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low temperature storage and aging of Jeot-kal on the microbial counts and microflora

젓갈의 숙성 및 저온 저장이 미생물 균수 및 균총에 미치는 영향

  • Hong, Yeun (Food Chemistry and Biotechnology Division,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
  • Kim, Jeong-Hee (Food Chemistry and Biotechnology Division,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
  • Ahn, Byung-Hak (Food Chemistry and Biotechnology Division,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
  • Cha, Seong-Kwan (Food Chemistry and Biotechnology Division,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 홍연 (한국식품개발연구원 생물공학연구본부) ;
  • 김정희 (한국식품개발연구원 생물공학연구본부) ;
  • 안병학 (한국식품개발연구원 생물공학연구본부) ;
  • 차성관 (한국식품개발연구원 생물공학연구본부)
  • Published : 2000.12.30

Abstract

The addition of 5% NaCI to standard plate count (SPC) and bromcresol purple (BCP) agar showed the highest viable cell counts for Jeot-kal samples. The use of 15% glycerol as cryoprotectant showed the highest microbial survival rate at both temperatures, $-20^{\circ}C$ and $-170^{\circ}C$, and on both colony count media, SPC and BCP. During the aging, the pH of Bajirak Jogae-Jeot (fermented clam) decreased from 6.8 to 5.0. Crude protein content was 10% for Bajirak Jogae-Jeot and $6{\sim}7%$ for Myeolchi-Jeot (fermented anchovy). Microbial population of Bajirak Jogae-Jeot was $10^9\;CFU/g$ after 4 weeks of aging, but was only $10^{3-5}\;CFU/g$ in the case of Myeolchi-Jeot. The proportion of Gram positive and catalase negative bacteria in Bajirak Jogae-Jeot increased drastically during the 4 weeks of aging, which showed typical lactic bacterial fermentation. After 2 years' storage of Jeot-kal in liquid nitrogen tank, the cell counts of total aerobic or lactic bacteria were decreased, resulting in about 10% survival rate. Microbial floral change of Jeot-kal was also investigated. In the case of Bajirak Jogae-jeot, the ratio of rod to cocci and that of Gram negative to positive increased after liquid nitrogen storage. But, rod to cocci ratio of Myeolchi-jeot decreased after liquid nitrogen storage. The ratio of yeasts decreased in both cases after storage.

젓갈 미생물 계수용 배지의 소금농도를 결정하기 위한 실험에서는 NaCl을 5% 첨가한 배지에서 가장 많은 수의 미생물이 계수되었고, 시료를 보존하기 위한 동결보호제는 glycerol 15%를 사용하였을 때 $-170^{\circ}C$에서 30일 보존 후 총균수는 75.5%, 젖산균수는 61.3%로 가장 높은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조개젓의 숙성과정 중 pH는 초기 6.8에서 5.0으로 낮아졌고, 숙성 후 단백질 함량은 조개젓은 10%, 멸치액젓은 $6{\sim}7%$이었다. 조개젓의 미생물수는 멸치액젓의 미생물수보다 많았고, 조개젓의 경우는 숙성기간에 따라 미생물수가 증가했다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었으나 멸치액젓은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조개젓의 경우 숙성 4주까지 그램 양성, 카탈라아제 음성 세균들의 비율이 크게 증가하는 전형적인 젖산 발효 형태를 보여주었다. 젓갈을 $-170^{\circ}C$의 액체질소 탱크에서 2년간 보존 후 미생물수는 전체적으로 90% 이상 사멸하였고, 균총 변화를 보면 조개젓의 경우에는 그램 음성 세균과 간균의 생존율이 더 높았으나 거제 멸치액젓의 경우는 간균의 비율이 구균에 비해 감소하였다. 두 가지 젓갈에서 모두 효모의 비율은 크게 떨어졌다.

Keywords