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cteria counts

검색결과 918건 처리시간 0.03초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물 추출액이 Yoghurt Starter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ater Extract of Omija(Schizandra chinensis) on Growth of Yoghurt Starter)

  • 홍경현;남은숙;박신인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33-341
    • /
    • 2003
  • 오미자 물 추출액을 첨가한 드링크 타입 요구르트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오미자 물 추출액 제조를 위한 최적 추출 조건을 확립하였고, 오미자 물 추출액이 유산균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오미자 물 추출액 첨가 드링크 타입 요구르트를 저장하는 동안 유산균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오미자의 최적 추출 조건은 오미자를 50배수의 물로 추출 온도 2$0^{\circ}C$에서 15시간 추출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였으며, 추출액의 pH는 3.07, 산도는 2.39%, 당도는 1.10%, 색 흡광도는 0.15이었다. 오미자 물 추출액의 첨가 농도(0.1, 0.2, 0.3, 0.4, 0.5, 0.6, 0.7, 0.8, 0.9와 1.0%)에 따른 유산균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12시간 배양에서 Lac. acidophilus가 0.9% 첨가에서도 가장 안정된 생육을 보였으며 그 다음이 Lac. casei, Lac. bulgaricus와 Str. thermophilus 순으로 각각 오미자 물 추출액 0.8%, 0.2%, 0.1% 첨가 수준에서 생육이 유지되었다. 따라서 오미자 물 추출액 첨가 드링크 타입 요구르트 제조시 Lac. acidophilus를 starter로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였다. 오미자 물 추출액을 0.4%, 0.6%, 0.8%, 1.0%첨가하여 제조한 드링크 타입 요구르트를 4$^{\circ}C$에서 15일 동안 저장하였을 때 15일째의 유산균수는 각각 1.77${\times}$$10^{9}$ CFU/mL, 2.29${\times}$$10^{9}$ CFU/mL, 1.27${\times}$ $10^{9}$ CFU/mL, 1.13${\times}$$10^{9}$ CFU/mL로 약간 감소하였으나 0일의 기준 시료와 큰 차이 없이 유사한 균수를 유지하였다. 이것은 축산물의 가공 기준 및 성분 규격에 나타난 농후 발효유의 법적 유산 균수(1.0${\times}$$10^{8}$ CFU/mL 이상)를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유자돈에 대한 Lactobacillus plantarum과 Bacillus subtilis 합제 투여에 따른 면역반응과 설사발생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Feeding a Combination of Probiotics Containing Lactobacillus plantarum and Bacillus Subtilis on Immune Response and Diarrhea Incidence in Post-weaning Piglets)

  • 박은기;유은아;차춘남;;김석;이후장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459-463
    • /
    • 2013
  • 본 연구는 Lactobacillus plantarum (L. plantarum)과 Bacillus subtilis (B. subtilis)의 합제 (LB)를 이유자돈에 경구 투여하여, 면역반응, 설사발생 그리고 분변 중 균수변화 등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28일령의 이유자돈 100두를 대상으로 군 당 20두씩 5개 군 (NC, 항생제와 LB 무투여; PC, 0.03% chlortetracycline 투여; LB 1, LB 0.5 kg/ton feed; LB 2, LB 1.0 kg/ton feed; LB 3, LB 2.0 kg/ton feed)으로 나누어, 4주 동안 LB를 투여하면서, 1주일 간격으로 분변지수를 산출하여 군별로 기록하였으며, 투여 종료 후, 혈액 및 분변을 채취하여, 혈액시료로부터 IgG와 IFN-${\gamma}$를 분석하였고, 분변시료로부터 lactic acid bacteria (LAB)와 Enterobacteriaceae (ENT)의 수를 확인하였다. LB 투약 2주째부터, LB 2와 LB 3의 설사지수는 NC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으며 (P<0.05), IgG와 IFN-${\gamma}$의 농도도 NC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P<0.05). 또한, LB 2와 LB 3의 LAB와 ENT 수는 NC과 PC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변화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P<0.05). 이상의 결과로부터, LB는 강력한 항생제 대체제로서 자돈 설사예방에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복합생균제 첨가가 버섯부산물의 화학적 성분 변화와 발효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ixed Microbes Addition on Chemical Change and Silage Storage of Spent Mushroom Substrates)

  • 김영일;석준상;곽완섭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0권6호
    • /
    • pp.831-838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병재배 방식에서 발생되는 톱밥주원료 버섯부산물의 저장성 향상을 목적으로 복합생균제를 버섯부산물(1톤 규모)에 접종하여 현장 혐기발효하였을 때 저장기간에 따른 물리화학적, 발효 및 미생물 성상에 미치는 변화를 추적하고자 하였다. 복합생균제(Enter- obacter ludwigii KU201-3, Bacillus cereus KU206-3, Bacillus subtilis KU3, Bacillus subtilis KU201-7, Saccharomyces cerevisiae, Lactobacillus plantarum)를 버섯 부산물의 1% 수준(원물기준)에서 첨가하여 1일간 퇴적 저장 후 3일, 1주, 2주, 4주 그리고 8주간 혐기발효 시켰다. 버섯부산물은 혐기저장과정에서 CP, NDF, ADF 함량은 증가하였으며(P<0.05), DM과 NFC의 함량은 감소하였으나(P<0.05), 그 변화폭은 적은 편이었다. In situ 건물 및 NDF 반추위 소실율은 버섯부산물의 발효저장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감소하였다. 발효성상에 있어서 발효 전과 비교해서 발효 후에는 pH가 감소하고, 유산 생성량은 2배 이상 증가하였다. 그러나, 4주경과 시와 비교해서 8주경과 시에는 pH가 다시 증가하였으나, 여전히 양호한 발효상태를 보여주었다. 유산균수는 발효 8주경과 시까지 유의적 차이가 없었고, 총세균수와 효모수는 4주째부터 감소하였다. 8주경과 시의 유산균과 효모수는 모두 108cfu/g 수준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혐기발효와 복합생균제 처리는 버섯부산물의 장기간(8주) 저장에 도움이 되었음을 시사해주고 있다.

Chlorella 추출물 첨가가 Yoghurt Starter의 산 생성 및 증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hlorella Extract on Acid Production and Growth of Yoghurt Starter)

  • 조은정;남은숙;박신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8-17
    • /
    • 2004
  • Chlorella 추출물을 첨가한 yoghurt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chlorella 추출물의 첨가가 yoghurt starter의 산 생성 및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Str. themophilus, Lac. acidophilus, Lac. casei, Lac. bulgaricus를 단독 균주 및 혼합 균주로 접종하여 배양하면서 생균 수와 pH 및 적정산도를 측정하였다. 단독 균주의 경우 chlorella 추출물 분말의 첨가 농도(0.5%, 1.0%, 2.0%, 3.0%)를 달리 하였을 때 Str. thermophilus, Lac. casei와 Lac. bulgaricus는 chlorella 추출물 분말 0.5% 첨가 시 9시간 배양에서, 그리고 Lac. acidophilus는 1.0% 첨가 시 15시간 배양에서 최대 균수를 나타내었으며, 이들 중 Lac. casei가 0.5% 첨가 시 배양 9시간에 3.63${\times}$$10^{9}$ CFU/mL로 가장 높은 생균 수를 보였다. 또한 이들 유산균의 산 생성도 chlorella 추출물 분말을 0.5% 첨가하였을 때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 혼합균주의 경우 chlorella 추출물 분말을 0.25%, 0.5%, 1.0%, 2.0%로 첨가하였을 때 저농도(0.25∼0.5%)의 chlorella 추출물 분말 첨가에 의해 모든 유산균 혼합 균주의 증식이 촉진되었고, pH가 크게 하락하였으며 적정산도가 크게 상승하였다. Str. thermophilus와 Lac. casei를 혼합 배양하였을 때 chlorella 추출물 분말 0.25% 첨가 시 12시간 배양 후 1.13${\times}$$10^{8}$ CFU/mL로 생균수 가 가장 높아 4.12 의 log cycle 증가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chlorella 추출물 첨가 yoghurt 제조 시 chlorella 추출물 분말을 0.25% 첨가하여 혼합 starter로 Str. thermophilus와 Lac. casei 혼합균주를 사용하는 것이 이들 유산균의 생육이 촉진되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담금방법을 달리한 부추김치의 관능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 (Sensory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of Puchukimchi Prepared with Different Methods)

  • 박문옥;장명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65-74
    • /
    • 2000
  • 본 연구는 부추김치의 담금방법이 관능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맛과 저장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실험처리구로는 소금으로 담근 것(A), 간장으로 담근 것(B), 간장과 들깨가루를 넣어 담근 것 (C), 멸치액젓을 넣어 담근것(D), 멸치액젓과 찹쌀풀을 넣어 담근 것(E)로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관능적 특성에서 외관, 냄새, 짠맛, 신맛, 감칠맛, 텍스쳐와 전반적인 기호도는 간장을 넣어 담근 처리구 (B)가 비교적 높은 점수를 받았고, 고소한 맛은 들깨가루를 넣은 처리구(C)가 가장 좋은 점수를 받았다. 2. 미생물학적 특성에서 총균수는 발효 전반에는 처리구 C가 많았고, 말기에는 처리구 E가 많았다. 반면에 처리구 A의 총균수가 가장 적었다. 처리구 C는 발효 2일에 최대 젖산균수에 도달했고, 처리구 E는 발효 13일에, 나머지 처리구는 발효 28일에 처리구 A>B>D순으로 최대 젖산균수를 보였다. 발효 말기인 43일에는 처리구 B가 가장 적은 젖산균수를 나타냈다. 분리동정된 젖산균은 Pediococcus속, Streptococcus속, Leuconostoc속, Lactobacillus속의 4가지였으며, Streptococcus속은 적숙기인 발효 8일에 가장 많았으며, 김치산패에 관여하는 Lactobacillus속은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본 실험의 조건하에서 발효는 처리구 B>C>E>D>A의 순으로 빨리 진행되었다. 담금방법에 따라 간장은 부추김치의 맛은 좋게 하였으나, 숙성을 빠르게 하였으며, 들깨가루 첨가는 초기 발효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었지만, 말기에는 오히려 촉진한 결과로 보아 첨가하는 재료의 종류에 따라 부추김치의 발효 양상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부추김치 담그는 목적에 따라 첨가재료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Cranberry Juice to Reduce Bladder Biofilms and Infection in Geriatric and Spinal Cord Injured Patients with Dysfunctional Bladders

  • Reid, Gregor;Potter, Patrick;Lam, Dominique;Warren, Diny;Borrie, Michael;Hayes, Keith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8권1호
    • /
    • pp.24-28
    • /
    • 2003
  • There is evidence to suggest that cranberry juice supplements improve the health of the urinary tract by inhibiting the binding of fimbriated uropathogenic E. coli to the bladder mucosa. In patients with neurogenic bladders, urinary tract infections (UTI) are particularly common and often poorly managed by antibiotic treatment. A double-blind,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trial was undertaken on 29 geriatric and spinal cord injured patients with dysfunctional bladders. They received three times daily at mealtimes a 4 oz bottle of cranberry juice (Ocean Spray Cranberries, USA) or a specially prepared synthetic placebo drink. Two episodes of UTI arose in week one of cranberry intake and none thereafter, compared to four episodes of UTI in 4 placebo patients in weeks four, six and 10. Mean bacterial adhesion counts on bladder cells of the patients rose during the first month of treatment in 71 % of the placebo patients compared to only 31 % of cranberry patients (p < 0.001). The difference persisted to some extent for the second and third months. Bacterial adhesion levels correlated with culture findings (higher adhesion and higher viable counts in urine) (p < 0.001), positive leukocyte nitrite tests (136$\pm$131 bacteria per cell versus 52$\pm$86 in negative tests) (p < 0.001), and higher white blood cell counts (> 10) per high power field (126$\pm$125 versus 48$\pm$85 bacteria per cell) (p<0.001). E. coli was the most frequently isolated organism (40% samples) followed by K. pneumoniae (17%) and a number of other uropathogens. Group B Streptococci, and coagulase negative Staphylococcus were recovered from urine in 4 samples but were not associated with any red blood cell presence. The daily intake of cranberry juice, in amounts which are not detrimental to long term compliance, appeared to have a role in reducing the risk of bladder colonization and infection in a highly susceptible patient population.

온도 차이에 따른 수영훈련이 결핵균 감염정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wim Training on Tuberculosis infection in the Mouse Model at Different Temperature)

  • 곽이섭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652-656
    • /
    • 2005
  • 본 연구를 통하여 규칙적인 수영 트레이닝이 체중의 감소를 일으켰으며(온수 및 냉수), 특히 냉수 훈련이 큰 감소를 나타내었다. 온수 훈련군에서는 $INF-\gamma$의 감소를 유발하여 림프구의 증식을 Th0에서 Th2 쪽으로 유도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으며, 이로 인해 결핵균을 감염시켰을 경우 오히려 폐와 비장에서 결핵균의 수가 현저히 증가하는 사실을 알 수 있어, 수영 훈련군에게서의 결핵균 감염 시 대조군에 비해 균수가 현저히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냉수 훈련군에서는 통제군에 비해 $INF-\gamma$의 현저한 증가를 보여, 결핵균 감염 시 폐에서 결핵균 수가 감소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젓갈의 숙성 및 저온 저장이 미생물 균수 및 균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low temperature storage and aging of Jeot-kal on the microbial counts and microflora)

  • 홍연;김정희;안병학;차성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1341-1349
    • /
    • 2000
  • 젓갈 미생물 계수용 배지의 소금농도를 결정하기 위한 실험에서는 NaCl을 5% 첨가한 배지에서 가장 많은 수의 미생물이 계수되었고, 시료를 보존하기 위한 동결보호제는 glycerol 15%를 사용하였을 때 $-170^{\circ}C$에서 30일 보존 후 총균수는 75.5%, 젖산균수는 61.3%로 가장 높은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조개젓의 숙성과정 중 pH는 초기 6.8에서 5.0으로 낮아졌고, 숙성 후 단백질 함량은 조개젓은 10%, 멸치액젓은 $6{\sim}7%$이었다. 조개젓의 미생물수는 멸치액젓의 미생물수보다 많았고, 조개젓의 경우는 숙성기간에 따라 미생물수가 증가했다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었으나 멸치액젓은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조개젓의 경우 숙성 4주까지 그램 양성, 카탈라아제 음성 세균들의 비율이 크게 증가하는 전형적인 젖산 발효 형태를 보여주었다. 젓갈을 $-170^{\circ}C$의 액체질소 탱크에서 2년간 보존 후 미생물수는 전체적으로 90% 이상 사멸하였고, 균총 변화를 보면 조개젓의 경우에는 그램 음성 세균과 간균의 생존율이 더 높았으나 거제 멸치액젓의 경우는 간균의 비율이 구균에 비해 감소하였다. 두 가지 젓갈에서 모두 효모의 비율은 크게 떨어졌다.

  • PDF

고추품종을 달리한 전통식 고추장의 숙성중 미생물, 효소활성 및 맛성분의 변화 (Effect of Red Pepper Varieties on the Microflora, Enzyme Activities and Taste Components of Traditional Kochujang during Fermentation)

  • 신동화;김동한;최웅;임미선;안은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1050-1057
    • /
    • 1997
  • Microbial counts, enzyme activities and taste components of traditional kochujangs prepared with the powders from 4 different varieties of red pepper, were investigated during 90 days fermentation for the industrial production of traditional kochujang. The viable cell counts of anaerobic bacteria in kochujangs did not change remarkably during fermentation, however, aerobic bacterial counts showed a rapid increase up to 90 days of aging. The yeasts in all kochujang samples increased until 60 days of aging and than decreased. After 90 days of aging, the count of aerobic bacteria in Kumtop kochujang was higher than those of others. The activities of liquefying amylase decreased during the aging, but those of saccharogenic amylase increased at 60 days of aging. The activities of neutral protease were higher than those of acidic protease, and increased during the middle and last period of aging. The major free sugars of kochujang were maltose and glucose, and their contents were higher in Hongkwang kochujang. The major organic acids of kochujang were succinic, formic and citric acid, followed by lactic acid. Succinic acid content in kochujang decreased during fermentation, whereas formic and citirc acids were increased. The major free amino acids were serine, proline, glutamic acid, aspartic acid and alanine. Kumtop kochujang contained the highest amount of total free amino acids. Among the nucleotides and related components in kochujang, cytidine-5-monophosphate was the most abundant component at the begining of aging period, while hypoxanthine increased remarkably during fermentation. Hanwang kochujang was higher in the content of nucleotides than others. Capsaicin contents of kochujang decreased during aging and those of Jangter kochujang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s. Sensory evaluation showed that Jangter kochujang was significantly better than Kumtop kochujang in overall acceptability, but there were no appreciable differences in color and flavor.

  • PDF

Laying hen responses to multi-strain Bacillus-based probiotic supplementation from 25 to 37 weeks of age

  • Elijah Ogola Oketch;Myunghwan Yu;Jun Seon Hong;Nuwan Chamara Chaturanga;Eunsoo Seo;Hans Lee;Rafael Gustavo Hermes;Natasja Smeets;Apichaya Taechavasonyoo;Susanne Kirwan;Raquel Rodriguez-Sanchez;Jung Min Heo
    • Animal Bioscience
    • /
    • 제37권8호
    • /
    • pp.1418-1427
    • /
    • 2024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icacy of Bacillus-based probiotics supplemented at two different levels to modulate the productive performance, egg quality, tibia traits, and specific cecal bacteria counts of Hy-Line Brown layers from 25 to 37 weeks of age. Methods: A total of 216 twenty-five-week-old hens were randomly distributed into 3 experimental diets with 12 replicates of 6 birds per cage. Diets included basal diet supplemented with 0 (CON), 3×108 (PRO1), or 3×109 (PRO2) colony-forming unit (CFU) of the test probiotic containing Bacillus subtilis PB6, Bacillus subtilis FXA, and Bacillus licheniformis G3 per kilogram of feed. Results: Improved egg weights and mass at 29 weeks; and feed intake at 31 weeks (p<0.10) were noticed with the probiotic-supplemented PRO1 and PRO2 diets. Considering egg quality, the shell thickness, Haugh units, and yolk color were improved; but yolk cholesterol was lowered (p<0.05) with PRO1 and PRO2 diets at 29 weeks. At both 33 and 37 weeks, the egg-breaking strength, shell color and thickness, albumen height, Haugh units, and yolk color were improved; but yolk cholesterol was similarly lowered (p<0.05) with the PRO1 and PRO2 diets. Improved tibia Ca, ash, weights, and density; and raised cecal counts of Bifidobacteria and Lactobacilli (p<0.05) were noticed with PRO1 and PRO2 diets. Improved tibia P but reduced Clostridia counts (p<0.10) were also observed with the PRO1 and PRO2 diets. Conclusion: Probiotic supplementation of Bacillus subtilis PB6, Bacillus subtilis FXA, and Bacillus licheniformis G3 at 3×108 CFU/kg of feed is adequate to significantly improve egg quality, lower yolk cholesterol, enhance several tibia traits, and raise the populations of beneficial cecal bacteria. Modest improvements in several productive parameters and tibia P but reduced Clostridia were also observed; and could warrant further investigation of probiotic effects beyond the current test peri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