점에 세균성점무늬병원균(X. euvesicatoria)을 접종하여 과민반응형 저항성과 일반 저항성을 검정하고, 선발한 자원에 대하여 원예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국내에 보고된 4종의 race(1, 3, 7, 8)에 대한 과민반응형 저항성을 판별한 결과, Bs2 유전자를 보유한 KC00939와 Chilbok No.2는 예상대로 4종의 race에 과민형 반응을 나타내었다. Bs3 유전자를 보유한 Chilbok No.3는 예상대로 race 1과 7에 과민형 반응을 보였다. KC00939는 CMV와 BBWV의 복합 감염에 강한 저항성을 보이고 색소함량이 매우 높아 고색도 복합저항성 육종 소재로서의 그 가치가 높았다. 이와 더불어 KC01327, KC01617, KC01015, KC01760, KC01779, KC01137, KC01328, KC01006, KC00127(PI369994), KC01704, KC00995, KC00131(PI369998) 및 KC01777이 높은 수준의 일반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이들 중 KC01617, KC01760, KC01779, KC01137, KC01704, KC01777은 이번 연구에서 세균성점무늬병 저항성으로 찾은 자원이다. 이들 세균성점무늬병 저항성 유전자원의 CMV와 BBWV의 복합 감염에 대한 저항성, 과실특성, 과실의 신미, 감미 및 색소함량(ASTA)을 분석한 결과는 세균성점무늬병 저항성 육종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Variovorax sp. PMC12 균주에 의한 토마토의 생물학 및 비생물학적 스트레스 저항성 증진 (Enhancement of Tomato Tolerance to Biotic and Abiotic Stresses by Variovorax sp. PMC12)

  • 김현수;이신애;김이슬;상미경;송재경;채종찬;원항연
    • 식물병연구
    • /
    • 제24권3호
    • /
    • pp.221-232
    • /
    • 2018
  • 근권세균은 식물 생육과 건강 증진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생물학적 스트레스뿐만 아니라 저온, 고온, 건조 및 염과 같은 비생물적 스트레스에도 내성을 부여한다. 본 연구는 토마토에 생물적 및 비생물적 스트레스를 완화시키는 기능을 가진 식물생장촉진 근권세균(plant growth promoting rhizobacteria, PGPR)을 선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으며 토마토 근권에서 Variovorax sp. PMC12균주를 분리하였다. PMC12균주는 in vitro에서 PGPR의 특성으로 알려진 암모니아, IAA, 시드로포아 및 ACC 탈아민효소를 생성하였다. PMC12 균주를 처리한 토마토는 대조구에 비해 염, 저온 및 건조 스트레스 조건에서 지상부 생체중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또한 PMC12 균주를 처리한 토마토는 Ralstonia solanacearum에 의한 세균성 시들음병에 대한 저항성이 증가되었다. 결과적으로 PMC12 균주는 식물의 비생물적 스트레스 및 생물적 스트레스에 대한 감수성을 감소시키는 유망한 생물학적 방제제 및 생물활성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충북지역 토마토 시설재배지의 풋마름병균(Ralstonia solanacearum) 오염도 및 분리균주의 특성 (Contamination Level of Ralstonia solanacearum in Soil of Greenhouses Cultivating tomato Plants in Chungbuk Province and Characteristics of the Isolates)

  • 윤건식;박상용;강효중;이기열;차재순
    • 식물병연구
    • /
    • 제10권1호
    • /
    • pp.58-62
    • /
    • 2004
  • 충북지역 토마토 시설재배지 토양의 풋마름병 병원균(Ralstonia solanaceaum)의 오염도 및 분리균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총 133개 조사 토양 중 27개 토양에서 선택배지로부터 R. solanacearum이 분리되어, 전체 시설재배지 토양의 20.3%가 풋마름병균에 오염되어 있음을 나타냈다. 오염 토양에서 병원균의 밀도는 토양 g당 $10^{2.4}$ cfu로 조사되었다. 병든 토마토로부터 분리한 12균주를 포함한 총 71개의 분리균주는 모두 레이스 1이었고, 35개 균주가 생리형 3으로, 36개 균주가 생리형 4로 구분되었다. 전체 분리균의 88% 이상이 각각 oxolinic acid 0.5$\mu\textrm{g}$/ml, streptomycin 25 $\mu\textrm{g}$/ml, tetracycline 5 $\mu\textrm{g}$/ml and cupric sulfate 375 $\mu\textrm{g}$ml(1.5 mM)을 함유한 nutrient agar에서 생장이 억제되었고, 전체균주의 11.3%, 4.2% and 5.6%가 각각 감수성균주의 최소억제농도보다 10배 이상의 oxolinic acid, streptomycin, tetracycline가 함유된 배지에서 생장하였다. 5개 균주는 2개의 살세균제에 동시에 그리고 1개 균주는 3개의 살세균제 모두에 저항성을 보였다.

Development of PVY resistant flue-cured $F_1$ hybrid variety 'KF120'

  • Kim, Jae-Hyun;Park, Yong-Hack;Chung, Youl-Young;Kim, Kwang-Chul;Shin, Seung-Gu;Kuem, Wan-Soo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69-74
    • /
    • 2009
  • 감자바이러스 Y(PVY)는 국내 황색종 산지에서 잎담배의 생육, 수량 및 품질에 있어서 매우 심한 피해를 일으키는 병으로서 이를 방제하기 위해서는 PVY 저항성 품종의 육성이 시급히 요구된다. KF120은 msKF117과 KF0007-7를 교배하여 육성된 $F_1$ hybrid 품종이다. msKF117은 NC82와 N. Africana를 교배하여 육성하였고, KF0007-7은 KF117과 NC82를 교배하여 육성하였다. KF120의 농경적 특성과 병저항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2006 ~ 2007년 동안 생산력 검정시험을 수행한 결과 KF120은 KF109에 비하여 생육특성 및 수량성이 양호하였으며 수확엽수는 2매 정도 많았고 개화기는 2일정도 늦었다. KF120의 건조엽 수량은 KF109에 비하여 5% 정도 증수 되었으며 화학성분 및 물리성은 대등한 수준이었다. KF120은 KF109에 비하여 세균성 마름병과 역병에 대해서는 유사한 저항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PVY에 대해서는 높은 저항성을 보였다.

야콘(Smallanthus sonchifolius H. Robinson) 추출물의 제초, 살균 및 살충활성 효과 (Effect of Yacon (Smallanthus sonchifolius H. Robinson) Extracts on Herbicidal, Fungicidal, and Insecticidal Activities)

  • 윤영범;김진화;장세지;김도익;권오도;국용인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98-106
    • /
    • 2012
  • 본 연구는 야콘의 잎, 줄기, 괴경 추출물 중 어느 부위에서 제초, 살균 및 살충효과가 가장 높은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각 부위별로 물, 열수 그리고 메탄올로 추출하였다. 또한 위의 추출방법 중 제초활성능력이 뛰어난 것을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OH, $H_2O$로 용매분획하여 잠정적 제초 성분에 대한 특성을 조사하였다. 전반적으로 오이와 보리의 발아율, 초장 및 근장 억제에 대한 추출방법 중에 메탄올 추출법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또한 식물체 부위별로는 괴경에서 가장 효과적이었다. Ethyl acetate, butanol, chloroform, hexane, water의 용매분획에서 오이와 보리의 발아율, 초장 및 근장 저해는 물층에서 가장 좋았고 그 밖의 분획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5%와 10% 야콘 괴경 추출물에 의해 바랭이와 까마중은 각각 70~80%와 95~100% 방제되었다. 그러나 이들 농도의 야콘 괴경 추출물에 의한 오이와 보리 경엽처리에 의한 저해 효과는 인정할 수 없었다. 5% 야콘 잎 추출물 처리 후 3일째 복숭아혹진딧물의 살충률은 50%이었다. 벼멸구의 경우 5% 줄기와 잎(중륵 포함) 추출물에 의한 살충률은 24%로 낮았고 중륵이 배제된 잎 추출물에서 57% 살충률을 보였다. 그러나 5% 잎 추출물에 대한 탄저병, 시들음병, 청고병, 흰잎마름 병원균에 대한 살균효과는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